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지속가능성의 관점으로 본 리사이클 디자인에 대한 고찰

        원윤정(Won, Yoon-Jung),진보라(Jin, Bo-ra),김동윤(Kim, Dong-Yun)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4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4 No.5

        As the human’s life becomes convenient, the problem of disposing mass trash and resource exhaustion problem are becoming serious. As an alternative to these problems, the recycle and recycled design are emerging as a big concern. This study is designed to examine the concept of recycle design and necessity and consider the methodology of the sustainable design focusing the environment-friendly design through the case of furniture reborn by recycling. Also, as the awareness on the recycle design changes positively and new values on the environment are created, people are expected to recognize human and environment coexist.

      • KCI등재

        A Study on Secretary’s Core Self-Evaluations and Creativity

        Won, Yoonjeong(원윤정),Lee, Ji Yon(이지연),Paek, Jeeyon(백지연) 한국비서학회 2016 비서·사무경영연구 Vol.25 No.1

        창의성이 직무능력에서 중요한 역량으로 여겨지면서, 비서직의 역할 수행에서도 창의성이 중요한 기능을 차지할 것으로 예측된다. 본 연구에서는 비서의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인 특성과 환경적인 특성을 통합적인 관점으로 접근하는 Woodman(1993)의 창의성 모형을 사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통합적인 접근을 위해 개인적인 특성으로 설정한 핵심자기평가를 독립변인에 두었고, 환경적인 특성으로 조직학습문화와 상사의 감성지능을 설정하여 창의성과 핵심자기평가 사이의 조절효과를 관찰하였다. 현직 비서를 대상으로 2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182부의 설문지가 회수되었고, 최종 167부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비서의 핵심자기평가는 창의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직학습문화와 상사의 감성지능은 비서의 핵심자기평가와 창의성의 관계에 부의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핵심자기평가가 높은 비서들은 조직학습문화의 수준이 낮거나 상사의 감성지능이 부족하더라도 본인 스스로가 자신감을 가지고 긍정적으로 생각하며 열정적으로 일하고자 노력하기에 더욱 창의적으로 행동하여 업무에 높은 성과를 가져옴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비서의 핵심자기평가와 창의성, 조직학습문화, 상사의 감성지능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에 의의를 두고 있다. 또한, 비서에게도 창의성이 필요한 역량이며 개인의 핵심자기평가가 창의성을 가지고 업무 수행을 하는 데에 중요하다는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To explore creativity among secretaries, the adapted Woodman’s Interactional Model of Creativity (1993) was used in the current study, which presents the interaction in the personal and contextual factors that affect creativ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ecretary’s core self-evaluations and creativity and to measure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organizational learning culture and the supervisor’s emotional intelligence. A survey collected from 167 secretaries working in Korea was used for analysis. The findings revealed that the secretary’s core self-evaluations had a positive effect on creativity. In addition, the organizational learning culture and the supervisor’s emotional intelligence had a negative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cretary’s core self-evaluations and creativity.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help bring better understanding of secretaries’ creativity in the interactional perspective and core self-evaluations and will provide useful suggestions to develop the training program for the secretary’s creativity and the core self-evaluations.

      • KCI등재

        창의성이 발현되는 비서 업무에 대한 질적 연구

        원윤정(Won, Yoonjeong),백지연(Paek, Jeeyon) 한국비서학회 2017 비서·사무경영연구 Vol.26 No.2

        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 창의성은 모든 조직원들에게 반드시 필요한 핵심역량이다. 상사의 지시대로만 움직이는 보조자 역할에서 벗어나 협력자 혹은 파트너로서의 역할까지 확대되고 있는 현대 사회에서 비서에게 창의성이 필요함을 연구자들은 주장한다. 하지만, 일반인이 가지고 있는 수동적이고 전문적이지 않은 비서의 이미지와 반복적이고 일상적인 업무가 주를 이루는 비서의 업무에서 과연 창의성은 필요한가라는 의문이 생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질적 인터뷰를 실시하여 어떤 비서 업무에서 창의성이 발현되는지 그리고 비서의 업무에서 발현되는 창의성은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12명의 현직 비서들을 인터뷰한 결과, 비서직에서 창의성은 반드시 필요한 역량이었고, 창의성을 센스나 문제해결능력, 임기응변능력, 위기대처능력, 편리함과 효율성을 위한 업무개선능력, 적극적이고 주도적인 업무 태도로 정의할 수 있었다. 또한, 창의성이 발현되는 업무 내용을 Kaufman과 Beghetto(2009)의 창의성의 4가지 수준과 연결하여 다음과 같이 세가지로 도출하였다. 첫째, 사소해 보이는 업무부터 상사의 긴급한 요구까지: 나 스스로 만족하는 미니 창의성(mini c), 둘째, 자료 및 문서 관리부터 출장 업무까지: 나와 남의 편리함, 업무의 효율성을 위한 작은 창의성(little c), 셋째, 이벤트/회의 기획 및 준비 업무부터 프로세스 개선 제안까지: 주도적으로 업무를 처리하는 전문 창의성(Pro C)이다. 본 연구는 비서의 창의성이 발현되는 업무 내용에 대해 처음 살펴본 연구로, 추후 비서의 창의성에 대한 연구와 비서직으로 진로를 희망하는 학생이나 현직 비서들을 대상으로 하는 비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Creativity is core competency for all employees in an organization regardless of the occupation. Many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claim that creativity is also significant to secretaries in contemporary business environment as the role of secretaries is moving from assistant to co-worker or partner. However, people think that creativity has been known to be irrelevant to secretaries because they should perform their work given by the boss’ instru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contents of secretary’s work are manifested in creativity and what creativity is expressed in secretary’s work. This study used a qualitative interview method and conducted in-depth interview based on one and one 12 incumbent secretaries. As a result, all of participant agreed that creativity is needed in secretary’s work and was defined by sense, problem-solving skills, ability to cope with crisis, ability to improve work, active and leading attitude. In addition, there are three group of the contents of secretary’s work where creativity is appeared as follows; firstly, from small job duty to urgent needs of boss: mini creativity(mini c) satisfying myself; secondly, from data and document management to business trips: small creativity (little c) for the convenience of others and efficiency of work; and lastly, from event/meeting planning and management to suggestion for improve process: professional creativity (Pro c) working actively. This study could be used as basic resources to develop education program for the students who pursue their career as a secretary or secretaries who are working at present.

      • KCI등재

        재택근무환경에서 비서의 업무 경험에 관한 연구

        원윤정(Won, Yoon-Jeong),송민영(Song, Minyoung),허진(Hur, Jin),백지연(Paek, Jeeyon) 한국비서학회 2020 비서·사무경영연구 Vol.29 No.4

        디지털경제 시대로의 전환이 더욱 가속화되는 시기에 많은 기업들에서는 새로운 일의 방식으로 원격근무를 고려하고 있다. 이에 상사와 물리적으로 한 공간에 존재하는 업무 환경이 너무나도 당연했던 비서직에서도 재택근무를 통해 어떠한 변화가 있을 것인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광의의 원격근무 개념에서 범위를 좁혀 물리적 공간의 분리가 완전히 이루어지는 재택근무의 형태만을 본 연구의 범위로 설정하여 재택근무환경에서 비서의 다양한 업무 경험들을 살펴보았다. 최소 2주 이상 재택근무를 수행한 현직비서를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여 업무, 조직, 개인 차원의 총체적인 관점에서 주제분석을 통해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업무차원에서는 수행 가능하지만 변화가 나타난 업무와 수행이 불가한 업무로 나눌 수 있었으며, 변화가 있는 업무로는 전화 응대 업무, 회의 관련 업무, 보고 업무, 그리고 상사의 지시에 따른 업무가 나타났다. 조직 차원에서는 기술적 시스템의 도입, 조직 내 인간관계와 재택근무에 대한 인식에서의 변화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개인 차원에서는 개인 시간이 늘어남에 따라 삶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가 높아졌으며, 재택근무환경에서 업무의 변화로 인해 비서로서의 향후 커리어에 불안을 느끼는 연구 참여자도 있었다. 본 연구는 비서를 대상으로 재택근무환경에서의 업무 경험을 살펴본 첫 연구로서 의의를 가지며, 추후 비서, 사무경영 및 교육 분야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As the transition to the digital economy accelerates, many companies consider telework as their next way of working. It is necessary to explore the changes teleworking will bring in the working style of secretaries, where the environment was natural for them to work with the boss in one space. This study examined the secretary"s teleworking experiences by narrowing the concept of teleworking in which the working space is completely separate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incumbent secretaries who worked at home for at least two weeks. Results from the thematic analysis were grouped into three levels: task, organization, and individual. The changes in task-level were divided into tasks that can be performed and cannot be performed, with the most changes observed in telephone tasks, meeting tasks, reporting tasks, and tasks performed under the boss’ direction. At the organizational level, changes included the introduction of new systems, relationships among colleagues, and the perception of teleworking. At the individual level, overall satisfaction in life rose, but the change in work with teleworking led to concerns in secretaries" careers. This study is the first to explore the secretary"s experience in the telecommuting environment and is expected to be used as fundamental data in the field of secretary, office management, and education in the future.

      • KCI등재

        인공지능을 활용한 기계학습 앙상블 모델 개발

        이근원,원윤정,송영범,조기섭,Lee, K.W.,Won, Y.J.,Song, Y.B.,Cho, K.S. 한국열처리공학회 2021 熱處理工學會誌 Vol.34 No.5

        To predict mechanical properties of secondary hardening martensitic steels, a machine learning ensemble model was established. Based on ANN(Artificial Neural Network) architecture, some kinds of methods was considered to optimize the model. In particular, interaction features, which can reflect interactions between chemical compositions and processing conditions of real alloy system, was considered by means of feature engineering, and then K-Fold cross validation coupled with bagging ensemble were investigated to reduce R2_score and a factor indicating average learning errors owing to biased experimental database.

      • KCI등재

        극초고강도 이차경화형 마르텐사이트강의 기계적성질에 미치는 오스포밍 공정의 영향

        김수빈 ( S. B. Kim ),원윤정 ( Y. J. Won ),송영범 ( Y. B. Song ),조기섭 ( K. S. Cho ) 한국열처리공학회 2021 熱處理工學會誌 Vol.34 No.4

        Two types of secondary hardening martensitic steels, 10Co-14Ni and 6Co-5Ni, were produced by vacuum induction melting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usforming process on mechanical properti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present study, the alloy samples ausformed at low temperature indicated a rather low hardness level in overall aging time despite the refinement of martensite lath width. As the result can closely be related with the presence of primary carbides precipitated within the initial austenite matrix, we confirmed that, in ultrahigh strength secondary hardening martensitic alloy steels, the ausforming process can rather limit the degree of secondary hardening during the subsequent aging treatment. (Received July 8, 2021; Revised July 15, 2021; Accepted July 21, 2021)

      • KCI등재

        생물학적제제의 치메로살 함량 정량을 위한 가열기화 아말감 흡광도법의 확립 및 검증

        김병철,김도근,홍성화,김연희,임종미,원윤정,김석환,홍지영,윤영민,김재옥,Kim, Byung-Chul,Kim, Do-Keun,Hong, Sung-Hwa,Kim, Yeon-Hee,Lim, Jong-Mi,Won, Yun-Jung,Kim, Seok-Hwan,Hong, Ji-Young,Yun, Young-Min,Kim, Jae-Ok 대한약학회 2011 약학회지 Vol.55 No.4

        The test method for biologics of lot release system is based on 'Test procedure and specification for biological products,' generally, thimerosal content is measured by chemical analysis using O.D. In this study, the comparative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the gold amalgamation method for thimerosal content was compared to the existing methods, which are described above. The gold amalgamation method, which uses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ry, was meets all the method validation acceptance criteria. It is considered to be proper as the assay and identification test for thimerosal. In this study, the comparative analysis was performed three times. As a result, gold amalgamation method is more convenient and easy to perform as this assay doesn't have pre-treatment procedure. Also this assay showed good precision and reproducibility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ethod. Therefore, it is appropriate to alternate the assay method of thimerosal from the conventional chemical analysis to gold amalgamation method to improve the credibility of lot release system and the quality control of biologics, by standardizing test method.

      • KCI등재

        수두생바이러스백신 국가표준품 (2차) 제조 및 확립에 관한 연구

        김연희(Yeon Hee Kim),김도근(Dokeun Kim),손여원(Yeo Won Sohn),한의리(Euiri Han),김석환(Seok Hwan Kim),임종미(Jong-Mi Lim),원윤정(Yun Jung Won),윤희성(Heui Seong Yoon),조문희(Moon Hee Jo),김관수(Kwan Soo Kim),김재욱(Jaeok Kim) 한국생물공학회 2010 KSBB Journal Vol.25 No.6

        수두 생바이러스 백신과 같은 생물의약품은 다양한 물질이 복합적으로 구성되어 있어 단순한 물리·화학적 분석방법만으로는 그 특성을 규명할 수 없다. 따라서 이러한 생물의약품의 품질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표준품이 필수적이다. 2002년과 2003년에 제조 및 확립한 1차 국가표준품의 재고량 소진 및 역가 감소에 따라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에서는 수두 생바이러스 백신의 2차 국가표준품을 확립하기 위하여 2008년 용역연구사업을 통해 국내의 수두 생바이러스 백신 제조회사에서 표준품 후보물질을 제조하였으며, 국가표준품후보물질의 역가산정을 위하여 국내 제조사 및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에서 공동연구를 수행하였다. 국내제조사를 포함한 3개의 공동연구 시험소에서 7회 이상의 반복시험을 수행하여 얻은 공동연구 결과를 통계학적으로 분석한 결과 3곳의 공동연구 시험소의 통합역가에 대한 변이계수 (coefficient variation, CV)는 1.24%로 각 시험소간의 기하평균 (GMT) 변동 수준이 매우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수두 생바이러스 백신의 2차 국가표준품의 표시역가는 4.26 log10 PFU/0.5 mL로 산정하였다. Biological products, such as live varicella vaccine, are composed of biological substances derived from biological organisms. It is very difficult to identify these biologics’ characteristics by analysis of simple physical and chemical methods alone. So the reference material is essential in order to evaluate the quality of bilogics. The 1’st national standard for varicella live vaccine was manufactured, established in 2002 and 2003, and have been used for the manufacturer’s quality control and national lot release since then. As the lack of its availability and the decrease of its stability, this study was initiated by National Institute of Food and Drug Safety Evaluation (NiFDS) in 2008 to manufacture and establish the 2nd national standard for varicella live vaccine. The candidate material was manufactured from one of domestic manufacterers and the joint research of the NiFDS and manufacturers of varicella live vaccine was conducted to estimate of the reliable virus content. In the collaborative study, 3 laboratories including NiFDS performed the virus content test more than 7 times and all assay result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The mean coefficient of variation (CV) was 1.24%, and the geometric mean titre (GMT) variation range of each laboratory was low.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candidate material of 2nd national standard for varicella live vaccine was assigned a potency of 4.26 log10 pfu/0.5 mL, when reconstituted in 0.7 m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