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수정란을 이용한 산란모형과 생명표분석

        안정준,최경산,고상욱,Ahn, Jeong Joon,Choi, Kyoung San,Koh, Sang Wook 한국응용곤충학회 2019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8 No.2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는 콩과작물과 과수에 경제적 피해를 주는 주요해충이다. 본 연구는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온도에 따른 산란특성을 규명하고 수정란을 이용한 산란모형과 생명표 매개변수를 추정하기 위하여 15.8, 19.7, 24.0, 27.8, 32.6, 34.0, $35.5^{\circ}C$ 정온조건에서 실험을 실시하였다. $15.8^{\circ}C$를 제외하고 조사된 모든 항온온도조건에서 산란이 가능하였다. 암컷 성충 수명은 $15.8^{\circ}C$ (110.5일)에서 가장 길었으며 온도가 올라갈수록 짧아지는 경향을 보였다($19.7^{\circ}C$에서 76.6일, $35.5^{\circ}C$에서 20.6일). 전체 산란수와 수정란수는 $24.0^{\circ}C$ (193.5와 151.2)에서 가장 많았으며 부화율은 $27.8^{\circ}C$ (84.0%)에서 가장 높았다. 전체 산란수와 수정란수를 이용하여 산란모형과 생명표 매개변수를 비교하였다. 수정란수를 이용시 온도별 총산란수 모형의 추정된 총산란수(159개)는 전체 산란수(190개)를 이용했을 때보다 적었다. 생명표분석에서 수정란을 이용하였을 때 개체군순증가율과 평균세대기간은 전체 산란수를 이용한 결과보다 작은 값을 나타내었다. 수정란을 이용한 산란모형 작성과 생명표분석은 실질적인 개체군변이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Riptortus pedestris (Fabricius) (Hemiptera: Alydidae) is an economically important insect pest of soybean and fruit trees. We investigated the temperature effects on the adult fecundity and longevity, and determined the parameters of oviposition models and life table at different constant temperatures 15.8, 19.7, 24.0, 27.8, 32.6, 34.0, and $35.5^{\circ}C$. R. pedestris females reproduced successfully from 19.7 to $35.5^{\circ}C$ except $15.8^{\circ}C$. The longevity of R. pedestris was longest at $15.8^{\circ}C$ and it decreased with increasing temperature (76.6 days at $19.7^{\circ}C$ and 20.6 days at $35.5^{\circ}C$). The number of total eggs and viable eggs was highest at $24.0^{\circ}C$ (193.5 and 151.2). Egg hatchability was highest at $27.8^{\circ}C$ (84.0%). We compared the results of oviposition models and life table parameters using both total eggs and viable eggs. The parameter value (c: the maximum reproductive capacity) (190 eggs) of temperature dependent total fecundity model using total egg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model using viable eggs. When we analyzed the life table parameter the values of net reproductive rate and mean generation time using viable eggs were lower than those using total eggs. The oviposition models and life table analysis using viable eggs will be helpful to understand the real population transition of R. pedestris in agricultural system.

      • KCI등재

        어리팥나방(Matsumuraeses falcana)의 발육과 생식에 미치는 온도의 영향

        안정준,김은영,서보윤,정진교,Jeong Joon, Ahn,Eun Young, Kim,Bo Yoon, Seo,Jin Kyo, Jung 한국응용곤충학회 2022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61 No.3

        The soybean podborer, Matsumuraeses falcana (Lepidoptera: Tortricidae), is one of important pests in soybean crop. In the purpose of forecasting population dynamics of M. falcana,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emperature on development of each life stage, adult longevity and fecundity of Matsumuraeses falcana at seven constant temperatures of 10, 13, 19, 22, 25, 28, and 31℃. Eggs hatched successfully at all temperature subjected. M. falcana developed from egg hatching to adult emergence at the tested temperatures except 10, 13, and 31℃. The developmental period of each life stage and adult longevity of M. falcana decreased as temperature increased. The lower developmental threshold (LDT) and thermal constant (K) from egg hatching to adult emergence of M. falcana were estimated by linear regression as 10.2℃ and 492.04DD, respectively. Lower and higher threshold temperature (TL and TH) were calculated by the Lobry-Rosso-Flandrois (LRF) and Sharpe-Schoolfield-Ikemoto (SSI) models. TL and TH from egg hatching to adult emergence using SSI model were 16.7℃ and 29.1℃. Thermal windows, i.e., the range in temperature between the minimum and maximum rate of development, of M. falcana was 12.4℃. We constructed the adult oviposition model of M. falcana using adult survivorship and fecundity. Temperature-dependent immature development and adult oviposition models will help constructing the population model of M. falcana and developing the strategies of integrated pest management in soybean fields.

      • KCI등재

        팥나방(Matsumuraeses phaseoli)의 발육과 생식에 미치는 온도의 영향

        안정준,김은영,서보윤,정진교,Jeong Joon, Ahn,Eun Young, Kim,Bo Yoon, Seo,Jin Kyo, Jung 한국응용곤충학회 2022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61 No.3

        Matsumuraeses phaseoli is one of important pests in soybean crops, especially adzuki beans.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emperature on development of each life stage, adult longevity and fecundity of M. phaseoli for understanding the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M. phaseoli at ten constant temperatures of 7, 10, 13, 16, 19, 22, 25, 28, 31, and 34℃. Eggs hatched successfully at all temperature subjected except 7℃ and 34℃. The developmental period of each life stage and adult longevity of M. phaseoli decreased as temperature increased. Lower and higher threshold temperature (TL and TH) were calculated by the Lobry-Rosso-Flandrois (LRF) and Sharpe-Schoolfield-Ikemoto (SSI) models. The lower developmental threshold (LDT) and thermal constant (K) from egg hatching to adult emergence of M. phaseoli were estimated by linear regression as 9.04℃ and 422.97DD, respectively. TL and TH from egg hatching to adult emergence using SSI model were 20.0℃ and 32.3℃. Thermal windows, i.e., the range in temperature between the minimum and maximum rate of development, of M. phaseoli was 12.3℃. We constructed the adult oviposition model of M. phaseoli using adult survivorship and fecundity. Temperature-dependent development models and adult oviposition models will be helpful to understand the population dynamics of M. falcana and to establish the strategy of integrated pest management in soybean fields.

      • KCI등재

        Terpinyl acetate-단백질먹이 유인제를 이용한 호박과실파리류 연중발생 모니터링 기술 및 살포용 방제 제형 개발

        김용균,안정준,Kim, Yonggyun,Ahn, Jeong Joon 한국응용곤충학회 2020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9 No.1

        국내에 호박을 가해하는 두 과실파리는 Zeugodacus 속으로 분류된다. 호박꽃과실파리(Z. scutellata) 수컷은 큐루어(Cuelure)에 유인되어 포장에서 이 과실파리의 발생을 모니터링 하는 데 이용된다. 이에 반해, 호박과실파리(Z. depressa) 수컷을 유인하는 물질은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단백질 먹이 유인제가 대부분의 과실파리를 유인하게 되는데 여기에 terpinyl acetate (TA)를 추가하여 호박과실파리의 유인력을 높였다. 본 연구는 TA-단백질먹이 유인제를 이용하여 호박 재배지에서 호박과실파리의 연중 발생을 모니터링 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TA-단백질먹이 유인제의 효율성을 증명하기 위해 호박꽃과실파리를 대상으로 큐루어와 TA-단백질먹이 유인제를 이용하여 2019년 한 해 동안 발생을 모니터링하고 이 두 유인제로 얻어진 연중 모니터링 자료를 비교하였다. 두 유인제를 이용한 호박꽃과실파리의 연중 발생 패턴은 10월 하순을 제외하면 유사하였다. TA-단백질먹이 유인제는 10월 하순 시기에도 지속적인 호박꽃과실파리의 포획을 보였는데 이는 9월 하순 이후 호박꽃과실파리의 성충 휴면 유기에 따른 유인 행동 차이로 이해되고 있다. TA-단백질먹이 유인제를 이용한 호박과실파리의 연중 모니터링은 크게 두 개의 발생 최성기를 보여 하나는 7월 중순이고 다른 하나는 8~9월에 나타나며 포획된 개체들의 80% 이상이 암컷이었다. 이러한 TA-단백질먹이 유인제의 두 과실파리류에 대한 유인 효과를 바탕으로 스피노사드(spinosad) 살충제를 가미한 수화제를 제조하고 호박 재배지에 살포하였다. 처리 7 일경과 후 약 70% 이상의 방제 효과를 기록하였다. 그러나 이 방제 효과는 처리 이후 기간이 경과하면서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는 TA-단백질먹이 유인제를 이용하여 야외 호박 재배지에서 호박과실파리의 연중 모니터링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또한 스피노사드를 가미한 TA-단백질먹이 유살제가 이들 호박과실파리류 방제에 응용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Two tephritid fruit flies are infesting pumpkins in Korea. Both are classified into genus of Zeugodacus. The striped fruit fly, Z. scutellata, males are attracted to a lure called Cuelure (CL), which has been used to monitor the occurrence of this fruit fly in the crop field. In contrast, no effective male lure was not developed to monitor the pumpkin fruit fly, Z. depressa. Protein diet lure has been used to attract females of most fruit flies. The addition of terpinyl acetate (TA) was effective to increase the attractiveness of Z. depressa. This study aimed to monitor the occurrence of Z. depressa in pumpkin field with TA-protein diet lure. To validate the efficiency of TA-protein diet lure, Z. scutellata was monitored in a year of 2019 using CL and TA-protein diet lures, and the yearly monitoring data were compared. The occurrence patterns derived from both lures were similar except late season after October. The extended catches of TA-protein diet lure might be explained by the adult diapause induction of Z. scutellata at late September. Monitoring Z. depressa with TA-protein diet lure gave two peaks at mid July and August-September, in which more than 80% catches were females. Based on the attractiveness of TA-protein diet lure, its wettable powder with an addition of spinosad insecticide was formulated and sprayed to pumpkin crops. After 7 days post-spray, the control efficacy recorded more than 70%. However, the control efficacies decreased as the time progressed after the spray.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e application of TA-protein diet lure for monitoring occurrence of Z. depressa in pumpkin-cultivating field conditions. The wettable powder containing spinosad can be applied to develop a new control agent against two pumpkin fruit flies.

      • KCI등재

        국내 배과원에 복숭아순나방붙이의 발생과 유사종 복숭아순나방의 페로몬 트랩 교차 유인

        정충렬,안정준,엄훈식,서정흔,김용균,Jung, Chung Ryul,Ahn, Jeong Joon,Eom, Hoon Sik,Seo, Jung Heun,Kim, Yonggyun 한국응용곤충학회 2012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1 No.4

        최근 사과원에서 복숭아순나방붙이(Grapholita dimorpha)의 발생이 보고되었다. 복숭아순나방붙이는 이와 유사한 복숭아순나방(G. molesta)이 발생하는 또 다른 기주에서도 동시에 발생이 가능하다고 제기되었다. 본 연구는 국내 여러 지역의 배과원에서 복숭아순나방붙이의 발생이 있음을 보고한다. 복숭아순나방붙이의 종 동정은 형태적 특징과 분자마커를 이용하여 실시되었다. 이들 두 종의 공통된 성페로몬 주성분으로 상호 교차 포획이 이뤄질 수 있다. 복숭아순나방붙이 페로몬트랩에 복숭아순나방붙이와 복숭아순나방이 포획되고, 복숭아순나방 페로몬트랩에 복숭아순나방과 복숭아순나방붙이가 포획되었다. 복숭아순나방붙이 트랩에 이뤄진 교차 포획비율은 지역적으로 다른 배과원에서 상호 뚜렷한 차이가 나타났다. 더욱이 이 두 종의 발생 피크도 조사한 모든 야외 지역에서 시기적으로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배 과수원에서 두 종의 성페로몬 트랩으로 얻은 모니터링 자료는 각각 서로 다른 종의 포획이 혼재하며, 이는 해당종의 발생빈도와 발생밀도가 확대 해석될 수 있음을 본 연구 자료는 제시하고 있다. The occurrence of plum fruit moth, Grapholita dimorpha, has been recently reported in apple orchards in Korea. It has been suspected that G. dimorpha and its related species, G. molesta, may occur simultaneously in other host plants. This study reports the occurrence of G. dimorpha in pear orchards of different localities in Korea. The identification of G. dimorpha was determined by morphological characters and the DNA marker. The cross-trapping of both species may be possible because the major sex pheromone (SP) compositions for the two species are similar. From the monitoring data, G. dimorpha and G. molesta were caught in SP lure traps of G. dimorpha and both species were also caught in SP lure traps of G. molesta. This cross-trapping of G. molesta to a SP lure of G. dimorpha varied significantly among pear orchards in different geographical localities. Furthermore, the occurrence peaks of the two species were not coincidental in all monitored orchards. These suggest that monitoring data obtained from each SP trap of both species in pear orchards may be mixed with two species, which would result in the over-estimation of population density and peak frequency on both species in pear orchards.

      • KCI등재

        비선형 곤충 온도발육모형의 특성과 발전과정에 대한 고찰

        김동순,안정준,이준호,Kim, Dong-Soon,Ahn, Jeong Joon,Lee, Joon-Ho 한국응용곤충학회 2017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6 No.1

        곤충의 온도발육모형은 해충의 발생예찰모형을 비롯한 개체군모형에서 기본이 되는 요소이다. 본고에서는 곤충의 온도의존적 비선형 발육모형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모형의 종류를 크게 경험모형과 생물리적 모형으로 구분하였으며, 수식의 유사성 내지 기원에 대한 유연관계에 따라 세분하였다. 발육률 곡선의 형태적 묘사에 적합한 수식을 적용하는 경험모형은 Stinner-계열, Logan-계열, 수행모형, 그리고 베타 분포모형으로 세분화하여 고찰하였다. 촉매반응을 바탕으로 하고 있는 생물리적 모형은 Eyring-모형, SM-모형, SS-모형, SSI-모형으로 이어지는 단계통으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에 포함된 각 모형의 개발과정과 형태적합 특성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Temperature-dependent development model is an essential component for forecasting models of insect pests as well as for insect population models. This study reviewed the nonlinear models which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mperature and development rate of insects. In the present study, the types of models were classified largely into empirical and biophysical model, and the groups were subdivided into subgroups according to the similarity of mathematical equations or the connection with original idea. Empirical models that apply analytical functions describing the suitable shape of development curve were subdivided into multiple subgroups as Stinner-based types, Logan-based types, performance models and Beta distribution types. Biophysical models based on enzyme kinetic reaction were grouped as monophyletic group leading to Eyring-model, SM-model, SS-mode, and SSI-model. Finally, we described the historical development and characteristics of non-linear development models and discussed the availability of models.

      • KCI등재

        자두과원에서 성페로몬을 이용한 복숭아순나방, 복숭아순나방붙이, 복숭아심식나방의 발생 패턴

        정선아,라릿,안정준,김영일,정철의,Jeong, Sun-A,Sah, Lalit Prasad,Ahn, Jeong Joon,Kim, Young-Il,Jung, Chuleui 한국응용곤충학회 2012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1 No.4

        경북의 자두 주요 생산지인 경산시와 의성군내 8개의 자두과원을 선정하여, 2010년과 2011년에 주요 심식나방류인 복숭아순나방, 복숭아순나방붙이, 복숭아심식나방의 발생상을 성페로몬 트랩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또한 경산지역에서는 과수원 내부와 외부에서 포획된 개체수 자료를 이용하여 내외부 발생량을 비교하였다. 경산에서 복숭아순나방과 복숭아순나방붙이 발생은 의성보다 약 1주일 정도 빠르게 나타났다. 복숭아순나방은 3월 하순에 발생을 시작하여, 4월 하순 최성기를 이루었으며, 이후 세대는 6월 중순, 7월 중순, 8월 중순에 성충 최성기를 보였다. 반면 복숭아심식나방은 두 지역간의 차이가 없었으며, 6월 상순에 발생을 시작하여 9월 중순까지 2-3회의 발생 최성기를 보였다. 복숭아심식나방의 경우 2010년은 전형적인 2회 최성기를 보였으나 2011년에는 3회 최성기를 보였다. 연간 복숭아순나방, 복숭아순나방붙이, 복숭아심식나방의 발생량비는 경산지역에서 63-47:16-35:20-18%였고, 의성지역은 51-46:18-13:31-36%로 나타났다. 복숭아순나방과 복숭아순나방붙이의 경우 과수원 내부와 외부에서 포획량의 차이는 없었다. Fruit borers such as Grapholita molesta, G. dimorpha and Carposina sasakii are major pests of plum in Korea. Population densities and seasonal occurrence were monitored using the synthetic sex pheromone trap in Uiseong and Gyeongsan, two important major plum growing area in Korea. In 2010 and 2011, adults of G. molesta were caught from mid April with the peak of late April, and then undergone three more generations in Gyeongsan. Grapholita dimorpha appeared from late April and they showed three peaks until late September. Both Grapholita species occurred a few days later in Uiseong than in Gyeongsan where the latitude is $1^{\circ}$ lower. There was no difference of the phenological occurrence of C. sasakii between Gyeongsan and Uiseong, showing the same patterns of two or three peaks. Population size was in order of G. molesta, G. dimorpha and C. sasakii with 63:16:20 and 47:35:18 in Gyeongsan and 51:18:31 and 46:13:36 in Uiseong, in 2010 and 2011 respectively.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numbers of Grapholita species caught in the trap installed inside and outside of the orchards.

      • KCI등재

        열대거세미나방 유충 사육을 위한 반합성 인공사료

        정진교,김은영,김이현,안정준,이관석,서보윤,Jung, Jin Kyo,Kim, Eun Young,Kim, I Hyeon,Ahn, Jeong Joon,Lee, Gwan-Seok,Seo, Bo Yoon 한국응용곤충학회 2020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9 No.3

        열대거세미나방(Spodoptera frugiperda)(밤나방과) 유충을 사육하기 위해 강낭콩과 맥아, 콩, 전지분유, 설탕을 주 영양분으로 구성한 두 종류(N4와 N6)의 반합성 인공사료를 개발하였다. 25℃와 광주기 15:9 h(명:암) 조건으로 페트리접시(지름 50 × 10 mm, 19.6 ㎤) 안에서 1령 유충을 각 사료로 개체별로 사육하였을 때, 6령 유충까지 관찰되었다. 용화율은 N4에서 평균 97.8%로 N6의 85.6%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번데기의 우화율은 각각 92.0과 93.5%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암컷 유충의 발육기간은 N4에서 17.9일, N6에서 17.7일이었고 수컷은 N4에서 18.7일, N6에서 18.5일이었는데, 사료 및 암수 사이에 차이는 없었다. 번데기 기간은 암컷이 11.1일, 수컷은 12.8일로 각 사료에서 동일하였는데, 암수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번데기 무게는 N4에서 257 mg로 암수가 동일하였고 N6 사료에서는 암컷이 256 mg, 수컷이 263 mg이었는데, 사료 및 암수 사이에 차이는 없었다. 각 사료로 자란 암컷 성충의 수명은 N4에서 8.6일에 비해 N6가 13.8일로 길었다. 산란전 기간은 N4에서 5.0일, N6에서 4.2일로 차이는 없었다. 산란기간은 N6사료에서 6.5일로 N4의 3.9일 보다 유의하게 길었다. 암컷당 유효 산란수는 N6에서 1,392개(최대 1,776개)로 N4사료에서의 942개(최대 1,694개)보다 많았으나, 사료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N4와 N6 각각에서 알의 부화율은 79.2%와 79.8%이었고, 알 기간은 3.0일과 2.9일이었는데, 사료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Two meridic diets, N4 and N6, containing pinto bean, wheat germ, soybean, whole milk and sucrose as main nutrients were developed for rearing Spodoptera frugiperda (Noctuidae) larvae. Six larval instars were observed when neonate larvae were individually raised on these diets in small petri-dishes (ø 50 × 10 mm, 19.6 ㎤) at 25℃ and 15:9 h (light:dark) photoperiod. The average pupation rate of 97.8% on the N4 die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rate of 85.6% on N6 diet. The emergence rates were 92.0% on N4 diet and 93.5% on N6 diet, with a non-significant difference. The larval periods were 17.9 and 17.7 days for females, and 18.7 and 18.5 days for males, for N4 and N6 diets, respectively, with non-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diets and sexes. The pupal periods on both diets were identical (11.1 days for females and 12.8 days for males), despite differences between sexes. The pupal weights of both sexes on N4 diet were identical with a value of 257 mg, whereas those on N6 diet were 256 and 263 mg for females and males, respectively, with a non-significant difference. The longevity of female adults that emerged on N6 diet was 13.8 days and longer than 8.6 days on N4 diet. The pre-oviposition periods were 5.0 and 4.2 days on the N4 and N6 diets, respectively, with a non-significant difference, however, the oviposition period of 6.5 days on N6 diet was longer than the period of 3.9 days on N4 diet. The effective fecundity on N6 diet was 1,392 eggs (maximum 1,776) and was higher than that of 942 eggs (maximum 1,694) on N4 diet, with a non-significant difference. The egg hatching rates on N4 and N6 diets were 79.2 and 79.8%, and egg periods were 3.0 and 2.9 days, respectively, with non-significant differences.

      • 경제성을 고려한 보조전원장치의 컨버터 입력전압 추정을 위한 제어기 설계

        김재문(Kim Jae-Moon),안정준(Ahn Jeong-Joon) 한국철도학회 2008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 No.-

        The single-phase PWM converter employing power semiconductors is currently applied to the power unit of high-speed rail vehicle and increasingly used as the front-end converter with properties of near unity powerfactor. Power factor and harmonics are increasingly important needs for drive system of high-speed rail vehicle. The proposed approach has many advantages which include fewer semiconductor components, simplified control, high performance features and satisfies IEC 555 harmonic current standards.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dc-link voltage control obey the reference value during constant load and input current is near sinusoid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