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이러니 화자의 이중적 담화전략

        우선주(WOO Sunjoo) 프랑스문화예술학회 2021 프랑스문화예술연구 Vol.76 No.-

        본 논문은 아이러니가 담화상에서 두 가지 대조되는 담화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고 보고 이를 다성 이론에 의거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아이러니를 말하는 화자는 기본적으로 표적으로 삼은 대상을 비난 또는 조롱하려는 목적을 갖고 있으며, 본 논문에서는 이 목적하에 아이러니가 표적을 훈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고 본다. 하지만 화자는 동시에 이와 대비되는 담화전략을 세울 수 있는데, 이는 표적과 우호적인 관계를 맺고자 하는 것으로, 본 논문에서는 이를 아이러니가 수행하는 친교적 기능이라고 본다. 본 논문에서는 본질적으로 다성적 의미구조를 갖춘 아이러니 발화에 참여하는 여러 발화주체 가운데, 언술의 화자 l₀와 텍스트 화자 L로 분화되는 화자의 주체분화에 의거하여 아이러니의 두 가지 담화기능이 어떠한 조건에서 수행되며, 어떠한 의미 효과를 갖는지 설명해 보고자 한다.

      • KCI등재

        전환기 지적장애 청소년의 가정 및 독립생활기술에 대한 중등특수교사의 인식

        우선주(Woo, Sunj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2

        이 연구는 목적은 전환기의 지적장애 청소년의 가정 및 독립생활 능력 향상을 위한 주요 기술 영역들 10가지에 있어서 선생님들의 인식을 알아보고 그에 따른 개선 방안을 알아보는 데 있다. 전환기의 지적장애 청소년의 가정 및 독립생활 능력 향상 을 위한 주요 기술 영역들에 대한 교사 인식 수준을 밝히기 위해 대구광역시의 지적장애 특수학교 및 특수학급 중등교사들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특수학교 및 특수학급 중등 교사들의 전환기의 지적장애 청소년의 가정 및 독립생활 능력 향상을 위한 주요 기술들에 대한 인식은, 중요도에 대한 인식수준은 높으나 수행도 인식 수준보다 낮다. 전환기의 지적장애 청소년 의 가정 및 독립생활 능력 향상을 위한 주요 기술들에 대한 중요도 인식수준은 샤워하기 혹은 목욕하기 조목이 제일 높은 반면 다양한 목적에 맞게 이메일 사용하기 조목에 대한 인식수준은 제일 낮다. 수행도 인식수준 또한 손과 얼굴 깨끗하게 씻기에 대한 인식이 제일 높은 반면 다양한 목적에 맞게 이메일 사용하기에 대한 인식은 제일 낮다. 변인 별로 중요도 인식수준에 있어서는 여교사의 인식수준이 남교사에 비해 높고, 중학부와 전공과 교사의 인식수준이 고등부 교사에 비해 높으며, 특수학급 교사가 특수학교 교사에 비해 전환기의 지적장애 청소년의 가정 및 독립생활 능력향상을 위한 주요 기술들에 대한 중요성을 높게 인식한다. 수행도에서는 남교사에 비해 여교사가, 10년 이상의 교육경력을 지닌 교사가, 특수학급 교사들의 인식 수준 이 높다. 연구 결과 별로 논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perceptions of special school teachers about home living and independent living skill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200 special school teacher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and ANOVAs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pecial school teacher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perceived the importance of teacher roles in teaching home living and independent living skills. However, the teachers perceived their implementation level of teaching home living and independent living skills as relatively low. Specifically,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 perceived the importance of teaching shower and bath skills most and perceived the importance of teaching skills of sending email least. In addition,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 perceived the implementation level of teaching skills of washing hand and face and using bathroom hygienically most and perceived the implementation level of teaching skills for sending email least. Second, the results indicated that female teachers perceived the importance of teaching home living and independent living skills significantly higher than male teachers. Also, the results indicated that teachers who had experience of in service training related to transition education perceived the importance of teaching home living and independent living skills significantly higher than teachers who did not have experience of in service training related to transition services. In addit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teachers who had taught between 10 and 20 years and who have vocational teacher certificate perceived level of implementation of teaching home living and independent living skills than other teachers

      • KCI등재

        다성이론에 의거한 아이러니와 역설 비교 분석

        우선주(Sunjoo WOO) 프랑스학회 2023 프랑스학연구 Vol.- No.103

        본 논문에서 는 흔히 유사 문채로 여겨지며 그 개념에서부터 혼동이 야기되는 아이러니와 역설을 다성이론에 의거하여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아이러니와 역설의 화자는 공통적으로 표적을 평가적인 시선으로 바라보고 있다는 점에서 이 두 문채는 유사점을 갖는다. 또한, 이 시선을 토대로 아이러니 화자는 ‘속내와는 다른 내용’을 역설의 화자는 ‘비논리적인 내용’을 발화하고 있다는 점에서 모두 이중적인 의미구조를 구축하고 있다. 즉, 표면적 의미 안에 이와는 다른 암시적 의미를 담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이 두 의미가 맺고 있는 관계는 서로 다르다. 아이러니의 경우 이 두 의미는 상충 관계에 있는 반면, 역설은 공지시 관계에 있다. 본 논문에서는 본질적으로 다성적 의미구조를 갖춘 아이러니와 역설의 비교는 각각의 발화에 참여하는 여러 발화주체들 중 텍스트 화자L과 언술의 화자l₀의 주체 분화로 설명해야 한다고 본다. 아이러니는 명시적 의미의 책임자인 언술의 화자l₀의 발화에 동의하지 않고 이를 반박하는 텍스트 화자L의 관점으로 그 의미가 구축된다. 반면, 역설은 텍스트 화자L이 언술의 화자l₀ 의 발화에 동의하고 이에 점착되어 결국 이 두 의미는 공지시 관계에 있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아이러니와 역설의 화자의 발화 의도도 차이점이 있다고 보고 있다. 전자가 표적을 비난하고자 한다면, 후자는 진리를 깨닫게 하려는 의도가 있다고 본다. Cette étude a pour but d'analyser de manière comparative l'ironie et le paradoxe en s'appuyant sur la théorie de la polyphonie. Le locuteur de l'ironie exprime un sens différent de sa véritable intention, tandis que le locuteur du paradoxe exprime un sens illogique ; dans les deux cas, coexistent le sens explicite et le sens implicite. Sur ce point, ces deux figures construisent une double structure sémantique. Cependant, dans l'ironie, ces deux sens enh·ent en relation contradictoire, alors que dans le paradoxe, ces sens établissent une relation de coréférence. Dans cette étude, nous considérons que la comparaison entre ces deux figures doit être examinée à travers le dédoublement du sujet, le locuteur de l'énoncé l₀ et le locuteur textuel L, puisque l'ironie et le paradoxe construisent proprement la structure sémantique polyphonique. Dans les deux cas, le locuteur textuel L et le locuteur de l'énoncé l₀ coexistent dans leur énonciation. Dans l'ironie, L réfute l'énonciation de l₀ et s'en distancie. En revanche, dans le paradoxe, L adhère à l'énonciation de l₀.

      • KCI등재

        전환교육에서의 기관 간 협력에 대한 지적장애 특수학교 중등특수교사와 유관기관 전문가의 이해와 경험

        우선주(Woo, Seonjoo),홍정숙(Hong, Jeongsuk),박영근(Park, Yungkeun)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23 장애와 고용 Vol.33 No.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전환교육에서의 기관 간 협력에 대한 지적장애 특수학교 중등특수교사와 유관기관 전문가의 이해와 경험을 탐색하는데 있다. 연구방법: 특수학교와 기관 간 협력 경험이 풍부한 경력 5년 이상의 지적장애 특수학교 중등특수교사 10명, 지적장애 특수학교 유관기관 전문가 10명으로, 총 20명에게 개별 심층면담을 실시하였고, 면담 전사 자료를 지속적 비교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면담자료를 분석한 결과 2개의 범주, 4개의 주제, 16개의 하위주제를 도출하였다. 4개의 주제는 ‘성공적인 전환교육의 의미’, ‘전환교육에서 유관기관 간 협력의 지향 ’, ‘특수학교와 유관기관 간 연계 실태’, ‘특수학교와 유관기관 간 연계 및 협력의 어려움’으로 분류되었다. 논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전환교육에서의 기관 간 협력에 대한 지적장애 특수학교 중등특수교사와 유관기관 전문가의 이해와 경험에 대한 논의를 제시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understanding and experiences of secondary special school teacher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experts from related organization on inter-institutional cooperation in transition education. Metho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0 secondary special school teachers with more than 5 years of experience and 10 experts from organization who have abundant experience in cooperation between special schools and organization. Resul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terview data through the continuous comparative analysis, 2 categories, 4 themes and 16 sub-topics were derived. The four themes derived through the analysis of interview data are the meaning of successful transition education, aiming for cooperation between related organizations in transition education, the reality of cooperation between special schools and related organization, and difficulties in connection and cooperation between special schools and related organizations. Discus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discussions on the understanding and experience of secondary special school teacher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experts from related organizations on inter-institutional cooperation in transition education were suggested.

      • KCI등재

        특수학교에 근무하는 특수교사의 교권침해 관련 경험과 인식

        홍정숙,구본재,김동원,안상권,우선주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1 특수교육 Vol.20 No.3

        연구목적: 이 연구는 특수학교에 근무하는 특수교사의 교권침해 관련 경험과 인식 내용을 밝히고, 이를 토대로 특수학교 교권침해 예방 및 교권 존중을 위한 실천적,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최근 3년간 특수학교에 근무하고, 직·간접적인 교권침해 경험이 있는 특수교사 17명에게 개별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고, 면담 전사 자료를 지속적 비교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3개의 범주, 7개의 주제와 36개의 하위 주제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3개의 범주는 ‘교권침해 주체와 유형’, ‘교권침해의 원인, 예방, 대처’, ‘교권침해 개선 방안’이었다. 이에 따른 7개의 주제는 ‘학생의 교권침해’, ‘학부모의 교권침해’, ‘교직원의 교권침해’, ‘교권침해 원인’, ‘교권침해 예방 노력과 대처 방식’, ‘학교문화 개선’, ‘제도 및 정책 개선’ 으로 분류되었다. 결론: 연구 결과를 토대로 특수학교 교사의 교권침해 예방 및 교권 존중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both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infringement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rights in special education schools and to make practical and policy suggestions to prevent an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s in special education schools. Metho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17 teachers with teaching experience in special education schools over the past three years who had experienced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s, either directly or indirectly, during that time. Results: Three categories were identified: 1) types of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s, 2) causes, prevention, and responses-regarding the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s, and 3) improvement tasks. Seven themes were identified: students’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s, parents’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s, school managers’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s, causes of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s, efforts to prevent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s, and response to such an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s, improvement of school culture, and improvement of related system and policies. Conclusion: Implications for preventing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s were suggested to respect teachers’ authority in special education schoo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