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도시 배출특성에 기반을 둔 탄소배출 관리지원에 관한 연구: 광주광역시 도시탄소관리시스템을 중심으로

        양동우,김영미,김용훈,김현진,오병철 한국대기환경학회 2021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10

        인간 활동으로 야기된 기후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전세계 및 국가차원에서 탄소중립 전략수립과 로드맵이 마련되고 있다. 성공적인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서는 미시적 공간차원에서 탄소배출 및 흡수에 대한 현실을 과학적으로 파악해야 한다. 미시적 단위에서 탄소배출 관리가 탄소중립의 핵심인 상황에서 지역단위의 탄소배출 관리는 필수이다. 본 연구는 공간적으로 광역시 단위에서의 탄소배출 특성을 반영한 탄소배출 관리를 위하여 의사결정시스템의 개념구축과 의사결정시스템 구축으로 기대되는 효과를 평가하는 데 목적이 있다. 효과적인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은 정보 수집 · 가공 · 생산 · 활용에 있어 종합성, 상세성, 즉시성, 접근성, 확장성을 보장한다. 본 연구에서는 (재)국제기후환경센터가 2018년 구축한 도시탄소관리시스템(Urban Carbon Management Systems, 이하 UCMS)의 사례를 통해 탄소배출저감 정책을 효과적으로 지원하는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의 설계방식 및 활용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사례연구를 통해 탄소중립정책 관련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의 세 가지 유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UCMS는 탄소배출과 흡수의 요소를 세분화하고 기구축된 정보를 최대로 활용하고 있다. 둘째, 해당 시스템은 정보 수집 및 가공에 있어 개별 건축물 또는 상세격자 단위로 공간적 상세화를 담보하고 있다. 셋째, 탄소배출로 야기되는 영향력을 기후변화 취약성 지표로 확장하여 제공하고 있다. 반면 도시 미기후 연구에 활용되기 위해서는 시간적 상세성을 높여 연구개발의 확장성을 제고하는 것이 향후 과제이다.

      • 기후위기대응을 위한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의 구축 및 활용: 광주 도시평가모델시스템 사례

        양동우,김용훈,김영미,김현진,오병철,윤원태 한국기상학회 2021 한국기상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1 No.10

        기후위기 도시 미기후 미시적 공간차원에서 탄소배출 및 흡수에 대한 현실을 과학적으로 파악해야 한다. 미시적 단위에서 인공건조물 및 식생의 관리가 바람길, 열환경 관리의 핵심인 상황에서 미세격자단위로 미기후를 관리하는 것은 필수이다. 본 연구는 공간적으로 광역시 단위에서의 도시 상세환경을 반영한 미기후 관리를 위하여 의사결정시스템의 개념구축과 의사결정시스템 구축으로 기대되는 효과를 평가하는 데 목적이 있다. 효과적인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은 정보 수집가공생산활용에 있어 종합성, 상세성, 즉시성, 접근성, 확장성을 보장한다. 본 연구에서는 (재)국제기후환경센터가 2018년 구축한 도시평가모델시스템(Urban Assesment Model Systems, 이하 UCMS)의 사례를 통해 도시열환경 및 대기환경 정책을 효과적으로 지원하는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의 설계방식 및 활용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사례연구를 통해 열환경 및 대기환경정책 관련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의 세 가지 유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UAMS는 바람길 표출 공간단위를 세분화하고 기구축된 정보를 최대로 활용하고 있다. 둘째, 해당 시스템은 정보 수집 및 가공에 있어 개별 건축물 또는 상세격자 단위로 공간적 상세화를 담보하고 있다. 셋째, 도시건조환경으로 야기되는 영향력을 열환경 및 대기질로 확장하여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다만 시범운영 장소가 제한적인 관계로, 적용대상지역을 확장하여 미기후 연구역량을 제고하는 것이 향후 과제이다.

      • KCI등재

        Comparisons of fatty acid accumulation patterns of two filter feeders, Branchinella kugenumaensis and Daphnia magna in a controlled environment

        양동우,Jeong Seon Ah,김지희,박상규 한국생태학회 2022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ol.46 No.4

        Background: Filter-feeding zooplankton has limited food resources owing to their habitat. Consequently, it is crucial for them to acquire all essential compounds, such as fatty acids (FAs) and amino acids, from confined diets. To elucidate the trophic transfer of FAs to filter feeders, the primary consumers in freshwater ecosystems, we compared the FA accumulation patterns of two species of filter-feeding zooplankton, Daphnia magna and Branchinella kugenumaensis, in a laboratory experiment. Experimental neonates and nauplii preyed on a single phytoplankton species (Selenastrum capricornutum) for three days after hatching prior to diet switching. Five replicates per feeding group in each species were fed on six different types of mixed phytoplankton diet for 10 days after diet switching. Subsequently, the consumers and diets were harvested and FAs were extracted. Results: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showed that the FA profiles of zooplankton were well-grouped by species and diet. Although diet affects the FA profiles of consumers, they exhibit different FA accumulation patterns. D. magna had a higher 18C-ω3 content and ω3/ω6 ratio than did B. kugenumaensis. In contrast, B. kugenumaensis had higher contents of 18:1ω7 and 20:5ω3 (eicosapentaenoic acid), 22:6ω3 (docosahexaenoic acid), and a higher ratio of Σ18C monounsaturated FAs to Σ18C-ω3 polyunsaturated FAs than did D. magna. Conclusions: This study showed that two primary consumers, D. magna and B. kugenumaensis, fed the same diet had different assimilation patterns of FAs under controlled environments. Specific FA accumulation patterns in filter feeders can provide information on the transfer process of various FAs to high-trophic organisms.

      • KCI등재

        보령 학성리 갯벌 조간대 대형저서동물 군집구조 분석

        양동우,이정호,김하련,배한나,박진순,김혜선,YANG, DONGWOO,LEE, JUNG-HO,KIM, HARYUN,BAE, HANNA,PARK, JINSOON,KIM, HYE SEON 한국해양학회 2021 바다 Vol.26 No.3

        본 연구는 충남 보령 학성리 갯벌 조간대에서 대형저서동물의 시·공간적 분포 및 군집구조를 파악하고, 환경요인에 따른 군집구조 변동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현장조사는 2016년-2017년에 계절별로 9개 정점에서 캔코어(13 cm × 22 cm × 30 cm)를 이용하여 각 정점마다 3회 반복 채취 수행하였다. 퇴적환경은 전반적으로 니질 함량이 60% 이상이었으며, 유기물 함량은 평균 2.3%이었다. 대형 저서동물은 총 79종이 출현하였고, 평균서식밀도는 611 ind./m<sup>2</sup>, 평균생물량은 64.1 gWWt/m<sup>2</sup>이었다. 상위 우점종은 니질 갯벌에 서식하는 고리버들갯지렁이(Heteromastus filiformis), 칠게(Macrophthalmus japonicus)와 쏙(Upogebia major)이며, 서식밀도는 각각 297 ind./m<sup>2</sup>(48.6%), 62 ind./m<sup>2</sup>(10.1%), 42 ind./m<sup>2</sup>(6.9%)으로 나타났다. 집괴분석으로 분류된 3개의 정점군은 물리·화학적인 환경요인 보다는 생물상호 작용과 우점종 출현비율 등으로 구분되었으며, nMDS 분석으로 살펴본 대형저서동물 군집은 계절적 변동양상을 보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 of macrobenthic community and elucidate effects of environmental factors on change of community structure in an intertidal flat, Hakseong-ri, Boryeong, Korea. Field surveys were seasonally conducted to collect samples of sediment and macrobenthos using can core in triplicate at nine stations in 2016 and 2017. Our results showed that sediment had high mud content (above 60%) in most samples and mean content of loss on ignition was 2.3% in 2016. A total of 79 species was collected in the study site during the study period. Mean density and biomass were 611 ind./m<sup>2</sup> and 64.1 gWWt/m<sup>2</sup>, respectively. Heteromastus filiformis was the dominant species (48.6%, 297 ind./m<sup>2</sup>) followed by Macrophthalmus japonicus (10.1%, 62 ind./m<sup>2</sup>) and Upogebia major (6.9%, 42 ind./m<sup>2</sup>). Three assembly groups resulted from cluster analysis were more distinguished by interaction between organisms and frequency of dominant species than by physical and chemical environment characteristics. In addition, macrobenthic community in the Hakseong intertidal flat showed seasonal changes based on non 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 using species abundance.

      • EVA와 제 기업평가지표의 비교연구 : 한국제조기업을 중심으로

        양동우 서울대학교 증권금융연구소 1998 증권 금융연구 Vol.4 No.1

        본 연구는 EVA를 중심으로 제 기업평가지표의 유용성비교를 통하여 EVA의 한국자본시장의 기업평가지표로서의 적용가능성, 즉 EVA가 주가수익율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간단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한국자본시장에서 EVA는 당기 및 차기의 수익율과의 유의적인 상관관계가 상당히 낮은 것으로 나타날 뿐만 아니라 그 설명력이 타 기업평가지표에 비해 높지 않기 때문에 다른 지표에 비해 더 나은 지표라고 하기는 어렵다. 하지만 EVA가 다른 기업평가치표들처럼 매년, 매기 공시되어 진다면 이론적으로 NPV(순현재가치)에서 출발하여 기업이 부담하고 있는 자본비용과 경영위험을 고려한 지표이므로 주주부의 극대화를 위한 기업목표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고 할 것이다. 투자자들이 EVA지표를 사용하여 투자대상기업을 선택한다는 사실을 기업들이 알게 된다면, 기업들은 보다 효율적으로 투자안을 선택할 뿐만 아니라(합리적인 사전투자관리), 기존에 시행되고 있는 투자안이 자본비용을 초과하여 부가가치를 산출하는지를 측정(합리적인 사후투자 관리)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이를 기초로 하여 전문경영자에게 체계적인 보상을 할 수 있고 자본시장에서도 기업들을 제대로 가치평가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KCI등재

        탄성파 수직반사자료의 역산 연구

        양동우,양승진,장성형,Yang, Dong Woo,Yang, Seung Jin,Jang, Seong Hyeong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1996 자원환경지질 Vol.29 No.5

        In this paper a numerical experiment is conducted to determine the low acoustic impedance of a thin oil or gas reservoir from a seismogram by using the generalized linear inversion method. The seismograms used are normal incident synthetic seismograms containing p-wave primary reflections, multiples, and peg-leg multiples on the layers consisting of oil-, gas-, water-filled sandstone incased in shales. In this experiment the acoustic impedance, the location of reservoir boundary, thickness, and source wavelet are assumed initially and revised iteratively by the least-squares-error technique until the difference between the seismogram and calculated one is very small. This experiment shows that the acoustic impedance and thickness, about 10 m thick, can be determined by the inversio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