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 KCI등재

        불확실성을 고려한 미래 잣나무의 서식 적지 분포 예측 -종 분포 모형과 RCP시나리오를 중심으로-

        안윤정 ( Yoonjung Ahn ),이동근 ( Dong Kun Lee ),김호걸 ( Ho Gul Kim ),박찬 ( Chan Park ),김지연 ( Jiyeon Kim ),김재욱 ( Jae Uk Kim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2015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Vol.18 No.3

        Climate change will make significant impact on species distribution in forest. Pinus koraiensis which is commonly called as Korean Pine is normally distributed in frigid zones. Climate change which causes severe heat could affect distribution of Korean pine. Therefore, this study predicted the distribution of Korean Pine and the suitable habitat area with consideration on uncertainty by applyingclimate change scenarios on an ensemble model. First of all, a site index was considered when selecting present and absent points and a stratified method was used to select the points. Secondly, environmental and climate variables were chosen by literature review and then confirmed with experts. Those variables were used as input data of BIOMOD2. Thirdly, the present distribution model was made. The result was validated with ROC. Lastly, RCP scenarios were applied on the models to create the future distribution model. As a results, each individual model shows quite big differences in the results but generally most models and ensemble models estimated that the suitable habitat area would be decreased in midterm future(40s) as well as long term future(90s).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업사이클링 vs. 리사이클링: 친환경 제품유형, 자아해석, 자기표현적 단서가 소비자들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안윤정 ( Ahn Yunjeong ),이지은 ( Lee Jieun ) 한국소비자학회 2020 소비자학연구 Vol.31 No.3

        환경보호에 대한 사회적 요구의 증가와 기업의 지속적인 노력의 결과 친환경 제품은 다양한 형태로 변화하고 있다. 최근에는 제품을 단순히 재활용하는 리사이클링 제품에서 나아가 제품에 더 많은 가치를 부여하는 업사이클링 제품이 소비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하지만 업사이클링 제품에 대한 기업의 실무적 노력이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학문적 관심은 다소 미흡한 편이었다. 특히, 업사이클링 제품이 리사이클링 제품에 비해 소비자들의 긍정적 반응 뿐 아니라 부정적 반응을 불러올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선행연구들은 긍정적 측면에만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는 한계점이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업사이클링 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상반된 인식을 혜택과 금전적 희생을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이에 대해 소비자들의 자아해석과 자기표현적 단서가 어떤 영향을 주는지 조사하였다. 제품유형과 자아해석에 따른 소비자 반응의 차이를 살펴본 실험 1의 결과, 독립적 자아해석의 소비자들은 리사이클링 제품보다 업사이클링 제품에서 더 많은 혜택을 지각하여 더 긍정적인 구매의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상호의존적 자아해석의 소비자들은 리사이클링 제품보다 업사이클링 제품에서 더 많은 금전적 희생을 지각하여 더 부정적인 구매의도를 갖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실험 2의 결과, 자기표현적 단서가 제시되었을 경우 친환경 제품유형과 자아해석의 상호작용 효과는 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표현적 단서가 제시되었을 경우 독립적 및 상호의존적 자아해석의 소비자들 모두 친환경 제품에 대한 긍정적인 구매의도를 갖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학문적 시사점과 실무적 시사점, 그리고 향후 연구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As a result of increasing social demands for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continuous efforts by companies, eco-friendly products are changing in various forms. Upcycled products that add more value to products, not just recycled products that simply reuse products, have recently attracted consumer attention. However, despite the increasing practical efforts of companies on upcycled products, there is a lack of academic interests. In particular, despite the fact that upcycled products can bring not only positive responses but also negative responses from consumers compared to recycled products, there were limitations that prior studies focused only on the positive aspects. In this regard, this study examines consumers' conflicting perceptions of upcycled products, focusing on benefits and monetary sacrifice, and investigates the effects of consumers' self-interpretation and self-expression cues. As a result of Study 1, which examined the difference in consumer response by product type and self-construal, consumers with independent self-construal perceived more benefits and revealed more positive purchase intentions toward upcycled products than recycled products. On the other hand, those with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perceived more monetary sacrifice and had more negative purchase intentions in upcycled products than in recycled products. However, Study 2 showed that there was no interaction effect between eco-friendly product type and self-construal when self-expressive cues are presented. In this case, both consumers with independent self-construal and consumers with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have positive purchase intentions for eco-friendly products. Finally, we discuss the academic implications, practical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 KCI등재

        연결성 분석을 통한 성남시 미집행 공원의 조성 우선순위 선정

        안윤정 ( Yoon Jung Ahn ),이동근 ( Dong Kun Lee ),김호걸 ( Ho Gul Kim ),모용원 ( Yong Won Mo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구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 2014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Vol.17 No.3

        An urban ecosystem is a complex system that includes social, economic and ecosystem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consider its environmental capacity while developing a city plan. Most of the plans, however, consider only the social aspects, which fragments the green spaces and disturbs the movement of species. Sungnam has approximately 100 parks with unexecuted development plans and with great potential to contribute towards urban ecosystem enhancement. Therefore, this study applied network analysis to prioritize the development of city parks and contribute towards improving the green network, with Parus spp. as the target species. To compensate for the drawbacks of binary and possibility-based network analysis, this study included two indices, namely BCPCK, BCIICK, dPCcannectork and dIICcannectork. These indices make it possible to find patches that could play an important role in green network enhancement. The urban park with greater value gets a higher priority to be transformed into a park. Thus, our methodology could prove to be very useful in prioritizing the undeveloped parks, thereby supporting decision-making.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산업재해로 신체 장애인이 된 근로자의 산업재해와 직업재활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장순영(Jang, Soon young),안윤정(Ahn, Yoon jung) 한국직업재활학회 2021 職業再活硏究 Vol.3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근로자가 겪은 산업재해로 인한 신체 손상과 진로단절이라는 생활전반의 변화를 총체적으로 이해하고, 이를 통해 연구참여자가 드러내는 산업재해와 직업재활에 대한 현상의 본질은 무엇인지 규명하여 근로자에서 산재장애인으로 변화 된 실존의 이해를 돕고 직업재활을 위한 방안을 제언하기 위함이다. 8명의 산재장애인을 연구참여자로 하여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탐구하여 van Manen이 제시한 네 개의 실존체 분석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91개의 중심의미에서 25개의 주제를 구성하고, 12개의 본질적 주제를 도출하여 산업재해와 직업재활 경험에 대한 본질을 해석하였다. 신체성의 본질적 주제는 ‘사라짐’, ‘고난’, ‘재생’으로, 시간성의 본질적 주제는 ‘무너짐’, ‘변화’, ‘성숙’으로, 공간성의 본질적 주제는 ‘백지’, ‘적자생존’, ‘재탄생’으로, 관계성의 본질적 주제는 ‘혼선, ‘공감’, ‘공존’으로 도출되었고, 이러한 네 개의 근본적 실존체의 주제에서 연구참여자의 산업재해 경험과 직업재활은 ‘산업재해로 인한 변화를 인정함으로써 더 성숙한 존재로 다시 살기’라는 본질을 지향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본 연구는 근로자의 산업재해와 직업재활을 주제로 한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로, 연구참여자들이 경험한 본질에 대한 해석을 시도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산재장애인의 직업재활에 대한 개선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the overall changes in life caused by industrial accidents and career breaks, and to identify the nature of industrial accidents and vocational rehabilitation phenomena revealed by research participants to help understanding the existence changed from workers to industrial accident workers, and to suggest the ways for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Eight industrial accident workers were explored with van Manen s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s and analyzed by van Manen s four existential analysis methods to construct 25 topics from 91 central meanings and derive 12 intrinsic themes to interpret the nature of industrial accidents and vocational rehabilitation experiences. The essential themes are as follows: the essential themes of corporeality-lived body are ‘disappearance’, ‘suffering’ and ‘regeneration’, the essential themes of temporality-lived time are ‘falling’, ‘change’, ‘mature’, the essential themes of spatiality-lived space are ‘blank paper’, ‘survival of the fittest’, and ‘reborn’, and the essential themes of relationality are ‘confusion’, ‘sympathy’ and ‘coexistence’, Under the theme of these four fundamental entities, the experience of industrial accidents and vocational rehabilitation of research participants were understood to be aimed at the essence of ‘living again as a more mature being by accepting changes caused by industrial accidents’. This study is an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subject of industrial accidents and vocational rehabilitation of workers, and it is meaningful in that it attempted to interpret the nature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experienc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t was suggested that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of people with industrial disabilities be improved.

      • KCI등재

        게임화된 CSR 캠페인이 중국 소비자들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

        장한(Han Zhang),안윤정(Yunjeong Ahn),이지은(Jieun Lee) 중앙대학교 한국전자무역연구소 2022 전자무역연구 Vol.20 No.4

        연구목적: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활동에 게임화를 적용하는 것은 소비자들의 긍정적인 반응을 기대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다. 공익, 친환경과 지속가능 등의 CSR 이슈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을 유도하고 CSR 활동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기업들은 사회적 책임 활동에 게임화를 점차 활용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게임화된 CSR이 소비자의 반응(참여의도, 기업 태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고찰해보고자 한다. 나아가 게임화된 CSR 캠페인을 디자인하고 진행할 때 고려해야 할 목표 진도가 소비자 반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소비자 반응에 대한 게임화된 CSR의 영향력이 어떤 변수들(자기표현 편익, 몰입)에 의해 매개되는지를 검증하고자 한다. 논문구성/논리: 실험은 CSR 유형과 목표근접성에 따른 CSR에 대한 소비자들의 반응 차이와 그 메커니즘을 살펴보기 위해 진행되었다. 236명의 중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2(CSR 유형) × 2(목표 근접성) 집단 간 실험설계를 적용하였다. 분석에는 이원분산분석과 대조분석이 사용되었다. 그리고 CSR 유형과 목표 근접성이 CSR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의 메커니즘(자기표현 편익, 지각된 몰입)을 확인하기 위해 PROCESS macro의 model 8을 활용하였다. 결과: 게임화된 CSR 캠페인의 경우 소비자들은 목표 근접성이 낮을 때보다 목표 근접성이 높을 때 더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게임화된 CSR 활동에서 소비자들이 더 강한 자기표현 편익과 몰입을 지각하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비-게임화 CSR 캠페인의 경우 이에 대한 소비자들의 반응은 목표 근접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지 않았다. 독창성/가치: 게임화된 CSR에 대한 기업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학문적 관심은 부족한 여전히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게임화된 CSR이 소비자의 관심과 참여를 높인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나아가 게임화된 CSR이 어떤 메커니즘을 통해 소비자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다른 변수들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를 밝혔다. 이러한 결과들은 게임화된 CSR에 대한 학문적 관심을 높이고 기업의 CSR 활동에 게임화 요소를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것에 의미를 가진다. Purpose: Applying gamification to the design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is an effective way to elicit positive responses from consumers. In order to induce consumers' interest in CSR issues such as the public interest, eco-friendliness and sustainability, and to breathe new vitality into CSR activities, companies are gradually using gamification in their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Therefore, we examine the impact of gamified CSR on consumers’ response,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xpression benefits and perceived flow on participation intention and corporate attitude. We also explore the impact of goal proximity that can be considered when designing and carrying out gamified CSR campaigns. Composition/Logic: The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differences in consumer responses to CSR according to CSR types and goal proximity and its mechanism. Overall, 236 Chinese consum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a 2(CSR type) × 2(goal proximity) between-subjects design was applied. Two-way ANOVA and contrast 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the results. Additionally, model 8 of the PROCESS macro was used to check the mechanisms(self-expression benefit, perceived flow) in the effect of CSR type and goal proximity on CSR participation intention. Findings: The results indicate that in gamified CSR campaigns, consumers have more positive participation intention and corporate attitude when goal proximity is higher since these consumers perceive stronger self-expression benefits and flow. However, under the condition of non-gamified CSR,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sumer participation intention and corporate attitude regardless of goal proximity. Originality/Value: Although corporate interest in gamified CSR is increasing, academic interest in it is still lacking. This study confirmed that gamified CSR increases consumer interest and participation. Furthermore, we revealed how gamified CSR influences consumer response and how it interacts with other variables. These results are meaningful in that they raise academic interest in gamified CSR and suggest a way to effectively apply gamification to CSR activities.

      • KCI등재

        아스퍼거장애 아동 어머니의 양육경험에 관한 연구

        현진희(Hyun, Jin-Hee),안윤정(Ahn, Yoonjoung) 한국사회복지학회 2014 한국사회복지학 Vol.66 No.1

        본 연구는 아스퍼거장애 아동을 양육하는 어머니들이 주관적으로 인식하는 경험의 본질과 현상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면접은 2012년 8월부터 2013년 2월까지 6개월 동안 아스퍼거장애로 진단받은 아동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2∼3회에 걸쳐 진행되었다. 이를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아스퍼거장애 아동 어머니의 양육 경험의 본질은 ‘다른 별에서 온 아이의 손을 잡고 희미한 빛이 세어 나오는 동굴 걸어가기’로 해석되었으며, 18개의 하위범주와 6개의 주제 묶음으로 도출되었다. 6개의 주제는 ‘다른 별에서 온 독특한 아이와의 만남’, ‘다르지 않은 듯 다른 아이와 세상 속에 뛰어들 기’, ‘답을 찾고 계획 수정하기’, ‘끝이 보이지 않는 터널 지나기’, ‘힘든 여정 속의 작은 위안’, ‘한계를 인정하고 함께 걸어가기’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아스퍼거장애 아동 양육에 있어 필요한 실천적, 정책적 과제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essence and phenomena that the mothers of children with Asperger's disorder subjectively perceive. Interviews were conducted 2~3 times on the mothers of children diagnosed as Asperger's disorder during six months from August 2012 through February 2013. As a result of analysis with phenomenological method of Colaizzi, the essence of parenting experience of mothers of children with Asperger's disorder was interpreted as 'walking through a cave in shining dim light by hand in hand with a child who was from another star' and were drawn into 18 categories from 6 themes. The six themes turned out to be 'meeting with a unique child from another star', 'jumping into the world with a child seemingly not different but still different', 'finding answers and revising plans', 'passing through a tunnel with no end in sight', 'small consolation in a hard journey', and 'walking together by accepting limitations.' Based on these results, practical and political interventions in parenting children with Asperger's disorder wer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