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n Investigation on EFL Teachers’ Needs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in Junior Middle Schools in China

        유뢰,신동진 대한영어영문학회 2020 영어영문학연구 Vol.46 No.1

        Liu Lei & Shin, Dong-Jin. “An Investigation on EFL Teachers’ Needs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in Junior Middle Schools in China.” Studies in English Language & Literature 46.1 (2020): 147-176.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globalization, the number of English learners increased as the day passed. Since we are now living in the era of knowledge explosion. In China, learning English is compulsory in middle school, while the period of junior middle school is the golden period of English learning. The teacher is an important part of educational system, and the status of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concerns the teaching quality. Traditionally, teacher development programmes have concentrated mainly on enhancing teachers’ teaching techniques and skills, largely disregarding their real needs and demands. Therefore, under the background of new national situation and new curriculum standards, as the demand for junior middle school students’ English level and English language education has increased exponentially with the economic growth and globalization (Li Jing, 2010). Based on the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in China, combined with previous research results, the writer investigates the EFL teachers who took part in national training plan organized by Baoding University in April 2019 and claims their needs of professional development. The survey revealed following results: 1. There are a few problems existing in EFL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in junior middle schools, such as lack of professional knowledge structure and teaching ability, monotonous in teaching content and weak teaching ability in English; 2. The two major factors restricting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are the work pressure and no ways for advanced studie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nd the actual English teaching situation of Hebei Province, current study tries to put forward the ways of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from three aspects: training, well-designed training contents and peer coaching. (XingTai University & Jeonju University)

      • KCI등재

        중국의 상징색 ‘빨강’의 역사적 고찰

        유뢰,이견실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2015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Vol.16 No.42

        색채는 사람의 정서 상태를 즉각적으로 변화시키는강력한 힘을 지니고 있다. 특정 국가나 민족의 상징 색채는 그 민족과 나라의 사상, 언어, 자연 환경을 반영한다. 본 연구는 중국의 빨강을 역사적 차원에서 관련지식을 고찰하여 중국의 상징색으로서 빨강의 이해에도 움이 되고자 하는데 있다. 연구 방법은 빨강의 적용사례 유물과 유적 그리고 현대문화와 생활환경에적 용된 사례를 통해 중국과 빨강의 상관관계를 이해하고 관련문헌을 통해 고찰한다. 중국의 유적과 유물, 그리고 현대에서 사용되거나활용되고 있는 국가의 상징물과 문화에 이르기까지오 랜 세월 동안 빨강을 권력과 생활 속에서 중요한것을 상징하거나 축하하고자 할 때 주색으로 사용되고 있었다. 빨강을 고대와 현대로 구분하여 보면, 고대에서는 권력, 높은 지위, 고귀함과 같은 적고 희귀한 것을, 현대에서는 고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진보,혁명, 공산주의, 생명력과 같이 개방적이고 많은 것을의 미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특히 권력과 관련되어서는 다양한 규정과 규제를 두어 사용을 제한하기도 하 였다. 이러한 결과는 빠른 인지와 강렬한 인상, 활성과같은 빨강의 효과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대 중국 국가들 의 의도와 현대중국 정부와 중국인에 의한 문화로서의 승계와 높은 선호에 따른 것으로 이해된다. Colors have the consuming strength tochange our emotion in a very short time. Acountry or a nation's symbol color reacts it'sthoughts, language, natural environment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researching the historical knowledges relatedto China's symbol color Chinese red and sortout them, indeed to do some help to theresearch of the Chinese red. The research method is to observe andstudy the Chinese red using case. Forexample cultural relics and sites andnowadays' the Chinese red using case aboutculture and lives. And also search theliterature. China's sites and historical relics, even thenational symbol and the culture be used or beflexible used nowadays uses the red. The redhad signify the important things of the powerand the live, also means congratulate. Whendiscriminates the red from the time, in ancienttimes red means power, high status, rare, nowit means progress, revolution, communism,vitality and many other exoteric things. Especially the mean related to power made alot of fixes and rules to limit its use. The result of this research can beinterpreted as ancient dynasties want to usethe red's quickly be grasped, impressive,activity properties. And nowadays ChineseGovernment and Chinese Inherited it.

      • KCI등재

        창의적인 교사에 대한 한국과 중국 중학교 교사의 암묵적 지식 비교 연구

        유뢰,최인수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3

        Objectives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d the implicit knowledge of creative teachers possessed by middle school teachers in Korea and China. the study aimed to analyzed the cross-country variances and contribute to comprehension of the educational systems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both nations. Methods A survey was administered to a total of 174 middle school teachers in Korea and 187 middle school teachers in China. Participants were requested to freely crticulate the characteristics of creative teachers. The collected responses were subsequently analyzed from both cognitive and affective perspectives. Results The results revealed that Korean teachers ranked fluency, communication skills, originality, expertise, flexibility, respect, openness, consideration, breaking stereotypes, and encouragement as the foremost characteristics of creative teachers, in that order. Conversely, Chinese teachers mentioned originality, communication skills, expertise, applicability, flexibility, progressiveness, passion for education, fluency, respect, and humor as the key traits. While certain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creative teachers displayed similarities across both countries, disparities were observed in their affective characteristics. Additionally, both countries placed greater emphasis on the cognitive aspect of identifying a creative teacher, rather than the affective aspect. Chinese teachers exhibited a higher emphasis on the cognitive aspect than their Korean counterparts. Conclusions This study has effectively demonstrated dissimilarties in implicit perceptions regarding creative teachers between Korean and Chinese educators.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anticipates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educational systems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prevalent in both countries. 목적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중학교 교사들의 창의적인 교사에 대한 암묵적인 지식을 비교하여 국가 간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는것을 목표로 하였다. 방법 한국 중학교 교사 174명과 중국 중학교 교사 187명 총 361명을 대상으로 창의적인 교사의 특성을 자유롭게 기술하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후 설문조사 결과를 인지적 측면과 정의적 측면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한국 교사들은 창의적인 교사의 특성으로 유창성, 의사소통력, 독창성, 전문성, 융통성, 존중, 개방성, 배려, 탈 고정관념, 격려 등을 순으로 언급하였다. 둘째, 중국 교사들은 창의적인 교사의 특성으로 독창성, 의사소통력, 전문성, 적용력, 융통성, 진취성, 교육에 대한 열정, 유창성, 존중, 유머 등을 언급하였다. 셋째, 양국 교사들의 창의적인 교사에 대한 인지적 특성에서는 많은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는 반면에 정의적인 특성에서는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양국 모두 창의적인 교사의 정의적인 특성보다는 인지적측면을 더 중요하게 여기며, 중국 교사들은 한국 교사에 비해 창의적인 교사의 인지적 측면 특성에 더 초점을 두고 있다는 것을 알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 교사들 간의 창의적인 교사에 대한 암묵적인 인식 차이를 밝힘으로써 두 국가의 교육체계와 문화적 특성을 이해하는 데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문둔테(门枕石)의 형태 및 문양의 의미고찰

        유뢰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2015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Vol.16 No.44

        연구의 목적은 고대 중국 사람의 사회적 지위와 신분을 나타내는 상징인 대문의 문둔테가 옛 중국인들의 생활 속에서 어떤 상징효과를 하였으며, 현대 디자인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그 함의는 무엇인지를 규명하는데 있다. 연구의 결과, 문둔테는 존귀의 상징이나 길상, 번창, 행복, 장수, 평안 등의 축복이나 벽사 등으로 사업 또는 생활과 관련되어 있는 바람을 현실화시켜 줄 것으로 기대한 상징물로서, 온고지신(温故知新)으로 고대중국인들이 지위와 벽사를 위해 건물이나 문 앞에 위치시켰던 것을 현대에는 다양한 디자인물에 적용시키고 있었다. 현대의 디자인에 적용된 의도는 이와 다르지 않았다, 문둔테는 공간이나 브랜드간의 우월적 지위나 효능을 대신하고 보증하는 역할로서의 상징이었다. 이는 오랫동안 중국인의 정신세계를 지배해 온 특정체계와 그 상징을 착용하여 다른 것의 존귀함을 말하는 기호 활동이었다. 이는 문둔테가 있어야할 전통적인 위치의 변경과 문화적 규제가 해제된 이유로 가능해졌고 결과적으로 더 많은 적용을 가능하게 하고 있으며 이러한 활동과 형식은 세계화되어 가고 있는 오늘날 중국을 중국답게 인식하게 하는 하나의 독특한 문화로 자리 잡게 하는 일련의 활동이 되어 가고 있으며 이러한 지속성은 또 다른 특별한 디자인 활동에 근간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The drum shaped bearing stone is one of them. It's an adornment which signifies people's status. In this research, we aimed to know the symbolic effect of the drum shaped bearing stone in ancient times, at the same time to find what influence it gives to nowadays' design and to know meaning of them. By this research, from learn the drum shaped bearing stone which been used at the door signifies people's status and exorcise evil spirits, and been wide used in today's design. It is a breakthrough to use it beside the traditional application so that made it can be more used in the future. People used it aimed to use it's lucy, boom, happiness, longevity, safe etc. and want it be true. It been used to show honourable and superiority because in chinese's thought it means that for a long time. It has been china's special culture and it will be soon used in other field. The drum shaped bearing stone record as an element of today's design know from the other cultural, just like the red which has been a symbol of China.

      • KCI등재

        USN 환경을 위한 공간 센서 데이타베이스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신인수,유뢰,김정준,장태수,한기준 대한공간정보학회 2012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Vol.20 No.1

        일반적으로 비공간 센서 데이타뿐만 아니라 공간 센서 데이타를 동시에 사용하는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USN) 환경을 위해서는 이러한 센서 데이타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센서 데이타베이스 시스템은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이유에서 Tiny DB, Cougar 등과 같은 다양한 센서 데이타베이스 시스템들이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대부분은 공간 센서 데이타 처리를 위한 공간 데이타 타입과 공간 연산자를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공간 센서 데이타를 처리하는데 어려움이 존재한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USN 환경에서 공간 센서 데이타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TinyDB를 확장하여 공간 센서 데이타베이스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특히 공간 센서 데이타베이스 시스템은 공간 데이타 타입과 공간 연산자를 지원하고, 공간 데이타 스트림으로 인해 발생하는 시스템 부하를 줄이기 위해서 메모리 관리 기능과 필터링 기능 등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수행 시간, 정확도, 메모리 사용량 등 다양한 성능 평가를 통해 공간 센서 데이타베이스 시스템이 기존 TinyDB에 비해 성능이 우수하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For the USN(Ubiquitous Sensor Network) environment which generally uses spatial sensor data as well as aspatial sensor data, a sensor database system to manage these sensor data is essential. In this reason, some sensor database systems such as TinyDB, Cougar are being developed by many researchers. However, since most of them do not support spatial data types and spatial operators to manage spatial sensor data, they have difficulty in processing spatial sensor data. Therefore, this paper developed a spatial sensor database system by extending TinyDB. Especially, the system supports spatial data types and spatial operators to TinyDB in order to manage spatial sensor data efficiently and provides the memory management function and the filtering function to reduce the system overload caused by sensor data streams. Lastly, we compared the processing time, accuracy, and memory usage of the spatial sensor database system with those of TinyDB and proved its superiority through the performance evaluation.

      • USN 환경을 위한 공간 센서 데이타베이스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신인수,유뢰,김정준,장태수,한기준,Shin, In-Su,Liu, Lei,Kim, Joung-Joon,Chang, Tae-Soo,Han, Ki-Joon 한국공간정보학회 2012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20 No.1

        For the USN(Ubiquitous Sensor Network) environment which generally uses spatial sensor data as well as aspatial sensor data, a sensor database system to manage these sensor data is essential. In this reason, some sensor database systems such as TinyDB, Cougar are being developed by many researchers. However, since most of them do not support spatial data types and spatial operators to manage spatial sensor data, they have difficulty in processing spatial sensor data. Therefore, this paper developed a spatial sensor database system by extending TinyDB. Especially, the system supports spatial data types and spatial operators to TinyDB in order to manage spatial sensor data efficiently and provides the memory management function and the filtering function to reduce the system overload caused by sensor data streams. Lastly, we compared the processing time, accuracy, and memory usage of the spatial sensor database system with those of TinyDB and proved its superiority through the performance evaluation. 일반적으로 비공간 센서 데이타뿐만 아니라 공간 센서 데이타를 동시에 사용하는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USN) 환경을 위해서는 이러한 센서 데이타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센서 데이타베이스 시스템은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이유에서 Tiny DB, Cougar 등과 같은 다양한 센서 데이타베이스 시스템들이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대부분은 공간 센서 데이타 처리를 위한 공간 데이타 타입과 공간 연산자를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공간 센서 데이타를 처리하는데 어려움이 존재한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USN 환경에서 공간 센서 데이타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TinyDB를 확장하여 공간 센서 데이타베이스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특히 공간 센서 데이타베이스 시스템은 공간 데이타 타입과 공간 연산자를 지원하고, 공간 데이타 스트림으로 인해 발생하는 시스템 부하를 줄이기 위해서 메모리 관리 기능과 필터링 기능 등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수행 시간, 정확도, 메모리 사용량 등 다양한 성능 평가를 통해 공간 센서 데이타베이스 시스템이 기존 TinyDB에 비해 성능이 우수하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 USN 환경을 위한 공간 센서 데이타베이스 시스템의 개발

        김정준(Joung-Joon Kim),유뢰(Lei Liu),신인수(In-Su Shin),김수정(Su-Jeong Kim),한기준(Ki-Joon Han) 대한공간정보학회 2011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11 No.10

        최근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USN : Ubiquitous Sensor Networks) 환경에서 GeoSensor와 같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기능을 보유한 공간 센서의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공간/비공간 데이타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공간 센서 데이터베이스시스템의 필요성이 증가되고 있다. 그러나, Tiny DB, Cougar 등과 같은 기존 센서 데이타베이스 시스템들은 공간 데이타 타입과 공간 연산자를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공간 데이타를 처리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USN 환경에서 공간 데이타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공간 센서 데이타베이스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공간 센서 데이타베이스 시스템은 공간 데이타 타입과 공간 연산자를 지원하며, 시스템 부하를 줄이기 위해 메모리 공유 기능과 필터링 기능 등을 제공한다.

      • KCI등재

        Influence of Pinewood Nematode, Bursaphelenchus xylophilus, on the Growth of Endoparasitic Fungus Esteya vermicola

        Chun Yan Wang(왕춘연),Chung Ha Lee(이청하),Mi Ra Lee(이미라),Beom Sik Yun(윤범식),Lei Liu(유뢰),Zhen Wang(왕젠),Zhe Ming Fang(방철명),Dong Liang Zhang(장동량),Zheng Li(이정),Chang Keun Sung(성창근) 한국생명과학회 2010 생명과학회지 Vol.20 No.5

        본 논문은 선충 포식성 곰팡이에 대한 선충의 영향을 조사한 연구로, 소나무 기생곰팡이인 E. vermicola에 미치는 소나무 선충의 영향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선충 대사물과 선충 균질액 모두 E. vermicola의 성장을 빠르게 촉진하였으나, 선충 대사물이 선충 균질액보다 약간 높은 효과를 보였다. 또한 소나무 선충이 생성하는 휘발성 물질이 E. vermicola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새로운 실험방법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선충의 휘발성 물질은 E. vermicola에 아무런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는 재현성 있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소나무 선충의 생물학적인 조절인자로서 E. vermicola을 적용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e influence of nematodes on nematophagous fungi has seldom been investigated. In the present study, the influence of pinewood nematode on its endoparasitic fungus, Esteya vermicola, was investigated systemically. Although both nematodal metabolite and nematodal homogenate could stimulate and speed up the growth of E. vermicola, the impact of nematodal metabolite was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nematodal homogenate. In addition, a method was develop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volatiles, discharged by pinewood nematodes in their metabolic process, on the growth of E. vermicola. Reproductive results were given and confirmed that nematodal volatiles have no influence on the cell growth of E. vermicola. This study may provide information for the application of E. vermicola as biological control agent of pinewood nemato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