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초기 초음파 검사로 발견되지 않은 상부관절와순 전후 병변을 동반한 극관절와 낭종 - 증례보고 -

        오정희,오주한,김세훈,정석원,김준엽,Oh, Chung Hee,Oh, Joo Han,Kim, Sae Hoon,Chung, Seok Won,Kim, Joon Yub 대한정형외과초음파학회 2011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Vol.4 No.1

        Spinoglenoid cyst have been reported in small series in the orthopaedic literature in association with SLAP lesion, which is one of less common causes of shoulder pain. Authors experienced one case of spinoglenoid cyst with SLAP lesion initially missed with ultrasonographic examination and physical examination. This case was confirmed by MRI, EMG and arthroscopic surgery was done. When clinicians cannot find a definite cause of shoulder pain and decreased power of rotator cuff tendon with ultrasonographic examination, they need further study such as MRI and EMG with careful physical examination. Clinicians need to aware of the limitation of ultrasonography for spinoglenoid cyst especially, (1) cyst size is small, (2) location of cyst is too deep to detect and along the scapula spine from SLAP lesion. 어깨의 통증을 유발하는 흔하지 않은 원인 중 하나인 상부 관절와순 전후방 병변과 동반된 극관절와 낭종에 대한 보고는 많지 않다. 저자들은 이학적 검진과 초기 초음파 검사로 극관절와 낭종을 발견하지 못한 증례를 경험하였으며, 추가로 이학적 검진과 자기공명영상 및 상지 근전도 검사로 확인하여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였다. 어깨의 통증과 근력 약화를 보이는 환자에서 초음파 검사로 명확한 원인이 발견되지 않을 경우 자세한 이학적 검진과 자기공명영상, 근전도 검사 등 추가 검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극관절와 낭종에서 초음파 검사는 제한점을 가질 수 있으며, 특히 극관절와 낭종의 (1) 크기가 작고, (2) 위치상 깊이가 깊으며, 견갑극을 따라 상부 관절와순 전후방 병변에서 발생한 경우 초음파 검사에서 관찰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임상의들은 염두에 두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회전근 개 파열의 진단에서 초음파-자기공명 조영술-관절경의 불일치 - 증례 보고 -

        오정희,오주한,조기현,김세훈,빈성우,공현식,Oh, Chung Hee,Oh, Joo Han,Jo, Ki Hyun,Kim, Sae Hoon,Bin, Seung Woo,Gong, Hyun Sik 대한정형외과초음파학회 2008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Vol.1 No.1

        Ultrasonography (USG) is widely accepted diagnostic method for the rotator cuff tear. The availability, low cost, easy to access is main factors that favor USG as a primary diagnostic modality for various cuff disorders. We experienced a case of discrepancy between USG, MR arthrography (MRA) and arthroscopic examination. Seventy four year old female patient complained of right shoulder pain. USG depicted rotator cuff tear with the size of 1cm, and MRA demonstrated about 3cm sized tear. Complex massive tear with delamination of degenerated rotator cuff was identified in the arthroscopic examination. When we encounter a patient who has loss of rotator cuff power or severe symptom than findings of USG, MRA or repeat USG is warranted. We report a case of discrepancy between examination modalities with brief review of the literature. 회전근 개 파열의 진단에서 초음파 검사는 간편성, 저비용, 손쉬운 접근성 등의 이유로 최근 널리 이용되고 있다. 저자들은 관절경적 회전근 개 복원술을 시행한 환자에서 초음파와 자기공명 조영술 검사상 파열의 크기 등이 각각에 따라 차이를 보여 이를 보고하고자 하며, 관련된 문헌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74세 여자가 우측 어깨의 통증을 호소하였고, 신체 검진 상 충돌 증후군의 소견과 극상건의 근력 저하를 보여주었다. 초음파 상 1 cm 가량의 회전근 개 전층 파열이 관찰되었으나, 자기공명 조영술에서는 3 cm 정도 크기의 파열이 관찰되었다. 관절경 소견상 회전근 개의 광범위 층상 파열과 함께 결손 부위에 얇은 막으로 덮여 있는 부분이 있어, 이러한 복합적인 파열 형태가 초음파 검사에서 크기를 작게 측정하게 된 원인이 될 수 있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초음파 검사의 장점과 한계점을 충분히 고려하여, 검사 결과에 비하여 근력의 저하나 오랜 기간의 증상을 보여준다면 추가적 자기공명 조영술이나 반복적인 초음파 검사를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초음파검사로 추시한 회전근 개 재파열에 동반된 견봉 쇄골 관절의 낭종

        오정희,김준엽,김세훈,김제균,오주한,Oh, Chung Hee,Kim, Joon Yub,Kim, Sae Hoon,Kim, Je Kyun,Oh, Joo Han 대한정형외과초음파학회 2010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Vol.3 No.2

        견봉쇄골 관절 낭종은 광범위 회전근개 파열, 가성 종양, 견관절 감염, 연골 석회증과 관련되어 소수만 보고 되고 있다. 저자들은 관절경적 회전근개 봉합술 후 재파열과 동반된 견봉 쇄골 관절 낭종의 증례를 경험하였으며, 환자가 회전근개파열 수술 후 견봉쇄골 관절의 돌출이나 종괴를 보일 때 임상의들은 회전근 개 치유 여부에 대한 추시 영상 검사를 고려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초음파 검사는 사용 간편성과 경제적 측면에서 우수하며, 접근성이 용이하다는 점에서 이런 추시 영상 검사에 추천된다. Acromio-clavicular (AC) joint cyst have been reported in small series of the orthopedics literature in association with extensive rotator cuff tear, pseudotumor, infection of the shoulder or chondrocalcinosis. Authors experienced one case of AC joint cyst with rotator cuff re-tear after arthroscopic rotator cuff repair, clinicians may need pay attention to AC joint bulging or mass lesion after arthroscopic rotator cuff repair as an important sign to check follow-up imaging study for the cuff integrity. Especially, ultrasonography is recommended for this follow up study, because it is simple to be operated, economic, easily accessible.

      • 웹 GIS 기반 해양 공간데이터의 사용자 콘텐츠 제작 지원시스템 개발

        오정희,최현우,김성대,이참,Oh, Jung-Hee,Choi, Hyun-Woo,Kim, Sung-Dae,Lee, Charm 한국공간정보학회 2011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19 No.5

        지금까지는 웹 GIS 시스템 개발이 대부분 미리 제작된 정형화된 공간정보를 사용자에게 일방적으로 서비스하는 유형이 대부분이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사용자가 공간정보 콘텐츠를 직접 제작할 수 있는 대화식 웹 시스템이 주목을 받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본 연구에서도 해양과학 연구자들이 웹상에서 공간데이터를 직접 제작할 수 있는 UGC(User Generated Contents) 제작 지원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시스템의 주요 장점은 해양과학 연구업무에서 기본적으로 필요한 해양조사자료와 해양공간정보를 제공할 뿐 아니라, 사용자가 원하는 연구해역의 해안선 점 자료 추출, 해양조사 계획을 위한 공간계획도 제작 및 관측 후 탐색적 분석을 위한 해양과학 주제도 제작을 수행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대화 방식의 UGC 제작 지원 시스템은 연구자들에게 해양공간정보 활용을 보다 쉽고 편리하게 함으로써, 해양공간데이터의 활용성 증대는 물론 연구업무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Until now, most of the Web GIS system has been developed with one-sided service type that provides pre-built spatial information to users. Recently, however, interactive web system is getting attention because users can create directly spatial information contents that meet their needs. In line with this trend, this study had a aim to develop a UGC(User Generated Contents) support system for marine science researchers who can generate spatial data by themselves on the web. The main advantage of this system is that it provides marine survey data and marine spatial information that needed to work for marine science research. Furthermore, it provides the functions of extracting of coastline as point data for their marine study area, and making of the spatial planning map for marine field survey work and marine science thematic maps for exploratory analysis after research survey. Such kinds of interactive UGC support system gives researchers a chance for utilizing marine spatial information more easily.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improving of the efficiency of research works, as well as increasing of the utilization of marine spatial data.

      • KCI등재

        유아과학교육 연수실태와 유치원교사들의 요구 분석

        오정희 ( Jung Hee Oh ),황정희 ( Jeong Hee Hwang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1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18 No.3

        본 연구는 유아교사들의 요구를 반영한 과학교육 연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하여 과학교육연수 실태 및 요구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최근 3년에 걸친 연수기관의 과학연수 실태 분석과 아울러 공사립 유치원 교사 24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과학교육 관련 교사연수는 주로 자격연수와 직무연수의 일부 과정으로 다뤄졌으며 강의내용은 개정 교육과정 이해, 진행방식은 강의가 주를 이루었다. 둘째, 연구대상 교사들의 절반 이상이 과학교육 교사연수에 참여한 경험이 없었는 데, 그 이유는 연수에 대한 정보 부족과 시간 부족이라고 응답하였다. 셋째, 교사들은 과학전문 연수, 강의와 참여 실습을 겸한 연수, 다양한 연수 실시 시기, 교육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자료 제공 등을 요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들의 요구를 적극적으로 반영한 현장중심의 과학교육 교사연수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보여주었다. The purpose of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cience education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demand for early childhood science in-service education.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41 early childhood teacher in B metropolitan city.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st of programs mainly dealt with understanding of new curriculum. Second, over the half of participants didn`t join the science education for teachers` by the lack of information and time. Third, they demanded for professional science in-service education, lecture and practice integration method, diversity of in-service education time, and instructional materials for field application. Further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대통령기록물 수집을 위한 도큐멘테이션 전략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오정희(Jung Hee Oh),정연경(Yeon Kyoung Chung) 한국기록관리학회 2015 한국기록관리학회지 Vol.1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도큐멘테이션 전략을 활용하여 역대 대통령기록물의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고 대통령이 국정을 운영하는데 있어 참고자료가 될 수 있도록 장기적으로 대통령기록물 수집이 가능한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 국외 사례분석, 미국과 한국 대통령기록물 수집 사례를 살펴보았으며 국내 대통령기록물 수집과 관련하여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심층면담은 반구조화 질문지로 구성하였고, 대상기관은 기관별로 재단 및 기념 사업회, 중앙행정기관, 대학부설기관 등 15개 기관으로 구분하여 선정하였다. 인터뷰 참여자는 총 15개 기관 17명(100%) 중에서 12개 기관 14명(82%)이며 인터뷰 결과는 질적 연구방법론의 근거이론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이러한 인터뷰 결과를 바탕으로 대통령기록물을 수집하는 방안으로 도큐멘테이션 전략을 활용하여 수집 전략을 설계하고, 운영하며, 홍보하는 모형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compensate for the deficiencies of the presidential records using the documentation strategy and to establish a long-term plan for collecting presidential records that should be considered as references in country governance. For these purposes, this study examined literature reviews, foreign case studies, and the presidential records collection of the United States and Korea, and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in relation to the presidential records collection. Semi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in-depth interviews and 15 target organizations, such as a foundation and memorial affairs agency, central government agencies, and university-affiliated organizations, were selected. A total of 14 records collectors of 12 organizations (82%) of all 17 records collectors of 17 organizations (100%) participated in these interviews, and the interview result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grounded theory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Based on the accumulated results, this study proposes an effective model in designing collection strategy and operating and collecting presidential records through the use of documentation strategies.

      • KCI등재

        교사-유아 간 교실대화의 의미 탐색

        오정희(Oh Jung-Hee),김성숙(Kim Sung-Sook)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1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6 No.4

        본 연구는 교사와 유아 사이에 일어나는 대화의 특성을 이야기 나누기 시간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그 교육적 의미를 해석학적 관점에서 탐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이야기 나누기 시간에 발생하는 교사와 유아들 간의 대화를 있는 그대로의 현상으로 밀착 관찰하고자 3개의 유아교육기관의 만 4세반을 각각 선정하여 총 30회기의 비 참여 관찰과 교사면담, 연구자일지 등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질적 특성의 분석을 시도한 결과, 이야기 나누기 시간에 교사와 유아 간에 이루어지는 대화는 지식 구성의 괴정으로서, 교사와 유아가 서로의 삶을 이해하고 공유함으로써 간주관적 지평을 확장하는 통로로서, 유머와 웃음으로 그리고 풍부한 상상과 은유를 통해 유아교실의 긴장과 갈등을 해소시키는 즐거운 유희를 생성하는 매체임을 보여주었다.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classroom dialogues, which took place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at “circle time,” from the viewpoint of hermeneutics. Classrooms of 4-year-olds were selected from three institutions (preschools) for non-participant observation.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irty periods of observation, interviews with several teachers, and field note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classroom dialogue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was a medium of joyful playing, to relieve tensions and conflicts at preschool classes through humor, laughter, rich imagination, and metaphor; and that this served not only as a process to construct knowledge but also as a channel to expand the inter-subjective horizon through understanding and sharing each others’ lives.

      • KCI등재

        유아 교실대화의 특성 탐구:

        오정희(Oh, Jung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12

        본 연구는 유아교실에서 나타나는 대화의 특성을 활동유형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그 교육적 의미를 해석학적 관점에서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B시에 소재한 2개의 유아교육기관의 만 5세반을 각각 선정하여 자유선택활동, 소집단활동, 대집단활 동을 중심으로 총 31회기의 비참여관찰을 실시하였으며, 면담, 연구자일지, 문서자료등을 함께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질적 분석방법 중 귀납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 교실대화는 활동유형에 따라 구조화된 독특한 대화유형이 나타나고 있었다. 자유선택활동에서는 질서와 놀이 유지를 위한 대화가 이루어지고 있었고, 대집단활동에서는 수업진행을 위한 대화의 구조가 형성되고 있었다. 한편 소집단활동에서는 활동과제를 매개로 하여 활동을 안내하고 정보를 공유하는 대화가 구성되고 있었다. 이러한 언어적 실천은 유아 교실대화를 통해 교사와 유아들이 한 집단의 일원으로써 어떻게 정체성을 형성해 가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classroom dialogues among Kindergarteners in the classrooms, which were structuralized based on the types of class desig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the Kindergarteners in classes of age 7 in two different kindergartens located in the city of B. Classroom observation data, teacher interview data, this researcher s journal and activity plans were gathered,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an inductive method, which was one of qualitative analyse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 structure, regularity and repertory of their dialogues depended on the types of class design. They had a talk to keep order and keep playing while they engaged in free-choice activities, and the kind of dialogue that aimed to ensure the smooth progression of classes took place during whole-group activities. In small- group activities, activity emerged tasks served as media to stir up dialogue between the Kindergarteners and their teachers. The verbal classroom dialogue of the Kindergarteners and their teachers showed that they were building their identity as group memb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