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타민 D와 만성 질환과의 관련성

        정유석(Yoo-Seok Chung),유병욱(Byung-Wook Yoo),오정은(Jung-Eun Oh),이덕철(Duk-Chul Lee),이홍수(Hong-Soo Lee),조주연(Choo-Yon Cho) 대한임상노인의학회 2010 대한임상노인의학회지 Vol.11 No.2

        Background: Vitamin D deficiency is prevalent worldwide, not only in patients with osteoporosis but also in normal adults. Because the situation is especially severe in Korea. So, we take a look at the degree of vitamin D deficiency in Korea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hronic diseases which are common in primary care and vitamin D level. Methods: 200 patients above the age of 20, who were admitted to the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at Soonchunhyang University from June of 2009 to May of 2010 were chosen. Questionnaires regarding the patients' drug history and afflicted disease and the average serum 25-hydroxyvitamin D, 1,25-dihydroxyvitamin D levels were obtained and we looked into their relationships to the diagnosed chronic disease or possessed chronic disease such as like diabetes, hypertension, osteoporosis, hyperlipidemia. Results: In our study a serum 25(OH)D level lower than 80 nmol/dL (32 ng/mL) was considered vit D deficient. 127 patients (63.5%) were deficient in vit D and 126 patients (73%) were beyond adequacy. The serum 25(OH)D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total cholesterol (P=0.01), triglyceride (P=0.049), High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P=0.001), and Low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P=0.007). The serum 1,25(OH)₂D₃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with Triglyceride (0.018). The serum 25(OH)D level was not shown any significant effect by Fasting plasma glucose, HbA1c,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High density lipoprotein, Low density lipoprotein. The serum 25(OH)D showed no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presence of existing diseases as diabetes, hypertension, hyperlipidemia, osteoporosis or newly diagnosed as same above at admitted. also, the serum 1,25 (OH)₂D₃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with the presence of existing diseases as diabetes, hypertension, hyperlipidemia, osteoporosis or newly diagnosed as same above at admitted. Preexisting treatment history or newly diagnosed at admission of diabetes (P=0.003) and hypertension (P=0.009) showed a significant inversely proportional correlation to the serum 1,25 (OH)₂D₃ level and of hyperlipidemia showed a significant directly proportional relationship to the serum 1,25 (OH)₂D₃ level (P=0.008). Conclusion: About a two-thirds of those surveyed is found to have vitamin D deficiency. Vitamin D, in addition to its role in bone metabolism, seems to have an effect on the genesis of hypertension and diabetes. So, it is considered that a further prospective study on the clinical usefulness of vitamin D will be needed for chronic diseases increases due to the increase of the elderly population. 연구배경: 본 연구는 전 세계적으로 비타민 D 영양 상태가 골다공증 환자뿐만 아니라 정상 성인에서도 불충분하고, 우리나라의 비타민 D 불충분은 특히 심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 연구는 우리나라의 비타민 D 불충분의 정도와 일차의료 현장에서 접할 수 있는 만성 질환과 비타민 D 혈중 수준과의 연관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방법: 2009년 6월부터 2010년 5월까지 순천향대학교병원 가정의학과에 입원한 20세 이상의 200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시행하였다. 입원 환자들에게 설문지를 통해 과거 병력 및 약물복용력 등을 조사하였고, 혈청 25-hydroxyvitamin D, 1,25-dihydroxyvitamin D 등을 측정하여 평균을 구하였으며 과거 병력 중 당뇨병, 고혈압, 골다공증, 고지혈증의 만성 질환이 있거나 만성 질환을 진단받은 경우와 비타민 D의 관련성을 알아보았다. 결과: 본 연구에서 혈청 25(OH)D 농도가 80 nmol/dL (32 ng/mL) 이하일 때 비타민 D 불충분으로 봤을 경우 200명의 입원 환자 중 63.5%인 127명이 비타민 D 불충분으로 나타났고, 적정도(Adequacy)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는 126명(73%)인 것으로 나타났다. 혈청25(OH)D의 경우 총콜레스테롤(P=0.01), 중성지방(P=0.049), 고밀도콜레스테롤(P=0.001), 저밀도콜레스테로(P=0.007)와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25(OH)₂D₃와 중성지방은 유의미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P=0.018). 공복 혈당(Fasting plasma glucose), 당화혈색소(HbA1c), 총 콜레스테롤(Total cholesterol), 중성지방(Triglyceride), 고밀도 콜레스테롤(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저밀도 콜레스테롤(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은 혈청 25(OH)D 농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혈청 25(OH)D의 경우 만성 질환인 당뇨병, 고혈압, 고지혈증, 골다공증의 과거 병력이 있거나 입원 시 진단 받은 경우에 있어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25(OH)₂D₃의 경우 당뇨병, 고혈압의 과거력이 있거나 입원 시 진단 받은 경우와 유의미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당뇨병, 고혈압, 고지혈증, 골다공증은 혈청 25(OH)D에 의미있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당뇨병(P=0.003), 고혈압(P=0.009)으로 치료를 받았거나 새로 진단 받은 경우 1,25(OH)₂D₃ 농도에 반비례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고지혈증(P=0.008)의 경우에서는 1,25(OH)₂D₃ 농도에 비례하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결론: 조사대상자의 약 2/3에서 비타민 D 부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비타민 D는 골대사와 관련된 역할 이외에 고혈압과 당뇨 발생에 있어서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이며, 향후 노인 인구증가에 따른 만성 질환의 증가와 함께 비타민 D 사용의 임상적인 유용성에 대한 전향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개정 산업안전보건법에 관한 소고

        오정용(Oh Jung Yong)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圓光法學 Vol.34 No.2

        우리나라의 산업은 짧은 시간동안 크게 발전해 오고 있다. 이러한 성장의 뒷면에는 부작용이 따르고 있는데, 바로 산업재해이다. 산업재해와 관련하여 1981년 산업안전보건법이 제정되었는데, 이 법률은 우리나라의 산업현장을 반영하듯 점차 그 처벌이 강화되어 왔다. 그리고 최근에 들어 산업안전보건법은 전부개정을 통해 형벌의 강화뿐만 아니라, 그 책임주체에 대해서도 확대를 시도하고 있다. 이를 둘러싸고 지나치게 사업주에게 책임을 묻는 입법이 아니냐는 지적이 있다. 하지만 빠르게 변화하는 산업현장을 고려할 때 산업재해를 예방하기 위한 방안은 더 이상 미뤄서는 안될 일이다. 물론 법률을 강화하는 것이 예방을 위한 최선의 선택은 아니다. 그리고 벌칙규정을 강화하는 것이 사고예방의 필연적 관계에 있는 것도 아니다. 그런데 그동안 처벌규정을 강화해 왔음에도 불구하고 산업재해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것은 실제로 산업현장에 대한 사업주의 책임추궁에 대해 미비한 처벌이 문제였으며, 사업주가 책임회피를 할 수 있었던 법의 흠결에서 찾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에 대해 이번 산업안전보건법의 개정은 그동안의 법의 흠결을 메우려고 하는 시도로 평가할 수 있다. South Korean industry has developed rapidly over recent years, but this growth has lead to various side effects including industrial disaster. As a preventative measure,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was established in 1981, and penalties have gradually been strengthened in South Korea. Recent revisions of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not only further strengthened punishment, but also attempted to expand the scope of responsibility through revision to the law. Complaints have been raised that legislation now holds employers excessively accountable for industrial accidents. However, considering the rapidly changing industrial settings, we can no longer delay in further developing plans for industrial accident prevention. Despite strengthening regulations and penalties there have been no significant decreases in the levels of industrial accidents, and concerns are still being raised in spite of the changes to the law. This is because punishment of irresponsibility employers is still inadequate in industrial settings, as well as flaws in the law which allow employers to avoid responsibility. It still remains to be seen if revision of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will be able to cover these gaps in the law, and what supplements will be needed from now on.

      • KCI등재

        무인매장의 쇼핑 단계별 언택트 구매환경 및 IT 기술 적용 사례 연구

        오정아 ( Oh Jungah ),김은희 ( Kim Eunhe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8

        (연구배경 및 목적) 현재 전 세계의 오프라인 매장은 시간이나 장소에 구애받지 않는 모바일 커머스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큰 위기에 직면해있다. 특히 소비자가 매장을 직접 방문하지 않아도 구매 가능한 언택트 구매 프로세스가 주요한 소비 경로가 되면서, 오프라인 매장도 무인매장을 통한 오프라인 매장의 역할 및 기능을 재정립하려는 시도가 있다. 무인매장은 시장 진입 초기단계로 다양한 형태로 시도되고 있지만, 그 활용 범위와 방법이 다양하다. 본 연구는 사례분석을 통해 구매 프로세스 단계별 소비자 행위를 지원하는 무인매장 공간 특성과 IT 기술 및 디바이스 등 편의 요소의 활용현황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궁극적으로는 무인매장의 개념을 재정립하고 향후 무인매장 계획 시 활용 가능한 기초적인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문헌고찰을 통해 언택트 구매환경, 구매 프로세스를 조사하여 사례 분석을 위한 구매 프로세스를 재구성한다. 재구성한 구매 프로세스 분석틀을 기반으로 사례분석을 실시한다. 이를 통해 무인매장 사례 전체 및 매장 종류별 공간환경과 구매 프로세스 단계별 소비행위를 지원하는 IT기술 및 편의 요소를 체계화한다. 또한,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향후 무인매장 계획 시 활용 가능한 기초적인 데이터를 구축한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간 기능 구분별로는 매장 진입과 제품탐색 방식의 차이점에 있다. 식료품 관련 매장은 매장 진입 시 본인 인증이 필수인 반면 비식료품 관련 매장은 무인증 방식이 많았다. 또한 제품탐색 시 비식료품 관련 매장이 제품의 직접 체험과 개인 취향이 구매에 큰 작용을 하기 때문에 매장 내 비치된 키오스크, 가상체험 스크린 등이 활용되는 경우가 많았다. 둘째, 구매 프로세스 단계별 특징은 매장 진입은 인증과 무인증 방식으로 나뉘며, 상품탐색 방식은 제품의 이동 여부를 추적하는 자동 트래킹 방식과, 개별 상품에 QR, RFID 등의 인식 가능 장치를 부착하는 방식이 일반적이다. 상품구매 방식은 자동결제와 셀프계산대를 활용한 고객 직접 결제로 나뉜다. 구매 후 행동에는 직원이 필요성이 있는 환불·교환에 있어 효율성이 다소 저하됐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무인매장을 쇼핑 프로세스에서 요구되는 상품 탐색과 구매의 소비 행위를 소비자 스스로 진행할 수 있도록 기술적 지원 환경을 구성한 것이라고 정의한다. 무인매장의 공간 구성 및 디자인 등은 전통적인 매장과의 차이점이 미비했다. 브랜드 인식성 제고를 위해 일반 매장과 숍프론트, 인테리어를 유사하게 하되, 상품의 탐색과 결제 프로세스를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IT 기술이나 기기들을 제공하였다. 이 경우에도 IT 기술이나 기기를 돋보이게 하기보다는 소비자가 익숙한 매장 환경에서 편안하게 쇼핑할 수 있도록 상품 자동 인식 및 결제 시스템처럼 소비자의 기술 인지가 최소화될 수 있는 방식이 주를 이루었다. 하지만 무인매장도 물건을 판매하는 물리적 공간이라는 특수성 때문에 제품의 재고 관리, 주류 판매를 위한 신분증 확인, 환불 등의 고객 서비스 업무를 담당하는 직원은 필요하다. 따라서 무인매장의 개념을 단순히 고객 응대 직원이 없는 경우로 제한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향후 직원을 대체하는 로봇 또는 다양한 IT기반 기술, 디바이스의 연구 및 적용이 필요하다. (Background and Purpose) Offline stores around the world are facing a major crisis as the mobile commerce market, regardless of time or place, has grown rapidly. In particular, as the untact purchase process, which consumers can purchase without visiting the store in person, becomes a major consumption path, offline stores also attempt to redefine the role and function of offline stores through unmanned stores. Unmanned stores are being tried in various forms in the early stages of entering the market, but their use ranges and methods vary.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unmanned store space supporting consumer behavior at each stage of the purchasing process and the utilization status of convenience factors such as IT technology and devices. Based on this, the goal is to ultimately redefine the concept of unmanned stores and provide basic data that can be used in future unmanned store planning. (Method) The research method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search on the un-contact purchasing environment and purchasing process is conducted to reconstruct the purchasing process for case analysis. Second, a case study is conducted based on analysis frame. Case study is focused on analyzing the spatial environment of unmanned stores and the elements of IT technology and convenience that support the consumption behavior of each phase of the purchasing process. In addition, basic data that can be utilized for planning unmanned stores in the future is developed by compiling research result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entry into the store and product exploration methods by space function classification. Grocery-related stores require self-certification when entering stores, while non-food-related stores had many unmanned authentication methods. In addition, non-food-related stores often utilize kiosks and virtual experience screens in stores because direct experience and personal taste of products play a major role in purchasing products. Second,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tage of the purchase process, the way to enter the unmanned store is divided into certification and unmanned authentication methods. For the product search method, an automatic tracking method that tracks the movement of products and attaches recognizable devices such as QR and RFID to individual products are generally used. The product purchase method is divided into automatic payment and direct payment by customers using self-checkout counter. The role of staff was essential for post-purchase behavior. Research and application of robots or various IT-based technologies and devices that replace employees are needed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원발성 안와 종양에 대한 신경학적 고찰

        오정재(Jung Jae Oh),정동섭(Dong-Sup Chung),윤완수(Wan-Soo Yoon) 대한두개저학회 2021 대한두개저학회지 Vol.16 No.2

        Background : Primary orbital tumors are relatively rarely encountered by neurosurgeons. Several approaches to primary orbital tumors have been used depending upon the tumor location, preoperative diagnosis, and the surgeon’s experience. Here, we present our clinical experience with primary orbital tumors from a neurosurgical perspective. Methods : A total of 11 patients with primary orbital tumors who underwent surgical resections between January 2011 and December 2018 were included in the study. All clinical data, including preoperative symptoms, visual function, operation record, histopathology, and radiologic imaging were reviewed. Results : The median age of the patients was 55 years, and diplopia and impaired vision were the most common symptoms. Depending upon the tumor location in the orbit, the intraconal type was seen in eight patients, the intracanalicular type was seen in two, and the extraconal type was seen in one. Surgery on these tumors was performed by the transcranial approach in nine patients and the endoscopic endonasal approach in two, depending upon the meridian of the optic nerve. Gross total resection was completed in five patients, subtotal resection in one, partial resection in one, and biopsies in four. Postoperatively, visual function was improved in two of four (50%) patients, and preexisting vision was preserved in the other nine patients. Conclusions : Although the experience with primary orbital tumors was limited, we suggest that favorable surgical outcomes can be achieved with an appropriate surgical approach by understanding the anatomy of the orbit, especially the meridian of the optic nerve.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후면토릭 RGP 콘택트렌즈를 이용한 원추각막의 시력교정 증례

        오정재(Jeong Jae Oh),최진석(Jin Seok Choi) 대한검안학회 2015 Annals of optometry and contact lens Vol.14 No.1

        Purpose: To report a case of correcting irregular astigmatism in severe keratoconus with back toric rigid gas permeable (RGP) contact lens. Case summary: A 43-year-old man visited our clinic for correction of decreased visual acuity on the both eyes. The refractive status of both eyes was over mean 5 diopters. The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BCVA) of right was 20/25 and BCVA in left eye was 20/100. The corneal astigmatism was 1.75 diopters in right eye and 6.5 diopters in the left eye. By topography of both eyes, the right eye has minimal degree of keratoconus and the left eye was more advanced stage of keratoconus. He could not wear the RGP contact lens with multi-curved or high eccentricity due to corneal irregular astigmatism. Using back toric RGP contact lens, the right eye’s BCVA was improved 20/25 and left eye’s BCVA was improved 20/40. There were no significant complications or abnormal finding in the corneal surface. Conclusions: Back toric RGP contact lens appears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BCVA and reducing corneal irregular astigmatism of keratoconus when multi-curved or high eccentricity RGP contact lens failed.

      • KCI등재후보

        빌딩 표피 디자인 트렌드를 통해 본 서울의 아이덴티티에 관한 고찰

        오정아 ( Jung Ah Oh ),정현원 ( Hyun Won Jung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3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33 No.-

        세계가 점차 글로벌화되어 도시간의 이동이 잦고 뚜렷한 특성의 격차가 점차 모호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독특한 도시 디자인, 즉 아이덴티티는 여전히 해당 도시로 많은 사람들을 끌어들이는 매력요소임에 틀림없다. 타 도시와 차별화되는 독특한 도시 아이덴티티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각 도시가 그들 자신을 대표할 수 있는 이미지를 강조하여야 한다. 특정 도시를 인지하는 프로세스에서 큰 역할을 하는 명확하고도 뚜렷하게 차별화되는 도시 아이덴티티의 정립은 특히 국제사회에서 해당 도시의 경쟁력을 증진시킬 뿐만 아니라 관광산업을 활성화시키는데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한국의 서울이라는 도시의 빌딩 표피 디자인을 연구함으로써 서울이 갖는 도시 아이덴티티를 분석하는데 있다. 특히 한국의 도시의 형성은 전쟁이후에 이루어진 것으로 전쟁 이전에 갖는 한국 고유의 전통적 도시 이미지와 매우 다르며, 이는 타 국가들과 비교했을 때 매우 독특한 역사를 갖는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 이를 바탕으로 본 논문의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효율성을 극대화한 박스형, 장식요소가 과도한 사인보드, 국적과 스타일의 분류가 어려운 장식적 요소의 사용, 초고층에 대한 욕망, 그리고 전통적 스타일의 변화를 통한 명맥유지, 그리고 해외 스타건축가들에 의존한 패셔너블한 표피의 표현으로 서울이 갖는 아이덴티티를 유형화할 수 있다. In spite of globalization, the unique city identity attracts people to certain city, and it becomes the base for national power now. To set up unique city identity, each city strives to build their own image which can differentiate from the others. Through the firm city identity establishment, each city can get a lot of benefits, such as the image and cognition of the city, and also strengthen the diplomatic power and vitalize the tourist industry. The main objectivity of this paper is to find out identity of Seoul, Korea, which undergoes historically chaotic stage in terms of city identity formation comparing to other metropolises in developed countries, as examining a design tendency of building skin. The result of skin tendency of Korea can be represented with following issues; a cube for efficiency maximization, excessive ornamentation. signboards and nation and style indefinable decorative elements uses, and desire of high-rise and lack of tradition without any uniqueness that can act as a real national power now, and fashionable skin creation relied on star architect in abroad.

      • KCI등재

        고정형 슬관절 단일 구획 치환술의 중기 추시 결과

        오정한(Jeong Han Oh),주일한(Il-Han Joo),공동의(Dong-Yi Kong),최충혁(Choong-Hyeok Choi) 대한정형외과학회 2018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3 No.6

        목적: 고정형 슬관절 단일 구획 치환술의 5년 추시 결과로 임상적 및 방사선적 결과, 합병증 발생 빈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5월부터 2011년 8월까지 고정형 슬관절 단일 구획 치환술을 시행한 25명, 26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63.5세였으며 남자가 3명(3예), 여자가 22명(23예)이었으며 술 전 진단은 골관절염 23예, 골괴사 3예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평균 67개월(60-149개월)이었다. 임상적으로 술 전과 술 후의 미국슬관절학회 슬관절 점수 및 기능점수, 관절 운동 범위를 조사하였고, 방사선적으로 슬관절 기립 전후방 사진과 측면 사진, 투시기 촬영을 통하여 술 후의 정렬상태와 골용해 여부를 조사하였다. 결과: 임상적 결과로 슬관절 점수는 평균 42.0점에서 87.9점으로, 기능점수는 57.5점에서 85.0점으로 향상되었다(p<0.001). 술 전 관절 운동 범위는 평균 132.9°에서 술 후 132.5°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방사선적 결과로 대퇴경골각은 술 전 평균 내반 0.5°에서 술 후 외반 2.2°로 측정되었다. 방사선 투과성 선(radiolucent line)이 관찰되는 경우가 2예 발견되었으며 그 중 1예는 삽입물이 안정적이었으나 다른 1예는 단일 구획 치환술 시 대퇴슬개관절의 관절염을 확인하였고, 추시상 슬관절 내측 관절선의 동통 및 슬관절의 미만성 통증이 있어 슬관절 전치환술을 권유하였다. 그 외 골용해, 감염, 술 후 강직, 탈구 등의 합병증은 없었다. 결론: 고정형 슬관절 단일 구획 치환술의 중기 추시 결과는 임상적 및 방사선적으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보였다. Purpose: To evaluate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outcomes, and the complications of unicompartmental knee arthroplasty (UKA) using a fixed bearing prosthesis after 5-year follow-up. Materials and Methods: Twenty-six knees (25 patients) that underwent fixed bearing UKA between May 2003 and August 2011 were included. The subjects were 3 males (3 knees) and 22 females (23 knees), and the average age was 63.5 years. The preoperative diagnosis was osteoarthritis (23 knees) and osteonecrosis (3 knees). The mean follow-up duration was 67 months (from 60 to 149 months). The clinical evaluation included pre- and postoperative American knee society knee and function score, and range of motion. The radiology evaluation included standing antero-posterior, lateral view, and fluoroscopic film to analyze the postoperative alignment and osteolysis. Results: The mean American Knee Society knee score and function score were improved from 42.0 and 57.5 to 87.9 and 85.0, respectively (p<0.001). The mean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range of motion was 132.9° and 132.5°, respectively. The mean femorotibial angle were varus 0.5° preoperatively and valgus 2.2° postoperatively. A radiolucent line was observed in 2 knees; one knee had a stable implant, while in the other knee, patellofemoral arthritis was identified during UKA. Diffuse pain of the knee joint with tenderness of the medial joint line was identified at the follow-up, so conversion to total knee arthroplasty was recommended. No other complications, such as osteolysis, infections, postoperative stiffness, and dislocation, were encountered. Conclusion: The midterm results of fixed bearing UKA were clinically and radiologically satisfact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