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행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운전자 중심의 교량 진동 사용성 평가기준 연구

        오정재(Oh, Jeong-Jae),박종섭(Park Jong-Sup),성익현(Sung, Ik-Hyu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1 No.5

        본 연구는 기존의 진동·처짐에 대한 교량 사용성 평가기준 연구 내용을 바탕으로 최첨단 모의운전 차량실 험기(Advanced Driving Simulator)를 이용하여 운전자가 교량 주행 시 진동으로 인해 느끼는 주행안락도를 평가하는 기준을 제안하였다. 열차승객을 대상으로 하는 Reiher-Meister Curve의 적용성을 파악하고 교량 계측결과와 구조해석 결과를 토대로 수정 Reiher-Meister Curve 제안하였다. 교량운전자 중심의 사용성 평가를 위한 수정 Reiher-Meister Curve는 A에서 D까지 4등급으로 규정되었다. 새로운 진동감각곡선은 교량 사용자 중심의 교량 설계 및 유지관리분 야에 널리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riteria for assessing the vibration serviceability of highway bridges using advanced driving simulator. Reiher-Meister Curves were firstly reviewed for extended application to serviceability of highway bridges. Modified Reiher-Meister Curves were provided in this paper based on field test results and numerical analyses results. The Modified Reiher-Meister Curves were evaluated using advanced driving simulator. The new curve consisted of 4 level, A(Disturbing), B(Strongly perceptible), C(Allowable), and D(Comfortable). The new criteria will be extensively applied to design and maintain highway bridges with respect to driver condition.

      • RFID 시스템의 프라이버시 보호에 관한 연구

        오정진(Jeong-Jin Oh),이남열(Nam-Yul Lee)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6 한국멀티미디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06 No.2

        현재 RFID/USN이 큰 이슈가 되면서 RFID에 대한 각종 연구와 응용들이 활발히 진행 중에 있다. 반면에 RFID의 낮은 연산능력과 기억능력으로 개인의 프라이버시 보호 측면에서 여러 문제들을 발생시킨다. 기존의 M. Ohkubo 등의 해시 체인 기법은 프라이버시를 침해하는 공격들에 대해서 전방 보안성, 기밀성, 불구분성 등을 모두 보장하는 안전한 기법이다. 그러나 백엔드 서버에서 태그를 식별하기 위한 계산 시간이 많이 걸린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백엔드 서버에서의 키 검색 시간을 줄이기 위해 M.Ohkubo 등의 해시 체인 기법에 키를 효율적으로 찾는 Hellman‘s tradeoff method를 적용함으로써 태그가 많아질수록 계산 시간을 현저하게 감소됨을 보인다.

      • MOP 기반 모니터링 참조 모델 구축

        오정진(Jeong-Jin Oh),조상식(Sang-Sik Cho)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09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16 No.2

        본 연구에서는 모니터링 정보의 생성, 처리, 분산 및 표현에 수반되는 사양을 정형화된 주석으로 표현하여 구현이 함께 이루어질 수 있는 하나의 자동 코드 생성 알고리즘을 제안하는데 있다. 일반적인 패러다임은 언어 및 사양 독립적이지만, 제안되는 패러다임은 모니터링 지향 프로그래밍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하나의 프로타입 형태의 모니터링 지향 환경이 구현되고 제안된다. 입력으로 하나의 공식을 취하는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모니터링 지향 프로그래밍 환경에 대한 새로운 로직을 추가하고 미리 정의된 서식으로 출력이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있다.

      • KCI등재

        최근린사상법을 활용한 6대 광역시 녹지네트워크 경향 분석

        오정학 ( Jeong Hak Oh ),장갑수 ( Gab Sue Jang ),김용범 ( Yong Bum Kim ) 한국환경보건기술학회(구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 2010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Vol.13 No.5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urrent urban forest network and future plan of forest framework using nearest features program where stepping stones within 5km from the core forest were selected in the program. We found several conclusions as follows: First, we found that cities in inland area including Daegu, Dajeon and Gwangju have quite different types of forest network with comparing to the cities nearby coastline including Busan, Incheon and Ulsan. The cities in inland area have large mountain patch around each city. However they have small and lower number of island forests within their urban area. Otherwise, cities nearby coastline have more forest patches than in the cities in inland area, and Busan and Incheon especially have strong forest network using various size of forest patches. Second, Daegu and Daejeon have much smaller forest patches distributed in each urban area. So additional forest patches should be added to have highly strong forest network within urban area. Third, Ulsan and Gwangju have most stepping-stone forests close to the large mountain patches in suburban area, which are not able to connect to the forest patches in the central area of each city. So additional forest patches are needed to be added in the central area of each city for reinforcing the effect of stepping stone in the central area. Though there should be an addition approach except for forest size and its isolation to construct the ecological network in an urban area, this indices can be a good method to check an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status in an urban area.

      • KCI등재

        회절성 다초점 인공수정체를 삽입한 백내장 수술안의 시각 및 광학 결과 비교

        오정재(Jeong Jae Oh),최진석(Jin Seok Choi) 대한안과학회 2015 대한안과학회지 Vol.56 No.12

        목적: 두 종류의 회절성 다초점 비구면 인공수정체인 Acri Lisa 366D와 AcrySof ReSTOR (+3.00D)를 삽입한 환자들의 시각 및 광학적 임상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Acri Lisa 366D 34안과 AcrySof ReSTOR (+3.00D)를 삽입한 34안을 대상으로 수술 후 1주, 1달, 6달째 시력, 대비감도, 고위수차 및 환자만족도에 대해 조사하였다. 결과: 중간거리 logMAR 시력은 6개월째에 Acri Lisa 366D군에서 0.31 ± 0.14로 AcrySof ReSTOR 3SN6AD1군의 0.24 ± 0.11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고 원근거리 시력은 차이가 없었다. Acri Lisa 366D군은 대비감도 검사상 명순응 상태의 6 cpd에서 55.36 ± 7.40으로 47.25 ± 9.67의 AcrySof ReSTOR SN6AD1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고 암순응 상태의 6 cpd에서도 40.26 ± 11.38로 28.97 ± 10.45의 AcrySof ReSTOR SN6AD1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며 이외의 대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구면수차는 Acri Lisa 366D군에서 0.037 ± 0.039 μm로 AcrySof ReSTOR SN6AD1군의 0.105 ± 0.066 μm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고 전체 및 고위수차와 coma 및 trefoil은 차이가 없었다. 결론: 회절성 다초점 인공수정체 중 Acri Lisa 366D는 대비감도와 구면수차 면에서, 그리고 AcrySof ReSTOR SN6AD1는 중간거리 시력에서 상대적으로 나은 결과를 보였다. Purpose: To compare postoperative clinical outcomes, optical quality, and patient satisfaction between two types of diffractive multifocal intraocular lens (IOL, Acri Lisa 366D and Acrysof ReSTOR +3.00 D). Methods: In a total of 68 eyes, one of two diffractive multifocal IOL (Acri Lisa 366D and Acrysof ReSTOR +3.00 D) was implanted after cataract extraction. Visual acuity was measured postoperatively at one week, 1 month, and 6 months. Contrast sensitivity, wavefront aberration, and visual function were determined via questionnaire at postoperative 1 month. Results: Intermediate visual acuity of Acri Lisa 366D and Acrysof ReSTOR at 6 months were 0.31 ± 0.14, and 0.24 ± 0.11 (log MAR), respectively. At 6 months, near and distant visual acuity result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The photopic contrast sensitivity of Acri Lisa 366D at 6 cycles/degree was 55.36 ± 7.40 an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Acrysof ReSTOR (47.25 ± 9.67). The mesopic contrast sensitivity values of Acri Lisa 366D and Acrysof ReSTOR were 40.26 ± 11.38 and 28.97 ± 10.45, respectively, and the spherical aberration values were 0.037 ± 0.039 μm and 0.105 ± 0.066 μm. The spherical aberration of Acri Lisa 366D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Acrysof ReSTOR. Total and high order aberration, coma, and trefoil show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s: The Acri Lisa 366D multifocal IOL showed better contrast sensitivity and spherical aberration compared to Acrysof ReSTOR multifocal IOL, which had an effective intermediate visual acuity.

      • KCI등재

        경관생태학적 유역관리를 위한 토지이용 유형 분류

        오정학 ( Jeong Hak Oh ),정성관 ( Sung Gwan Jung ),권진오 ( Jin O Kwon ),박경훈 ( Kyung Hun Park ) 한국지리정보학회 2007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10 No.4

        우리나라는 그 동안 국토를 이용하고 관리함에 있어 생태적 계획에 입각한 지속가능한 보전 및 관리보다는 효율성과 경제성을 중심으로 한 개발지향적 논리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국토 환경보전에 커다란 기여를 하고 있는 농경지 및 산지면적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다. 지역생태계의 가치에 대한 생태학적 인식이 부족한 가운데 이루어진 일련의 지속적인 개발압력은 자연환경의 자정능력을 초과하는 환경압력으로 작용함에 따라 지역생태계의 건전한 물질순환과 에너지 흐름에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물환경 문제해결을 위한 공간단위로서의 유역개념이 아닌 생태계를 평가하고 관리할 수 있는 공간 단위개념으로서 유역을 분석하기 위하여 다양한 경관요소가 혼재하고 있는 낙동강 유역권을 대상으로 경관구성 요소 중 토지이용을 중심으로 공간분석기법을 활용하여 서로 유사한 패턴을 보이는 유형으로 분류하고, 각 유형별 지역에 대한 특징을 분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watersheds in the Nakdong River Basin for identifying the groups of watershed with similar landcover patterns by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nd statistical technique. According to the results based on the cluster analysis using cluster analysis tool in the ArcGIS 8.3 program, 22 sub-watersheds we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Forest watershed", "Agriculture watershed", and "Urban watershed". In the forest watershed that has the least potential of ecological disturbances by human, a forest management approach based on geographic conditions and coverage types, etc., should be developed to sustain the ecological and environmental functions of forest. For the agriculture watershed, environmental-friendly agricultural techniques should be performed in the particular enhancement of riparian buffer zone to the prevent direct inflow of soils, fertilizers, and other chemicals into the stream network. Finally, in the urban watershed, an environmental-friendly plan that may increase the ratio of pervious surface and amount of green-space to should be reserved.

      • KCI등재

        연구논문 : RUSLE 기법을 이용한 경주지역의 토양침식 위험도 평가

        오정학 ( Jeong Hak Oh ),유주한 ( Ju Han You ),김경태 ( Kyung Tae Kim ),이우성 ( Woo Sung Lee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011 환경영향평가 Vol.2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raw data for establishing the plan of top soil conservation in soil environment and preventing the soil loss by establishing the potential amount of soil loss using RUSLE. The results are as follows. To apply the RUSLE model, we calculated the potential amount of soil loss by using 5 factors; rainfall erosion factor(R), topographical factor(LS), soil erosion factor(K), land cover factor(C) and erosion control factor(P). The assessment map of soil loss was drawn up by classifying 5 grades. According to the soil loss estimation by the RUSLE, it showed that approximately 83.9% of the study area had relatively lower possibility of soil loss which was the 1 ton/㏊in annual soil loss. Whereas, the 7.0% of the study area was defined as high risk area which was the 10 ton/㏊in annual. Therefore, this area was needed that there was environment-friendly construction of farm land, improvement of cultivation environment and so forth. In future, if we will analyze the amount of soil loss of Gyeongju national park and Hyeongsan river watershed, we will offer the help to establishing the conservation plan of soil environment in Gyeongsangbuk-do.

      • KCI등재

        백두대간 마루금 지역의 시계열적 토지피복 변화 및 경관구조 분석

        오정학 ( Jeong Hak Oh ),김영걸 ( Young Kul Kim ),권진오 ( Jin O Kwon ) 한국지리정보학회 2007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10 No.3

        본 연구는 국토의 생태축이라고 할 수 있는 백두대간의 지속가능한 보전 및 주변환경과의 조화로운 관리방안을 수립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GIS 및 경관지수를 이용하여 시계열적 토지피복 및 경관구조 변화에 대해 분석하였다. 국가수자원관리 종합정보시스템에서 제공받은 토지 피복도를 활용하여 생성한 change detection matrix를 통해 시계열적 토지피복변화를 살펴본 결과, 도시화가 진행된 지역은 약 3.61㎢로 농경지(2㎢)와 산림지역(1.36㎢)에서 더 많은 개발행위가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산림지역이 다른 용도로 변화된 지역은 약 85.7㎢로 농경지(72.2㎢)와 초지지역(10.1㎢)으로 전용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경관지수에 의한 경관구조를 분석한 결과, 산림지역의 경관구조가 구조적으로도 불안정한 상황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들 지역에 대해서는 향후 고해상도 위성영상 등을 이용한 추가적인 분석을 통해 지역의 환경조건에 부합하는 생태적 관리를 병행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ontemporary changes of landcover patterns and landscape structure in order to provide basic data and methods for sustainable management and conservation in Baekdu Daegan region using GIS and landscape indices. According to the results based on the pattern analysis of landcover changes using the change detection matrix between 1975 and 2000, addition on 3.6㎢ became urbanized areas. Otherwise, 85.7㎢ of forest area shift into agriculture(72.2㎢) and grass area(10.1㎢) for the vegetables in highland condition and stock farm. According to the landscape structure analysis using landscape indices, forest areas were unstable forest structures because of fragmentation. Thus, to improve forest ecosystem, significant amount of forest through a new forest management policy considering local environmental conditions are needed. And, the connectivity of forests in local regions should be considered as wel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