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에너지 기행 - 대한민국 청년 3인방의 독일 Max Planck IPP 방문기
오영석,이원재,이현영,Oh, Yeong-Seok,Lee, Won-Jae,Lee, Hyeon-Yeong 국가핵융합연구소 2010 핵융합뉴스레터 Vol.48 No.-
지난 9월, 두근거리는 마음을 안고 독일행 비행기에 몸을 실은 3명의 청년이 있었다. 국가 핵융합연구소가 차세대 핵융합 전문 인력 양성이라는 목표 아래 시행한 '해외 여름학기 연수프로그램'. 국내 석박사 과정의 핵융합 인재를 대상으로 해외 핵융합 선진국의 연구기관을 직접 방문하는 이 프로그램에 지원한 오영석, 이원재, 이현영 씨가 바로 그 주인공들이다. 유럽 플라즈마 연구를 선도하는 독일의 막스 플랑크 플라즈마 물리연구소(Max Planck IPP)에서의 짧지만 잊을 수 없는 그 일주일을 되짚어 보자.
오영석 한신대학교 한신신학연구소 2011 신학연구 Vol.48 No.2
Theologie als Wissenschaft versucht, die Rechenschaft über die Wahrheitsfrage des christlischen Glaubens zu geben. Um diese Aufgabe zu vollziehn, behsandelt sie die Lehre von Gott and Christologie, Pneumatologie im Zusammenhang mit Anthrogpolo- gie etc. In diesem Aspekt ist die Theologie K. Barths immer noch von grosser Bedeutung in der gegenwärtigen theologischen Strömungen. Denn Christliche Glaubenswahrheit und seine Inhalt kommen in seiner Theologie am scharfsten und am deutilchsten zum Ausdrck. Wie vollzieht sich Theologische Erkenntnis? Dies hängt mit dem hermeuneutischen Vorgang zusammen. Barths hermeneutischer Ausgangspunkt ist die Offenbarung Gottes. Gott offenbart sich selbt als der Herr. In seiner Offenbarung gab and gibt Gott sich selbst zu erkennen für uns. Offenbarung heisst die Ankündigung der Herrschaft Gottes. Gott handelt in seiner Offenbarung als Herr am Menschen. Wie vollzieht sich die Erkenntnis der Offenbarung Gottes in seiner Theologie?Um einige Perpektivitäten theologischer Grundlage von K. Barth behandelt dieser Artikel im ersten Kapitel Ausgangpunkt seiner Theologie and Auswertungen. Im weiten Kapitel widmet sich er im Kürze die Grundlage der Trinität in seiner Theologie. Im dritten Kapitel kommt der Begriff der Gottes Kinder zum Ausdrck. Im letzten Kapitel bringt er die Darstellung über das Verhältnis von Gebot and Gebet.
오영석,신수련,정현영,이창기,주상원,이해영,정주용,김연희 한국기상학회 2021 한국기상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1 No.10
국제사회의 탄소중립 기조 확산으로 기후변화에 대한 적응성 강화가 그 어느 해보다 크게 요구되고 있다. 이를 과학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조밀한 관측망이 요구되고 있으며, 세계기상기구(WMO)를 중심으로 저렴한 비용으로 설치와 유지가 용이한 Low-Cost(LC) 관측기기 개발 및 네트워크 구축이 중요시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관측기기의 낮은 정확도와 그 값의 검증이 한계점으로 제시되어왔다. 본 연구는 기후변화 적응기술로 기상·기후 및 바이오 분야의 신기술 상호 융합을 통한 저비용 고정밀 온실가스 전량농도 관측 기술개발이다. 이 기술은 현재 LC 관측기기의 한계점을 보완하고, 통합 전 지구 온실가스 정보시스템(IG3IS) 고도화에 요구되는 조밀한 도심, 비도심의 관측망 구성에 대한 선제적 대비를 할 수 있다. 저비용 고정밀 온실가스 센서 소재는 그래핀(탄소 동소체) 기반의 3차원 구조로 다양한 대기환경의 광특성을 기존의 개발된 기술보다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크기와 무게가 작고, 사용전력과 설치장소의 제약을 극복하여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어레이(적층)를 통한 광 특성을 효과적으로 인지가능 하며, 입사각이나 빛의 세기, 광신호의 지속 시간과 간격 등 여러 대기 환경 변수에 따라 광신호의 전하 축척-손실 특성을 얻을 수 있다. 이렇게 얻은 정보는 흡수 스펙트럼형태의 패턴매칭 분석을 할 수 있으며, 관련 온실가스 반응 영역은 CO₂ 1.58 1.65 μm, 2.04 2.08 μm, CH₄ 1.63 1.69 μm, SF6 2.78 3.03 μm이다. 그리고 소재의 양자 효율 특성은 0.7(Si) 이상 0.9(InGaAs)이하의 감도로 미량 기체(할로카본)에 대한 관측이 가능하다. 이는 LC 관측기기의 혁신적인 성능개선 이며 차세대 미래원천기술의 선제적 확보이다. 또한 기후변화 및 IG³IS의 검증 분야에 과학적 근거를 제공할 것이다.
공공갈등으로 지역주민들이 입는 심리적 피해에 관한 시론적 고찰
오영석 한국정책과학학회 2011 한국정책과학학회보 Vol.15 No.4
이 논문은 치유의 관점에서 공공갈등이 지역주민의 심리에 미치는 영향을 시론적 차원에서 고찰한 것이다. 심리학에서 사용하는 ‘외상후스트레스증후군(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의 재체험현상·회피현상·예민현상의 측정문항을 공공갈등에 맞게 재구성하여 이를 공공갈등을 겪고 있는 주민들에게 적용하여 그 심각성 정도를 측정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기술하였다. 심리적 영향의 측정은 갈등지역 주민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심장박동변이(heart rate variation: HRV)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측정결과 실험집단인 갈등지역 주민들이 비교집단인 비갈등지역 주민들 보다 상대적으로 더 심한 정신적 피해를 받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공공갈등을 쟁점 중심으로 접근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치유의 관점에서 접근하여 주민의 정신적 피해와 감성을 이해하고 근본적으로 갈등당사자 간의 관계를 치유하는 방안들을 모색하여야 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부도 공공갈등을 어떤 형태나 수단을 동원하여 해결하기만 하면 된다는 권위주의적 태도에서 벗어나 지역주민들이 겪는 심리적 피해를 인지하여 합당한 해결책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focuses psychological impacts of social conflict upon community residents in light of 'healing' rather than 'management'. Questionnaire and HRV(Heart Rate Variation) are used in order to measure the presence and intensity of the impacts. Three psychological components of PTSD(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are applied for the questionnaire survey. In conclusion, residents under conflict situation, compared to a comparative group, are suffering severe psychological impacts. Emotions including anger are very important in dealing with social conflicts. Traditional ration-oriented approaches should be supplemented by emotional approaches. This is why healing perspectives are necessary in addition to management perspectives in studying social conflict settlement and management.
삼각판으로 보강된 콘크리트 충전 강관 기둥-H형강 보 접합부의 휨거동
오영석 大田大學校 産業技術硏究所 1995 산업기술연구소 論文集 Vol.1995 No.9
본 논문에서는 콘크리트 충전 각형강관과 H형강 보의 접합부에 있어서 보 플랜지의 우각부에 삼각판으로 보강한 경우를 대상으로 접합부의 휨거동을 파악하는 것을 내용으로 한다. 이러한 접합부에 있어서, 충전 콘크리트의 구속효과와 삼각 보강판의 칙수가 초기강성, 내력 및 변형에 미치는 영향을 연직하중면내의 단순휨실험을 통해서 밝히고, 또한 이러한 접합부의 항복내력을 추정하는 실험식을 제시한다. In this paper, connections stiffened with triangular plate at the corner of beam flange are mainly concerned in the concrete filled box column welded with H-shaped sreel beams. Influence of confined concrete and the size of triangular stiffeners on the stiffness, strength and deformation is studied through the simple bending experiment with vertical loading. And, an empirical formual to estimate yield strength of such connections is represented.
장애학생 진로·직업교육에서의 직업재활훈련 개인성과지표 개발
오영석,유애란,이재섭,박형진,권택환,정민호 한국직업재활학회 2012 職業再活硏究 Vol.22 No.1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the performance indicator regarding a vocational rehabilitation training for the educational succes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secondary school curriculum. Also, the developed indictor will be utilized to support the career and vocation education in schools. The study implemented a content validity of preliminary question items with 19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n, the study evaluated a criterion validity, reliability, factor difference threshold on 1,044 items of main indicator including ‘vacational readiness' and ‘vocational functioning' with 190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 results, first, the 1,044 performance indicator items were correlated and developed one construct. Second, the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was .998 on ‘vacational readiness' and .999 on ‘vocational functioning'. Thus, the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was high. Finally, the factor difference threshold of the indicator item on disability level was meaningful both on ‘vacational readiness' and ‘vocational functioning'. 본 연구는 발달장애 및 지적장애 중․고등학교 장애학생을 위한 진로 및 직업교육에서 직업재활훈련 영역의 교육적 성과를 측정할 수 있는 직업재활훈련 개인성과지표를 개발하여 학교 교육현장에서 진로․직업교육의 직업재활훈련 개인성과지표로 활용하도록 지원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19명의 현장 특수교사를 통해 예비문항의 내용타당도 검증을 실시한 후 ‘직업준비’와 ‘직업기능’의 2가지 하위지표, 14개 영역, 42개 하위영역, 그리고 하위영역에 따른 91개 요소와 최종 1,044개 문항을 가지고 190명의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준거타당도, 신뢰도, 영역별 변별력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1,044개의 개인성과지표 문항에 대한 ‘문항-전체 상관계수’를 산출한 결과 문항을 구성하는 요인들이 서로 유기적인 관계를 맺으면서 하나의 구인을 형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전체 지표문항에 대한 내적일관성 신뢰도를 통해 신뢰도를 분석한 결과 ‘직업준비’의 Cronbach's α는 전체 .998, ‘직업기능’의 Cronbach's α는 전체 .999로,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셋째, 지표문항의 영역별 변별력을 검증한 결과 ‘직업준비’와 ‘직업기능’영역에서 장애등급 독립변인이 의미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