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 유형 탐색

        양명희 ( Myong Hee Yang ),정윤선 ( Yun Seon Cheong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3 초등교육연구 Vol.2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social support profil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using Latent class analysis, and to investigate their differences of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mong the profiles. The participants were 921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live in Seoul and nearby area. The scales of social support, academic variables(ex. cognitive strategy, class adaptation, academic efficacy) and emotional variables(ex. positive emotion, negative emotion, stress) were used. The result of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Latent Class Analysis reveals there are 5 different profiles such as ``high-support group``, ``family-support group``, ``average group``, ``peer/teacher-support group``, ``low-support group``. Secondly, the analysis of psychological variables of these 5 groups shows that the ``high-support group`` is more positive than any other groups in terms of academic variables such as cognitive strategies, adaptation in class, and academic efficacy. On the other hand, ``low-support group`` is the lowest on cognitive strategies, class adaptation, and academic efficacy. Thirdly, students who have high family support have experienced less negative emotions and stress. Family support was the most important variable that affected the children`s emotional characteristic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increase family support to reduce children`s stress and negative emotions. These results in this study reveal that having social support from parents, peer, and teacher would be important to their learning and psychological wellbeing.

      • 2013 엑셜로 개별대상연구 그래프 그리기

        양명희 ( Yang Myounghee ) 광신대학교 출판부 2015 光神論壇 Vol.25 No.-

        연구자가 개별대상연구 그래프를 컴퓨터로 제작하는 것은 간단한 작업이 아니다. 이 연구의 목적은 개별대상연구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복수 기초선 설계 그래프를 초보자도 쉽고 빠르고 정확하게 따라 그릴 수 있도록 엑셀 프로그램 2013을 이용하여 과제분석 형식의 사용자 중심 설명서를 개발하는 것이다. 컴퓨터로 복수 기초선 설계 그래프를 그릴 수 있도록 과제 분석한 그래프 제작 설명서를 제시하였다. Constructing single subject research(SSR) graphs is challenging for many researchers because it is a complex task with many steps that conform to many of the technical recommendations for publication in journal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minimize the difficulties by providing a task analysis for creating SSR graphs using Microsoft Office Excel 2013. The task analysis for constructing a multiple baseline design graph of SSR is provided.

      • KCI등재

        띄어쓰기 변천을 통해 본 의식 연구

        양명희(Yang, Myung-hee) 국어국문학회 2013 국어국문학 Vol.- No.163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word spacing sense of Korean linguists who defined the rules of Korean orthography, by looking into the changes of word spacing after the draft of unified Korean orthography. As a result, this essay reached to four conclusions. First, the Korean linguists tried to applied the standard of word spacing, ‘word’. This particularly became clear after "Hangul word spacing" in 1949, when word spacing rules were settl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Second, they considered ‘comprehensiveness’ an important factor in determining the rules of Korean orthography. This can be known from the fact that it spaced proper nouns and technical terms by words and by units, for grasping the meanings. Third, they attempted to apply word spacing that the public commonly used for the public"s convenience; ‘actuality’. The permitted rules that allowed exceptions are examples of the linguists" efforts for actuality and convenience. Lastly, the Korean linguists had a law-abiding spirit or a consciousness of ‘traditionality’. If there wasn"t a major error in the rules that were made earlier, they elaborated within the borders of the previously made rules. This is necessary to minimize the confusion by the emergence of the new rules that the pubic will experience, who are familiar to the older rules. This essay examined what elements the linguists took into account when deciding the rules of Korean orthography through the changes of word spacing rules. Word and comprehensiveness, actuality, tradionality are conflicting senses but should be in balance to achieve the original goal of word spacing.

      • KCI등재

        국어학 : 고급 한국어 어휘 교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양명희 ( Myung Hee Yang ) 반교어문학회 2010 泮橋語文硏究 Vol.0 No.29

        본고는 고급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어휘 교재 개발을 목적으로 고급 한국어의 개념과 범위, 고급 한국어 어휘의 선정 방법, 그리고 선정된 어휘를 제시하는 방법으로 단어족을 한국어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먼저 한국어 교육 현장을 고려하여 고급 한국어 어휘를 사전의 도움으로 고급 텍스트를 이해할 수 있는 `최소한의 어휘`와 사전의 도움 없이 고급 텍스트를 이해할 수 있는 `적정한 어휘`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최소한의 고급 한국어 어휘 선정을 위하여 국립국어원(2003)의 고급 어휘 2,872항목과 대학 수학 목적공통 기본 어휘에 해당하는 신명선(2004)의 사고도구어 1,404항목을 대상으로 어휘 선정에 필요한 내용을 검토하였다. 어휘의 효율적인 학습을 위한 어휘 제시 방법으로 단어족의 개념을 제안하였는데, 서구의 단어족의 개념을 한국어에 적용하기 위한 세 가지 기준을 세웠다. 첫째, 일음절 어근은 어기로 삼지 않는다. 둘째, 합성어도 단어족에 포함하되, 융합 합성어와 병렬합성어는 선행 어기를, 종속 합성어는 중심 어기를 어기로 삼는다. 셋째, 연어가 합성어가 된 경우는 연어핵을 어기로 삼는다. 이 과정에서 고급 한국어 어휘에 결합되는 어기 결합 요소를 추출하였으며 고급 학습자의 어휘량 증진을 위해 어기 결합 요소에 대한 학습이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This essay discusses the concept and range of high-level Korean vocabulary, the way to select high-level Korean vocabulary, and how to apply the concept of word families in presenting the selected vocabularies, aiming to develop Korean vocabulary textbooks for advanced learners. To begin with, high-level vocabularies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considering the educational conditions of the Korean language; `necessary vocabularies` which requires finding a dictionary to comprehend advanced texts and `proper vocabularies` which does not need referring to a dictionary. In addition, the high-level Korean lexicon was selected according to 2872 items from the study of NIKL`s "Vocabularies on education for foreigners learning Korean"(2003) and 1404 academic word from the study of Shin(2004). For the efficiency of acquiring Korean vocabulary, this essay suggests three standards to apply the Western`s idea of word families into the Korean language. Firstly, a root with one syllable shouldn`t be a base form. Secondly, a compound word should be included in a word family. Thirdly, if a collocation has become a compound word, the head of the collocation word should be the base form. In this process I extracted the word parts which were combined with high-level Korean vocabulary and maintained that learning word parts is necessary for advanced learners in enriching vocabulary.

      • KCI등재

        고등학생(高等學生) 언어생활(言語生活)에 관한 한 조사(調査) -서울, 대구 지역의 고등학교(高等學校) 2학년 학생을 대상(對象)으로-

        양명희 ( Yang Myung-hee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5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3 No.2

        이 글은 高等學生들의 言語生活 實態를 全般的으로 把握하기 위하여 언어생활을 종래의 國語科 範疇에 따라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로 나누고 設問調査를 하여 그 結果를 分析한 논문이다. 豫備 調査의 성격을 지녔기 때문에 서울과 대구 지역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조사를 하였다. 또한 社會的 變因에 따른 언어생활의 差異를 알아보기 위해 性(남/여), 系列(인문계/실업계/특목고), 地域 1(서울/대구), 地域 2(서울 강남/강북, 대구 수성구/비수성구)를 고려하여 표본을 추출하였으며, 언어생활에 나타난 性別, 系列別, 地域別 特性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조사는 사회언어학적 관심으로 언어생활을 알아보기 위한 것에서 더 나아가 청소년들의 바람직한 언어생활을 誘導하기 위해서도 필요한 일이다. 앞으로 청소년들의 언어생활과 관련하여 國語敎育界와 社會言語學界의 多樣하고 深度있는 조사 결과가 나오길 기대한다. This study is a survey on the language life style of high school students (second grade) in Korea. The language life style is one of the sociolinguistic's concerns, through the language life style we can see human's thoughts and attitudes about language. I divide language life style into four categories (speaking, listening, reading, writing) and make a questionnaire. And I am interested in social variables which affect language life style, for example, sex, department in high school, locality, so I inquire students according to them. There are many interesting results, some are new and already known. Speaking Life Style: 53.8 percent of students don't say good morning to their parents. Most of the students use mobile phone to send a message rather than call a phone. About 1/3 students have a confidence in making a speech. About 3/4 students say a slander. Listening Life Style: 21.8 percent students can't understand their class for lack of attention. Reading Life Style: They read free papers or internet papers rather than daily newspaper. 43 percent students read one or two books per month. Writing Life Style: 44.8 percent students don't write a letter in hands. 53.5 percent students don't write a diary. 84.6 percent students don't use e-mails. I expect the results from this study help to make methods of sociolinguistic survey and to make a curriculum of Korean education.

      • KCI등재

        초등학생의 정서와 학습관련 심리적 특성의 관계

        양명희 ( Myong Hee Yang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2 아동교육 Vol.21 No.4

        본 연구는 초등학생이 지각하는 정서의 수준을 살펴보고, 이들이 지각하는 정서가 학업과 관련한 다양한 인지적, 비인지적 특성들과 어떠한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지를 탐색하는데 주목적을 두었다. 서울과 도권의 9개 초등학교 921명의 아동이 설문에 참여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확인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등학생들은 부정적 정서보다는 긍정적 정서를 더 지각하며, 남녀, 학년에 따른 정서지각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초등학생들은 학교생활적응이나 가족지지가 높을수록, 인지전략을 다양하게 활용할수록, 자아효능감과 성적이 높을수록 긍정적 정서가 증가하고 부정적 정서는 감소하였다. 학업관련 인지적, 비인지적 특성과의 관계를 보면 긍정적 정서가 부정적 정서보다 더 높은 상관을 나타내었다. 자아효능감, 인지전략은 부정적 정서보다 긍정적 정서를 더 많이 설명하며 부정적 정서를 예언하는 유일한 변수는 자아효능감이었다. 정서지각 유형에 따른 차이를 살펴본 결과, 긍정적 정서를 더 지각하면서 부정적 정서를 덜 지각하는 집단의 학습관련 심리적 특성들이 가장 우수하였고, 긍정적 정서를 덜 지각하면서 부정적 정서를 더 지각하는 집단에서 가장 저조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을 바탕으로 한 논의들이 제시되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that elementary school children perceive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academic-related characteristics. 921 students from 5~6 grade in Seoul and Gyeongi area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The elementary school children showed positive emotions more than negative ones, and there was no gender difference. School adjustment, family support, use of cognitive strategy, self-efficacy, academic achievement was positively related with positive emotion and negatively related with negative emotion. The cognitive characteristics such as self-efficacy and cognitive strategy contributed much to the positive emotions. The only predictor for negative emotions was the self-efficacy. The students group with higher positive emotions and the lower level of negative ones, showed most desirable results on learning-relate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The students group with lower positive emotions and higher negative ones was the lowest. Further discussions of this study were presented.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인의 언어의식과 국어정책

        양명희 ( Myung Hee Yang ),문지순 ( Grace Ge Soon Moon ) 경희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5 社會科學硏究 Vol.41 No.3

        국어기본법에 따라 국립국어원에서는 2005년부터 5년마다 국민의 언어의식 조사를 수행해 왔다. 그러나 이 조사 결과에 대한 학문적, 정책적 연구는 많지 않은데, 장기적 조사를 앞둔 이 시점에 2005년과 2010년의 조사 내용과 조사 결과를 비교하여 조사 방향을 제시하고 조사 결과를 어떻게 국어 정책 수립에 반영해야 할지에 대해 논의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논문은 이러한 목적으로 쓰여진 것으로, 2005년과 2010년의 조사 결과를 비교, 분석함과 동시에 좀 더 효과적이고 시의적절하며 국민들의 언어생활에 도움이 되는 언어의식 조사의 내용과 방법에 대해 논의하였다. Pursuant to the Framework Act on Korean Language,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has conducted a quinquennial survey on people`s language awareness since 2005. Regrettably, however, there has been little academic or policy discussion on the results and outcomes of the surveys conducted in 2005 and 2010. With the third survey coming up in less than a year, it is imperative that the findings from the first two surveys be scrutinized for their causes and policy implications. In an attempt to help fill this void, the present study analyzes the results of the 2005 and 2010 surveys and examines how they have been incorporated into language policy making. The study reveals certain shifts and developments in people`s awareness of and attitude toward the Korean language, which should feed not only into the upcoming survey but also into future policy decisions. The study also puts forward some general suggestions on how the survey may be revised and updated so as to facilitate more effective, timely, and relevant fact-finding.

      • KCI등재

        청소년들의 학업정서 지각 유형과 자기조절학습과의 관련성

        양명희(Yang, Myonghee),권재기(Kwon, Jaeki)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3 한국청소년연구 Vol.24 No.4

        학습자가 지각하는 정서는 학습 과정 전반에 관련되어 있어, 어떠한 정서를 지각하느냐에 따라 이후 학습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학업상황에서의 정서지각 유형을 찾아보고 그에 따른 자기조절학습의 특징을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서울과 수도권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6개의 중?고등학교의 543명의 자료가 분석되었다. 학업정서 지각에 따른 학습자 유형을 추출하기 위해 수업, 학습, 시험의 세 상황과, 긍정과 부정의 두 정서에 기반한 6가지 지표를 바탕으로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확인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업정서 지각에 있어 학교급 차이가 존재하여 중학생과 고등학생을 나누어 프로파일분석을 실시한 결과 중학생은 ‘순수긍정형’, ‘일반형’, ‘부정형’, ‘침체형’의 네 유형이, 고등학생은 ‘순수긍정형’, ‘일반형’, ‘부정형’의 세 유형이 추출되었다. ‘순수긍정형’, ‘일반형’, ‘부정형’은 중학생과 고등학생에 공통적으로 추출되었으며, 침체형은 중학생에만 확인되었다. 자기조절학습의 수준과 모습을 보면 순수긍정형이 자기조절적 노력과 관련 동기적 형태에서 월등하게 우수한 모습을 나타내었던 반면 부정형 학습자들은 학습에 대한 외재적 동기가 높고 시험불안이 높은, 그러나 자기조절 노력은 저조한 유형이었다. 긍정정서에 대한 지각은 수업, 학습, 시험의 상황에서 비교적 안정적이었으나 부정정서는 상황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긍정정서는 수업상황에서 높고, 부정정서는 혼자서 공부하는 상황에서 가장 높았다. 본 연구에서 확인된 결과들은 학습자가 학업상황에서 지각하는 정서의 중요성을 잘 말해준다. 수업, 학습, 시험상황에서 긍정적인 정서적 경험을 많이 하는 학생들은 자신의 학습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자기조절적 노력을 기울이면서, 우수한 학습 동기를 형성하고 있다. 본 연구결과는 학습자들이 학업상황에서 지각하는 정서에 있어 서로 구분되는 유형으로 존재하므로 학습자를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지도하기 위해서는 그들이 지각하는 학업정서를 고려해야 함을 보여주고 있다. Academic emotions experienced by students in academic settings are important to learning processes as well as academic achievement. Relatively few studies exist which deal with academic emo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In this study, we focus on academic emotion and study how students perceive and experience their emotions in the context of classes, studying, taking tests and exams. This study was performed on 543 students in 6 middle and high schools in Seoul and Gyung-gi area. K-AEQ(Achievement Emotions Questionnaire), MSLQ(Motivated Strategies for Learning Questionnaire) were used to measure academic emo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The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latent profile analysis in order to identify the types of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4 groups were extracted from middle school students: the ‘pure positive’, ‘average’, ‘negative’ and ‘depression’ types. For high school students, 3 groups were extracted;‘pure positive’, ‘average’, ‘negative’ types. Secondly, 3 groups, such as ‘pure positive’, ‘average’ and ‘negative’ type were seen as being common to both middle school students and high school students. Thirdly, the pure positive type is significantly higher in terms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and learning motivation. On the other hand, the negative type showed higher levels of test anxiety and lower self regulated learning strategy and learning emotion. The depression type exhibited lowest scores in terms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and learning motivation.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in terms of academic emotion, the experience of students in academic contexts is important to their self-regulated learn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students who have positive emotions in academic contexts are highly motivated and use various learning strategies effectively and voluntarily. Further discussion on the results in this study are provided.

      • KCI등재

        국어정책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태도

        양명희(Yang, Myung-hee) 우리말글학회 2014 우리말 글 Vol.60 No.-

        이 연구는 국어기본법(2005)을 기점으로 국어정책에 대한 인식과 태도가 어떻게 새롭게 변화되었는지 고찰하는 것이 목적이다. 국어정책에 대한 인식과 태도의 변화를 논의하기 위해 국어정책의 대상, 범위, 국어정책론에 대한 접근 방법을 주요 내용으로 하여 국어기본법 이전과 이후를 비교해 보았다. 국어정책은 국민들을 대상으로 하는 정책으로 수혜자인 국민들의 요구에 맞는 국어정책 수립으로 방향이 변화되고 있으며, 국어정책의 범위는 단순히 국어 문제에만 한정되지 않고 언어와 관련한 문제를 전반적으로 다루고 있다. 표기와 문자 중심의 국어정책은 한국어 보급, 공공언어 향상, 국어능력 향상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게 되었고, 국어심의회의 분과 조정도 이루어졌다. 결론적으로 국어기본법은 국어정책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태도에서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으며, 국어정책론의 외연이 넓어짐과 동시에 사회과학적 연구 방법도 생겨나게 되었다. This thesis aims to consider the change of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s the Korean language policy after the Framework Act on the National Language(2005). To accomplish this purpose, we compare the three aspect - recipient, extent, and the approach method to language policy. First, by examining division of the National Language Deliberation Council and the Korean government"s language policy, it can be inferred that the main Korean language policy changed from orthography and characters into Korean spread, improvement the Korean ability and the public language. After the Framework Act on the National Language, there have been efforts to reflect the needs of beneficiaries of language policies. Korean language policy is extended to and handling not only the Korean language but also the overall language. Korean language policy studies is trying to implement methods of social science. In summary the Framework Act on the National Language can be seen to have derived from the perception and attitude change towards the Korean language poli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