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국내 상급종합병원과 전국 분포 종합병원의 임상영양서비스 실태 조사 연구: 전국 규모 설문조사를 통하여

        엄미향 ( Mi Hyang Um ),박유경 ( Yoo Kyung Park ),이송미 ( Song Mi Lee ),이승민 ( Seung Min Lee ),이은 ( Eun Lee ),차진아 ( Jin A Cha ),박미선 ( Mi Sun Park ),이호선 ( Ho Sun Lee ),라미용 ( Mi Yong Rha ),류은순 ( Eun Soon Lyu ) 대한영양사협회 2014 대한영양사협회 학술지 Vol.2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clinical nutrition services provided at tertiary hospitals and general hospitals in Korea. In total, 157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he departments of nutrition at hospitals on September 2013.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median number of beds was 607 and average length of stay was 8 days. 63.1% of dietitians had over 5 years of career experience. Nutritional screening rate was 97% in tertiary hospitals but only 67.2% in general hospitals (P¼ 0.001). The rate of equipment with computerized nutritional screening system was 100% in tertiary hospitals but 71.9% in general hospitals (P¼0.001). Hospitals with the best regarding nutritional care were hospitals accredited by JCI (Joint Commission International). On the other hand, hospitals not accredited by the JCI but KOIHA (Korea Institute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showed the lowest performance rate of nutritional care. Nutrition support teams (NSTs) were established in all tertiary hospitals but in only 73% of general hospitals (P¼0.001). The rate of actively operating NSTs was 89% in tertiary hospitals but only 62% in general hospitals (P¼0.001). There is a need to provide proper standardized clinical nutrition services as a primary treatment and we observed large variations in the quality of nutritional service between hospitals. Therefore, local solutions are needed to implement nutritional programs and policies for improved service and care.

      • KCI등재

        병원 임상영양사의 업무별 소요시간 분석: 서울 및 경기 일부의 상급종합병원을 중심으로

        엄미향 ( Mi Hyang Um ),박유경 ( Yoo Kyung Park ),이송미 ( Song Mi Lee ),차진아 ( Jin A Cha ),이은 ( Eun Lee ),류은순 ( Eun Soon Lyu ) 대한영양사협회 2015 대한영양사협회 학술지 Vol.21 No.2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ocument how clinical dietitians working at tertiary hospitals spend theirtime based on several categories of activities using a time measurement study.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14 tertiary hospitals, and dietitians answered by classifying their work activities into several categories such as general care, indirect care, direct care, outpatient care, and food service management. A total of 129 clinical dietitians replied and their answer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categories of activities. The times spent on the categories are as follows: general care (76.7 mins/day, 14%), indirect care (228.4 mins/day, 35%), direct care (120.1 mins/day, 22%), outpatient care (61.5 mins/day, 11%), and food service management (99.0 mins/day, 18%). The total working hours for dietitians was 590.0 mins, which exceeds the standard working hours of 540.0 mins (9 hrs) a day. From this study, we found that clinical dietitians spent very limited time on direct care. Times spent on activitie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ype of employment and food service. Internship dietitians spent their more time on general care (P<0.001) while irregular dietitians spent more time on outpatient care (P<0.05). In contracted managed food service hospitals, clinical dietitians spent significantly less time on food service management (P<0.001). Regardless of doctors’ order and consultation fees, clinical dietitians performed more than 95 percent of free consultation to patients. Entry-level knowledge and skills of dietitians working at hospitals are very important for quality service, but it is equally important to create an administrative and social environment that encourages clinical dietitian to spend more time on direct patient care.

      • KCI등재

        의료기관 임상영양사 요구도에 미치는 영향

        엄미향(Um, Mi Hyang),박유경(Park, Yoo Kyoung),송윤미(Song, Yoon Mi),이송미(Lee, Song Mi),류은순(Lyu, Eun Soon) 한국영양학회 2017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50 No.5

        임상영양서비스에 대한 의사의 인식과 임상영양사 요구도에 대한 의사의 인식에 대한 인과관계를 명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매개효과를 분석하고 부트스트래핑으로 매개효과를 검증한 이 연구의 결과물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5가지 가설을 다음과 같이 세웠다. 가설 1. ‘의사가 인식하는 임상영양서비스의 실행에 대한 의사의 인식’은 ‘임상영양서비스의 중요도에 대한 의사의 인식’에 정(+)의 영향을 줄 것이다. 가설 2. 의사가 인식하는 ‘임상영양서비스의 질병 치료 효과에 대한 의사의 인식’은 ‘임상영양서비스 중요도에 대한 의사의 인식’에 정(+)의 영향을 줄 것이다. 가설 3. ‘임상영양서비스의 중요도에 대한 의사의 인식’은 ‘임상영양사 요구도에 대한 의사의 인식’에 정(+)의 영향을 줄 것이다. 가설 4. ‘임상영양서비스 중요도에 대한 의사의 인식’은 ‘임상영양서비스 실행에 대한 의사의 인식’과 ‘임상영양사 요구도에 대한 의사의 인식’ 사이에서 매개역할을 할 것이다. 가설 5. ‘임상영양서비스 중요도에 대한 의사의 인식’은 ‘임상영양서비스의 질병 치료 효과에 대한 의사의 인식’과 ‘임상영양사 요구도에 대한 의사의 인식’ 사이에서 매개역할을 할 것 이다. 가설검증 결과와 매개효과 분석 결과 가설 1~5까지의 가설이 모두 지지되었다. 결론적으로 1) ‘임상영양서비스의 중요도에 대한 의사의 인식’이 완전 매개로 작용한 경우는 임상영양서비스 실행횟수에 상관없이 의사가 임상영양서비스의 중요도를 인식해야만 임상영양사 요구도를 인식한다는 것이며, 2) 임상영양서비스의 중요도에 대한 의사의 인식이 불완전 매개로 작용한 경우는 임상영양서비스의 질병 치료 효과에 대한 의사의 인식과 임상영양서비스 요구도에 대한 의사의 인식 사이에서 프로세스 역할을 수행하지만, 임상영양서비스의 질병 치료 효과에 대한 의사의 인식이 임상영양서비스 요구도에 대한 의사의 인식에 더 큰 영향을 준다는 것이다. 따라서 임상영양서비스에 대한 의사들의 긍정적인 인식은 임상영양사 요구도에 대한 의사의 인식을 높이지만, 단순히 임상영양서비스의 양적 횟수 즉 임상영양서비스의 실행에 대한 의사의 인식이 아니라 환자 치료에 있어서 도움이 되는 질적 효과 즉 임상영양서비스의 질병 치료효과에 대한 의사의 인식과 임상영양서비스의 중요도에 대한 의사의 인식이 의사들에게서 임상영양서비스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이끌어 낼 수 있다. 이러한 의료진의 긍정적인 인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추가적으로 임상영양서비스를 수행하는 임상영양사의 전문성이 요구된다. 이상의 결과를 근거로 임상영양서비스에 대한 의사의 인식이 임상영양사 요구도에 영향을 준다고 여겨진다. 더불어 영양학 분야의 유사연구에서 사회과학 분야 통계기법을 활용하여 명확한 인과관계를 규명하는데 본 연구가 발판이 되어 질 것으로 기대하는 바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whether or not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doctor`s awareness of clinical nutrition service and needs for a clinical dietitian. Methods: A cross-sectional survey design was used.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by using questionnaires that had been specifically designed for the study. The research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to October, 2013 for 311 doctors at 43 hospitals (with over 400 beds).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bootstrapping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21.0. Results: ‘Implementation of clinical nutritional service’ (p < 0.001) and ‘usefulness on clinical nutrition service’ (p < 0.001) were found to be correlated with ‘importance of clinical nutrition service’ as an independent variable. The correlation between ‘importance of clinical nutrition service’ as a mediating variable and ‘needs for clinical dietitian’ as a dependent variable was also confirmed (p < 0.001). The results of the bootstrapping test showed that the mediating effect of ‘importance of clinical nutrition service’ was significant. The indirect effect value between ‘implementation of clinical nutrition service’ and ‘needs for clinical dietitian’ was 0.040, indirect effect value between ‘usefulness on clinical nutrition service’ and ‘needs for clinical dietitian’ was 0.095. Conclusion: The frequency of providing clinical nutritional services, the quality of clinical nutritional services, and the degree of implementation of clinical nutritional services were found to be important for positive perception of clinical nutrition services by doctors. Therefore, proper provision of clinical nutrition services and effective therapeutic effects will be continuously highlighted, which will increase the awareness of the physician and ultimately increase the demand for clinical nutrition service.

      • KCI등재

        북한이탈청소년들의 남한 식생활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이지은,엄미향,계승희,Lee, Jieun,Um, Mihyang,Kye, Seunghee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021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Vol.36 No.1

        This study examined the background of the dietary life of North Korean defector adolescents born and raised in North Korea and their new South Korean dietary experiences after being settled in South Korea. The study included six North Korean defector adolescents enrolled in an alternative school located in Gyeonggi-do, South Korea. This study's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included two-by-two group interviews, followed by individual interviews and field observation. The study period was from September 14 to October 26, 2019. Before entering South Korea, they primarily ate food pickled with soybean and salt, a cooking method by which foods are preserved because refrigerators were unavailable. After settling in South Korea, they had difficulty adapting to South Korean foods because of the unfamiliar ingredients and recipes. On the other hand, they quickly adapted to some foods, such as chicken. The participants reported that North Korean foods are generally light, whereas South Korean foods are sweet, salty, and spicy; hence, they do not taste delicious. The results suggest that attention be paid to menu improvement and the provision of nutritional education by schools and the government to prevent undernourishment or malnourishment because of unfamiliar ingredients and recipes.

      • KCI등재

        어린이집 교사가 경험한 유아의 까다로운 식습관 인식 및 지도의 어려움에 대한 질적 연구

        박신영(Park, Shin Young),엄미향(UM, Mihyang),계승희(Kye, Seung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7

        본 연구는 교사가 까다로운 식습관을 갖고 있는 영아를 대상으로 올바른 식습관 형성을 위해 교사 자신의 반성적인 성찰을 통한 지도 방안들을 적용 실천하는 과정에서 영아와 교사 그리고 부모가 함께 변화할 것을 기대하며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서울시 S구 소재 A국공립 어린이집의 만 2세반 영아 중 까다로운 식습관을 가진 영아 4명을 선별하여 2020년 7월부터 12월까지 약 6개월 동안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자는 연구 참여자들의 하루일과, 간식과 점심시간을 동영상 촬영 후 전사하였으며, 식습관 지도의 모습 및 영아들의 식습관에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상황들과 지도의 어려움에 관한 참여관찰, 동료교사와의 심층면담, 학부모 면담 등의 자료를 수집 및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영아의 까다로운 식습관 인식은 음식에 대한 지속적인 거부, 새로운 음식에 대해 강한 부정, 제한된 음식 섭취, 음식을 거부하는 다양한 행동 등으로 나타났다. 둘째, 까다로운 식습관 지도의 어려움은 교사의 여러 역할 수행에 대한 부담감, 유아의 가정 연계지도 및 유아의 개별적 맞춤지도의 어려움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의 식습관 지도 전략 및 반성적 고찰을 통해 영아, 교사 및 부모에게 긍정적인 변화가 일어났다. 영아의 식습관 지도는 교사 자신에 대한 반성적인 태도와 가정 연계가 이루어지도록 식습관 지도에 대한 인식과 방향에 대해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ways to bring about positive changes in infants, teachers, and parents during the process of providing eating behavior guidance in light of the teachers’ self-reflection of the experience of trying to inculcate proper eating behavior in infants who are picky eaters. This study was conducted between July and December 2020 at “A” public childcare center in “S”-gu of Seoul, where four 2-year-old toddlers displaying picky eating behaviors were selected and observed. We filmed and transcribed the daily routines and snack and lunch time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we also collected and analyzed data on the following: participatory observations of eating behavior guidance, various situations and difficulties that arise when dealing with infants’ eating behaviors and providing guidance, in-depth interviews with co-teachers, and interviews with parents. The picky eating behaviors of infants can be classified as continuous rejection of food, strong refusal to eat new food, limited consumption of food, and a variety of actions rejecting food. Furthermore, the difficulties in providing guidance for picky eating behaviors included teachers feeling burdened by having to perform various roles, lack of continued guidance at the infant’s home, and need for individualized guidance for each infant. Lastly, positive changes took place among the infants, teachers, and parents through strategies for teachers on providing guidance on eating behavior and reflective reviews. Recognizing picky eating behaviors and directing the provision of guidance are necessary measures; moreover, the teachers should be self-reflective, and the guidance should be practiced at home as well.

      • KCI등재

        중학생의 학교급식 잔반실태 및 영양섭취 평가

        박소영(Soyoung Park),엄미향(Mihyang Um),계승희(Seunghee Ky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4

        목적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학교급식에서 제공되는 식단의 음식별, 개인별 잔반량을 조사하여 잔반실태를 알아보고, 학교급식을 통한 실제 영양 섭취율이 얼마나 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경기도 성남지역에 위치한 중학교 남녀 학생 374명을 대상으로 2019년 7월 8일부터 7월 12일까지 학교급식 잔반실태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일간 학교 급식 잔반량을 조사하였다. 잔반량 평가방법은 목측법으로 음식별 잔반비율에 따라 학생들이 직접 설문에 표시하였으며, 개별 음식 섭취량은 1인 배식량에서 개별 잔반량을 뺀 값으로 계산하였다. 영양소 섭취량은 개별 음식 섭취량을 이용하여 학교 나이스(NEIS)급식시스템에 포함된 2일간 제공 식단의 음식별 영양소 함량에 대한 비율로 계산하였다. 결과 학생의 잔반실태 사항을 주관적 인식에 따라 조사한 결과, 급식을 남기는 정도에 대해 ‘남기지 않음’이라고 응답한 남학생은 112명(59.3%), 여학생은 75명(41.0%)로 성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1). 주로 남기는 급식의 식재료는 채소가 가장 많았으며, 남기는 이유는 ‘싫어하는 음식이어서’라고 가장 많이 응답하였다. 중학생의 학교 급식 섭취율은 남학생이 72.2%, 여학생은 62.0%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성별에 따라 실제 섭취량에 대한 영양소를 분석한 결과,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많이 섭취한 영양소는 단백질, 칼슘, 철, 비타민 A였으며 반면에 티아민과 리보플라빈은 여학생의 섭취율이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p<0.05). 성별에 관계없이 학교급식영양관리기준에 대한 영양소의 섭취비율을 살펴보면, 단백질은 176.6%, 티아민은 194.4%로 초과 섭취하고 있었으며, 반면에 칼슘은 50.1%, 철은 86.7%, 비타민 A는 67.4%, 리보플라빈은 73.7%, 비타민 C는 39.6%로 부족한 것으로 조사되어 8개의 영양소중 5개의 영양소가 학교급식영양관리기준에 비해 적게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에 따라 중학생들이 학교급식을 온전히 섭취하여 성장에 도움이 되도록 영양교육의 실시가 필요하다고 여겨지는 바이다.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amount of leftover food during school meal services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calculate the rate of nutrient intake they actually get from their school lunches.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374 male and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located in Seongnam City, Gyeonggi Province, from July 8 to July 12, 2019. The amount of leftover food in the school meals was surveyed using the visual method through a questionnaire over two days. Results Most leftover food comes from vegetables, and when asked about the reason for leaving vegetables on their plates, most respondents said it was because vegetables were the food they did not like. By gender, male students consumed 72.2 % of school meals, and female students consumed 62.0%. As a result of converting the amount of food actually consumed into nutrient intake rates according to gender, male students were found to consume more protein, calcium, iron, and vitamin A than girls, whereas female students had higher intake rates of thiamine and riboflavin (p<0.05). Regardless of gender, compared to the Nutrition Management Standard for School Meals, the rate of protein intake stood at 176.6%, and that for thiamine stood at 194.4%, while the rate of calcium intake was 50.1%. The rates for iron, vitamin A, riboflavin, and vitamin C were 86.7%, 67.4%, 73.7%, and 39.6%, respectively—indicating that five out of the eight nutrients are consumed less than the standard. Conclusions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conduct nutrition education to encourage middle school students to eat all the food on their plate, supporting their growth and development.

      • KCI등재

        젊은 성인의 영양정보이해력 평가도구 개발 및 타당성 검증

        안석영(Seokyoung Ahn),김보경(Bogyeong Kim),엄미향(Mihyang Um),박유경(Yookyung Park),계승희(Seunghee Kye) 한국영양학회 2020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53 No.2

        본 연구는 젊은 성인을 대상으로 영양정보이해력을 평가할 수 있는 측정도구를 개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영양정보이해력 평가를 위한 예비문항으로서 우선 7개 영역 65문항이 개발되었다. 작성된 예비문항을 영양전문가 5인에게 자문을 받아 불필요한 문항을 삭제하여 7개 영역 52문항으로 압축시켰다. 영양전문가 패널 20인을 대상으로 내용타당도 검증을 하였으며, Lawshe가 제안한 CVR값을 구하여 내용타당도 검증에 활용하였다. 평가도구 최종 항목으로서 총 6개 영역, 즉 식생활지침, 영양과 건강, 영양소, 다섯가지 식품군 (식품구성자전거), 영양표시, 질병 예방을 위한 영양관리를 포괄하는 30문항이 완성되었다. 이 평가도구를 이용하여 서울과 경인지역에 거주하는 성인 211명을 대상으로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2주 간격으로 검사-재검사 (test-retest)를 실시하였으며, ICC값 (0.64–0.86)과 Cronbach’s α 계수(0.83–0.90)를 산출한 결과 모두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도구는 영양정보이해력을 평가할 수 있는 적합한 내용을 담고 있으며, 신뢰도 또한 매우 높은 것으로 검증되어, 젊은 성인의 다양한 수준의 영양정보이해력을 판별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평가도구는 지역사회 영양중재 프로그램 계획 시 그리고 만성질환의 예방관리를 위한 영양교육을 위해 대상자의 영양정보이해력을 파악하는 진단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validate, and assess the reliability of a questionnaire for nutritional literacy among young Korean adults. Methods: The draft questionnaire contained 65 items in 7 domains (i.e., dietary guideline, nutrition and health, nutrients, 5 food groups [food bicycle], nutrition labeling, portion size, and nutrition management for disease prevention). The authors developed a draft questionnaire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After multiple drafts, 52 items were retained and 13 were eliminated in the 7 domains according to professional advice from 5 nutrition experts. A panel of experts (n = 20) comprised of clinical dietitians and nutrition professors completed the content validity assessment, includ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feedback. As the results, all items of the portion size were eliminated from the questionnaire. A sample of 211 young adults completed the test-retest reliability assessment. Test-retest reliability was evaluated using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ICC) and inter-item reliability by Cronbach α coefficient. Results: The final questionnaire contained 30 items with 5 questions each on the dietary guideline, nutrition and health, nutrients, 5 food groups (food bicycle), nutrition labeling, and nutrition management for disease prevention. The Lawshe content validity ratio for domains ranged from 0.60 to 1.00. The ICC scores for questions ranged from 0.64 to 0.86. Cronbach’s α for domains ranged from 0.83 to 0.90 and for the overall questionnaire was 0.87. Conclusion: The questionnaire showed strong content validity, test-retest reliability, and high inter-item reliability, indicating that it is a useful tool for assessing nutritional literacy of young adults.

      • KCI등재

        분화된 3T3-L1 세포와 비만유도 쥐에 꽃송이버섯 추출물의 지질분해 효과

        이미애(Mi-Ae Lee),박진경(Jin-Kyung Park),엄미향(Mi-Hyang Um),전정우(Jung-Woo Jeon),이정민(Jung-Min Lee),박유경(Yoo-Kyoung Park)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2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1 No.12

        본 연구에서는 꽃송이버섯 추출물을 처리하여 분화된 3T3-L1 지방 세포와 비만 유도 쥐에서 지질분해 효과를 살펴보았다. In vitro, preadipocyte에서 MTT assay를 이용하여 세포독성 실험을 한 결과 시간, 농도에 관계없이 세포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분화된 지방세포에서의 지방분해 효과는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외에도 지방세포에서 지방분해 산물인 glycerol 양을 측정한 결과 48, 72시간에서 시간,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Lipolytic enzyme의 CPT-1 및 UCP-2 발현을 측정하기 위해 Western blot assay를 실시한 결과 꽃송이버섯 열수추출물이 CPT-1 및 UCP-2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vivo에서 고지방 식이에 의해 비만이 유도된 쥐에 꽃송이버섯 열수추출물을 처리한 후 실험 종료 시 실험동물의 체중은 고지방식이를 공급한 군에 비해 저농도, 고농도 꽃송이버섯을 처리한 군 각각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실험동물의 장기와 지방조직 무게를 측정한 결과, 대조군에 비해 추출물을 처리한 군에서 체중과 장기 및 지방조직의 감소가 저농도, 고농도 모두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혈청 및 간의 지질함량을 측정한 결과, 혈청지질의 중성지방, 총 콜레스테롤 함량 모두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HDL-콜레스테롤 함량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간의 지질함량을 측정한 결과 중성지방은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고 총 콜레스테롤 역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혈청 및 간의 지질함량을 측정한 결과 꽃송이버섯 열수추출물이 비만이 유도된 쥐의 혈청 및 간의 지질 농도 변화를 낮추는 효과가 있다고 사료된다. 따라서 꽃송이버섯 열수추출물은 lipolytic enzyme의 발현을 증가시켜 지방산의 산화 반응 및 열 발생에 의한 에너지 소비율을 증가시켜 lipid accumulation을 감소시키며, 이로 인한 체중 감소 및 혈청이나 간의 지질함량을 개선시켜 지질분해 효과를 보여줌으로써 비만 예방 및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식품 소재로서의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water extracts of Sparassis crispa (SC) have anti-obesity effects. Treatment of mature adipocytes with SC caused a decrease in lipid accumulation (assessed by Oil Red O staining) and an increase in glycerol release. Mice were induced to obesity by a high fat diet (45% fat in total kcal) and experimental groups were treated with two different dosages of SC extracts, a low SC (LSC, 100 mg/kg/day) or high SC (HSC, 300 mg/kg/day). SC extracts were administered by gavages for 10 weeks in the experimental groups, while the control group was fed with distilled water. The body weight gain of mice fed SC was significantly reduced (11.88% lower in LSC, 14.54% lower in HSC)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dditionally, there were significantly reduced serum levels of triglycerides (13.57% lower in LSC, 19.46% lower in HSC), total cholesterol (32.22% lower in LSC, 24.67% lower in HSC) and glucose (28.85% lower in LSC, 25.82% lower in HSC) in mice fed SC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Hepatic triglycerides in mice fed SC were lower (9.68% lower in LSC, 14.24% lower in HSC) than the control group and total cholesterol levels were also lower in mice fed SC (38.72% lower in LSC, 35.20% in HSC).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water extract of SC may enhance lipolysis and up-regulate the expression of lipolytic enzymes in vitro and reduce body weight in vivo. These significant effects were found for both low and high doses of SC treatment, and suggest SC can be used as potential therapeutic substances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obes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