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생건강체력평가제(PAPS)의 실제에 관한 초등 교사들의 신념

        양정모(Yang, Jeong M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초등 교사들의 교육적 신념유형에 따른 학생건강체력평가제(PAPS)의 실제, 즉, PAPS 계획과 실행이 어떻게 구현되는 지에 대해 내부적이고 총체적인 관점에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하였다. 자료 수집은 심층면담과 PAPS 관찰, PAPS 등급자료, PAPS 운영 계획서와 같은 문서자료 수집 등의 방법을 활용하였다. 또한 자료 분석은 사례 기록 분석과 귀납적 범주 분석으로 이루어졌다. 자료의 진실성 확보를 위하여 다각도 분석법, 동료 간 협의, 구성원 간 검토가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긍정적이고 합리적인 신념’을 가진 교사와 ‘소극적이고 회피적인 신념’으로 범주화 되었으며 긍정적이고 합리적인 신념을 가진 교사들의 PAPS 실제는 ‘실천적이고 융통성 있는 계획’, ‘소통과 공감을 통한 수요자 중심’의 운영을 하고 있었으며, 소극적이고 회피적인 신념을 가진 교사는 ‘편의적이고 형식적 계획’, ‘획일적이고 소홀한 공급자 중심의 운영’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 교사들의 신념과 반성에 기초한 PAPS 활성화 방안은 ‘혁신 거점학교를 통한 인적․물적 환경 구축’, ‘체계적인 연수와 예산 지원’, ‘PAPS 담당 교사들의 유인책 마련’으로 범주화하였다.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beliefs of teachers and practices about Activity Promotion Systems in Elementary School. For this study, Data were gathered through participant observation, in-depth interview and documentation. An case record analysis and inductive category analysis were utilized to make a description,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the collected data to confirm the beliefs of teaches and practices about Activity Promotion Systems in Elementary School. Triangulation and members check, peer debriefing established the trustworthiness of data. The beliefs of teacher for practices about Activity Promotion Systems in Elementary School were categorized ‘affirmative and rational belief’, ’passive and evasive belief’ as two types. Plan and Practices of affirmative and rational belief were ‘practical and flexible plan’, ‘Demand driven through communication and empathy’. Plan and Practices of passive and evasive belief were ‘opportunistic and formal plan’, ‘ uniform and a careless operation’. Revitalization of the PAPS based on belief and a reflection were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through Innovation hub school’, ‘systematic training and support budget’, ‘Inducement giving for strengthening internal motive’.

      • KCI등재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수·과학 영재교육 대상자 선발을 위한 진단 도구 개발에 관한 고찰

        양정모 ( Joungmo Yang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2

        본 연구는 코로나-19가 수·과학 영재교육 대상자 판별에 미치는 영향에 대비하여, 더욱 객관적이고 신뢰도 높은 영재판별을 위한 진단 도구 개발에 대해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영재의 판별 과정에서 지능지수(IQ)의 역할을 분석하였고, 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지적능력과 지능검사에 대한 장·단점에 대해 전반적으로 통찰하였으며, 이후 지능검사를 통한 영재판별에 대한 가능성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연구결과를 보면, 교사 추천에 의한 수·과학 분야 영재판별은 다양한 장점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신뢰도와 타당도가 현저히 떨어진다는 의견이 존재하였으며, 코로나-19 발생 이후 비대면 교육과정이 대폭 활성화 되고 있는 상황에서 대면 교육과 관찰에 의한 교사 추천 방식은 앞으로의 영재 판별 과정에서 논란거리가 될 것으로 예상되어졌다. 따라서 코로나-19 이후에 우리나라의 특성에 맞는 ‘한국형 수·과학 영재교육 대상자 선발 도구’ 개발을 제안하고자 하며, 영재교육 대상자의 역량을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방식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need for the development of a diagnostic tool for more objective and reliable gifted identification preparing for the influence of COVID-19 on the identification of mathematically and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the role of Intelligence Quotient (IQ) in the identification process for gifted students, and considers the overall pros and cons of the intellectual ability and intelligence tests in the identification process. After that, this study discusses the possibility to discern gifted students through the intelligence tests. Despite the numerous advantages of identifying gifted students through teacher nomination, studies have shown that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method have lowered significantly. Given the mass shift to remote learning after the outbreak of the COVID-19 pandemic, the method of face-to-face learning and teacher nomination based on observation is expected to cause controversies in future identification processes. Consequently, we would like to suggest the development of a Korean tool for identifying mathematically and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which is suitable for characteristics of Korea, and a method which can objectively measure the capability of gifted student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행동기반안전관리 프로그램이 안전행동, 안전 분위기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양정모 ( Jeong Mo Yang ),권영국 ( Young Guk Kwon ) 한국안전학회(구 한국산업안전학회) 2018 한국안전학회지 Vol.33 No.5

        This study has performed to identify the effect of safety behavior, safety climate and its satisfaction through the Behavior Based Safety Program for 5 sites of the same Company. The study result indicated that the level of recognized safety behavior, climate and its satisfaction improved by conducting observation of worker behavior, jobsite feedback, displaying feedback chart, safety training, behavior modification committee. Additionally, the participation level of safety activity and conformity level of safety rule improved. The recognized level of safety climate improved together with recognized safety value by management, safety participation of direct boss,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to be dealt with safety matter, safety training material to be contained unsafe behavior and practical hazard, understanding and conducting safety standard. In addition, The recognized level of satisfaction improved together with safety behavior and climate. As a result, this program provided an opportunities to correct worker’s unsafe behavior to safe behavior in conjunction with increasing number of observation, providing additional time to have a safety check, safety suggestion to improve work situation and a permit to work rule. It will be integrated into health and safety management system to be able to reduce industrial accident.

      • KCI등재

        반성적 수업을 통한 중등예비체육교사들의 사고유형과 씨름의 메타인지 지식 형성

        양정모(Yang, Jeong M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3 No.6

        이 연구는 반성적 수업을 통해 중등예비교사들의 사고 유형은 어떠한 가와 씨름에서의 메타인지 지식들은 무엇인지에 대해 내부적인 관점에서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분석함과 동시에 보다 효과적인 교사교육프로그램을 향상 및 발달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를 위해 5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으며 심층면담, 참여관찰, 문서자료를 바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또한 Spradley(1979)가 제시한 영역분석, 분류분석, 성분분석을 통해 중등예비교사의 사고유형과 씨름의 메타인지 지식 형성으로 개념화하여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반성적 수업을 통한 중등예비교사의 사고유형은 크게 2가지 ‘기술 및 전술적 반성’, ‘정책적·문화적 반성’으로 범주화 되었다. 또한 씨름에 대한 중등예비 교사들의 메타인지 지식은 ‘게임수행 의사결정 지식’, ‘공격 패턴을 만드는 지식’, ‘수비 패턴을 만드는 지식’으로 범주화되었다. ‘게임수행 의사결정 지식’에는 ‘불확실성 만들기’, ‘상대방의 패턴 읽기’, ‘긍정적 심상 형성’으로 나타났으며, ‘공격 패턴을 만드는 지식’에는 ‘공격기술 개발 및 루틴 형성하기’, ‘개별화된 전략’, ‘수비 패턴을 만드는 지식’에는 ‘맞춤형 수비강화’, ‘틈새 찾기’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reflective thinking styles of the middle pre-service teachers and meta-cognitive knowledge in Ssireum. Reflective thinking is alternative to improve and solve out the problems of teacher’s education. The researchers selected 5 participants by purposeful sampling. For data collection in-depth interview self-reflective question documents data e-mail and telephone contact were used. For data analysis domain analysis taxonomic analysis and componential analysis were conducted.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data analysis were obtained from review and triangulation with participants. The researchers founded that there were two styles of reflective thinking styles: ‘technical & tactical reflection’ ‘political & cultural reflection’ Meta-cognitive Knowledge in Ssireum turned out ‘game execution decision-making knowledge’ ‘knowledge to make an attack pattern’ ‘knowledge to make an defense pattern’

      • KCI등재

        지능검사 데이터의 분석에 근거한 초등학교 영재학생의 출현 비율 추정

        양정모(Joungmo Yang),진석언(Sukun Jin) 한국영재학회 2018 영재교육연구 Vol.2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ratio of gifted children through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results of IQ test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also to find the concrete criteria for identifying gifted children. For these purpose, the following two research questions had to be answered. Research Questions 1. Explore the ratio and characteristics of potential groups of gifted individuals through the latent profile analysis(LPA) results. Research Questions 2. For the ROC analyses, the selection criteria for gifted children are established based on the IQ and examine the validity of the results. In order to estimate the ratio of gifted students based on the intelligence test results, KU-BPT test was conducted on 1,012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do. The latent profile analysis(LPA) was conducted based on the scores of the three sub-tests from this IQ Test: languagistic, mathematic and spatial. Based on the gifted groups identified by the latent profile analysis(LPA), tests the cut-off value for selecting gifted students by the ROC analysis. The grouping results based on the IQ test-based identification and the teacher's subjective rating on the intellectual giftedness of students were compar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the latent profile analysis(LPA) on the IQ test results, we could identify the gifted group, which accounted for about 5.6% of the total students group. Second, Through the ROC analysis, for finding the concrete criteria in selecting students for gifted education program, the cut-off value expressed as IQ was 111.5, which turned out to include about 9.58% of the total students group in gifted education program.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들의 지능검사 결과를 기반으로 한 영재집단의 구분 가능성을 탐색해 보고, 그 결과를 토대로 영재학생의 출현비율 추정 및 영재교육대상자를 선정하기 위한 기준을 설정해 보는 것이었다. 우선 지능검사 결과를 기반으로 한 잠재적 영재집단의 비율을 추정해 보기 위해 서울·경기 지역의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 1,012명을 대상으로 KU-BPT 검사를 실시한 후, 본 지능검사에서 제시한 3개의 소검사 점수, 즉 언어, 수리, 공간영역 점수를 요인으로 한 잠재프로파일분석(LPA)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지능지수(IQ)를 기반으로 한 영재판별 기준을 설정하고 잠재프로파일분석(LPA)을 통해 확인된 잠재집단을 바탕으로 ROC 분석을 하여 영재의 출현비율에 따른 영재교육대상자 선정기준(Cut-off Value)을 도출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잠재프로파일분석(LPA)을 통해 확인된 3개의 잠재집단 가운데 가장 높은 수준의 지능검사 결과를 보여준 집단을 영재집단으로 추정해 보았을 때, 이들은 전체 학생의 약 5.6%에 해당되었다. 둘째, 단일지표인 지능지수(IQ)를 활용한 ROC 분석을 통해 확인된 영재 집단과 일반학생집단을 구분해 주는 Cut-off Value는 IQ 111.5로 나타났으며, 이를 영재교육대상자 선정을 위한 기준으로 삼을 경우 전체 일반학생집단의 약 9.58%를 선정하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수업컨설팅을 통한 초등교사의 체육내용교수지식 형성

        양정모(Yang Jeong Mo),박재정(Park Jae Jeong),이동호(Lee Dong H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2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수업컨설팅을 초등학교 체육교과에 적용함으로써 초등교사의 체육내용교수지식이 어떠한 과정을 거쳐 형성되는 지를 총체적으로 이해하고 심층 적으로 파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수업을 개선하고자 하는 실천의지를 가진 컨설 턴티 3명과 체육교과에 대한 전문성을 보유한 3명의 컨설턴트 교사를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수업관찰, 심층면담, 문서자료를 바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또한 귀납적 범주분석을 통한 내용분석으로 결과를 생성하였다. 연구 설계와 과정을 통해 얻어낸 결과, 수업컨설팅을 통한 초등교사의 체육내용교수지식은 맹아적 단계, 학문적 낭만 주의 단계, 정확성 추구단계, 체육적 소양단계를 거쳐 체육내용교수지식을 형성하는 위계적 방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참여자가 개인이 가진 6가지 체육내용교수 지식은 모두 유기적으로 융합, 연계되어 각기 다른 모습으로 발현됨을 알 수 있었고 연구 참여자 개개인 또는 수업의 주제와 내용에 따라 다르게 구현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dynamic process P.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 through Instruction Consulting at an Elementary School and in an effort to acquire accurate information on instructional consulting and get a correct understanding of the diverse and complicated mechanism of it.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six people who included three consultantees and three consultant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adopted to serve the purpose.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data was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 instruction observation, and documentation and deducted through inductive category analysi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re appeared four hierarchical stages in which the instructional consulting brought dynamic process to the PCK of the teachers: a blind stage, an Academic romanticism stage, an accuracy pursuit stage and an physical literacy stage. The six kinds of knowledge that the consultantees had were incorporated into new one, and they reconstructed and changed their PCK in accordance with the theme and content of instruction. All of them attached importance to knowledge about the P.E. curriculum, learners when they proceeded with instruction, and PCK had a lot of impact on instructional planning and develop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