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재평가잉여금의 미래 기업가치 관련성

        오익훈,정재원 한국전산회계학회 2019 電算會計硏究 Vol.1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거래소의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되어 있는 금융보험업을 제외한 기업을 대상으로 재평가잉여금과 미래 기업가치의 관련성을 검증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검증하기 위해서는 Ohlson(1995)의 지분평가모형을 확장한 회귀모델을 추정하였다. 그리고 회귀모형 추정을 위하여 2017년 12월 31일 현재 한국거래소의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되어 있는 금융보험업을 제외한 기업으로서 본 연구의 표본 선정기준을 만족하는 기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며, 그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재평가 1차 년도부터 6차 년도까지 기본 모델과 연도 및 산업더미 추가모델에서 재평가잉여금(RS)의 회귀계수가 0.01 수준에서 양(+)의 유의한 값을 가짐으로써 재평가잉여금은 재평가 후 6년까지 기업가치 평가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평가잉여금은 재평가 후 6년까지 기업가치 평가에 양(+)의 영향을 미친다는 검증결과는 재평가잉여금이 투자자, 채권자, 재무분석가 등의 해당 기업과 관련된 장기적인 의사결정에 유용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연구논문(硏究論文) : 회계이익 및 총포괄이익과 과세소득의 차이와 기업가치 관련성

        오익훈 ( Ick Hoon Oh ),정재원 ( Jae Won Jeong ) 한국세무회계학회 2016 세무회계연구 Vol.0 No.47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거래소의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되어 있는 기업을 대상으로 ① 회계이익과 과세소득의 기업가치 설명력의 차이, ② 회계이익과 과세소득의 차이의 기업가치 관련성, ③ 총포괄손익과 과세소득 차이의 기업가치 관련성 등을 검증하는데 있다. Ohlson(1995)의 지분평가모형을 확장하여 검증한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당기순이익 정보가 과세소득 정보보다 기업가치를 더 잘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회계이익과 과세소득의 차이가 기업가치를 설명함에 있어서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총포괄이익과 과세소득의 차이가 기업가치를 설명함에 있어서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본 연구결과의 시사점은 아래와 같다. 첫째, 회계이익이 과세소득보다 기업가치를 더 잘 설명한다는 검증결과는 투자의사결정시회계이익이 과세소득 보다 유용한 정보를 제공함을 시사한다. 둘째, 회계이익과 과세소득의 차이는 기업가치와 양의 관련성이 있다는 검증결과는 2007년 이후 삭제된 주석으로 공시되었던 과세소득(각사업연도소득)에 관한 정보의 재공시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셋째, 총포괄손익과 과세소득의 차이는 기업가치와 양의 관련성이 있다는 검증결과는 기타포괄손익에 관한 정보가 회계정보이용자의 투자의사결정에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함을 시사한다. This research has its purpose in researching companies that are listed in the KOSPI Market of the Korea Exchange(KRX) regarding ① the differences in the explanation differences of the accounting earnings and taxable income on the enterprise value, ② enterprise value relevance of the differences between accounting income and taxable income, ③ the differences of all-inclusive income statements & taxable income’s relations with enterprise value and etc. From a purpose of this research, ① to research the differences of enterprise value explanations regarding accounting earnings & taxable income, the equity valuation model developed by Ohlson(1995) was used whereas Vuong’s(1989) Overlapping Model was used to verify the differences of explanation in [Model 1-1] & [Model 1-2]. To verify research items ② & ③, Ohlson’s(1995) equity valuation model was expanded and used as an empirical verification model. Also and for the assumption of the Regression Model, companies that were enlisted in the stocks market of the Korea Exchange (KRX) and satisfied this research’s sampling standards were used to be verified where the verification results could be summarized as below. First, information regarding net profit for a certain term was better explained compared to taxable income regarding enterprise value. Second, the differences of enterprise value explanation between the accounting earnings and the taxable income, it showed to bring quite influences (+) that needs attention. Third, the differences of enterprise value explanation between the total comprehensive income & taxable income, it showed to bring amount of influences(+) that need attention. These results were shown from a model that added the accumulation of the year concept.

      • KCI등재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compounds isolated from Astragalus sinicus L. in cytokine-induced keratinocytes and skin

        김병학,오익훈,김정호,전주은,전병욱,신종헌,김태윤 생화학분자생물학회 2014 Experimental and molecular medicine Vol.46 No.-

        Inflammation is a part of the complex biological responses of a tissue to injury that protect the organ by removing injurious stimuli and initiating the healing process, and is considered as a mechanism of innate immunity. To identify biologically active compounds against pathogenic inflammatory and immune responses, we fractionated water, aqueous methanol and n-hexane layers from nine kinds of leguminosae and examined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the fractions in human keratinocytes and mouse skin. Among the fractions, rf3 and rf4, isolated from the aqueous methanol layer of Astragalus sinicus L., exhibitedthe strongest reactive oxygen species (ROS)-scavenging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as measured by inhibition of the intracellular ROS production, nuclear factor-kappaB (NF-jB), janus kinase (JAK)/signal transducer and activator of transcription (STAT), and phosphatidylinositol 3-kinase/Akt signaling in cytokine-stimulated human keratinocytes, as well as by effects on T-cell differentiation in mouse CD4þ T cells. In addition, topical application of rf3 and rf4 suppressed the progression of psoriasis-like dermatitis and expression of pro-inflammatory mediators in interleukin (IL)-23-injected mouse ears. Our results suggest that Astragalus sinicus L. may ameliorate chronic inflammatory skin diseases due to its antioxidant and ntiinflammatory activities via regulation of the intracellular ROS production, NF-jB, JAK/STAT and PI3/Akt signaling cascades as well as immune responses, and these results are the first report that Astragalus sinicus L. exhibits pharmacological activity.

      • KCI등재

        Blending Three Probiotics Alleviates Loperamide-Induced Constipation in Sprague-Dawley (SD)-Rats

        장예지,문진석,김지은,김다영,최한솔,오익훈 한국축산식품학회 2024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ol.44 No.1

        BIOVITA 3 bacterial species (BIOVITA 3), a probiotic blend powder containing Clostridium butyricum IDCC 1301, Weizmannia coagulans IDCC 1201, and Bacillus subtilis IDCC 1101, has been used as a food ingredient for gut health. However, its efficacy in improving constipation has not been reported. Therefore, we aimed to investigate the functional effects of oral administration of BIOVITA 3 as well as its component strains alone (at 1.0×109 CFU/day) in Sprague-Dawley (SD) rats with loperamide-induced constipation. The study included fecal analysis, gastrointestinal transit ratio, histopathological analysis, short chain fatty acids (SCFAs), and metagenome analysis. As results, the BIOVITA 3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fecal number, water content, gastrointestinal transit ratio, and thickening of the mucosal layer. In the SCFAs analysis, all probiotic-treated groups showed an increase in total SCFAs compared to the loperamide-constipated group. Changes in microbial abundance and the diversity index of three groups (normal, constipated, and BIOVITA 3) were also defined. Of these, the BIOVITA 3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loperamide-constipated SD-rats. This study suggests the possibility that BIOVITA 3 can be applied as an ingredient in functional foods to relieve constipation.

      • SCOPUSKCI등재

        고지방 식이 유도 비만 마우스 모델에서 황정 추출물의 지방질 및 에너지 대사 관련 유전자에 대한 효능 연구

        전우진(Woo-Jin Jeon),김지영(Ji-Young Kim),오익훈(Ik-Hoon Oh),이도섭(Do-Seop Lee),손서연(Suh-Youn Shon),서윤지(Yun-Ji Seo),연승우(Seung-Woo Yeon),강재훈(Jae-Hoon Kang) 한국식품과학회 2017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9 No.2

        황정 주정 추출물 ID1216의 고지방 식이 유도 비만 마우스에서의 체중 증가 억제 효과에 대한 분자생물학적 기전을 확인하고자 단백질과 mRNA 수준에서 지질 및 에너지 대사 관련 유전자들의 발현 변화를 관찰하였다. 본 연구에서 확인된 지표들 간의 상호 작용 및 ID1216의 조절 여부에 관해 Fig. 10에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 ID1216은 고지방 식이 유도 비만 마우스에서 체중 증가 억제를 나타내었으며, 비만 대사 관련 pathway의 상위 유전자로 사료되는 SIRT1과 AMPK의 발현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활성화된 SIRT1과 AMPK는 PGC1α의 활성화에 관여하고, 이를 통해 열 발산 대사와 관련된 UCP 단백질과 핵 수용체 단백질인 PPARα의 발현이 백색지방, 갈색지방, 간 및 근육에서 증가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각 조직 별로 RT-PCR을 진행한 결과에서는 PPARα의 하위 유전자인 aP2, ACO, Acadl, Acadm, CPT1a, CPT1b의 mRNA 발현 수준을 향상시켜 주어 ID1216이 지방산 산화 대사인 β-oxidation의 활성화에 기여할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이와는 별개로 ID1216은 중성지질을 분해하는 것으로 알려진 ATGL의 mRNA 발현 또한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ID1216이 조직에 따라 지질 및 에너지 대사와 관련된 인자의 발현에 영향을 주는 체중 조절에 효과적인 소재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비만 치료제와의 기전적 차별성과 생약 특유의 섭취 안전성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 또는 체지방 조절기능성 소재로의 활용 가능성도 충분히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is study, factors involved in lipid and energy metabolism following treatment with ethanolic extract of the Polygonatum sibiricum rhizome (ID1216) were evaluated in high-fat diet-induced obese mice. ID1216-treated mice showed a significant reduction in weight gain compared to non-treated mice. ID1216 treatment increased the protein levels of AMP-dependent protein kinase, sirtuin1,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γ coactivator 1-α (PGC1α),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α (PPARα) and uncoupling proteins in the adipose tissue, liver and muscle compared to vehicle treatment. Analysis of downstream signals of the sirtuin1 PGC1α-PPARα pathway showed that ID1216 regulates the expression of β-oxidation related genes such as acyl-CoA oxidase, carnitine palmitoyltransferase1, acyl-CoA dehydrogenase and adipocyte protein 2. In addition, ID1216 increased the expression of adipose triglyceride lipase. These results suggest that ID1216 has anti-obesity effects by regulating the genes involved thermogenesis, β-oxidation and lipolysis in a diet-induced obesity mod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