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력 부하와 학습모델 기반의 전기추진선박의 배터리 연동 전력관리 알고리즘

        오지현,오진석,Oh, Ji-hyun,Oh, Jin-seok 한국정보통신학회 2020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4 No.9

        현재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발맞춰서 선박 분야에서는 인공지능 요소를 접목하여 미래를 대비하여야 한다. 그리고 자율운항 선박 등장에 대한 전력관리 분야에서도 이에 대한 대응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머신러닝의 DNN(Deep Neural Network)을 이용한 배터리 연동형 전력관리시스템(BLPMS, Battery Linked Power Management System)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실험을 위하여 LabView를 통한 선박 데이터를 바탕으로 운항모드별 선박 전력소비량의 패턴을 학습하고 Python을 통해 배터리의 상태를 도출하여 발전기와 배터리의 연동의 유연성을 확인하였다. 실험의 결과 배터리의 충·방전을 통해 발전기의 저부하 운전이 감소되고, LNG의 1%의 연료소모량 감소를 통하여 경제성 및 신뢰성을 확인하였다. In line with the current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t is necessary to prepare for the future by integrating AI elements in the ship sector.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respond to this in the field of power management for the appearance of autonomous ships. In this study, we propose a battery-linked electric propulsion system (BLEPS) algorithm using machine learning's DNN. For the experiment, we learned the pattern of ship power consumption for each operation mode based on the ship data through LabView and derived the battery status through Python to check the flexibility of the generator and battery interlocking.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the low load operation of the generator was reduced through charging and discharging of the battery, and economic efficiency and reliability were confirmed by reducing the fuel consumption of 1% of LNG.

      • KCI등재

        소아비만과 음료 섭취량의 관계에 대한 연구

        오지현,곽인근,양승,황일태,정지아,이혜란,Oh, Ji Hyun,Kwak, In Keun,Yang, Seung,Hwang, Il Tae,Jung, Ji Ah,Lee, Hae Ran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3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6 No.11

        목 적: 소아비만은 단기간에 전세계적으로 증가하였다. 이는 에너지 섭취 과다와 소모 부족으로 인한 에너지 불균형으로 여겨진다. 최근 다양한 종류의 음료 상품이 개발되면서 소아의 음료 섭취량이 늘고 있어 저자들은 소아비만에서 음료 섭취량을 파악하여 소아비만의 예방과 관리에 도움을 얻고자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방 법: 2003년 5월에 서울시 송파구 내 초등학생 총 877명 (남녀비 1 : 1.02, 평균 나이 9.7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신장과 체중을 측정하여 체질량지수를 산출하여 비만군, 과체중군, 정상군으로 나누었으며 설문지로 부모의 체질량지수, 사회경제적 요인, 3일간 섭취한 음식과 칼로리 및 음료 섭취량을 조사하였다. 음료는 우유, 요구르트 같은 기타 유제품, 탄산음료, 스포츠음료, 쥬스, 인공 착색 음료를 비롯한 기타 음료로 세분화하여 조사하였다. 음료는 우유, 요구르트 같은 기타 유제품, 탄산음료, 스포츠음료, 쥬스, 인공착색 음료를 비롯한 기타 음료로 세분화하여 조사하였다. 결 과 : 1) 대상아의 비만 유병률은 7.2%이었다. 2) 비만군의 어머니와 아버지의 체질량지수가 과체중군, 정상군에 비해서 유의하게 높았다(P<0.001). 3) 출생시 체중은 비만과 유의한 관련이 없었다(P=0.183). 가정의 월수입(P=0.266), 아버지의 학력(P=0.489), 어머니의 학력 (P=0.285)과 상관관계가 없었다. 4) 하루 총 칼로리 섭취량과 음식의 종류는 비만군, 과체중군, 정상군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5) 7-9세 남아 비만군은 탄산음료, 스포츠 음료 섭취량이 다른 군에 비해 유의하게 많았다(P<0.001). 10-12세 남아 비만군은 총 음료 섭취량이 다른 군에 비해 유의하게 많았고(P=0.002), 인공 착색 음료를 비롯한 기타 음료 섭취에서 비만군이 다른 군에 비해 유의하게 많았다(P=0.012). 10-12세 여아 비만군은 기타 유제품 섭취에 있어 다른 군에 비해 유의하게 많았다 (P=0.002). 결 론 : 소아에서 음료의 과다 섭취는 비만으로 이어질 수 있다. 소아에서 음료 섭취를 조절하는 것이 최근 증가되는 비만의 유병률을 감소시킬 수 있는 한 가지 방법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The rising prevalence of childhood obesity may be due to an energy imbalance between food intake and energy expenditure. Recently, consumption of beverages in children has increased.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the prevention and the control of childhood obesity by assessment of variable beverage consumption. Methods : Fight hundred seventy seven children(M : F=1 : 1.02, mean age; 9.7 years) from two primary schools in Seoul in May 2003 were enrolled. Body mass index(BMI) was calculated and the degree of obesity was classified into normal, overweight and obese groups by BMI percentile. Parental BMI, socio-economic factor, 3-day dietary intake, calory intake and beverage intake were examined by questionnaires. We researched beverages and classified them into six categories, milk, other milk products, soda, sports beverage, other beverage. Results : The prevalence of obesity was 7.2%. The parental BMI of the obese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group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irth weight, or parents' intellectual and economic levels between the obese group and the other group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aily total calory intake between the obese group and the other groups. The obese group of 7-9 year-old-males was higher than the other groups in sodas, and sports beverages intake. The obese group of 10-12 year-old-males was higher than the other groups in total beverage intake and other beverage intakes. The obese group of 10-12 year-old-females was higher than the other groups in other milk products. Conclusion : Excessive intake of beverages is associated with childhood obesity. Efforts to decrease intake of beverages may be important approaches to counter the rise in the prevalence of obesity.

      • KCI등재

        선박 전력원에 에너지 저장장치 연계를 위한 제어 프로세스 설계

        오지현,이종학,오진석,Oh, Ji-Hyun,Lee, Jong-Hak,Oh, Jin-Seok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5 No.11

        As IMO environmental regulations are tightened, the need to establish a system that can reduce emissions is increasing, and for this purpose, various power control management systems have been studied and implemented as a new energy management system for ships. In this study, we design a control process through modeling for Bi-Directional Converter (BDC) application with bi-directional power flow to link batteries, which are energy storage devices, to conventional generator power systems, and propose mechanisms for batteries optimized for varying loads. This work models MATLAB/Simulink as a BDC and simulates current control and state of charge (SOC) optimization at the time of charging and discharging batteries according to load scenarios. Through this, the battery, power, and load were interlocked so that the generator operated on board could be operated in the optimal operation range, and power control management was performed to enable the generator to operate in the high fuel efficiency range. 본 연구에서는 에너지 저장장치인 배터리를 기존의 발전기 전력계통에 연계하기 위하여 양방향 전력의 흐름이 가능한 BDC(Bi-Directional Converter) 적용을 위해 모델링을 통하여 제어 프로세스를 설계하고, 해상 상황에 따라 변화하는 부하에 최적화된 전력 공급이 가능한 배터리의 충전 혹은 방전 메커니즘에 대하여 제안한다. 본 연구는 MATLAB/Simulink를 이용하여 BDC를 모델링 하였으며 부하 시나리오에 따라 배터리 충전 및 방전 시의 전류 제어 및 SOC(State Of Charge) 최적화를 시뮬레이션 하였다. 이를 통해 선내 운전되는 발전기가 최적운전 범위에 운전될 수 있도록 배터리와 전력 및 부하를 연동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발전기가 높은 연료효율 범위에서 운전될 수 있도록 전력제어관리를 수행하였다.

      • KCI등재

        어머니의 자기성찰, 감정코칭 반응과 아동의 자기성찰지능이 아동의 정서조절 방식에 미치는 영향: 다중매개효과 검증

        오지현 ( Oh Ji Hyun ),김지윤 ( Kim Ji Youn ) 한국놀이치료학회 2017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20 No.4

        본 연구는 아동의 정서조절 방식에 어머니의 자기성찰이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감정코칭 반응과 아동의 자기성찰지능이 매개할 것이라는 가설을 확인하고자 연구모형을 설정하였고, 구조방정식 모델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A시에 소재한 3개의 초등학교 5, 6학년 아동과 그들의 어머니 288쌍이 참여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어머니의 자기성찰척도(An & Oh, 2013), 아동의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 반응 척도(Oh, 2013), 아동의 자기성찰지능 척도(Kwon, 2008), 아동의 정서조절 방식 척도(Won, 2015)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첫째, 어머니의 자기성찰 수준은 감정코칭 반응과 아동의 자기성찰지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감정코칭 반응은 아동의 자기성찰 지능과 아동의 정서조절 방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아동의 자기성찰 지능 또한 아동의 정서조절 방식을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어머니의 자기성찰 수준은 감정코칭 반응과 아동의 자기성찰 지능을 통해서 아동의 정서조절 방식에 미치는 간접효과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즉, 어머니의 자기성찰수준은 감정코칭 반응과 아동의 자기성찰지능을 매개로 아동의 정서조절 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완전매개모형으로 나타났다. 이는 어머니의 감정코칭 반응과 아동의 자기성찰지능이 중요한 매개변수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어머니의 자기성찰수준과 감정코칭 반응, 아동의 자기성찰 지능이 아동의 정서조절 방식으로 이어지는 경로를 경험적으로 검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러한 결과는 후기 아동기의 정서조절 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 요인과 아동의 요인을 통합적으로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multi-path mediated effects of mother’s self reflection to child emotion-regulation strategies through emotion coaching and child intrapersonal intelligence.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children (from grades 5-6) and their mothers. They completed questionnaires from the mother’s self reflection scale(An & Oh, 2013), the emotion-coaching scale(Oh, 2013), the child intrapersonal intelligence scale(Kwon, 2008) and the child emotion-regulation strategies scale(Won, 2015).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mother’s self reflection level had a direct influence on levels of child intrapersonal intelligence. Mother’s emotional coaching had a positive effect on child intrapersonal intelligence, and child emotion-regulation strategies, respectively. Our results indicate that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child intrapersonal intelligence and child emotion-regulation strategies. Second, mother’s self reflection levels had significant indirect effects on child emotion-regulation strategies through emotion coaching and child intrapersonal intelligenc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Influence of the mother’s emotion coaching reactions and child intrapersonal intelligence were importance mediators. Our results suggests that there are distinct pathways from a mother’s self reflection level to child emotion-regulation strategies through the mother’s emotion coaching and child intrapersonal intellig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d a consolidated understanding of how mother and child have an influence on emotion-regulation strategies within late childhood.

      • KCI등재

        신진연구 : 청년기 지체 장애 여성의 "홀로서기": "일자리 찾기" 경험을 중심으로

        오지현 ( Ji Hyun Oh ) 한국교육인류학회 2011 교육인류학연구 Vol.14 No.2

        본 연구는 청년기 지체 장애 여성의 ‘일자리 찾기’가 그들에게 어떤 의미를 갖고 있는지 탐색하여 ‘일자리 찾기’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도모하고자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경제활동을 시작하는 연령의 지체 장애 여성 두 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통한 자료 수집을 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자면, 참여자들은 일자리를 찾는 과정에서 크게 사회구성원 되기와 일자리를 찾는 경험으로 나뉘어서 변화를 겪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안해봤던 것 스스로 해보기”, ‘혼자 다니기’, ‘두려운 낯선 사람들과 용기 있게 부딪히기’ ‘두려움’, ‘부담감’, ‘답답함’이었다. 이러한 과정들을 통해 참여자들은 ‘자립의 의지’, ‘함께하는 사람들’, ‘현실에 부딪히기’, ‘또 다른 가능성 찾기’의 변화를 체험하였다. 이렇게 드러난 현상들을 기초로 연구자는 1) 사회적 존재로서의 ‘나’ 찾기 2) 잃어버린 ‘나’ 찾기라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지체장애 여성의 ‘일자리 찾기’는 개인의 발달, 심리적 측면에서 접근하여 보다 실질적인 교육 및 정책적 지원을 지향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This qualitative study is aimed at helping gain a new understanding of young disabled women``s efforts in seeking the meaning of job searches. Data was collected by in-depth interviews with two young disabled women with a physical disability. The study reveals that the participants underwent changes during the process of job searches, divided into experience of ``becoming members of society`` and ``searching for work``. Specifically, they ``tried themselves what hasn``t been done,`` ``made a trip to and from a certain place alone,`` ``faced up to frightening strangers courageously,`` and experienced ``fear’, ‘pressure’, and ``weightiness.`` In the process, they experienced changes: ``the self-sustaining will’, ‘people being together,`` ‘facing up to reality’, ‘seeking the alternative possibility.`` Based on these revealed phenomena, the researcher was able to interpret them as seeking for ``self`` as a social being and lost ``self.`` This will show job searching efforts of young disabled women with a physical disability need to aim for practical education and policy application approached from the individual development and psychological aspect.

      • KCI우수등재

        그린리모델링을 고려한 기존 공공건축물 대표 외피유형 도출

        오지현(Oh, Ji-Hyun),김혜기(Kim, Hye-Gi),김선숙(Kim, Sun-Sook) 대한건축학회 2021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7 No.12

        In Korea, public buildings are leading the green remodeling business as one of the carbon neutral strategies. Retrofitting envelope of existing buildings is considered essential for green remodeling because it affect appearance, energy use of buildings and, also occupant’s comfort. In view of constructability and cost, prefabricated envelope system have an advantage and could contribute to the activation of green remodeling business. Therefore, as the previous research for developing prefabricated envelope system,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existing public office buildings envelope in Korea. The survey was conducted by using web portal site “road view” function after appropriate sample design. Based on the survey, the envelope characteristics were categorized into 9 items which the orientation of main entrance, shape of plan, elevation composition, shape of openings, shape of constructions, window to wall ratio, envelope construction method, window projection and window type. We will use this results for deriving representative envelope types of public building and prefabricated envelope module design.

      • KCI우수등재

        월별 에너지 사용량 패턴 분석을 통한 업무시설 에너지 절감 방안 도출

        오지현(Oh, Ji-Hyun),김혜기(Kim, Hye-Gi),최병주(Choi, Byung-Ju),김선숙(Kim, Sun-Sook) 대한건축학회 2022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8 No.5

        To achieve carbon neutrality in a city or country, it is required to evaluate energy performance and energy conservation measures for large buildings. The energy performance of existing buildings are widely evaluated by annual EUI (energy use intensity, kWh/㎡yr). However, this annual value have limitations on analyzing seasonal effect and establishing energy conservation strategies. In this paper, we analyze monthly energy use patterns of large buildings and proposed general energy conservation strategies and measures according to the patterns. To classify the energy use patterns, we investigated clustering techniques on monthly energy use of office buildings in Korea. A k-means algorithm was implemented, and two different methods were compared: feature based k-means and time series k-means. The methods were performed with Euclidean distance metric and we tested our methods on energy use data from national database. The results show that feature based k-means method is significant in energy use pattern analysis. The energy use patterns of office buildings were divided into five clusters. W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clusters by building size, annual and seasonal energy use.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