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강릉학의 연구 동향 및 지식 구조 탐색 - 의미연결망 분석을 활용하여

        연준모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2019 도시인문학연구 Vol.1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학으로서 강릉학의 연구 동향과 지식 구조를 탐색한 후 이를 기반으로 앞으로의 강릉학의 발전 방향에 대하여 논의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강릉학은 ‘강릉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연구’로 개념화될 수 있으며, 강릉학의 연구 동향의 분석을 위하여 RISS, KISS, DBPIA 등 다양한 논문데이터베이스에서 ‘강릉’을 주제어 또는 제목으로 포함하고 있는 학술지 논문들을 검색하였고, 그 결과 총 474편의 논문들을 수집하였다. 이어서 발행년도와 학문 분야에 따라 논문들의 발간 현황을 분석함으로써 지금까지 강릉학 연구가 어떻게 이루어져 왔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수집된 논문들에 포함된 키워드의 출현 빈도 분석과 함께 의미연결망분석을 활용하여 각 키워드 간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강릉학의 연구 동향과 지식 구조를 보다 체계적으로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간 현황에 있어서는 전반적으로 강릉학 연구가 꾸준히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대다수의 연구는 인문학, 사회과학, 자연과학 분야에서 주로 이루어졌다. 둘째, 전체 연구물들의 키워드들을 분석한 결과 강릉, 강릉단오제, 만족도, 축제, 강릉방언 등이 출현빈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의미연결망 분석에서의 중심성 수치는 강릉, 강릉단오제, 축제, 관광, 강원도 등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각 분야별 연구에서의 키워드들을 분석한 결과, 인문학 분야에서는 강릉, 강릉단오제, 강릉방언의 출현 빈도가 높았고, 중심성 수치는 강릉, 동해, 강릉단오제 등이 높게 나타났다. 한편 사회과학 분야에서는 만족도, 강릉단오제, 축제 등이 출현 빈도가 높았으며, 중심성 수치는 이와 비슷한 순서로 높게 나타났다. 자연과학 분야에서는 강릉, 강릉남대천, 태풍 등이 출현 빈도가 높았으며, 강릉, 취약성, 지역 등의 키워드들이 중심성 수치가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요약하여 기술하였고, 앞으로의 강릉학의 발전 방향에 대한 방안들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search trends and knowledge structures of studies on Gangneung as locality studies. In this study, Studies on Gangneung can be conceptualized as 'research conducted related to Gangneung'. In order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Gangneung Studies, journal articles containing 'Gangneung' in its title or keywords in various research database such as RISS, KISS and DBPIA. As a result, a total of 474 papers were collected. After that, analyzing the publication status of the papers according to the year of publication and academic field, this study examined how the studies on Gangneung have been published so far. Then, by analyzing the presence frequency of the keywords included in the collected articles and using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we investigated the research trends and knowledge structures of the studies on Gangneung more systematicall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ies on Gangneung have steadily increased so far, and the majority of studies have been conducted mainly in humanities, social sciences, and natural science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keywords of all collected studies, the appearance frequency of Gangneung, Gangneung Danoje, satisfaction degree, festival, Gangneung dialect was high, and the centrality values ​​in semantic network analysis were high in Gangneung, Gangneung Danoje, festival.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keywords in each academic field, the appearance frequency of Gangneung, Gangneung Danoje, and Gangneung dialects was high in the humanities field, and the central values ​​were high in Gangneung, the East sea, and Gangneung Danoje. In the social science field, the frequency of satisfaction degree, Kangnung Danoje, and festivals were high, and the centrality was high in similar order. In the natural sciences, the appearance frequency of Gangneung, Gangneung Namdae stream, typhoon, etc. The centrality of the key words such as Gangneung, vulnerability, and region were high in the natural sciences. Fin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nd suggestions for future direction were provided.

      • KCI등재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의 연구동향 및 지식구조: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연준모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8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61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and knowledge structure of 『Korean Journal of Physical, Multiple, and Health Disabilities』. Method: For this research purpose, the studies published in 『Korean Journal of Physical, Multiple and Health Disabilities』were analyzed. Specifically, the studies published from 2002 to 2018 were analyzed with keyword network analysis using KrKwic and UCINET 6.0 program.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most frequently used keywords were cerebral palsy and physical disability. Second, the ranking of the keywords were changed according to the three periods, 1st period(2002~2007), 2nd period (2008~2012), and 3rd period(2013~2018). Finally, the keywords with highest centrality were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 and ‘career education’. In addition, these keywords with high centrality varied according to the three period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ggested.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 were discussed.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의 연구동향과 지적구조를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이를 위하여『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에 게재된 논문들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2002년부터 2018년까지 학술지에 게재되었던 논문들이 분석에 포함되었으며,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은 주로 KrKwic와 UNICET 6.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출현 빈도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에서의 나타난 주요 키워드들은 ‘뇌성마비’, ‘지체장애’ 등이었다. 둘째, 출현 빈도가 높은 주요 키워드들은 시기에 따라 변화가 나타났다. 즉 1기(2002년∼2007년), 2기 (2008년∼2012년), 3기(2013∼2018년)를 거치는 동안 주요 키워드의 순위에는 변화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하여 높은 중심성을 지닌 것으로 밝혀진 키워드로는 ‘보완대체의사소통’, ‘직업 및 진로교육’ 등이 있었으며, 이들은 높은 출현빈도를 보였던 키워드들과 상이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높은 중심성을 지닌 키워드들 역시 각 시기별로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결론: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적으로 제시하고, 연구에서의 제한점과 앞으로의 연구 방향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퍼스의 탐구공동체 이론에 비추어 본 조선 서원의 탐구공동체적 성격

        연준모 한국철학교육학회 2009 철학ㆍ윤리 교육 연구 Vol.25 No.41

        철학교육의 의미와 그 필요성에 대한 논의가 여전히 진행되고 있는 것은 사실이나, 어쨌든 오늘날 철학교육은 덕목 중심의 도덕교육의 대안 내지는 보완책으로서 커다란 주목을 받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철학교육에 대한 관심과 각광이면에는, 철학교육이 너무 지나치게 서양식 탐구 패턴을 답습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우려도 동시에 존재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 결과 일군의 철학교육 연구자들은 동양철학 내지는 한국 철학적 접근을 철학교육에도 도입해야 한다는 주장을 제기하고 나선 바 있다. 본 글은, 우선 철학교육에 있어서의 동양철학적 접근의 타당성을 받아들이면서, 그것의 전제로서 과연 우리나라에도 철학교육의 모습이 존재했었는지 그리고 존재했다면 어떤 모습이었는지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이 글을 통하여 필자는, 관직 진출이나 입신양명이 아닌 학문 그 자체의 탐구를 목적으로 모인 학문 공동체였던 ‘서원’ 을 서양의 철학교육의 방법론으로 흔히 인용되는 퍼스의 ‘탐구공동체’ 이론에 비추어 보고 동서양의 철학교육적 공통분모를 찾아봄으로써, 서양 혹은 동양적 철학교육론의 무분별한 답습이나 지나친 편중을 벗어나 ‘동서양의 철학이 조화롭게 어우러지는 철학교육’이란 어떤 것인지에 대하여 스스로 생각해 보는 기회를 갖고자 하였다.

      • KCI등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창의력교육연구」의 연구동향 및 지식구조 탐색

        연준모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8 창의력교육연구 Vol.1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keyword relationship published in the「The Journal of Creativity Education」. To do this, keyword networks are constructed by extracting total 852 keywords from 221 papers published between 2007 and 2018. After dividing the entire period into the first period (2007-2012) and the second period (2013-2018), the main keywords with the highest frequency in the whole period and each period were selected. For the analysis, the keyword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by using these main keyword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keywords with high frequency in each period as well as the whole period were ‘creativity’ and relevant variables such as ‘creative thinking’, ‘creative characteristics’, ‘creative problem-solving’. Second, the keywords showing high centrality were also ‘creativity’, and the relevant variables as stated before also showed high centrality. On the other hand, as the research progressed from the first period to the second period, the changes in the research trends appeared. In particular, the research subjects and topics related to creativity have become increasingly diverse and specific as time passes, showing higher frequency and centrality. In addition to discussing the results, the limitations of the research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suggested.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의 대표적인 창의력교육 전문 학술지인「창의력교육연구」를 대상으로 하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주요 키워드 및 각 키워드 간의 관계를 파악한 후, 이를 바탕으로 하여「창의력교육연구」의 연구동향과 지식구조를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2007에서 2018년까지 게재된 학술지 221편에서 총 852개의 키워드를 추출하였다. 이어서 전체기간(2007-2018)을 1기(2007-2012년)와 2기(2013-2018년)로 나눈 후 전체 기간 및 각 분기에서 빈도가 높게 출현한 주요 키워드를 선정하였고, 이어서 전체기간과 각 분기별로 이 주요 키워드들을 활용하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기간은 물론 각 시기에 있어서 출현빈도가 높은 키워드는 ‘창의성’ 및 ‘창의적사고’, ‘창의적성격’, ‘창의적문제해결’ 등과 같은 창의성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변인들이었다. 둘째, 키워드네트워크 분석 결과에서도 높은 중심성을 보인 키워드는 역시 ‘창의성’이었고, 창의성 관련 변인들도 역시 높은 중심성을 나타냈다. 그러나, 1기에서 2기로 진행되면서 연구동향에서의 두드러진 변화가 나타났는데, 특히 창의력과 관련된 보다 다양한 연구대상과 주제가 주요 키워드로 등장하고 높은 중심성을 보이는 등, 시간이 흐름에 따라 연구대상 및 주제가 점차 다양해지고 구체화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어서 이러한 분석 결과에 대한 논의와 함께, 연구의 제한점 및 향후 연구 방향이 제시되었다.

      • KCI등재

        제주 지역 관련 교육 연구의 동향분석 및 연구방향 탐색 : 내용분석 및 의미연결망 분석을 활용하여

        연준모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2022 도시인문학연구 Vol.1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제주 지역과 관련된 교육 분야의 연구 동향을 탐색하고 앞으로의 제주 교육 연구의 방향에 대하여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지금까지 제주지역의 교육을 다루었거나 제주를 배경으로 이루어진 연구들 중 학술등재(후보)지에발표된 175편의 교육 분야 학술 논문들을 수집하였다. 이어서 이렇게 수집된 학술논문의 키워드를 대상으로 내용분석(content analysis) 및 의미연결망 분석(semantic network analysis)을 실시함으로써 제주 지역 관련 교육 연구의 지식 구조와 연구 동향을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주 관련 교육 연구는 교육학의전 영역에 걸쳐서 고루 이루어졌으며, 전반적으로 교육행정 및 교육 자치에 대한연구가 주를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분석의 전반기의 연구와 후반기의 연구는 연구의 키워드와 주제에 있어서 상이한 양상을 보여주었는데, 전반기에는 주로 교육자치와 관련된 교육행정과 제도의 측면이 주로 다루어진 반면, 후반기에는 보다다양한 교육의 분야에 대하여 다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서 본 연구 결과에대한 논의와 함께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한 제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IRD 척도를 활용한 읽기부진학생의 읽기유창성 중재에 대한 메타분석

        연준모,김동일 국립특수교육원 2014 특수교육연구 Vol.21 No.1

        읽기 유창성은 읽기부진 학생들의 읽기 향상을 위한 핵심적인 기능 요소로 확인되어 왔으며, 한편 이러한 부진학생들을 위하여 오늘날에는 각 중재 단계에 따라 개별화된 교수를 제공하는 중재반응모형(Response To Intervention: RTI)이 각광을 받고 있다. 본 연구는 개선율 차이 (improvement rate difference: IRD)척도를 활용하여 국내 읽기유창성 중재 단일대상연구에 대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함으로써, 개별화된 교수 환경에서 보다 효과적인 읽기유창성 중재의 특성들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상 연구들의 전체적인 효과크기와 함께 학생 관련, 중재 관련, 실행 관련, 평가 관련 변인에 따른 효과크기의 분석이 이루어졌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적인 효과크기는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생관련 변인 분석에서 연령과 성별에 따른 효과크기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중재관련 변인 분석에서 직접교수와 전략교수 간의 효과크기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이 두 교수 방법을 하나만 적용한 경우는 동시에 두 방법을 적용한 것에 비하여 효과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중재 목표에 따른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실행 관련 변인 분석에서는 중재 회기 수에 따른 효과 크기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넷째, 평가 관련 변인 분석 결과, 표준화 검사와 비표준화 검사 결과를 적용한 경우 간의 효과크기 차이도 유의하지 않았다. 이어서 이러한 분석 결과에 따른 논의가 이루어졌으며, 연구가 가지고 있는 시사점 및 제언이 제시되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hat finding out the effective intervention characteristics for the improvement of reading fluency, focusing on the intervention of Tier 2 and 3.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mployed the meta-analysis method to derive the general and comprehensive conclusions from the individual studies and tried to discover the effective instruction methods for small group or one-to-one instructions by synthesizing the results of single-subject research on reading fluency for students with reading difficulties. Accordingly, overall effect size of reading fluency intervention research was calculated and each effect size was yielded according to student-related variables, intervention-related variables, implementation-related variables and measurement-related variables. In addition, in this meta-analysis effect sizes were calculated by using IRD (improvement rate difference) index. Until now, effect size is mainly computed by using PND (percentage of non-overlapping data) index. However, some recent research proved that IRD is the better index for calculating effect size of single-case research since IRD can discriminate the effect sizes more exactly than PND index and yield confidence intervals with effect size. Therefore, this study implemented the meta-analysis by using IRD index, accordingly presented the results and suggested the implications for reading fluency intervention.

      • KCI등재

        장애학생 대상 사회과 중재 연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분석: 내용 분석 및 질적 지표 기반 분석을 활용하여

        연준모,김동일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22 교과교육학연구 Vol.26 No.3

        This study is a systematic review on social studies intervention research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with an investigation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ies based on publication status and content analysis, and evaluating the quality of research using CEC qualitative indicators.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finding implications for current research trend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for social studies interventions. For this purpose, a total of 16 peer-reviewed papers published as a social studies intervention study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selected. First, a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research subject’, ‘research design’, ‘independent variable (intervention)’, ‘intervention environment’, and ‘dependent variable (intervention result)’, and the effect size of the intervention was calculated. Next, the quality of each study was measured, using the quality indicators applied to group experimental studies and single-subject studies, and the possibility for the evidence-based interventions was examined in the proces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as a result of the content analysis, the overall effect size of the intervention was found to be huge, but the number of studies was insufficient to establish evidence-based interventions. On the other hand, the quality indicator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many studies met the qualitative indicators at a high level. Lastly,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implications for future social studies intervention studie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현재까지 발표된 장애학생 대상 사회과 중재 연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분석으로서, 발간 현황과 내용 분석을 통하여 기존 연구의 일반적 특성을 확인하고, 질적 지표 기반 분석을 통해 연구의 질을 평가함으로써 사회과 증거기반실제의 구축에 대한 시사점과 앞으로의 사회과 중재의 연구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하여 장애학생 대상 사회과 중재 연구로서 지금까지 발표된 총 16편의 학술등재(후보)지 논문을 분석 대상 논문으로 선정하고 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내용분석을 위하여 ‘연구대상’, ‘연구설계, ‘독립변인(중재)’, ‘중재환경’, ‘종속변인(중재결과)’에 따른 범주별분석을 실시하였고, 중재의 효과크기를 산출한 후 각 연구의 특징에 대하여 종합적으로 검토하였다. 이어서 집단실험연구 및단일대상연구에서 적용되는 질적 지표를 활용하여 각 연구의 질을 측정하고, 이러한 측정을 통하여 증거기반중재의 구축을위한 가능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내용 분석 결과 연구의 수 자체가 증거기반실제를 구축하는 데에는 다소 미흡하였으나, 다양한 중재 방법이 적용되었으며 중재 효과 또한 전반적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질적 지표 분석 결과에 따르면, 지표별 차이는 다소 있었으나 다수의 연구는 질적 지표를 높은 수준으로 충족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분석 결과가 주는 함의와 함께, 연구의 제한점 및 앞으로의 장애학생 대상 사회과 중재 연구에 주는 시사점에대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

        학습부진 대학생 중재 연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 및 질적 지표 기반 분석

        연준모 대한사고개발학회 2019 사고개발 Vol.1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intervention research on under-achieving college students and evaluate the quality of research by applying quality indicator analysis. For the analysis, a total of 16 studies published in Korean peer-reviewed journals were collected and the contents were analyzed according to 'subject information and selection criteria', 'research design', 'independent variables (intervention) and related information', 'dependent variables and results', and 'effect size'. Then, the quality of each study was evaluated using the eight qualitative indicators proposed by the WCC, and the possibility of establishing evidence-based intervention was examine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According to the systematic review, most of the studies included detailed information on subjects, independent variables (intervention) and dependent variables, providing statistics to test the significance of the effects. However, qualitative indicator analysis shows that the majority of studies fail to provide rich information enough to establish evidence-based intervention. Finally,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지금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학습부진 대학생 대상 중재연구의 내용 과 특성에 대하여 체계적 문헌고찰의 방법을 통하여 검토해 보고, 질적 지표에 의거한 분석을 통해연구의 질을 평가함으로써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하여 지금까지 국내 학술지에서 발표된 총 16편의 학습부진 대학생 중재 연구를 대상 논문으로 선정하였다. 먼저 체계적 문헌고찰을 위하여 ‘연구대상 정보와 선정기준’, ‘연구설계, ‘독립변인(중재) 및 관련정보’, ‘종속변인 및 결과’, ‘효과크기’ 등을 기준으로 내용을 분석하였고 각 연구의 특징에 대하여 종합적으로 검토하였다. 이어서 WCC에서 제안한 8가지 질적 지표를 활용하여 각 연구의 질을 평가하고 증거기반중재의 구축을 위한가능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한 분석 결과, 대상 연구는 대부분 연구대상, 독립변인(중재), 종속변인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었으며, 효과크기를 산출할 수 있도록 연구 결과와 관련된 주요 통계치를 제공하고 있었다. 그러나 질적 지표 분석 결과에 따르면, 대다수의 연구가 증거기반 중재를 구축하는 데에는 질적으로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분석 결과가 앞으로의 연구에 주는 시사점에 대하여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