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역동 우탁의 역학사상과 역학사적 지위

        엄연석 퇴계학연구원 2024 退溪學報 Vol.0 No.155

        이 글은 고려 말기에 역동 우탁의 역학사상의 특성과 역학사적 위상을 해명하였다. 본론에서 그의 역학 사상이 占筮易學에 기본을 두면서도 성리학적 義理易學을 지향하고 있음을 규명하였다. 구체적으로 우탁의 역학 사상은 자연의 象數的 법칙과 인사의 義理的 당위성이 도학적 忠義를 실천하는 것을 통해서 首尾一貫하고 本末始終이 일치하는 특성을 가지는 것임을 살펴보았다. 우탁은 먼저 괘효사의 원시적인 기능으로서 점을 치는 것에 대하여 충분한 이해를 하였다. 중국으로부터 의리역학 이론이 수용되기 이전에 고려에 『주역』이 있었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象數와 占筮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하였다. 동시에 우탁은 정이가 誠敬으로 『주역』 「췌괘」의 괘효사를 해석한 것을 이어 유가적 의리역학적 관점에서 괘효사를 이해하였다. 우탁이 충선왕의 비행에 격분하여 죽음을 무릅쓰면서 간언을 한 것은 의리역학의 관점을 포함하면서 송대 성리학의 실천적 道學이 지향하는 방향이기도 하다. 우탁의 의리역학 사상에 지니는 유학적 역학사적 의미를 다음과 같이 몇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는 고려 후기의 상수역학적 경향을 지니고 있던 역학의 흐름에 새로운 의리역학의 전통을 확실하게 구축했다는 점이다. 둘째는 성리학적 수양론과 결합하여 誠敬을 강조함으로써 조선시대 誠과 敬을 중심으로 하는 성리학의 수양론에 커다란 영향을 주었다는 점이다. 셋째는 충절을 실천함으로써 지행합일이 이루어진 의리역학을 지향함으로써 후대 조선시대 道學의 연원을 열었다는 점이다. 넷째, 후대에 학덕과 행적을 기리는 서원을 건립하여 유학의 교육 체계를 구성하는 운동의 단초를 열었다는 점이다. 다섯째는 후대 학자들에게 ‘충절’과 ‘은거’로 ‘殺身成仁’, ‘遯世無悶’, 獨善其身과 같은 실천적 표준과 모델을 제시했다는 점이다. 요컨대, 우탁의 역학사상의 특징을 한마디로 요약한다면 時中을 추구하는 지행합일적 의리역학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clarifi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Yixue thought and status of the Yixue history of Yeokdong Wootak in the late Goryeo Dynasty. In the main subject, it was established that his Yixue thought was based on Jeomseo Yixue(占筮易學), but was also oriented towards Neo-Confucian moral-principle Yixue(義理易學). Specifically, Wu Tak's Yixue thought is consistent and coherent from beginning to end through practicing moral loyalty through the constant laws of nature and the righteousness of human affairs. We have seen that the beginning and end have matching characteristics. Wootak first had a sufficient understanding of divination as a primitive function of Hexagram and lines sentence(卦爻辭). Since the Book of Changes existed in Goryeo before the theory of moral-principle Yixue was accepted from China, people had a basic understanding of symbol numbers and fortune telling. At the same time, Woo Tak followed Jeong Yi's interpretation of Hexagram and lines sentence in 『ChueGwae』 using the sincerity and reverence and understood Hexagram and lines sentence from the perspective of Confucian moral principle Yixue. Woo Tak's remonstrance at the risk of death because he was enraged by King Chungseon's misdeeds includes the perspective of moral righteousness and is also the direction pursued by the practical moral studies of Neo-Confucianism in the Song Dynasty. The Confucian and historical significance of Wootak's idea of moral principle Yixue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clearly established a new tradition of moral principle Yixue. in the flow of Yixue that had a tendency towards symbol numbers Yixue in the late Goryeo Dynasty. Second, by combining it with the Neo-Confucian theory of cultivation and emphasizing the sincerity and reverence, it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Neo-Confucian theory of cultivation centered on sincerity and sutra during the Josan Dynasty. Thirdly, he opened the origin of moral studies in the later Joseon Dynasty by pursuing the theory of righteousness and ethics in which the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was achieved by practicing loyalty. Fourth, he established a Seowon to commemorate his academic virtues and accomplishments in later generations, opening the way for a movement to form a Confucian education system. Fifth, he presented practical standards and models such as ‘loyalty’ and ‘seclusion’ to later generations of scholars, such as ‘salsinseongin(殺身成仁)’, ‘difference to the world(遯世無悶)’, and self-righteousness (獨善其身). In short, if the characteristics of Woo Tak's Yixue thought can be summarized in one word, it can be said to be a moral-principle Yixue of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that pursues the proper timeliness.

      • KCI등재

        정약용의 소옹과 주희 『주역周易』 수리설 비판에 대한 재조명 ― 『역학서언』의 「주자본의발미」와 「소자선천론」을 중심으로

        엄연석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2018 다산학 Vol.- No.33

        This essay tried to reilluminate about Jeong Yak-yong’s critical examination of Zhu Xi, and Shao Yong’s mathmatical principle of the Zhouyi seen in Zhuzi Benyi Fawei and Treatise on Shaozi’s Earlier Heaven of Yixue Xuyuan. This paper examined the contents through which while criticized actively mathmatical principle of the Zhouyi of Shaozi’s Earlier Heaven, Jeong Yak-yong accepted Zhu Xi’s mathmatical principle of the Zhouyi or criticized a theoretical limitation. Shao Yong’s Earlier Heaven mathmatical principle of the Zhouyi has the system by which one explains nature and social history through simbol of hexagram and lines combined with numerical calculation. His theory said the Great Ultimate but it is not the same meaning with principle as the moral origin in Zhu Xi. On the other hand Zhu Xi understands the Zhouyi in view of symbol and modification, his theory has characteristic of moral principle of the Zhouyi in a final goal. Accordingly he suggested partly symbol and numerology of the Zhouyi, at the same time adhered to the priority of principle over material forces & symbol and number. Compared to this, Jeong Yak-yong emphasized aspects of dynamical change of the hexagram(卦) connoted between exposed hexagram and lurking one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ist approach. And he intended to establish inductively criterion of good or ill fortune, regret and stinginess through these several explanation. However, he sometimes suggested a farfetched argument in the descriptions of the fourteen byeokkwae(十四辟卦) and duplication method of one adding(加一倍法) by being partial in phenomenalistical point of view. Summing up, Jeong Yak-yong criticized generally Shao Yong’s mathmatical principle of the Zhouyi, but advocated modification theory of Zhu Xi. Moreover he empiricism mathematical principle of Yixue orientated towards the four law involved in principle of the Zhouyi(易理四法). If one should summarize core concept of Jeong Yak-yong’s Yixue, he could seek from ‘inference(推)’ which means several numeral order and changes of nature. 이 글은 소옹과 주희의 『주역周易』 수리설과 정약용의 『역학서언易學緖言』에 포함된 평론으로서 「주자본의발미朱子本義發微」와 「소자선천론邵子先天論」에 나타난 다산의 수리설을 비교하고, 이들 사이의 상관적 특성과 차이를 재조명하였다. 본고에서는 정약용이 소옹의 선천 수리역학에 대해서 적극적으로 비판하는 반면, 주희의 수리역학에 대해서는 한편으로 수용하면서 이론적 한계를 비판한 내용을 점검하였다. 소옹의 수리설을 중심으로 하는 선천역학 사상이 괘효상을 수리數理의 연산과 결합하여 자연과 사회역사를 설명하는 체계를 지니고 있다. 소옹의 학설에서는 태극太極을 말하기는 하지만, 주희가 말한 도덕적 근원으로서의 리와 동일한 의미는 아니다. 이에 비하여 주희는 『주역』을 상수역학과 변역變易의 관점에서 보았으나, 궁극적 목표에서는 의리역학적 특색을 가지는 만큼, 부분적으로 상수역학 이론을 제시하면서도 기와 상수에 대한 리의 우선성을 견지하였다. 반면에 정약용은 경험주의적 현상론의 관점에서 드러난 괘와 그 배후에 숨어 있는 괘의 역동적 변화양상에 대한 여러 이론적 설명체계를 통하여 귀납적으로 길흉회인의 기준을 설정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현상론적 관점에 치우침으로써 때로 14벽괘에 대한 설명과 가일배법에 대한 설명에서는 정합적이지 않은 이론을 제시하기도 하였다. 요컨대, 정약용은 소옹의 수학은 주로 비판하였으나, 주희의 변역 이론은 옹호하면서도 역리사법易理四法을 중심으로 하는 경험론적 수리역학을 적극적으로 전개하였다. 정약용의 역학을 구성하는 중심개념을 요약한다면 자연의 여러 변화의 수리적 질서와 변화를 뜻하는 ‘추推’에서 찾을 수 있다.

      • KCI등재

        寒岡 鄭逑 『心經發揮』의 경학사상적 특징과 의의

        엄연석 영남퇴계학연구원 2013 퇴계학논집 Vol.- No.13

        본 논문은 조선중기 『심경』연구에 있어서 특수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 는 한강 정구의 『심경발휘』가 그의 경학사상 전체 체계에서 어떠한 의미 를 가지고 있는가를 그 구성 형식과 내용적 특징을 분석함으로서 밝혀보 고자 하였다. 정구가 『심경발휘』를 편찬할 때는 정민정의 『심경부주』 체 계에 대한 불만과 함께 이를 넘어서고자 하는 목표를 가지고 있었다. 정 구가 유의했던 사항은 다음과 같이 서로 연관되는 몇 가지 주제로 요약 할 수 있다. 첫째, 『심경부주』에서 정민정이 주희의 만년 정론(定論)이라 고 하여 강조한 존덕성 중심의 공부가 마음의 함양에 절대적인 것이 아 니고 도문학과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는 것을 분명히 하고자 하였다. 둘 째, 존덕성과 도문학 공부는 유가적 도덕실천과 함양을 위하여 상호간 번갈아 전제가 되어 어느 한쪽도 없애거나 한쪽으로 치우쳐서는 안 되는 필수불가결한 양면 공부임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셋째, 태극과 천리를 중심으로 하는 성리학의 형이상학적 우주론으로부터 도문학의 근거를 이 끌어내고자 하였다. 반면 정구의 예학은 첫째, 성리학적 형이상학을 받 아들여 ‘예(禮)’의 보편성을 강조하였다. 둘째, 인사의 도덕적 실천을 위 한 행동규범의 표준과 실천적 지식의 문제를 다룸으로써 도문학의 내용 과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셋째, 도문학 공부의 내용을 이루면서도 천리 (天理) 뿐만 아니라 성경(誠敬)과 의(義)에 근거를 둠으로써 존덕성의 본 령공부와 밀접한 연관성을 가진다. 요컨대, 정구의 예학은 도문학과 균 형을 유지하면서 본령공부로서 경을 강조한 『심경발휘』에 근거하여 도문 학의 구체적 내용으로서 예론을 전개하고 있다. 『심경발휘』는 그의 예학 의 구체성에 의지하여 존덕성과 도문학의 균형을 유지하는 객관적 정당 성을 확보하고자 한다. 정구의 경학 체계에서 『심경발휘』의 심학과 『오 선생예설분류』로 대표되는 예학은 존덕성과 도문학 공부를 통일시키는 두 가지 핵심 이론으로서 불가분의 유기적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규 정된다. 결론적으로, 정구의 『심경발휘』는 성리학의 우주론적 도덕형이 상학과 도덕적 행동의 실천적 표준을 구성하는 예학 사이를 연결하는 중 간 매개 역할을 하는 저술로서 경(敬)과 치지(致知)를 중심으로 하는 도 문학과 존덕성을 포괄하여 마음을 함양하는 근거와 절차를 설명하는 이 론적 체계라고 할 수 있

      • 退溪의『中庸』解釋과 그 특징

        엄연석 慶北大學校 退溪硏究所 2005 退溪學과 韓國文化 Vol.- No.36

        본 논문은 주희의 『中庸章句』의 관점을 계승한 퇴계의 『中庸』 해석이 어떠한 특징을 가지는가 하는 점을 규명하고자 한다. 퇴계의 『중용』 해석의 내용과 특징은 『中庸釋疑』를 통하여 그리고 문인들과 문답한 내용 등을 통하여 살펴볼 수 있다. 퇴계는 대체로 주희의 『중용장구』의 성리학적 해석 관점을 계승하면서도, 자신의 理氣心性論의 시각을 관철하는 입장에서 『중용』을 해석하고 있다. 퇴계는 박세당이나 이익이 道를 구체적 현실에서의 주체적 실천이나 오륜을 실천하는 덕목으로 보는 것과 달리, 性·道·敎가 형이상학적 실체 또는 규범, 그리고 이들 도리를 닦는 것으로 이해하였다. 또한 그는 『중용』에서의 費隱 개념을 형이상의 원리의 세계의 중층적 구조와 실재성을 표현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또 한편으로 퇴계에서 存養 省察, 戒懼, 謹獨 등을 일관하는 개념으로서 敬은 마음의 본체로서 性과 작용으로서 情을 전제하고 본성으로부터 나오는 감정을 다스림으로써 理를 마음에 확립하고자 하는 데 의미가 있다. 이러한 퇴계의 수양론적 관점은 誠과 愼獨을 상제에 대한 종교적 경외심과 복종의 관점에서 해석하는 정약용의 시각과 크게 대조되는 것이다. 나아가 퇴계는 中和와 中庸을 안과 밖으로 구분하여, 중화가 性情에 유래하여 안으로, 중용은 덕행에서 유래하여 밖이 된다고 보았다. 퇴계가 중화와 중용을 내외로 구분하는 것은 이 두 가지를 형이상과 형이하로 구별하고자 한 것으로, 그의 理氣論 철학과 일관된다. 이렇게 볼 때, 퇴계의 『중용』 해석에는 무엇보다도 일상적 현실에서의 실천성 보다도 形而上과 形而下, 마음의 未發과 已發, 性과 情, 動과 靜, 善과 惡을 구별하는 二元論的 관점이 그대로 반영되어 있다. 이러한 퇴계의 사변적 형이상학적 관점은 실천을 중시하는 박세당, 이익, 정약용 등과 같은 후대의 학자들에 의하여 비판을 받았다. 하지만 물질적 욕구와 도덕원칙의 혼돈에 따른 현대적 위기를 해결하고자 할 때, 理를 도덕적 실체로 마음에 확립하고자 한 퇴계의 철학적 입장은 매우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This essay intends to illuminate what characteristic of Toegye's interpretation of Chung-yung中庸 succeeded to Chu-hsi's view of Chung-yung Chang-chu 中庸章句. The content and characteristis of Toegye's commentary of Chung-yung can look through the Chung yung seok yi中庸釋疑 and the question and answer between he and his students. Mostly Toegye not only accepted the neo-confucian viewpoint which Chu hsi朱熹 offered in the Chung yung chang chu¨中庸章句, but also interpreted Chung yung according to his own standpoint of Li chi hsin cheng lun理氣心性論. Toegye understood the nature性·the ways道·the instruction敎 to mean the metaphysical or moral substance, norm, and principle of teaching respectively. However, Park se-dang朴世堂 and Lee ik李翼 regarded the path as a method of man's moral practice or practical virtues of five moral items.五倫. Moreover, Toegye considered the concept of the expansive and secret 費隱 to express the duplicative structure and reality of the metaphysical principle. On the other hand, in Toegye the reverence敬 is a method of culture which is penetrated into the preservation and cultivation存養, reflection省察, caution and apprehension戒懼, and watchfullness over himself謹獨 etc. And it is the methodological principle by which man tries to establish the principle in the mind by governing the feelings which arise from the nature on the basis of the nature as the substance of mind and the feelings as the operation of it. And then while in Toegye's theory of cultivation the reverence means to govern the mind and feelings and cultivate the nature as the principle being immanent in human mind, Cheng yak-yong丁若鏞 interpreted sincerity誠 and watchfulness over the alone愼獨 in connection with the religious reverence or awfulness and obedience of the Lord-on-High. Further in response to the Yulgok's question to suspect that equilibrium and harmony中和 and the mean中庸 can not be divided into the internal and the external, Toegye viewed equilibrium and harmony as the internal by being derived from nature and feelings, the mean as the external by being originated from virtuous conduct. That is to say, Toegye divided equilibrium and harmony and the mean respectively into the internal and the external. This means that he tried to distinguish these two into that which belongs to the realm 'above shapes'形而上 and which belongs to the realm 'within shapes'形而下. And Toegye's view as this is consistent with his theory of principle and material forces理氣論. Viewed as this, the dualistic sight in which one discriminates that which belongs to the realm 'above shapes'形而上, from that which belongs to the realm 'within shapes '形而下, mi-fa未發 of the mind from yi-fa己發 of it, nature from feeling, movement from calmness, good from evil in preference to practice in ordinary life is reflected in Toegye's commentary of Chung-yung as such. The criticism against Toegye's view by such scholars as Park se-dang, Lee ik, and Cheng yak-gong, who made the moral practice or virtuous conduct be important, mostly arises from Toegye's contemplative and metaphysical point of view. However in respect that we try to resolve the contemporary crisis being caused by the confusion between material desires and the moral principle, Toegye's philosophy which tried to stand the principle as the moral substance firm in the mind has a very important significance.

      • KCI등재

        유학사상에 근거한 李元翼의 유가적 리더십 재조명 -公道와 私路의 열림과 닫힘의 모순율을 중심으로-

        엄연석 한국유교학회 2015 유교사상문화연구 Vol. No.

        Sim Eon-gwang (沈彦光, 1487~1540) passed the primary state examination at the age of Twenty one and served the state for thirty years. When he started government service as a provincial governor of Hamgyeong-do, it was a kind of demotion to him. But apart from showing a good example of honesty, he performed his duties well with intelligence and strength conducted a good moral life. In this paper, an effort has been made to study Sim Eon-gwang’s classical scholarship by classifying the relevant aspects in to three categories. Firstly, the spirit of fidelity to his principle was reviewed. Sim Eon-gwang’was appointed as important officer in the Court. Eochon(漁村) was appointed to an important post, but experienced many political adversities. In the process, Eochon followed great loyalty and justification. The paper tries to reveal that the origin integral spirit served as foundation in reaching the ideals of royal politics and played a central role in establishing the causes of loyalty. Furthermore, it explores the Confucian ideals. The contemporary writings of Eochon is mainly focused on the primitive thoughts of Confucianism. However, it can be discerned that Eochon had comprehensive knowledge of Neo-Confucianism. Observing these facets, it has been attempted to analyze the contents of ‘Gobeoulgoron(觚不觚論)’ and explore some aspects of Metaphysical ontology. Through this study review, the characteristics of Eochon’s Confucian scholarship can be identified. At last, scrutinizing the ethical views on economy in order, it is intended to study the academic characteristics. To acquire an idea of Eochon’s classical scholarship, his court writings submitted to the Kings will be studied and based on these sources it is to endorse that the political ideology asserted by Eochon had elements of Confucian politics. Eochon laid emphasis on the discipline and learning of the highest ruler. The meaning of making an upright heart means detaching the self from prejudice and personal affairs. It articulates about acquiring the objective knowledge and impartial judgement. It further advocates that, “Heart controls the private matters”, declares that the heart determines all the thoughts, actions and decisions. 이 논문은 이원익이 유학사상에 대하여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가를 살펴보고 나아가 유가 경전의 리더십 덕목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하여 그의 정치 군사적 활동과 유가적 리더십의 특성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원익은 公道와 公義를 여는 것과 私徑 및 私路를 닫는 것에 대한 모순율의 적용을 통하여 천하국가를 통일적으로 다스려야 함을 적극적으로 개진하였다. 또한 그는 言路를 개방하고 正路를 세우며, 諫言과 公道가 조정에서 개진됨으로써 조정이 화합하게 되고 이로부터 국가가 융성하고 강하게 될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이원익에 있어서 마음의 본원을 함양하는 것은 大公을 통하여 공심을 넓힘으로써 국가를 화합하고 통합하는 정치적 목표를 실현하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원익은 무엇보다도 민생의 안정과 애민을 기본 정신으로 하는 민본주의적 사고에 입각하여 정치 군사적 활동을 통한 리더십을 발휘하였다. 또한 그는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는 균형과 조화를 강조하는 리더십을 실천하였으며, 군신 상하에 있어서 수직과 수평을 아우르는 통합의 리더십의 전형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이원익의 리더십은 현대적 관점에서 볼 때, 균형과 조화, 소통과 통합의 리더십으로 특징지을 수 있는 것으로 커다란 의미를 갖는다.

      • KCI등재

        퇴계 역학 문헌의 상수·의리학적 특성과 미래적 연구방향

        엄연석 영남퇴계학연구원 2015 퇴계학논집 Vol.- No.17

        본 논문은 국내외에 현존하는 퇴계 이황(李滉1501∼1570)의 역학 문 헌 판본의 현황을 그 형식적 체계를 중심으로 하는 서지사항을 살펴보고 나서 이들에 대한 기존의 연구성과를 개관하고 이를 통하여 퇴계 역학에 관한 미래적 연구 방향을 전망해 보았다. 『啓蒙傳疑』와 『三經釋義』 중 『周易釋義』는 퇴계역학의 핵심을 이루는 저술이다. 『계몽전의』 와 『주역 석의』 판본은 전국의 대학 도서관과 국립중앙도서관, 국회도서관, 한국 학중앙연구원장서각 등 정부 및 여러 학술 기관에 산재해 있다. 그 구체 적 형식과 내용은 판형, 발행사항, 특기사항, 지질, 소장처 등으로 살펴 볼 수 있다. 퇴계 역학사상을 연구하는 데 핵심 문헌으로서 『계몽전의』 판본은 간행지역, 시기, 간행자, 소장처, 紙質, 그리고 각각의 판본의 고유한 특징 등에서 매우 다양한 양태로 국내외의 여러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계몽전의』 와 『주역석의』에 대한 여러 연구논문은 각각 일정한 특성 을 가지고 있다. 『계몽전의』에 대한 연구 논문들은 부분적으로 의리역학 과의 상관관계를 언급하면서도, 대체로 상수역학적 관점과 특성을 강조 하고 있다. 반면 『주역석의』에 관한 연구 성과들은 대부분 이 저술이 의 리역학적 요소를 가지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 퇴계의 역학에 관한 연구에서 특히 주목해야 할 부분은 『주역』의 구 성요소인 상과 의리가 성리학의 토대가 되는 그의 역학에서 어떤 상관적 의미로 작용하는가에 대하여 착안하는 일이다. 다시 말하면 퇴계는 『주 역』의 상과 의리를 결합함으로써 자연과 인간 사이에 연관되어 있는 必 然과 當然의 세계를 연속성을 가지는 것으로 이해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퇴계 역학에 관한 새로운 연구의 방향은 조선 성리학의 이기론과 심성 론, 그리고 실천론을 한 단계 심화된 수준에서 연구할 수 있는 가능성을 상과 의리 사이의 연결 맥락을 통하여 탐색하는 것은 퇴계 역학을 연구 하는 미래적 방향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임춘(林椿)의 유학사상 이해와 출처은현관(出處隱顯觀)의 특징

        엄연석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人文硏究 Vol.- No.72

        This essay tried to investigate Seo-Ha Lim Chun’s perception about thought of Confucianism with regard to his opinion of the public service and retired & seclusion and eminence. And here writer examined how Lim Chun’s thought had been influenced from Confucianism of North Song Dynasty and how his recognition and attitude of Confucianism was characterized in viewpoint of history of thought of Confucian classics. Lim Chun fundamentally made foundation in his studies of Confucianism for the purpose of accomplishment of moral culture of Confucianism and political ideal from this. He moreover was influenced several concepts and theories of Chi-Philosophy氣哲學 in Neo-Confucianism and understanded the way of saint through the Book of Changes. Lim Chun comprehended seclusion and eminence隱顯 as one continuous process not being isolated according to criterion of righteousness or way. Besides Lim Chun directly suggested opinion of the public service and retired & seclusion and eminence of novel phase by making mention of method through which one is not bound by disaster even if he is nominated to public office or went into Royal Court in chaotic period. In other words, ultimate phase of Lim Chun’s opinion of the public service and retired & seclusion and eminence consists in commensurable or continuous insight that success and position out of office, seclusion and eminence finally are quite the same. Seen from Lim Chun’s opinion of the public service and retired & seclusion and eminence, which regarded seclusion and eminence as the continuous, the fact that he took the state examination and was anxious to get into office positions advances to such an extent recommending himself to interrex or bureaucrat can be estimated as having theoretical legitimacy. 본고에서는 고려 무신집권시기에 불우한 생을 살았던 서하(西河) 임춘(林椿)의 유학사상과 출처은현관(出處隱顯觀)이 어떠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가를 고찰하였다. 나아가 임춘이 북송대 기철학의 영향을 어느 정도 받고 있는가 하는 점과 경학사상사적 관점에서 그의 유학에 대한 인식과 태도가 어떠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가 하는 점을 분석하였다. 임춘은 기본적으로 유학의 도덕적 수양과 이를 통한 정치적 이상의 실현에 목적을 두고 유학을 자신의 학문의 근본으로 삼았다. 그는 한대(漢代)이래 북송 성리학으로 이어지는 기철학의 여러 개념과 이론에 영향을 받았으며, 『주역』을 통하여 성인의 도를 이해하였다. 임춘은 은둔과 현달을 분리시키지 않고 의(義)나 도(道)를 기준으로 한 하나의 연속적인 과정으로 이해하였다. 임춘의 출처은현관이 내포하고 있는 특징은 출세와 처사, 은둔과 현달이 결국 다른 것이 아니라고 하는 회통적인 시각이다. 은둔과 출세를 회통적인 것으로 간주하는 임춘의 출처은현관을 기준으로 볼 때, 그가 과거에 응시하고, 집정자에게 자천(自薦)하면서까지 관로진출을 갈망했던 것은 이론적 합당성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임춘은 정권 담당자들로부터 인정받지 못하는 현실적 운명에 따라 불가피하게 은둔할 수밖에 없는 처지에서 정신적으로 은둔과 출세를 합일시키지 못한 채 정치 세계와 산림을 배회함으로써 불우한 생을 마쳤다.

      • KCI등재
      • KCI등재

        도덕적 이상의 관점에서 본 유가와 법가의 가족관

        엄연석 한국중국학회 2002 중국학보 Vol.46 No.-

        本稿要從儒家和法家的核心原理, 道德的理念和法, 兩個槪念的角度來, 考察這兩個學派的家族觀具有什마特點. 在中國古代社會, 家族從開始起是由血錄秩序和政治秩序兩個部分緊密地結合而組成, 從來沒有分化的. 係干血錄家族關係與政治上下身分關係的家族成員, 能??追求理想社會的主要力量, 就是血錄的共感意識和階層的秩序意識. 他們不是孤立的實體, 而是帶有關係指向意識的社會存在. 但是, 這種統一的秩序, 經過春秋戰國時代, 完全崩??了. 這就是從血錄的家族關係派生出來的紐帶意識和根據政治上下身分關係産生的秩序意識, 完全分裂的結果. 然則, 儒家和法家, 從道德或者法的視點來, 都提出什마個別的家族觀? 首先, 在儒家對家族的理解里面核心的因素, 是把家族當做人間內心的人格性可以體現下來的根源, 而且可以實現人類道德性的實體. 在這樣道德觀念的中心存在着儒家的仁, 又同時存在着孝悌, 忠信, 禮義, 後者都是在具體的家族關係和政治, 社會關係里面能??實踐仁的德目或者規範. 在儒家思想, 政治, 經濟制度, 階級, 身分和政治權威, 含有一個特點, 就是??個一邊是實現道德觀念的手段, 一邊是實現上面提到的德目的手段. 所以如果僅僅依??這些外面的制度, 儒家尊重的人格性絶不可能實現. 這件事實是可以拿封建家族制度的崩??來反證的. 孔子認爲君子不是具有外部政治地位的存在, 而是通過自己修養來涵養和志向內心人格的人, 這含有??重要的意味. 儒家强調, 我們在進入政治地位之前, 應該要涵養能구負其職務的道德資質. 儒家思想的核心告訴我們, 人們雖然要根據合理而公正的制度來實現政治秩序和理想, 但是只有通過道德涵養和自覺, 懷着??固道德意志的君子才可能的. 從此來看, 在儒家里面家族意味的關鍵, 在干可以培養道德性的根源這一點, 那道德性就是實現政治理想的基本前提. 反面, 法家規定人間是具有自私慾望的存在, 從而把家族當做充足自己的欲求和權利的最小單位, 這可以說是反映出當時社會混亂. 特別, 法家批評儒家所主張的道德理念和規範一仁義禮智一是一種可以與人間自私的欲求結合而發生混亂的要素, 也就是說不是一個實現政治秩序的德目. 從法家的觀點來說, 儒家的仁義禮智是毁懷公共秩序和經濟效率性的否定因素, 因而法家把非人格的, 客觀的法看做統合國家社會的唯一基準. 所以法家認爲, 家族幷不是爲了實現人倫和政治理想的根源實體, 而是要求人間自私權利而僅僅强調個人的最小單位. 總而言之, 儒家的家族觀重視道德觀念, 社會秩序和政治理想, 反面, 法家的家族觀重視人間的自私心和法的必然性.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