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중국 고대의 선경(仙境)

        오상훈(Oh, Sang Hoon) 민족미학회 2011 민족미학 Vol.10 No.2

        It is presumed that the concept of time in traditional China contrast with that of western classics such as Aristotle, and Newton. Whereas the concept of the latter could be supposed as linear and physical, the concept of time in ancient China could be non-linear and natural. In this sense, the concept of time in traditional China is inherent. And this concept of time has peculiarity too, because it is casually fused with the dimension of space. Especially, its influence is significant in the various areas of Chinese traditional culture and thought in terms of its reflection on their motives and context, for example, in Nan k"o tai shou tien(南柯太守傳), the anecdote of Chao yen(趙顔), the anecdote of Hsu Yen(許彦), Double screens(重屛) of Sung-ming period, hand scroll(畵卷) and pavilion(庭園) culture of Sung-ming period. So it is not necessary to say that it has important meaning in the Chinese art and thought anymore.

      • KCI등재

        철골모멘트접합부의 내진보강에 관한 해석적 연구

        오상훈,김영주,Oh, Sang Hoon,Kim, Young Ju 한국강구조학회 2008 韓國鋼構造學會 論文集 Vol.20 No.3

        철골모멘트접합부에 관한 이전의 연구에 의하면 RHS 기둥과 기존의 스캘럽을 가진 접합부실험체의 변형능력은 매우 열등했고, 보단부의 응력집중은 보에서 기둥으로 전달되는 모멘트의 전달효율에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을 실험이나 해석적으로 밝혔다. 본 연구는 보강된 RBS 접합부와 용접수평스티프너를 사용한 효고현남부지진 이전에 지어진 모멘트 접합부를 내진보강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이러한 내진보강은 시공성과 경제성을 고려하여 보의 하부플랜지에만 실시하였다. 접합부의 내진보강방법을 발견하고 이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비선형유한요소해석을 통해서 다양한 변수를 바탕으로 한 파라메타 연구를 실시하였다. Based on previous research on steel moment connections, experimental and analytical results showed that the deformation capacity was poor in specimens using RHS columns and with conventional weld access holes and strain concentration at the end of beam is influenced by the efficiency in transmitting the moment in the web of beam through the beam-to-column joint. This paper is focused on the retrofitting of pre-Kobe steel moment frame connections using a stiffened RBS and a welded horizontal stiffener. These retrofitting methods were considered only in beam bottom flange. A parametric study was performed using nonlinear finite element analysis to elucidate and improve the retrofit methods of connections.

      • KCI등재

        플레이트형 에너지 흡수장치를 가지는 기둥-보 접합부에 관한 연구

        오상훈,박해용,Oh, Sang Hoon,Park, Hae Yong 한국강구조학회 2013 韓國鋼構造學會 論文集 Vol.25 No.1

        최근 지진동과 같은 강한 수평력 작용시 골조에 작용하는 대부분의 손상을 댐퍼부에 집중시키며 주부재의 재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지속가능형 접합부 시스템에 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개념을 적용한 새로운 형태의 손상제어형 접합부 시스템을 제안하고 실물대 반복이력실험 및 비선형 유한요소해석을 통하여 제안 시스템의 주요 구조성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통하여 주부재의 손상을 극소화하면서 보의 전소성모멘트 이상을 만족하는 최적의 댐퍼/보 내력비를 도출하였으며 내진접합상세로서의 적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Recently, there is a growing interest on sustainable connection system that makes it possible to reuse of main structural members by concentrating most of the damage in the frame caused by strong horizontal force, such as earthquake, to damper. In this study proposed a new type of damage-controlled connection system applying these concepts and analysed the major structural performance of the proposed system through the full-scale cyclic loading test and nonlinear finite element analyses. According to the result, it derived the optimal damper/beam strength ratio that minimize the damage of main members and satisfy at least the fully plastic moment of the beam. And it was to verify the possibility of applying as seismic connection details.

      • KCI등재

        디지털 만화 콘텐츠 메타데이터 요소개발 및 적용

        오상훈,조현주,이용배,강지훈,맹성현,Oh, Sang-Hoon,Cho, Hyun-Joo,Lee, Yong-Bae,Kang, Ji-Hoon,Myaeng, Sung-Hyun 한국정보처리학회 2004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Vol.11 No.5

        디지털콘텐츠 서비스 유형이 다양해지면서 콘텐츠 유통에 참여하는 주체들(저작자, 가공자, 서비스업자 등)간에 권리처리 문제가 제기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념적 기술적 요소들을 시스템에 반영하여 표현하게 되었고 그 중에서 메타데이터의 상호운영성은 중요한 이슈가 되었다 콘텐츠서비스를 위한 메타데이터는 시스템을 구성하는 기본적인 프레임워크로서 표준화에 대한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본 논문은 디지털만화 콘텐츠를 대상으로 서비스에 필요한 DRM(Digital Right Management)시스템의 핵심사항인 권리처리에 중점을 둔 메타데이터 요소를 제안하였다. 따라서 XML 형식으로 개발한 메타데이터 요소와 MPEG-21 RDD 요소들 간의 상호호환성을 NPEG-21 RDD에서 제시하는 Context Model을 활용하여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향후 다른 분야의 디지털 콘텐츠의 메타데이터 요소개발과 상호운영성을 고려한 시스템 설계에 기초적인 자료가 될 것이다. Rights process problem was stated among actors that participated in digital contents distribution while it was various type of digital content service. In order to solve it, It was expressed conceptual and technical elements by reflecting a system. Among them, the interoperability of metadata became a important issue. As for the metadata for contents service, necessity about standardization is stated as a basic framework composing a service system. This paper proposed the metadata element which focus on the rights process that is being a key factor of a DRM(Digital Right Management) system for digital comics contents service. Therefore, it was verified by using Context Model of MPEG-21 RDD with interoperability between metadata elements which developed a XML format and the existing MPEG-21 RDD elements. The study results will become basic materials in the system design that considered metadata element development and interoperability of digital contents of other field

      • KCI등재

        바닥슬래브에 의해 구속된 철골 모멘트접합부의 내진보강에 관한 실험적 연구

        오상훈,김영주,문태섭,Oh, Sang Hoon,Kim, Young Ju,Moon, Tae Sup 한국강구조학회 2004 韓國鋼構造學會 論文集 Vol.16 No.2

        본 실험프로그램은 슬래브가 있는 합성보의 내진성능향상을 위해 기존 모멘트접합부의 내진보강 방법을 개발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반복하중을 통해 5개의 실대형 합성실험체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각형강관기둥과 H형강보로 이루어진 기존의 다이아프램접합부가 RBS 또는 개량수평스티프너를 통해서 하부플랜지에만 내진 보강되었다. 제안한 보강접합부의 효율성을 조사하였다. 실험결과 하부플랜지에만 RBS를 적용한 접합부는 부족한 변형성능을 나타냈지만, 개량스티프너를 적용한 합성보 접합부는 내진성능을 향상시켰다. An experimental program was undertaken to develop seismic retrofit methods of existing steel moment connections with floor slab for improved seismic performance. Five full-scale composite specimens were tested under cyclic loading. Conventional through-diaphragm connections [please check this; no search results were found for through-diaphragm connections] composed of square-tube column and H-beam were retrofitted by adding either a bottom-flange dogbone (RBS) or an improved welded horizontal stiffener at the beam bottom flang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retrofit connections schemes was evaluated. The specimen retrofitted using the RBS concept at the bottom flange showed poor connection ductility. In contrast. specimens with the proposed horizontal stiffener details exhibited improved connection ductility.

      • KCI등재

        보 단부 용접상세에 따른 고강도강 기둥-보 접합부의 변형능력에 관한 연구

        오상훈,박해용,Oh, Sang Hoon,Park, Hae Yong 한국강구조학회 2014 韓國鋼構造學會 論文集 Vol.26 No.4

        고강도 강의 경우 재료의 높은 항복비와 모재인성 부족으로 인해 휨 구조부재에 적용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고강도 강 휨재의 가장 큰 문제점 중 하나는 일반 연강접합부와 마찬가지로 보 단부의 취성파단이다. 연강접합부의 경우 부재의 보강 및 보 단부의 용접접근공 상세의 개량을 통하여 국내기준의 특수모멘트골조용 접합상세가 다수 개발된 바 있으나 고강도강 접합부에 대한 적용성 평가는 아직까지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개발된 고강도 강(HSA800)을 적용한 기둥-보 접합부의 적용성 평가를 위한 초기단계의 연구이며 보 단부의 용접접근공 상세에 따른 고강도 강 접합부의 구조성능을 실험 및 해석적 방법을 통하여 고찰하였다. For high-strength steel, it is difficult to be applied to flexible structural member because it have high yield ratio and low basic material's toughness. One of the great problems when using high-strength steel connections is the brittle fracture at the end of the beam member in common with general mild steel connections. In the cases of mild steel connections, it has be developed that special moment frame connection details by reinforcing structural member or improvement of welding access hole. But, it is incomplete at yet about applicability estimation of high-strength steel connections. This study is the initial step research for the applicability estimation of beam-to-column connections being applied to developed high-strength steel, HSA800. And, it studied about structural performance of the high-strength steel connections according to the details of welding access hole through full-scale test and analytical method.

      • KCI등재

        개량수평스티프너를 보강한 고강도강(HSA800) 접합부 내진성능평가

        오상훈,박해용,Oh, Sang Hoon,Park, Hae Yong 한국강구조학회 2014 韓國鋼構造學會 論文集 Vol.26 No.4

        As the height and beam span of buildings built in the construction market increase, increasingly higher quality is being required of the construction materials. In response to this trend, 800MPa tensile strength class steel was developed in domestic company. Currently, experiments applying flexural member, compression member, and connections are continuously conducted, but a design guideline for high strength steel has yet to be established. Among those construction materials, for the high strength steel beam-to-column connections, the evaluation of implementing ductile connections for the high strength steel beam-to-column connections is producing pessimistic results and the number of related researches is inadequate because of the high yield ratio, which is the characteristic of high strength steel. This study on implementation of ductile connections made of high strength steel was conducted using the connection detail as the variable, for the purpose of enhancing the deformation capacity of high strength steel beam-to-column connections. Cyclic loading test and nonlinear finite element analysis were conducted with full-scale mock-up connection models with the applied connection details. As a result, the structural performance of high-strength steel beam-to-column connection with presented detail was contented with demand of Special Moment Frames of KBC standard. 건설시장이 보다 고층화 장스팬화되어감에 따라 건설재료 또한 고성능화되어가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국내에서도 건축용 인장강도 800MPa급 강이 개발되었다. 현재 고강도강을 대상으로 한 휨재, 압축재, 접합부의 적용실험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아직까지 고강도강 적용에 대한 설계지침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이 중 고강도강 기둥-보 접합부의 경우 고강도강의 특성이라고 할 수 있는 높은 항복비에 의해 연성접합부 구현에 대한 평가가 비관적이며 연구자료 또한 미비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강도강 기둥-보 접합부의 변형능력 향상을 위하여 접합상세를 변수로 하고 연성접합부 구현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접합상세로는 논스캘럽 공법과 개량 수평스티프너 공법을 적용하였다. 적용한 접합상세를 가지는 접합부 모델들을 대상으로 실물대 반복재하실험과 비선형 유한요소해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제시한 접합상세를 가지는 고강도강 기둥-보 접합부의 구조성능은 KBC기준의 특수모멘트골조의 요구성능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고층 전단벽시스템 적용을 위한 직렬 연결형 강재이력댐퍼의 구조성능평가

        오상훈,최광용,유홍식,Oh, Sang-Hoon,Choi, Kwang-Yong,Ryu, Hong-Sik 한국강구조학회 2012 韓國鋼構造學會 論文集 Vol.24 No.4

        Existing shear wall system may cause ductility fallen to the structure which it is on because relatively weak concrete core would easy to be damaged. In this study, steel hysteresis dampers whose stiffness is higher than existing coupling beam and whose strength is easy to change depending on design load was used in coupling beam. The steel hysteresis damper was proposed for the shape connected in double in series, from this, several static test were conducted to verify structural performance of the damper. FEM analysis was also performed, then design equation were suggested. 기존의 전단벽 시스템은 커플링보를 강하게 설계하는 경우가 많아 상대적으로 내력 및 강성이 낮은 콘크리트 코어와 특정층에 손상이 발생되기 쉬워 건물의 연성이 저하된다. 전단벽 시스템의 연성능력 및 내진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본 연구에서 강성은 기존의 커플링보 이상으로 발휘되면서 설계하중에 따라 내력을 용이하게 변화시킬 수 있는 강재이력댐퍼를 커플링보에 적용하였다. 강재이력댐퍼는 2단으로 직렬 연결된 형상으로 제안하였고, 제안된 강재이력댐퍼의 구조성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정적실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FEM 해석결과를 실험결과와 비교 검증하고 강재이력댐퍼의 초기강성, 에너지 흡수능력, 변형능력 등을 분석하여 설계 근사식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강구조 성능기반설계를 위한 접합부의 내진성능평가치 제안

        오상훈,오영석,홍순조,이진우,Oh, Sang-Hoon,Oh, Young-Suk,Hong, Soon-Jo,Lee, Jin-Woo 한국강구조학회 2011 韓國鋼構造學會 論文集 Vol.23 No.2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the connections of the seismic-performance values for domestic-performance-based designs. Basic research on the performance design method has been increasing of late, along with performance-based organization investigations. These investigations concern the performance level state of steel structure buildings.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limit state, seismic-performance values should be presented as appropriate steel structure engineering amounts. The first step, based on the full-scale steel structure experiments, involves researching on the making of a basic document. The moment-rotation angle relationship results of the experiment on the moment-frame connection were used to assort the functional and undamaged limits, which were assumed to be less than the yield moment. Moreover, the repairable and safety limits, which were assumed to exist between the yield and maximum moments, were assorted by investigating the accumulated plastic deformation ratio.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강구조 성능기반설계를 위한 접합부의 내진성능평가치를 제안하는 것에 있다. 최근 성능설계에 대한 기초연구가 국내, 외에서 증가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외국의 성능설계기법을 조사, 분석하여 강구조 건축물의 성능한계분류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성능한계분류에 따라 강구조에 적합한 공학량으로서 내진성능규정치를 제시할 필요가 있다. 그 첫 번째 단계로 강구조 실대형 실험을 통한 접합부의 실험결과를 중심으로 기초자료를 조사하여 작성하였다. 모멘트 골조 접합부의 실험 데이터에서 얻은 모멘트-회전각 관계를 이용하여 항복하중 이하에 존재할 것으로 판단되는 기능한계와 손상한계는 층간변형각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항복하중과 최대하중 사이에 존재할 것으로 판단되는 복구한계와 안전한계는 소성율과 누적소성변형배율을 조사하여 구분하였다.

      • KCI등재

        고항복비-고강도강의 유강혼합구조 시스템 적용에 관한 실험적 연구

        오상훈,김진원,문태섭,Oh, Sang Hoon,Kim, Jin Won,Moon, Tae Sup 한국강구조학회 2005 韓國鋼構造學會 論文集 Vol.17 No.4

        본 논문은 고항복비-고강도강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하여 유강혼합구조 시스템의 실험결과를 요약한 것이다. 최근 건축구조물에서도 대형화 및 초고층화 되어감에 따라 사용강재에 대하여 높은 성능을 요구하게 되었고, 고강도강을 사용해야 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하지만 고강도강은 항복비가 높고 최대 응력시 변형도가 작고 탄성계수가 연강과 같다는 단점으로 인하여 수요가 증가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이러한 고항복비를 가지는 고강도강의 결점을 보완하고 효과적인 사용을 위해서는 새로운 구조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고항복비를 가지는 고강도강을 건축구조물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방안으로 유강혼합구조 시스템을 제안하고, 고강도강이 포함된 유강혼합기둥 실험을 통하여, 고강도강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내력비와 강성비를 포함할 수 있는 강요소 (stiff element)와 유요소 (flexible element)의 항복변형비를 변수로 하여, 유강혼합구조시스템 적용시 적절한 항복변형비를 찾고자 하였다. 실험결과 제안된 유강혼합구조시스템은 연강만으로 이루어진 시스템에 비해 높은 에너지 흡수능력을 보여주었고, 강요소에 대한 유요소의 항복변형비가 2.7~3.3일 때 가장 큰 에너지 흡수능력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paper summarizes the test results of the flexible-stiff mixed system for the effective use of high-strength steel. Steel with a high degree of strength and performance is being increasingly required as buildings get larger and taller. High-strength steels cannot be used for many applications, though, because they have a number of defects. For instance, they have a high yield ratio, a small strain in maximum stress, and equal Young's modulus compared to mild steels. A new structural system is needed to effectively use high-strength steels with some defects. This paper proposes the flexible-stiff mixed system for the effective use of high-strength steels with high yield ratios. The possibility of using the system is discussed through the test of flexible-stiff mixed columns with high-strength steels. The main variable of the specimens is the yield displacement ratio, including both the force ratio and the stiffness ratio. The proper yield displacement ratio is proposed by adopting the flexible-stiff mixed system. The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proposed flexible-stiff mixed system has a high capacity for energy absorption and the highest capacity for energy absorption when the yield displacement ratio of the flexible element to the stiff element ranges from 2.7 to 3.3.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