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폴리올법에 의한 편상의 은 분말 합성

        김동진,양환진,안종관,이재령,정헌생,Kim Dong-Jin,Liang Huanzhen,Ahn Jong-Gwan,Lee Jae-Ryeong,Chung Hun-Saeng 한국분말야금학회 2004 한국분말재료학회지 (KPMI) Vol.11 No.6

        Monodispersed flaky silver powder was obtained by controlling the ratios of $H_{2}O_{2}/NH_{3}$ and Agin in a mixed solution of ethylene glycol and ammonia with an addition of PVP. The effects of $NH_{3}/Ag,\; H_{2}O_{2}/Ag\;and\;H_{2}PtCl_{6}/Ag$ on its morphology and size were investigated. In $H_{2}O_{2}-NH_{3}-AgNO_{3}\;system,\;NH_{3}/Ag$ molar ratio was found to be an important reaction factor for the nucleation and crystal growth of Ag powder. The synthesis of flaky powder was optimized at over 6 of $NH_{3}/Ag \;and\;5\;of\;H_{2}O_{2}/Ag\;under\;1.0{\times}10^{-3}\;of\;Pt/Ag.\;Moreover,\;as\;the\; NH_{3}/Ag$ molar ratio increased, the size of precipitates was increased regardless of the amount of Pt. In the absence of $H_{2}PtCI$, the morphology and size of reduced Ag powder were found to be irregular in shape $2-4{\mu}m$ in diameter. However, homogenized fine Ag powder was obtained due to heterogeneous nucleation when $H_{2}PtCI$ used as a cat-alyst, and flaky one was synthesized with the addition of Pt over $1.0{\times}10^{-3}$ of Pt/Ag.

      • 2007년 한국에서 판매된 식육의 미생물 오염도 평가

        이도경,황재웅,양환진,장석,백은혜,김미진,김정현,이상진,하남주 환경독성보건학회 2007 환경독성보건학회지 Vol.22 No.4

        본 연구는 인간의 건강과 식품의 오염을 예방하기 위한 유용한 자료를 얻기 위하여 육류(소고기, 닭고기, 돼지고기)로부터 분리된 staphylococci를 가지고 한국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6가지 항생제와과 같 은 4가지의 신항생제에 대한 항생제 감수성 시험을 수행하였다. 이에 더하여 육류의 세균 오염실태를 조사하기 위하여 총 세균수와 대장균수를측정하였다. 그 결 과 147개의 육류 샘플 중 48% 의 샘플에서 일반세균수의 기준에 부적합한 결과가 나타났으며, 대장균수에 대해서는 31% 의 샘플에서 기준에 부적합한 결과가 나타났다 또한 육류의 91% 에서stapylococci가 검출되었으며 이들 staphylococci는 Coagulase Negative Staphylococci(CNS)와 S. aureus로동정되었다. 분리된 staphylococci의 5.4%가 methicillin (oxacillin)에 내성을 나타내었고, 특히 mupirocin(MIC90, ¤ 12g/mL)과 gentamicin (MIC90, 64g/mL)에 높은 내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신항생제에 대해서는 methicillin 내성 staphylococci를 포함한 모든 staphylococci 분리균주가 높은 감수성을 나타내었다.

      • Anti-stress Effect of Lactic Acid Bacteria (Lactobacillus acidophilus, Pediococcus pentosaseus, Bifidobacterium longum SPM1205)

        장석,이도경,양환진,안향미,백은혜,김미진,이강오,정명준,김진응,하남주 환경독성보건학회 2010 환경독성보건학회지 Vol.25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유산균(LAB)의 항스트레스 효과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본 실험에서는 ICR 마우스에게 구속 스트레스를 가하면서 혼합유산균과 홍삼추출물을 경구투여 하였다. 5일간 Normal 그룹을 제외한 saline (control), LAB100, LAB200, RGE200에게 구속 스트레스를 주었다. 구속 스트레스를 가한 후에 ICR 마우스에게 kg당 100 mg (3.0×1011 CFU/g) 또는 200 mg (3.0×1011 CFU/g)의 혼합유산균(Lactobacillus acidophilus, Pediococcus pentosaseus, Bifidobacterium longum SPM1205)을 투여하였으며 대조물질로는 홍삼 추출물(Red ginseng extract) 200 mg (홍삼추출물)/kg (마우스)을 투여하였다. 마지막 실험일에는 locomotor와 elevated plus-maze 실험을 통하여 마우스의 행동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혼합유산균을 투여한 그룹에서는 스트레스를 일부 억제하는 효과를 보였다. 특히 Elevated plus-maze 실험에서, 스트레스를 받은 마우스는 open zone에서보다 closed zone에서 더욱 많은 시간을 보냈다. 그렇지만 혼합유산균을 투여한 그룹에서는 open zone에서 더욱 오래 시간을 보냈으며 그 시간은 saline과 RGE200 그룹에 비해서도 길었다. 그것은 또한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Normal 그룹과도 비슷한 결과이다. 그리고 마우스의 분변에 서 유산균수를 측정하였는데 스트레스를 가하고 혼합유산균은 투여하지 않은 saline 그룹에서는 유산균수가 감소했지만 혼합유산균을 투여한 LAB100, LAB200 그룹에서는 유산균수가 증가하였다.

      • KCI등재

        액상환원법에 의한 CuO-H<sub>2</sub>O 슬러리로부터 미세 구리분말의 제조

        안종관,김동진,이익규,이재령,양환진,Ahn Jong-Gwan,Kim Dong-Jin,Lee Ik-Kyu,Lee Jaeryeung,Huanzhen Liang 한국분말야금학회 2005 한국분말재료학회지 (KPMI) Vol.12 No.3

        Ultrafine copper powder was prepared from $CuO-H_2O$ slurry with hydrazine, a reductant, under $70^{\circ}C$. The influence of various reaction parameters such as temperature, reaction time, molar ratio of $N_2H_4$, PvP and NaOH to Cu in aqueous solution had been studied on the morphology and powder phase of Cu powders obtained. The production ratio of Cu from CuO was increased with the ratio of $N_2H_4/Cu$ and the temperature. When the ratio of $N_2H_4/Cu$ was higher than 2.5 and the temperature was higher than $60^{\circ}C$, CuO was completely reduced into Cu within 40 min. The crystalline size of Cu obtained became fine as the temperature increase, whereas the aggregation degree of particles was increased with the reaction time. The morphology of Cu powder depended on that of the precursor of CuO and processing conditions. The average particle size was about $0.5{\mu}m$.

      • KCI등재

        한국형 Bifidobacterium longum SPM1205 혼합제제의 변비 개선 효과

        김정래,이도경,백은혜,안향미,양환진,김미진,최경순,윤미은,정이정,오복자,정명준,하남주,Kim, Jung-Rae,Lee, Do-Kyung,Baek, Eun-Hye,An, Hyang-Mi,Yang, Hwan-Jin,Kim, Mi-Jin,Choi, Kyung-Soon,Yun, Mi-Eun,Jung, Yi-Jung,Oh, Pok-Ja,Chung, Myung-Jun 한국미생물학회 2010 미생물학회지 Vol.46 No.1

        이 연구의 목적은 동물실험과 임상실험을 통해 변비 치료에 Lactobacillus acidophilus와 Pediococcus pentosaceus, Bifidobacterium longum SPM1205를 포함한 유산균(Lactic Acid Bacteria, LAB) 및 비피더스균 혼합제제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5마리의 ICR 마우스와 4명의 여성 변비 환자들은 2주 동안 유산균 및 비피더스균 혼합제제를 복용하였다. 복용 전과 후에 분변에서 유산균수와 유해 효소 활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 분변 중 유산균수가 증가하였고, 장내 미생물에 의한 유해 효소 활성은 일반적으로 감소하였다. 또한, 61명의 피실험자들은 유산균 및 비피더스균 혼합제제와 lactose 중의 하나를 2주 동안 하루에 3번 복용한 후,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이를 분석한 결과, 변비환자군에서 매일 유산균 및 비피더스균 혼합제제를 복용한 군(56.3%)은 lactose를 복용한 군(26.7%)보다 변비증상이 개선되었고, 단단한 변의 배변 횟수가 0.22에서 0.03으로 감소하였다. 따라서 L. acidophilus와 P. pentosaceus, B. longum SPM1205를 포함한 유산균 및 비피더스균 혼합제제는 변비를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d the efficacy of mixture of Lactic Acid Bacteria (LAB) and bifidobacteria supplement, which are contained with Lactobacillus acidophilus, Bifidobacterium longum SPM1205, and Pediococcus pentosaceus for the management of constipation in animal model and clinical trials. 5 ICR mice and 4 female constipation subjects were orally taken mixture of LAB and bifidobacteria for 2 weeks. We investigated the number of fecal LAB and harmful enzymes activities before and after mixture of LAB and bifidobacteria application. As a result, fecal LAB count was increased and harmful enzymes activities of intestinal microflora were generally decreased after mixture of LAB and bifidobacteria application. Also, 61 female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receive either mixture of LAB and bifidobacteria or lactose and were taken three times a day for 2 weeks. Then, we analyzed mixture of LAB and bifidobacteria effect through the questionnaires. Daily consumption of this mixture of LAB and bifidobacteria improved the constipation in constipation group (56.3%) compared with lactose application group (26.7%). Furthermore, after mixture of LAB and bifidobacteria treatment, frequency of hard stool decreased from 0.22 to 0.03.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mixture of LAB and bifidobacteria application is effective to improve the constipation.

      • KCI등재

        2007년 서울 지역에서 판매되고 있는 반찬류의 세균 오염과 항생제 내성실태

        김미진,이도경,장석,양환진,안향미,백은혜,하남주,Kim, Mi-Jin,Lee, Do-Kyung,Jang, Seok,Yang, Hwan-Jin,An, Hyang-Mi,Baek, Eun-Hye,Ha, Nam-Joo 대한약학회 2008 약학회지 Vol.52 No.6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microbiological quality and antimicrobial susceptibilities of the ready-to-eat side dishes, which are were collected from the grocery stores, big markets, and department stores in Seoul throughout November, 2007. Of total 124 samples, presence of staphylococci and enteric bacilli was observed in 38 samples (31%) and 53 samples (43%), respectively. And 30 samples (24%) were shown to be of unsatisfactory quality for total bacterial count (>$10^5$). Antimicrobial susceptibilities of the staphylococci isolated from the side dishes were tested for six different antimicrobial agents, which are in widespread clinical use in Korea, as well as four new antimicrobials, daptomycin, linezolid, quinupristin/dalfopristin and tigecycline. As a result, the staphylococcal isolates were found to be resistant to oxacillin (${MIC}_{90}$, >128 ${\mu}g$/ml), teicoplanin (${MIC}_{90}$, >128 ${\mu}g$/ml), mupirocin (${MIC}_{90}$, >128 ${\mu}g$/ml), linezolid (${MIC}_{90}$, 128 ${\mu}g$/ ml) and quinupristin/dalfopristin (${MIC}_{90}$, 32 ${\mu}g$/ml). Especially, some of the staphylococcal isolates exhibited high level and multi-drug resistance. Moreover, these bacteria were also resistant to new antimicrobials, except tigecycline.

      • KCI등재

        서울 시내 PC방(Internet Cafe)의 세균분포와 항생제 내성 양상

        윤지희,백한주,진한주,손예원,곽선영,양환진,홍은경,최성숙,하남주,Yun Ji-Hee,Back Han-Joo,Jin Han-Joo,Son Ye-Won,Kwak Sun-Young,Yang Hwan-Jin,Hong Eun-Kyung,Choi Sung-Suk,Ha Nam-Joo 한국미생물학회 2005 미생물학회지 Vol.41 No.3

        본 연구는 PC방의 세균 오염 실태를 조사하기 위한 목적으로 2004년 7월${\~}$12월까지 서울시내에 있는 PC방(Internet Cafe)들 중에서 34곳을 표본으로 선정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총 세균수를 측정한 결과, 키보드에서는 $9.0{\times}10^4$ CFU/ml, 마우스에서는 $2{\times}10$ CFU/ml, 그리고 화장실 손잡이에서는 $5{\times}10^3$ CFU/ml의 세균이 검출되었다. 이는 화장실 손잡이보다 키보드와 마우스에서 세균에 대한 오염정도가 더 심한 것을 의미한다. PC방에서 항생제에 대한 내성을 지닌 7개의 균주를 분리해 내었는데, 2개의 균주는 methicillin과 erythromycin에 대한 내성을 나타내었고, 5개의 균주는 gentamicin, ampicllin, cefotaxim, chloramphenicol에 대해서 내성을 나타내었다. 이들 균주들을 동정한 결과, 2 균주는 Staphylococcus aureus로 동정되었고, 4 균주는 Actinobacillus ureae로 동정되었으며. 나머지 1개의 균주는 Pasteurella multocida로 동정되었다. Pasteurella multocida와 Actinobacillus ureae는 잠재적인 병원균으로 이전에 Pasteurella ureae로 알려졌던 Actinobacillus ureae는 인간의 상부 호흡기에 드물게 공생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Pasteurella multocida는 많은 가축의 비인두강 안에 존재하는 평범한 정상 균총을 구성하는 세균인 것으로 알려졌다. 항생제 내성에 대한 연구 결과 Staphylococcus aureus는 erythromycin과 methicillin의 혼합제에 대해서 $100\;{\mu}g/ml$ 이상의 높은 항생제 내성을 나타내었고, Pasteurella multocida와 Actinobacillus ureae는 gentamicin, ampicillin 에 대하여 $100\;{\mu}g/ml$ 이상의 높은 항생제 내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hygiene condition of PC room(internet cafe) in Seoul Korea. From July 2004 to December, 34 samples were collected, there's an average of $9.0{\times}10^4$ CFU/ml on keyboards, $2{\times}10$ CFU/ml on mouse and $5{\times}10^3$ CFU/ml on door konbs toilets, suggesting that keyboards and mouse are more contaminated than toilet door knobs. Seven antimicrobial resistant strains were isolated from PC Rooms. Two isolates were resistant to methicillin and erythromycin, while five isolates were resistant to gentamicin, ampicllin, cefotaxim, and chloramphenicol. By identification, these strains were identified as Staphylococcus aureus (2 strains). Actinobacillus ureae (4 strains) and Pasteurella multocida (1 strain), respectively. Pasteurella multocida and Actinobacillus ureae are potentially pathogenic bacteria. Actinobacillus ureae, formerly, known as Pasteurella ureae, is an uncommon of the upper respiratory tract in humans. Pasteurella multocida is a part of the normal flora in the nasopharynx of many domestic animals. We concluded that Staphylococcus aureus is highly resistant to erythromycin and methicillin over $100\;{\mu}g/ml$, while Pasteurella multocida and Actinobacillus ureae is highly resistant to gentamicin, ampicillinover over $100\;{\mu}g/ml$.

      • Anti-stress Effect of Lactic Acid Bacteria (Lactobacillus acidophilus, Pediococcus pentosaseus, Bifidobacterium longum SPM1205)

        Seok Jang(장석),Do Kyung Lee(이도경),Hwan jin Yang(양환진),Hyang Mi An(안향미),Eun Hye Baek(백은혜),Mi Jin Kim(김미진),Kang Oh Lee(이강오),Myung Jun Chung(정명준),Jin Eung Kim(김진응),Nam Joo Ha(하남주) 환경독성보건학회 2010 환경독성보건학회지 Vol.25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유산균(LAB)의 항스트레스 효과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본 실험에서는 ICR 마우스에게 구속 스트레스를 가하면서 혼합유산균과 홍삼추출물을 경구투여 하였다. 5일간 Normal 그룹을 제외한 saline (control), LAB100, LAB200, RGE200에게 구속 스트레스를 주었다. 구속 스트레스를 가한 후에 ICR 마우스에게 ㎏당 100 ㎎ (3.0 × 10¹¹ CFU/g) 또는 200 ㎎ (3.0 × 10¹¹ CPU/g)의 혼합유산균(Lactobacillus acidophilus, Pediococcus pentosaseus, Bifidobacterium longum SPM1205)을 투여하였으며 대조물질로는 홍삼 추출물(Red ginseng extract) 200 ㎎ (홍삼추출물)/㎏ (마우스)을 투여하였다. 마지막 실험일에는 locomotor와 elevated plus-maze 실험을 통하여 마우스의 행동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혼합유산균을 투여한 그룹에서는 스트레스를 일부 억제하는 효과를 보였다. 특히 Elevated plus-maze 실험에서, 스트레스를 받은 마우스는 open zone에서보다 closed zone에서 더욱 많은 시간을 보냈다. 그렇지만 혼합유산균을 투여한 그룹에서는 open zone에서 더욱 오래 시간을 보냈으며 그 시간은 saline과 RGE200그룹에 비해서도 길었다. 그것은 또한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Normal 그룹과도 비슷한 결과이다. 그리고 마우스의 분변에서 유산균수를 측정하였는데 스트레스를 가하고 혼합유산균은 투여하지 않은 saline 그룹에서는 유산균수가 감소했지만 혼합유산균을 투여한 LAB100, LAB200 그룹에서는 유산균수가 증가하였다.

      • Assessment of Bacterial Contamination of Raw Meats Sold in Korea, 2007

        Dokyung Lee(이도경),Jaewoong Hwang(황재웅),Hwanjin Yang(양환진),Soek Jang(장석),Eunhye Baek(백은혜),Mijin Kim(김미진),Junghyun Kim(김정현),Sangjin Lee(이상진),Namjoo Ha(하남주) 환경독성보건학회 2007 환경독성보건학회지 Vol.22 No.4

        본 연구는 인간의 건강과 식품의 오염을 예방하기 위한 유용한 자료를 얻기 위하여 육류(소고기, 닭고기, 돼지고기)로부터 분리된 staphylococci를 가지고 한국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6가지 항생제와 daptomycin, linezolid, quinupristin/dalfopristin and tigecycline과 같은 4가지의 신항생제에 대한 항생제 감수성 시험을 수행하였다. 이에 더하여 육류의 세균 오염실태를 조사하기 위하여 총 세균수와 대장균수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147개의 육류 샘플 중 48%의 샘플에서 일반세균수의 기준에 부적합한 결과가 나타났으며, 대장균수에 대해서는 31%의 샘플에서 기준에 부적합한 결과가 나타났다. 또한 육류의 91%에서 stapylococci가 검출되었으며 이들 staphylococci는 Coagulase Negative Staphylococci(CNS)와 S. aureus로 동정되었다. 분리된 staphylococci의 5.4%가 methicillin (oxacillin)에 내성을 나타내었고, 특히 mupirocin (MIC??, > 12㎍/mL)과 gentamicin (MIC??, 64㎍/mL)에 높은 내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신항생제에 대해서는 methicillin 내성 staphylococci를 포함한 모든 staphylococci 분리균주가 높은 감수성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들은 육류가 소비자들의 건강에 중요한 위험요소로 작용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