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論語訓讀의 변천 : 注釋書와 관련이 없는 용례를 중심으로 注釋書と關わりのない用例を中心に

        오미영 한국일어일문학회 2003 日語日文學硏究 Vol.46 No.1

        本稿は, 拙稿(2001A)をとおして抽出した, 論語集解本と論語集注本との間に訓の相違を示す260項目の中, その對立が注釋書と關連ないと判斷された71項目ついて考察したものである. 考察の結果, 近世初期までは集解本と集注本との間に音讀の比率がさほど差がないことが分かった. また, 佛敎經典の訓讀では, 平安時代中期にすでにあらわれていた「者」に對する「モノ」という訓が, 論語では中世末期·近世初期に見えているところに注目される. 古辭書をとおした考察では, 集注本の訓だけでなく, 集解本の訓も觀智院本類聚名義抄に記載されていないものが少なくないことを確認した. これは辭書の編纂方針によるものとも考えられる. あるいは當該漢字に關する論語訓讀上の訓が, 當時としては特殊なものであった可能性もあると思われる. 現行本を通して中世の論語訓讀と現代日本の論語訓讀の關連について考えてみた. その結果, 音讀の比率が高くなったこと, 集解本より集注本の訓を繼承している例が多いことなど注目される. 全體的には現代の論語訓讀は本稿で考察對象としている集解本と集注本の範??を大きく外れないところにあると言える. 拙稿(2001A)と本稿とで, 論語集解本と論語集注本との間に, 訓の相違を示した用例に關する考察を終えた. 今後は付屬語と關連する訓讀法, すなわち再讀や接續法などに關して考察していく必要があると思われる. また, 同時代の他の訓点本についても考察し, 論語と比較する作業をも行う必要があると考えている.

      • KCI등재후보

        흡연에 대한 인식과 태도가 담배회사 이미지와 담배회사 사회공헌활동 인식에 미치는 영향

        오미영 한국소통학회 2010 한국소통학보 Vol.13 No.-

        본 연구에서는 흡연에 대한 인식과 태도가 담배회사에 대한 이미지와 담배회사의 사회공헌활동 인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흡연에 대한 인식과 태도가 어떻게 비흡연자들을 흡연자들로 편입시키려는 담배회사의 노력을 상쇄시켜 흡연예방과 억제에 기여할 수 있는지를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흡연인식은 흡연태도에 유의미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흡연에 대한 인식이 부정적일수록 흡연에 대해서도 부정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또한, 흡연인식과 흡연태도는 담배회사 이미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흡연인식이 담배회사 이미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반면, 흡연태도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흡연에 대한 인식이 부정적일수록 그리고 흡연태도가 긍정적일수록 담배회사에 대한 이미지가 부정적인 것을 볼 수 있었다. 더불어, 흡연인식과 태도는 담배회사 사회공헌활동 인식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담배회사 이미지는 담배회사 사회공헌 활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나 담배회사 이미지가 부정적일수록 담배회사 사회공헌 활동에 대해서도 부정적으로 인식으로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흡연에 대한 인식이 담배회사 이미지를 통해 담배회사 사회공헌활동 인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해 주며, 흡연인식이 어떻게 비흡연자들을 흡연자로 유인하기 위한 담배회사의 노력을 상쇄시킴으로써 흡연억제에 기여할 수 있는지를 제시해 준다고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smoking perception offsets tobacco company's efforts to induce non-smokers and thus contributes to smoking prevention and control by investigating influence of smoking perception and attitude on the image of tobacco company and the perception of its CSR activities. The findings shows that smoking perception affects smoking attitude and that smoking perception and attitude affect image of tobacco company. Furthermore, smoking perception and attitude do not affect the perception of its CSR activities, but image of tobacco company affects its CSR activitie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moking perception can affect the perception of tobacco company's CSR activities via image of tobacco company. As a result, this study suggests how smoking perception offsets tobacco company's efforts for inducing non-smokers and contribute to smoking prevention and control.

      • KCI등재

        자료포락분석기법(DEA)을 이용한 서울 시내버스운송업의 효율성 분석

        오미영,김성수,김민정 대한교통학회 2002 대한교통학회지 Vol.20 No.2

        Using 1996 annual observations for 69 bus firms in Seoul, this paper measures firm-level efficiency with data envelopment analysis(DEA) and identifies firm characteristics indicative of differential efficiency in these firms with Tobit regression analysis. The paper then conceptualizes that these firms produce two kinds of output(city/seat bus kilometers or city/seat bus passengers) using four inputs(labor, vehicle, fuel and maintenance). The findings show that, on an average, these firms have only a little input saving potential of 0.9 percent, while not a little output increasing potential of 12.9 percent. On the other hand, it is discovered that these firms operate more efficiently with a lower ratio of maintenance employees to total employees. Furthermore, it appears that both the ratio of seat buses to total buses and average speeds positively affect efficiency in this industry. 본 논문은 자료포락분석기법(Data Envelopment Analysis, DEA)을 이용하여 서울 시내버스업체들의 효율성을 분석하고, 토빗(Tobit)회귀식을 추정하여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시내버스업체는 노동, 차량, 유류, 정비의 네 가지 생산요소를 투입하여 두 종류의 두 가지 산출물, 즉 도시형버스-km와 좌석버스-km 또는 도시형버스와 좌석버스의 승객을 생산하는 기업형태로 상정되었다. 분석에는 서울의 69개 업체들에 대한 1996년의 자료가 사용되었다. 추정결과 서울의 시내버스업체는 평균적으로 아주 작은 비율인 0.9% 정도의 투입물만을 절감할 수 있었던 것으로 나타난 반면, 산출물인 승객수는 12.9% 정도 더 생산할 수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이들 업체는 총직원에서 정비직원이 차지하는 비율이 낮을수록 보다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좌석버스의 보유비율과 운행속도가 높을수록 이들 업체의 효율성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중세 일본의 논어 훈독에 나타난 조동사 고찰 - 과거・완료의 조동사를 중심으로 -

        오미영 한국일본어학회 2022 日本語學硏究 Vol.- No.71

        This paper examines 730 examples of auxiliary verbs indicating the past tense ‘きki’ and ‘けりkeri’ and the perfective aspect ‘つtsu’, ‘ぬnu’, ‘たりtari’ and ‘りri’ in Mubatsu-bon Lunyu Jijie volume 1 (abb. Mubatsu-bon), which is a standard glossed reading in the Medieval Japan. There are 11 examples of the past auxiliary verb ‘ki’, regardless of whether there are any factors that indicate the past tense in the Chinese original text. Of these 11, there are only 3 examples of ‘ki’ found in Shibunkai Kunten Lunyu. Further, ‘keri’ is used in 1 example only in Mubatsu-bon, but semantically, it is the case where the continuous aspect is expected to be used. The past tense auxiliary verbs are seldom used in the glossed reading of Lunyu including Mubatsu-bon. This is because the ‘historical present tense’ is used even in the case that describes the past. This is to express vividly the relevant scene, but is also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 of the literary style of Kanbun Kundoku whereby Chinese text is translated into Japanese simultaneously to assist with remembering and memorizing the original text. There are 21 examples of ‘tsu’ (11 examples are used as perfective aspect, and 10 examples are given as emphasis), and 35 examples of ‘nu’ (22 examples are used as perfective aspect, and 13 examples are given as emphasis), 24 examples of ‘tari’ (12 examples are used as perfective aspect, and 12 examples are given as continuous aspect), and 67 examples of ‘ri’ (13 examples are used as perfective aspect, and 54 examples are given as continuous aspect). It is clarifi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at the aspect-related factor, which was discussed in Edwin Pulleyblank (2010), does not always appear in all original Chinese texts. Rather there is no consistent tendency as shown in the fact that Japanese auxiliary verbs of continuous aspect are used in the Chinese particles that express the perfective aspect in some examples, whereas the opposite is also found in some other examples. In terms of a succession of Kundoku, ‘tari’ shows the highest frequency rate, followed by ‘ri’. The other auxiliaries ‘tsu’ and ‘nu’ are seldom inherited.

      • KCI등재

        천자문 주석서를 통한 석봉천자문 훈의 검토

        오미영 구결학회 2015 구결연구 Vol.35 No.-

        본 연구는 <석봉천자문>에 나오는 각 한자의 훈이 해당 구의 내용을 잘 반영하고 있는가를 탐구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우선 대표적인 천자문 주석서인 <주천자문>과 <천자문석의>의 내용을 비교하여 천자문 원문의 이해에 차이를 보이는 곳은 없는지 고찰하였다. 그리고 <천자문석의>의 내용에 입각하여 <석봉천자문>의 훈을 내용면에서 고찰한 것이다. 고찰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천자문 250句에 대해 주천자문과 천자문석의가 서로 다른 이해를 나타낸 곳은 25句이다. 둘째, 천자문에 등장하는 고유명사는 1字로 된 것이 46예, 2字로 된 것이 36예(한자 기준 72字)가 있다. 1字 고유명사 중 14예 정도는 석봉천자문 훈에서 고유명사로 인식했을 가능성이 있으나, 2字 고유명사는 고유명사로 인식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셋째, 한문에서 한자 2字가 하나의 단어처럼 기능하는 연면어는, 천자문 내에 35예(70字)가 확인된다. 이 중 21예는 연면어로서의 의미가 석봉천자문에 기재되어 있지 않다. 이는 고유명사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석봉천자문이 천자문 4字 1句에서의 의미보다는 해당 한자가 지니는 대표적인 훈을 학습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넷째, 고유명사와 연면어를 제외한 812字에 대해 천자문석의에 입각한 한자의 의미와 석봉천자문에 제시된 훈을 비교한 결과, 118字(전체의 약 15%)는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중 천자문석의에 의거할 때 동사로 해석되는 용례 39字에 대해 살펴보는 과정에서 석봉천자문의 훈이 상용도가 높은 것인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다.

      • KCI등재

        한국인의 일본어 표기의식에 관한 조사연구 : 다음 인터넷 일한사전 검색데이터를 이용하여

        오미영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연구소 2009 日本硏究 Vol.39 No.-

        本E稿では、Daumインターネット日韓辞書の検索データ-を利用して、韓国人が日本語を表K記する際に有する表記意識について、か行とた行を中心に考察した。また、考察結果を現行の外来語表-記法と比較し、その改善の方向を提示した。 外国語の発音を100%反映した外来語表.記法の制定は不可能に近い。しかし、最大限当該言語の発音に近く表ム記しながら、当該言語の音素体系を尊重しなければならない。その意味で、現行外来語表記法の表<記原則第2項の「外來語の1音韻は原則的に1記號で示す。」とは、大変有意義なものである。 語頭のか行子音が、韓国語の‘ㅋ’に比べ、有氣性が少ないことは事実であるが、‘ㄱM’で表=記する場合、か行子音の有聲音である、が行子音の表A記と混乱を起こすおそれがあるので、出現する位置に関係なく、か行子音は‘ㅋ’で表m記し、が行子音は‘ㄱ’で表記するのが望ましい。考察對象用例で語頭に登場する「か」の場合、‘가’で書かれたものの比率が高かったが、これは韓国語において固有語と漢語の語頭に‘카M’があらわれないことと、外来語表ツ記法の影響である可能性とが考えられる。 無聲破裂音「た、て、と」は出現する位置に関係なく、有氣破裂音‘타·테·토’で表ノし、有聲破裂音「だ、で、ど」は、‘다·데·도’で表/記するのが望ましい。無声破擦音「ち」も、出現する位置に関係なく、‘치’で表_記し、「ぢ」は「じ」とともに、現行の規定とおり‘지’で表すのが望ましい。 現行では、無聲破裂音「つ」は出現する位置に関係なく、‘쓰’で表している。しかし、‘쓰’の子音は摩擦音であり、「つ」との音声学的な関わりが少ない。従って、音聲學ァ的により近い破擦音‘츠’で表ワし、「づ」は「ず」とともに‘즈’で表記するのが望ましい。

      • KCI등재
      • KCI등재

        국제평화와 안전의 보장과 UN의 한계와 미래 : 집단 안보체제로서의 UN은 유효한가?

        오미영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2020 평화학연구 Vol.21 No.4

        As stipulated in Article 1 of the Charter of the United Nations, the most important purpose of the United Nations is to "maintain international peace and security" as a post-war collective security system. Nevertheless, the UN as a collective security system did not work properly during the Cold War, and expectations for proper post-Cold War activities did not last long. The article analyzes the external and internal challenges and problems of UN activities as the effective collective security system as the drafters of the Charter intended in the ear of foreshadowing the hegemony struggle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and unprecedented COVID-19 pandemic. Based on the analysis above, this article concludes that the UN is standing at crossroads of its fate as a post-war collective security system. UN헌장 제1조에 규정된 바와 같이 UN의 가장 중요한 목적은 전후 집단안보체제로서의 “국제평화와 안전의 유지”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집단안전보장체제로서의 UN은 냉전시기 동안 제대로 작동되지 못하였으며 냉전 이후 제대로 된 활동에의 기대도 오래가지 못했다. 이 글은 국제평화와 안전의 유지를 위한 UN의 역할을 역사적으로 살피고, 아울러 미국과 중국 사이의 헤게모니 투쟁 전조가 보이는 현재 집단안전보장체제로서의 UN활동에의 외적, 내적 도전들과 문제를 분석하고 집단안전보장체제이자 국제평화와 안전의 보장을 위한 UN의 미래가 미증유의 COVID-19 시대에 갈림길에 서 있다고 결론을 내리고 있다.

      • KCI등재

        ソウル大学校蔵『源氏物語』(貴3201/60B)の書き込みについて

        오미영 한국일본어학회 2017 日本語學硏究 Vol.0 No.54

        The manuscript of Genji-monogatari, possessed by Seoul National University (SNU manuscript, hereafter) can be referred as an annotative text or high-level textbook, because it is written with high usage of Chinese characters and is easy to understand.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SNU manuscript is the many annotations on the text with red and black ink conveying additional indication. Especially, there are a variety of linguistic information in black ink annotation. The frequency of these annotations are not distributed evenly and vary by chapter. This paper reports the concrete examples with black ink annotations on the 3 chapters (Suma (12th chapter), Akashi (13th chapter), Miotsukushi (14thchapter) because there are many annotations in these chapters. There are 1288 examples of annotations with black ink on the 3 chapters. These annotations consist of annotations about correction of text (248 examples) and annotations about orthography and pronunciation (1035 examples). Also, there are 5 examples of annotations with two or more types of linguistic informatio noted on the same character. First, annotations that are related to the text correction consist of alternative version mark (24 examples), additional mark (103 examples), and deletion mark (121 examples). These examples show well thet annotator’s efforts to elevate the accuracy of the text. Then, annotations that are related to orthography and pronunciation consist of sonant mark (460 examples), non-voiced sound marks (75 examples), Katakana marks beside the Chinese character (468 examples), Katakana mark beside the Hiragana (29 examples), and Chinese marks beside the Hiragana (2 examples). There are in particular a large number of marks beside the Chinese characters and repeated signs, and Katakana marks beside of Chinese characters. There marks were affixed for pronouncing accurately when reading the text aloud. 서울대학교 소장 『源氏物語』(이하, 서울대본)는, 한자사용율이 높고 그로 인해 내용을 이해하기 쉽도록 한 주석적 본문 혹은 고도학습본이라고 말할 만한 겐지모노가타리 텍스트이다. 서울대본은 朱와 墨으로 본문 위에 여러 가지 내용이 다수 기입되어 있다는 점도 특징적이다. 특히 먹으로 다양한 언어 정보가 기입되어 있다. 이러한 언어 정보의 기입은 전체에 걸쳐 일률적이지는 않고 권에 따라서 많이 기입된 것도 있고 전혀 기입된 것이 없는 것도 있다. 본고는 주기의 기입량이 많은 巻12須磨․巻13明石․巻14澪標의 세 권을 대상으로 墨으로 기입된 注記에 대해 조사하여 보고한 것이다. 墨으로 기입된 注記는 巻12須磨․巻13明石․巻14澪標의 세 권에서 1288예가 확인된다. 이것은 크게 본문 교정에 관련이 있는 것(248예)과 표기 및 발음과 관련이 있는 것(1035예)으로 나눌 수 있다. 이밖에 2종 이상의 언어 정보가 기입된 것(5예)도 있다. 이러한 언어 정보를 통해 당시의 다이묘 계급의 학문 레벨을 짐작할 수 있다. 본문 교정에 관련이 있는 것은 異本注記(24예)․補入記号(103예)․見せ消ち(121예)가 있다. 이 용례로부터 본문의 완성도를 높이려고 노력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표기나 발음과 관련이 있는 것에는 한자나 반복부호 위에 기입된 탁점(460예)․不濁点(75예)․한자에 기입된 振り片仮名(468예)․平仮名에 기입된 振り片仮名(29예)․平仮名에 기입된 振り漢字(2예)가 있다. 한자 위 그리고 반복부 위에 붙여진 탁점과 한자에 振り片仮名가 기입된 용례가 특히 많음을 알 수 있다. 이들 용례는 본문을 소리를 내어 읽을 때 정확하게 발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