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최저임금 영향 집단 노동 경로분석: 집단중심추세분석을 중심으로

        양윤주,김효준,정주호,조민효 한국행정학회 2023 한국행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3 No.2

        본 연구는 최저임금이 급격히 인상한 시기의 최저임금 영향 근로자와 최저임금 미만 근로자의 임금 수준별 노동 이행 과정을 유형화하고, 특성을 파악하여 유형 간 차이를 도출하고자 한다. 분석을 위해 한국노동패널 19차(2016년)~24차(2021년) 자료를 활용하였고, 2016년 이후 노동자들의 노동 유형을 집단중심 주세분석(Group-based Trajectory Model)을 통해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①실직집단(14.2%), ②임금감소 집단(7.4%), ③최저임금 미만 집단(50.6%), ④최저 임금 영향 집단(22.1%), ⑤임금인상 집단(5.8%)의 5가지 유형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최저임금제도의 사각지대에 있는 노동자들을 위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 KCI등재

        강사법 정책결정과정 분석

        양윤주,김민길,조민효 한국정부학회 2020 한국행정논집 Vol.3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analyze the policymaking process of the Amendment of Higher Education Act, often referred to as the Part-time Instructor Act, and analyze the situation after the Part-time Instructor Act took effect using empirical objective data. Using Kingdon's Multiple Stream Framework, problems arising during the course of policymaking and in the process of implementation were explored with a discussion on policy alternatives to address those issues. Our analyses is based on a total of two policy changes that occurred during the policymaking process of the Part-time Instructor Act – once when the law was initially passed in 2010 and again when the final amended version of the law was passed in 2018 after being suspended for four times in 2012, 2013, 2015, and 2017. We conclude that the Part-time Instructor Act was passed rapidly due to unforeseen events and had several shortcomings in its design such as the absence of any financial expansion or regulations on private universities to prevent a reduction in the quality of education as well as the quantity of university instructors’ employment. 본 연구는 Kingdon의 다중흐름모형을 활용하여 강사법 정책결정과정을 분석하고 강사법이 시행된 이후 의 상황을 객관적인 자료를 이용하여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강사법의 정책결정과정과 시행 과정에서 발생 하는 문제와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 대안에 대해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강사법 정책결정 과정에서는 총 2번의 정책변동이 일어나는데, 1차 정책변동 시기에는 2010년 조선대학교 시간강사의 자살 사건 발생으로 1년 7개월 만에 강사법(고등교육법 일부법률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였다. 2차 정책 변동 시기에서는 강사법 시행이 4차례 시행 유예된 이후 강사법은 정권교체로 인해 대학강사제도 개선 협 의회를 발족하게 하고, 20여 차례의 회의를 통해 정책 결정이 이루어진다. 강사법은 예측하지 못한 사건으 로 인해 급격하게 정책변동이 이루어졌고, 재정확충과 사립대학에 대한 규제가 부재하는 등 비합리적으로 설계되었으며, 이로 인해 대학의 강사 고용 축소, 대학교육의 질 저하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강사법에 대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최저임금 영향 집단 노동 이행분석: 집단중심추세분석을 중심으로

        양윤주,김효준,정주효,조민효 한국정부학회 2023 한국행정논집 Vol.3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tegorize labor market transition of workers affected by minimum wage using group-based trajectory model.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 (1) As a result of the group-based trajectory analysis on the wokers who are affected by minimum wage, a total of five types were derived: "Unemployed Group" (14.2%), "Wage-reduction Group" (7.4%), "Less than Minimum Wage Group" (50.6%), "Minimum Wage-Affected Group" (22.1%), "Wage-rasing Group" (5.8%). (2) Despite the increase in the minimum wage, the proportion of workers receiving less than the minimum wage is the highest, and there are also many workers whose wages decrease or lose their jobs after the minimum wage increase. (3) Unemployed Group, Wage-reduction Group, and Less than Minimum Wage Group in the blind spot of the minimum wage commonly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elderly and low-skilled worker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s a time-series study of low-wage workers' labor transition in order to comprehensively analyze the effects of the minimum wage increase system.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provides policy implications for resolving blind spots in the minimum wage system.

      • KCI등재

        1960~1970년대 선거를 통해 보는 마을공동체와 민주공화당의 관계

        양윤주 한국근현대사학회 2023 한국 근현대사 연구 Vol.106 No.-

        본 논문은 평택, 임실, 김천의 농민일기를 통해 1960~1970년대 마을공동체와 민주공화당의 관계를 살펴본 것이다. 선거운동을 하는 유력자와 군‧당, 그리고 유권자인 주민들의 관계를 중점으로 살펴보았다. 4.19는 농민들에게도 민주주의와 공명선거에 대한 의미를 알려준 계기였다. 그러나 1960년대 중반 경제호황으로 인해 1967년 총선에서 공화당은 개발 공약을 남발했고, 이에 따라경제적으로 소외된 농민들이 여당을 지지할 수밖에 없었다. 이는 평택같이 야당세가 강했던 곳에서도 마찬가지였다. 유력자들은 마을 대표로 군과 당에 접촉해시멘트나 현금을 지원받았고, 이에 따라 교량이나 저수지, 농로 확장 등 기초시설 공사가 진행될 수 있었다. 그러나 여당의 대규모 지원에도 1971년 총선에서야당이 선전했고, 이듬해 박정희는 10월 유신을 단행했다. 이때부터 대선은 간선제로, 총선은 중선거구제로 바뀌었고, 국회의원 3분의 1은 대통령이 임명함으로써 선거는 민의를 제대로 반영할 수 없었다. 게다가 1972년 새 선거법으로 인해 선거문화가 침체되어 총선에 대한 주민들의 관심이 떨어지게 되었다. 이제주민들의 관심사는 선거보다는 어느 후보가 돈을 많이 쓰는지였고, 유력자들의선거운동도 돈봉투를 돌리거나 부정투표에 가담하는 일뿐이었다. 유신정권기말 이중곡가제 완화와 ‘노풍’으로 인해 정부에 대한 신뢰는 매우 떨어져 있었다. 그러나 유력자들은 공화당과 오래 이해관계가 되어 있었고, 장기 집권에 대해불만이 있어도 공개적으로 여당을 비판하지 않았다. 이는 유력자들을 마을 지도자보다는 관이나 당을 대변하는 사람으로 인식시켜 줄 수 있었다. 정당의 선거운동이 후퇴하는 사이, 주민들은 더이상 유력자만 따르기보다는 전략적으로 투표해 지역사회가 변화·발전하기를 바라고 있었다.

      • KCI등재

        모빌리티 플랫폼에 대한 신・구산업 정책갈등 분석: 행위자 중심 제도주의와 목적 프레이밍 이론을 중심으로

        양윤주,김동욱,조민효 한국행정연구원 2022 韓國行政硏究 Vol.3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flict process between the mobility platform industry and the taxi industry through actor-centered institutionalism and goal framing theory. Policy environment factors were set as changes in the mobility industry environment, and institutional setting factors were set as uniform regulatory system and legal system. For the analysis, the period was divided according to the detailed conflict, and period 1 was divided into expansion of car pool service, and period 2 was divided into implementation of TADA service. As a result, the subject conflicting with the taxi industry changes according to the period, but the goal frame of the two periods was mostly the same. In particular, both the taxi industry and mobility platforms are at odds on the same level of ‘social underdogs’ for hedonic goal, ‘win-win’ for gain goal, and ‘legality’ and ‘regulation’ for normative goal. In conclusion, it can be seen that the conflict between the mobility platform and the taxi industry stems from different interpretations of the same goal frame.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social structural problems that cause conflicts and presented policy implications for new and old industries. 본 연구는 행위자 중심 제도주의와 목적 프레이밍 이론을 통해 모빌리티 플랫폼 산업과 기존 택시산업 간의 갈등 과정을 고찰한다. 정책 환경 요인은 모빌리티 산업 환경의 변화로 설정하였고, 제도적 제약은 획일적인 규제방식 및 법체계로 설정하였다. 분석을 위해 세부갈등에 따라 시기를 1, 2로 구분하였으며, 시기 1은 카풀서비스의 확대, 시기 2는 타다 서비스의 시행을 기준으로 나누었다. 분석 결과, 시기에 따라 택시산업과 갈등하는 주체는 변화하지만, 두 시기의 목적 프레임이 대부분 동일했다. 특히 택시산업과 모빌리티 플랫폼 모두 감정과 쾌락 목적에서 ‘사회적 약자’, 선호와 이득목적에서 ‘상생’, 인식과 규범 목적에서 ‘합법성’과 ‘규제’라는 동일한 차원에서 대립한다. 결과적으로 모빌리티 플랫폼과 택시업계의 갈등은 동일한 목적 프레임을 다르게 해석하는 데서 비롯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갈등의 원인이 되는 사회 구조적 문제를 논의하고, 신・구산업 갈등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1960-1970년대 농민의 일상생활과 두레문화의 변화

        양윤주 수선사학회 2023 史林 Vol.- No.85

        This paper examined the daily lives of the three farmers in the 1960s-1970s and the changes in the rural ‘Dure’ culture. This study can be made through farmers' diaries. Dure, which disappeared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was restored after liberation and the Korean War. However, as Dure disappeared in the 1960s-1970s again, farming had to be done on a family basis without joint labor. Women's labor and agricultural machinery were also hired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agriculture. Although Dure disappeared, residents enjoyed holidays to strengthen their friendship. On Homissisi, the biggest holiday for farmers, rituals, pungmulnori, and meetings were held. In addition, Residents also enjoyed games like sightseeing that were far from farming-related. In the 1970s, a double grain system enabled farmers to earn high profits. But they invested their profits in children's education. This shows that the attribution to the village has been weakened and the government's rural policy in the 1970s did not provide prospects.

      • KCI우수등재

        정보처리동기, 제휴 브랜드 시장지위가 브랜드 희석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양윤주(Yun Ju Yang) 한국경영학회 2004 經營學硏究 Vol.33 No.1

        As for the brand, the concept is expanded in a way that can create competitive advantage. It is the risen possibility of the brand dilution which becomes so large that a brand equity is utilized thus, bringing a negative feedback effect into the source of brand equity. Therefore, this study is an attemp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lution on corporate brand attitude under the exposure of negative information about the alliance product. That is, the author studied how consumers` prior belief about a core brand was effected when consumers were exposed to negative information. This study had identified the variables which had an influence on the brand dilution effect. and the kind of conditions in which consumers` prior beliefs changed. The summarized results are as follows: (1) When negative information about an alliance product was offered, the attitude about the core brand changed much more when the motivation was high. (2) When negative information about an alliance product was offered, a difference was shown with dilution effect about the core brand attitude according to the market position of the alliance brand. (3) When negative information about an alliance product was exposed. an interaction effect with motivation and an alliance brand market position appeared. (4)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a presentation pattern of negative information about an extension product and information processing motivation was not appeared. Also,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information presentation pattern and the alliance brand market position was not evident. Finally, the theoretical and marketing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 KCI등재

        청년 미취업 기간이 취업의 질에 미치는 장기적 효과에 관한 연구

        양윤주(Yunju Yang),조민효(Rosa Minhyo Cho) 한국국정관리학회 2022 현대사회와 행정 Vol.32 No.1

        본 연구는 「청년패널(YP2007)」자료를 사용하여 4년제 대졸자를 대상으로 미취업 기간이 취업의 질에 미치는 장기적 효과 분석을 실시하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해 미취업 기간은 4년제 대졸 자가 대학 졸업 후 첫 직장으로 이행하기까지의 기간으로 한정하여 산출하였으며, 취업의 질은 경제적 요인인 임금과 고용상태, 그리고 심리적 요인인 직장만족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 에는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 다중 회귀분석, 순서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분석결 과, 미취업 기간이 길어질수록 고용상태와 임금, 직장만족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청년층이 중소기업 등 취업 선호도가 높지 않은 직장에 바로 취업하지 않고, 취업 준비 기간에 시간을 투자하는 현상이 합리적인 선택이 아님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청년층의 미취업 기간을 줄일 수 있도록 실효성 있는 청년고용정책 마련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ong-term effect of the unemployment period on the quality of employment for college graduates’.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period of unemployment and the quality of employment for 2,642 college graduates through binary logistic regression model, multiple linear regression model, ordinal logistic regression model using Korean Youth Panel(YP2007) data. The unemployment period was calculated by limiting the period from college graduation to the first job. Also, the quality of employment is largely divided into “economic” and “psychological” factors, which are measured by employment status, average monthly wages, and current job satisfaction. As a result, the longer the unemployment period, the more negative the employment status, wages, and job satisfaction. These results show that it is not a reasonable option for youth to invest time in job preparation periods without getting a job immediately. This study suggests that effective youth employment policies need to be prepared to reduce the period of unemployment for youth.

      • KCI등재

        브랜드 확장 시 브랜드 희석효과를 조절하는 변수들의 역할에 관한 연구

        양윤주(Yang Yun Ju) 한국마케팅학회 2003 마케팅연구 Vol.18 No.4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브랜드 자산으로 브랜드 확장의 출발점이 된 핵심 브랜드에 대해 갖고 있는 소비자들의 사전 신념에 일치하지 않는 부정적인 확장 정보가 유입되었을 때 소비자들이 어떻게 반응하는지에 대한 연구를 통해서 브랜드 희석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은 무엇이며, 어떤 조건 하에서 소비자의 사전 신념 혹은 스테레오 타입의 변화가 더 잘 일어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발견한 것들을 요약하면 첫째, 정보처리 동기가 낮은 경우보다 높은 경우에 핵심 브랜드에 대한 태도가 더 많이 변하였으며, 확장 제품에 대한 부정적인 정보의 제시 패턴과 정보처리 동기의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사전지식이 높은 경우보다 낮은 경우에 브랜드 희석효과가 더 높게 나타났으나 확장 제품에 대한 부정적인 정보의 제시 패턴과 사전지식의 상호작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확장 제품에 대한 부정적인 정보가 제시되었을 때 정보처리 동기와 사전지식의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는데, 즉 정보처리 동기가 낮은 조건에서는 사전지식이 낮은 경우에 핵심 브랜드에 대한 태도 변화량이 더 크게 나타났고, 정보처리 동기가 높은 경우에는 사전지식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결과가 갖는 이론적인 시사점과 실무적인 시사점들이 논의되었다. Brand extension has recently become increasingly popular ways to leverage the brand equity associated with well-known and well-respected brand names. It is the risen possibility of the brand dilution which becomes so large that a brand equity is utilized thus. bringing a negative feedback effect into the source of brand equity. This study is an attempt to investgate the effect of dilution on corporate brand attitude through information processing under the expasure of negative information abut the extended product. That is. the author studied how consumers` prior belief a b u t a core brand was effected when amsumers were exposed to negative information. This study had identified the variables which had an influence on the brand dlution effect and the kind of conditions in which mnsumers` prior beliefs cbangd The summatlzed ` results are as follows: (1) When negative infnmation about an extension product was offered. the attitude a b u t the core brand changed much more when the motivation was k h . Also.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a presentation pattern of negative information abut an extension product and an information processing motivation appeared. (2) When negative information a b u t an extension product offered. the attitude about the core brand changed much more when prior knowledge was low. However.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presentation pattern of information abut an extension product and prior knowledge was not evident. (3) When negative information a but an extension product was offered. an interaction effect of prior knowledge and motivation a p p x d Finally, the theoretical and marketmg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