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지적·정서적 공감 프로파일에 따른 또래 괴롭힘 태도 및 주변인 참여 역할 차이

        여태철(余泰澈),김명섭(金明燮)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아시아교육연구 Vol.21 No.1

        본 연구는 잠재 프로파일 분석을 활용하여 인지적, 정서적 공감 수준에 따라 서로 다른 프로파일이 나타나는지, 또 각 프로파일이 또래 괴롭힘 태도 및 방관, 가해-동조, 피해-방어 역할에 있어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분석하였다. 초등학교 5,6학년 학생 979명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인지적, 정서적 공감, 또래 괴롭힘에 대한 태도, 괴롭힘 참여 역할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인지적, 정서적 공감 수준이 상이한 6개 프로파일을 확인하였다. 프로파일 별로 괴롭힘 태도와 참여 역할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전체적으로 괴롭힘에 대한 태도의 경우 인지적 공감수준이 높을수록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인지적 공감 수준이 유사하더라도 정서적 공감 수준이 다를 경우 방관자 역할, 피해-방어자 역할, 가해-동조자 역할에 있어 차이를 보여, 괴롭힘 참여 역할에는 정서적 공감이 더 크게 관련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또래 괴롭힘 이해 및 예방에 있어서 공감의 역할과 인지적, 정서적 공감 간 구분의 중요성에 대해서 논의하였으며, 인지적, 정서적 공감을 균형 있게 고려한 괴롭힘 예방 프로그램의 필요성에 대해 제언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in peer bullying attitude and participation role according to cognitive-affective empathy profiles using latent profile analysis. Nine-hundred and seventy-nine 5th and 6th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 identified their cognitive and affective empathy, attitude toward bullying and participation roles in bullying via self-report method.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ix latent profiles with different levels of cognitive and affective empathy. Bullying attitude and participation roles were also differed by latent profiles. Overall, the higher the level of cognitive empathy they had, the more negative attitude about bullying they showed. Bystander behaviors, however, were differed by their affective empathy. Based on the findings, the role of empathy in peer bullying and the importance of the distinction between cognitive and affective empathy were discussed.

      • KCI등재

        1950년대 언어적 현실과 한 시인의 실험적 시쓰기 - 김종삼의 초기시를 중심으로

        여태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3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59 No.-

        This paper looks at the issue of the linguistic identity of the post-war generation poets in the 1950s. And this paper examines poetic qualities of Kim Jong-sam who had tried the experiment of the new poetic language in this process. An unwanted Chinese character and awkward syntactic structure, and strange languages which were created by new cultural experience, appeared irregularly in the poems of the poets belonging to the post-war generation. Korean language as a native language was very unfamiliar to this generation. Japanese colonial era, they learned to read and write by Japanese language instead of Korean language in the regular curriculum. Therefore, a fair assessment on poets and poetry in the 1950s are available only on a concrete understanding of the linguistic reality of the time. They are bilingual users who using familiar Japanese language and unfamiliar Korean language at the same time. When we looked their poems in terms of linguistic identity, different interpretations are possible. They wrote a poem as a process that discovered or invented a new poetic language in a state of linguistic vacuum, the disappearance of the native language. In the 1950s, Kim jong-sam belonged to Japanese generation the relatively young poets knows more Japanese language than Korean language. Kim jong-sam was experimenting the possibilities of poetic language in reality required by the suppression of Japanese language, the compulsion of Korean language. Although unfamiliar foreign word and many Chinese character appeared, but he was willing to pursue the purity of the language. It appears while subjectivity of discourse is erased, and does not undermine the materiality of language itself. As a result, subjectivity of discourse disappeared and the materiality of language was stand out. In addition,it was only a simple background, the meaning becomes apparent due to special accidents(Unconcealment accident) often found in Kim jong-sam's poems. 이 논문은 1950년대 전후세대 시인들이 겪었던 언어적 정체성의 문제를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 새로운 언어적 실험을 시도했던 김종삼의 시적 특질을 검토한다. 전후세대에 속하는 시인들의 시에는 불필요한 한자들과 어색한 통사구조, 그리고새로운 문화적 체험에 의해 만들어진 낯선 언어들이 불규칙적으로 등장한다. 이세대에게 모국어로서의 한국어는 매우 낯선 것이었다. 이들은 일제강점기 동안 정규교육 과정에서 한국어 대신 일본어로 읽기와 쓰기를 배웠다. 그러므로 1950년대 시인과 시에 대한 온당한 평가는 당시의 언어적 현실에 대한 구체적인 이해 위에서만 가능하다. 익숙한 일본어와 낯선 한국어를 동시에 사용하고 있었던 이중언어 사용자로서의 그들의 시를 언어적 정체성이라는 측면에서 새롭게 바라보았을 때, 지금까지와는 다른 해석이 가능하다. 그들은 모국어가 사라진 언어적 진공상태에서 새로운 시적 언어를 발견하거나 발명해내는 과정으로 시를 썼다. 1950년대 김종삼은 일본어를 우리말보다 더 잘 아는 비교적 젊은 시인, ‘일본어 세대’에속했다. 그는 일본어의 억압, 한국어의 강제가 요구하는 현실 속에서 시적 언어의가능성을 실험했다. 비록 생경한 외래어와 많은 한자어가 등장하지만 그가 추구하고자 했던 것은 언어의 순수성이었다. 그것은 언술 주체를 시에서 소거하면서 언어 그 자체의 물질성을 훼손하지 않으려는 노력으로 나타난다. 그 결과 언술 주체가 부재하고 언어의 물질성이 두드러지는 그의 시들에서, 하나의 배경에 불과했던것이 특별한 사건으로 인해 의미가 확연해지는 경우를 종종 발견하게 된다.

      • KCI등재

        임화의 언어의식과 시의 현실성

        여태천 ( Tae Chon Yeo ) 민족어문학회 2009 어문논집 Vol.- No.59

        이 글은 1930년대 조선어에 대한 위상과 이에 대한 임화의 태도를 구체적으로 그의 언어의식을 중심으로 살피면서 그가 동경했던 현실로서의 시의 모습이 어떻게 실현되었는가를 고찰하고 있다. 임화는 위기하의 조선어와 조선문학을 구하고자 했다. 그는 문학어로서의 조선어의 가능성을 근대어인 표준어에서 찾았다. 이와 함께 그는 문학을 완성하는 데 있어서 현실의 중요성을 누누이 강조했다. 그러나 현실이 구체적으로 어떤 언어를 통해 형상화 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명확한 해답을 제시하지 못했다. 언어에 대한 임화의 태도는 매우 비균질적이었다. 그러한 사실은 그의 시에서도 분명하게 확인된다. 사실, 임화가 생각한 시의 현실성은 표준어의 세계에 편입되지 못한 생활어를 통해서 가능한 것이었다. 임화는 산문에서 이를 인정하기도 했지만 정작 그의 시는 삶의 진실을 현실화하는 데 성공하지 못했다. 다만, 그의 시에서는 표준어가 되지 못한 조선어에 대한 상실감이나 이를 지켜보는 자의 비극적 태도가 부각된다. 임화는 일상어와 시어가 지니는 차이를 명확하게 인식하지 못했던 것으로 보인다. 임화에게 문학어는 언어의 운용방식이 아니라 현실적 제조건으로부터 규정되고 확보되는 것이었다. 시인으로서의 성공여부와 관계없이 문학어에 대한 임화의 고민과 날카로운 언어의식은 1930년대 문학사에서 이례적인 현상으로 기록될 만하다. This essay is that the study for knowing Joseon-language`s phase in 1930`s and Lim Hwa`s attitude of that, through his recognizing on a language. And considered the features of Lim Hwa`s poems in all bearings. Lim Hwa hope to save Joseon-language and Joseon-literature at the critical moment. Lim Hwa find Joseon-language possibility as literary language in standard language which is modern language. Just as important, he repeatedly lay emphasis on reality in which complete literature. But he could not definitely make an answer to how configurate the reality by language. Extraordinarily Lim Hwa`s attitude to language is not uniform. We could find that in his poems. In fact, the reality of poems which Lim Hwa thought, is able to realized by everyday language are not included to standard language. Lim Hwa admitted it in his other writings, but his poems are not succeed to realize sincerity of life. Nothing but in his poems, the loss to Joseon-language which fails to standard language and tragic attitude of a poet have to see it, are embossed. In this respect, Lim Hwa does not recognize the different everyday language and poetic language. We come to the conclusion that literary language to Lim Hwa is not obtained and ruled by a application system of language but realistic elements.

      • KCI등재

        중학생의 자기통제와 학업성취도의 관계 :학습된 무기력과 학습전략의 매개효과

        여태철 ( Yeo Taechul ),임효진 ( Lim Hyo Jin ),황매향 ( Hwang Mae Hyang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7 교육문화연구 Vol.23 No.1

        이 연구는 중학생의 자기통제가 학습된 무기력과 학습전략을 매개로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 시내 4개 학교 중학생 857명으로 남학생은 449명, 여학생은 408명이었다. 측정도구는 자기통제, 학습된 무기력, 학습전략이었고 학업성취도는 1학기 기말고사 성적의 평균을 사용하였다. 기술통계 결과 자료의 정규성을 가정할 수 있었고, 확인적 요인분석에서는 모형적합도를 갖춘 것으로 나타났다. 구조방정식을 통해 연구모형의 적합도를 분석한 결과 양호한 적합도를 보였으며 구체적으로 자기통제는 학습된 무기력에는 유의한 부적 효과를 보인 반면 학습전략에는 유의한 정적 효과를 보였다. 학업성취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은 학습된 무기력과 학습전략으로 나타났고, 경로효과에서 자기통제는 학습된 무기력과 학습전략을 통한 간접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학습된 무기력과 학습전략은 자기통제와 학업성취도의 관계를 완전매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선행연구와의 관련성,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 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self-control of middle school students on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learned helplessness and learning strateg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857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449 male students and 408 female students). Self-control, learned helplessness, and learning strategies were self-reported and the average scores of final exam of the first semester of students were gathered from their teachers. We could assume the normality of the data through the descriptive statistics, and the model fitted the data in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our hypothesized structural equation model fitted the data well based on fit indices. Self-control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learned helplessness an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learning strategies. The negative direct effect of learning helplessness and positive direct effect of learning strategies on academic achievement were found. Finally, learned helplessness and learning strategies were found to fu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trol and academic achievem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relevance of previous research, significance of research findings and limitations were suggested.

      • 등가 물성치를 이용한 브레이크 디스크의 축대칭 유한 요소 해석에 관한 연구

        여태인(Taein Yeo) 한국자동차공학회 2002 한국자동차공학회 춘 추계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2 No.5_3

        In automotive brake systems, the frictional heat generated can cause high temperature at the intetface of rotor and pad which may deteriorate the material properties of the sliding parts and can result in brake fude. Normally, a pieshaped 3-dimentional model is adopted to calculate temperature of ventilated disk using finite element method.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in preparing 3D finite element model and reduce the computational time requiIcd, the ventilated rotor is to be represented, in tins study, as an axisynuretric finite element model for which,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effects of the cooling passages, a homogenization technique is used to obtain tile equivalent thermal properties and boundary conditions for thee elements placed at the vent holes. Numerical tests using tile proposed method are found to be satisfactory compared with those of three dimensional analysis.

      • KCI등재

        일반논문 : 1930년대 새로운 시와 시적 언어의 한계 -김기림의 시와 시론을 중심으로

        여태천 ( Tae Chon Yeo ) 국제비교한국학회 2013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1 No.3

        이 논문은 1930년대 김기림의 시와 시론을 중심으로 그가 새로운 시를 어떻게 구상해나갔는지를, 그리고 그 과정에서 맞닥뜨리게 된 시적 언어의 한계는 어떤 것이었는지를 살펴보고 있다. 김기림의 시적 변화가 그가 주장한 시론의 변화에 기인한 것이라는 통념과는 달리, 그의 시에는 언어적 관심과 태도를 확인할 만한 구체적인 단서가 적지 않다. 그는 당대의 어떤 시인보다 외래어, 한자어, 관념어, 일상어 등을 적극적으로 차용하여 시적 언어로 수용하였다. 이로 인한 언어적 혼란은 그 현상의 모양과 정도를 달리하면서 그의 시에 지속적으로 나타난다. 김기림은 이와 같은 언어적 혼란을 나름대로 극복하면서 새로운 시의 방향을 모색하였다. 하지만 “과도기적 형태로서의 文語”의 단계를 벗어나지 못하고, 동시에 “발견된 말의 가치”를 획득하지 못한 채 언어의 보편성으로 줄어들고 말았다는 것은 김기림 시가 지닌 언어적 한계라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30년대 모더니즘을 새롭게 수용한 김기림이 새로운 시를 구상하면서 언어에 대해 남다른 고민을 하고 있었다는 사실은 매우 소중한 우리 문학의 자산임에 틀림없다. 김기림의 시가 보여주는 언어적 변화는 문화적 경험과 그것을 하나의 기호로 인식하고 소비했던 1930년대 한 시인의 특수한 사례에 해당한다. 동시에 그 변화는 조선 문학이 언어적 측면에서 그 영역을 새롭게 확보해가는 중요한 과정으로 이해할 만하다. This article looks around Kim Ki-rim`s poems and his poetics in 1930s. Specifically looks all around carefully how he envisioned a new poetry and what the limits of the poetic language which he confronted in the process. It is the general idea that Kim Ki-rim of the poetry change was due to the change of poetics he claimed. But Kim Ki-rim`s poems, there is not a little concrete evidence to check his interest in language and his attitude to poetic language. He wholeheartedly accepted foreign word, Sino-Korean word, conception word, colloquial everyday language. He actively using those words better than anyone else as a poetic language. Due to its linguistic confusion appeared constantly in his poems as different shapes and degrees. Kim Ki-rim is overcoming such linguistic confusion and sought the direction of a new poetry in his own way. But his poetic language is not leaving the stage of “written language as a transitional form”, at the same time, is unable to obtain “discovered the value of language”. Thus his poetic language reduced to the universality of the language. It is the linguistic limitations of Kim Ki-rim`s poems. Nevertheless Kim Ki-rim who the newly embraced modernism in the 1930s, envisioned a new poetry and extraordinary worried about the poetic language. That is a very valuable asset in korean literature. The linguistic changes appear at Kim Ki-rim`s poems are special case of a poet who spent and recognized it as a symbol of one corresponds to cultural experience in 1930s. At the same time the changes of Kim Ki-rim`s poems is understandable as an important Korean poetry process to secure the new area in terms of linguistic.

      • KCI등재

        주가 예측 모델에서의 분할 예측을 통한 성능향상 탐구

        여태건우,유도희,남정원,오하영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6 No.4

        본 논문의 연구 취지는 예측하고자 하는 다음 날과 이전 날의 시가 사이 변동률을 예측값으로 두고 시가를 예측하는 기존 논문들과는 다르게 예측하고자 하는 다음날의 주가 순위를 일정한 간격으로 분할하여 생성된 각 구간마다의 시가 변동률을 예측값으로 하는 모델을 통하여 최종적인 다음날의 시가 변동률을 예측하는 새로운 시계열 데이터 예측 방식을 제안하고자 한다. 예측값의 세분화 정도와 입력 데이터의 종류에 따른 모델의 성능 변화를 분석했으며 연구 결과 예측값의 세분화 정도에 따른 모델의 예측값과 실제값의 차이가 예측값의 세분화 개수가 3일 때 큰 폭으로 감소한다는 사실도 도출해 낼 수 있었다.

      • KCI등재

        오염의 메타포와 경계 허물기 - 1980년대 이후 한국 ‘여성 시’에 대해

        여태 국제비교한국학회 2020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8 No.2

        이 연구는 한국사회에서의 ‘여성’의 자리에 대해 다시 묻고, 1980년대 이후 한국‘여성 시’가 이를 어떻게 형상화했는가를 살피고 있다. 특별히 ‘여성 시’에서 발견되는 ‘오염’과 ‘더러움’의 메타포가 가부장적 위계질서의 결과이며, 그 폭력에 저항하는 ‘여성 시’의 특징과 한계 그리고 새로운 가능성을 최승자, 김혜순, 허수경, 김이듬, 김민정의 시를 중심으로 자세히 검토하고 있다. 1980년대 이후 한국의 여성 시인들은 자신들이 당면했던 제도적 모순에 대해 격렬하게 발언했으며, 이 점에서 ‘여성 시’가 갖는 폭발적인 에너지는 눈여겨봐야 할 만큼 중요하다. 그들은 자신들이 겪었던 고통의 원인이 가부장적 위계질서와 절대 권력이라는 사실을 자각하고 적극적으로 부정했다. 가부장적 위계질서는 여성에게 주체로서 목소리를 낼 수 있는 가능성을 막고, 당연히 주어져야 할 인간적인 지위마저 무너뜨려 왔다. 여성은 가부장적 위계질서 안에서 언제나 ‘위험한’ 자리였다. 가부장적위계질서가 정해놓은 영역 밖으로 나가는 것은 여성에게 허용되지 않았다. 가부장제에서 여성 주체가 더러움과 오염으로 낙인찍히고 존재론적 재난을 겪는 일은 비일비재했다. 오염된 여성의 몸은 가부장적 위계질서 안에서 여성이 어떻게 육체적으로, 정신적으로 억압을 받아왔는가를 보여준다. 1980년대 이후 ‘여성 시’들은 이전까지의 시와 확연하게 구분되는 개성을 드러내는데, 그동안 쓰지 않았던 비속어나 거친 언어를 표출한다. 솔직하고 거침없는 이들의 언어는 자신들이 겪은 깊은 절망과 위기의식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동시에생명을 잉태하고 보호하는 여성 고유의 역할이 세계의 폭력성을 어떻게 변화시킬 수있을지에 대한 고민을 보여주었다. 생명의 탄생이나 삶의 항상성과 관련된 여성적가치를 일깨우는 다양한 작품들이 발표되었으며, 근원적인 모성성의 가능성을 여성의 몸을 통해 형상화하기도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이성애적 성 정체성의 틀 안에서 ‘여성의’ 문제를 다루었다는 한계를 지닌다. 가부장제의 희생자이면서도 그것의 충실한 조력자가 되어온‘어머니들’에 대해 냉철한 분석이 필요한 시점이다. 젠더의 규범적 재생산이 가능했던 배경에는 이성애 중심주의와 가족이라는 제도가 자리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제는생명성의 근원으로서의 가능성이 완고한 이성애적 남성중심주의 질서를 허물 수 있을지에 대해 물어야 한다. 그 방식은, 한편으로 지배문화에 대한 대립과 부정에 지나친 에너지를 빼앗기지 않으면서, 또 한편으로는 인간에 대한 차별을 완전히 무력화시키는 방법이어야 할 것이다. This article asks about the phase of ‘female’ in Korean society, and studies how Korean ‘female poetry’ have expressed this since the 1980s. The metaphor of ‘contamination’ in ‘female poetry’ since the 1980s, that is the result of the patriarchal hierarchy. And this article looks at the characteristics, limitations and new possibilities of ‘female poetry’ against hierarchical violence. Since the 1980s female poets in Korea vehemently spoke about the institutional contradictions they faced, in this regard the explosive energy of ‘female poetry’ is important to note. They realized that the cause of their suffering was patriarchal hierarchy and absolute power, and they actively denied it. Female has always been ‘dangerous’ within the patriarchal hierarchy. It is not allowed to be outside the realm established by the patriarchal hierarchical order, and it is bound to become a dirty being. In patriarchy, it was not uncommon for a female subject to be stigmatized by dirt and contamination. The contaminated female’s body shows how she has been physically and mentally oppressed within the patriarchal hierarchy. Since the 1980s, ‘female poetry’ expressing profanity or harsh language has not been used in the past. At the same time, they have shown how female’s unique role in conceiving and protecting life can change the world’s violence. Various works have been published that awaken the feminine values related to the birth of life or the homeostasis of life, and have embodied the possibility of fundamental maternity through the female body. Nevertheless, it is a limit to dealing with the ‘female’ problem in the framework of heterosexual gender identity. It is time for a cold analysis of the mothers who have been victims of patriarchy and who have been faithful supporters of it. Heterosexualism and family system were the backgrounds for gender normative reproduction. Now we have to ask if the possibility of being a source of vitality could break down a rigid heterosexual male-centeredorder. ‘Female poetry’ should be a new resistance to seek identity within oneself. It should be a way without losing the excessive energy of conflict and denial against the dominant culture, on the other hand completely undoing discrimination against humans.

      • KCI등재

        김수영의 시와 근대 극복의 한 방식 : '책'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여태천(Yeo Tae-chon) 우리문학회 2012 우리文學硏究 Vol.0 No.35

        김수영 시에는 책을 직·간접적인 소재로 활용하는 시들이 있다. 김수영의 시에서 책이라는 텍스트는 흔히 세계의 유비로 사용되거나, 책에 대한 메타적 성격을 띠거나, 제목만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하지만 책이 하나의 표상으로 제시되는 경우, 세계를 이해하는 김수영의 시적 태도가 매우 명확하게 드러난다. 이 논문은 김수영의 책에 대한 인식의 변모과정과 그 양상에 주목하며, 그가 자기의식을 책이라는 대상을 통해 어떻게 시적으로 형상화했는가를 살펴보고 있다. 책에 대한 김수영의 이와 같은 태도의 변화는 서구적 근대를 극복해가는 과정과 다르지 않다. 또한 그것은 서구적 근대에서 벗어나 한국적 근대를 발견하고자 했던 김수영 태도와 매우 유사하다. 화려하게 빛나는 서구문물[책]과 거리를 두면서 새로운 시의 세계를 개시하고자 했던 김수영의 태도는 결국 서구적 근대와 낙후된 현실을 극복하는 한 방식이었다. Many of Kim Soo-Young's poems deal with book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Commonly a text of book in Kim Soo-Young's poetry compare to world or are metamorphosis of book or are used as title. In the initial period of his works, Kim Soo-Young regards the book as objects that cannot be understood, since the book in the world of his poetry is what cannot be accessible, what cannot be permitted to open. But the book presented as a symbol of world, it precisely showed Kim Soo-Young's views to the real world. This article pays attention to the process of Kim Soo-Young's recognition on book. And how to figurate self-consciousness in poetically. Kim Soo-Young's change of attitude on book is not different from the process of overcoming Western modernity. Also it bears a striking likeness to his attitude of finding Korean modernity[Korean Literature]. Kim Soo-Young created the new poetic world kept him a distance from the products of Western civilization[book] which was splendidly shining. In fact, a creation of poetry induced by Kim Soo-Young's thoughts on book is a way of overcoming Western modernity and backward of Korean realit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