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산재재활서비스 이용욕구 분류 및 전이 영향요인 검증: 잠재전이분석의 적용

        안새별,이준우,홍세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22 장애와 고용 Vol.32 No.3

        Purpose: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tegorize and examine the change patterns in the needs for rehabilitation service of industrial-accident workers over time. Method: Latent transition analysis (LTA), extending Latent profile analysis (LPA) longitudinally, was used. Results: Three groups of rehabilitation service needs in 2019 and five groups were identified in 2020, respectively. According to transition patterns of the groups across the two time points, members in the three groups identified in 2019 were likely to stay in the same groups in 2020, but the probability of transitioning to the groups with higher needs was not relatively low. Gender, health status, self-esteem, self-efficacy, and frequency of participation in social gatherings demonstrated significant effects on the transition. Implica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identifying the needs for industrial-accident rehabilitation services from a longitudinal perspective and providing a basis for developing individualized rehabilitation services for industrial-accident workers. 목적: 본 연구는 산재근로자의 재활서비스 이용욕구 유형에 따라 잠재프로파일을 분류한 후 시간의 흐름에 따른 전이 양상과 영향요인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잠재전이분석(Latent Transition Analysis)을 통해 재활서비스 이용욕구에 따른 유형의 전이 양상과 그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2019년의 재활서비스 이용욕구 유형은 ‘저욕구 집단’, ‘중욕구 집단’, ‘고욕구 집단’으로, 2020년은 ‘저욕구 집단’, ‘문화서비스 고욕구 집단’, ‘취업관련 저욕구집단’, ‘중욕구 집단’, ‘고욕구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2019년 세 집단은 2020년에 동일한 집단으로 유지될 확률이 높았으나, 더 높은 욕구를 지닌 유형으로 전이되는 확률도 낮지 않았다. 잠재전이에는 성별, 현재 건강상태,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친목 모임 참여 빈도가 유의한 영향을미쳤다. 시사점: 본 연구는 산재재활서비스의 이용욕구를 종단적인 관점에서 파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향후 본 연구를 통해 산재근로자 개인에 맞춘 재활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시스템의 토대가 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근로자의 세대에 따른 조직의 관계지향문화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조직신뢰와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안새별,장은지,김유정,차정민,홍세희 한국직업능력연구원 2023 직업능력개발연구 Vol.26 No.1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group cultur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analyzed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trust and job satisfaction across Generation X-ers and Millennial employees using data from the Human Capital Corporate Panel (HCCP) Survey. The results of the multiple group analysis identified that Generation X-ers showed a stronger effect of group cultur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an Millennials. However, Millennials showed a stronger effect of organizational trus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an Generation X-ers. Furthermore, Generation X partially mediated group cultur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rough organizational trust and job satisfaction, whereas Millennials had a full mediating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highlight the significance of group culture and embracing diversity within an organization in improving employees’ organizational commitment. 본 연구는 X세대와 밀레니얼 세대 근로자에게 관계지향문화가 조직신뢰와 직무만족을 매개로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력을 행사하는지 검증하고, 해당 변인 간 관계에서 세대에 따른 차이가 존재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인적자본기업패널 Ⅱ차 WAVE 제1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한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관계지향문화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은 X세대가 더 강력하게 나타났으나, 조직신뢰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은 밀레니얼 세대가 더 강했다. 더불어 X세대는 관계지향문화와 조직몰입 간 관계에서 조직신뢰와 직무만족의 부분매개효과가 성립하였고, 밀레니얼 세대의 경우 완전매개효과가 성립하였다. 본 연구는 두 세대에게 관계지향문화와 조직몰입 간 관계에서 유의한 매개효과를 지닌 요인을 확인하였다는 점과 세대 간 차이를 확인함으로써 조직 내 다양성을 포용하는 조직문화 형성의 중요성과 근로자의 조직몰입을 증진시킬 수 있는 조건을 제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 KCI등재

        학교 밖 청소년의 게임·스마트폰 의존 잠재프로파일 분류: 개인, 부모, 사회 요인의 영향력과 생활만족도 차이 검증

        이준우,안새별,홍세희 한국청소년학회 2022 청소년학연구 Vol.29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latent profiles according to the patterns of game overindulgence and smartphone dependence of out-of-school adolescents and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group classification. In addition, the purpose is to verify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life satisfaction by latent profile. Data from the 5th wave of the Panel Survey of School Dropouts in which 318 adolescents were out of school when surveying was analyzed. It was classified into three sub-groups(common-use groups, smartphone dependence groups, over -dependence groups’) according to the game and smartphone dependence patterns. As a result, gender, parental neglect, and social stigma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classificati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common-use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smartphone dependence group and the over-dependence group, but no difference in life satisfaction between the smartphone dependence group and the over-dependence group was found. Through this study, it is possible to suggest that institutional support and social attention are needed for out-of-school adolescents who are in the blind spot of protection and management.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의 게임·스마트폰 사용 양상에 따라 잠재프로파일을 분류하고 집단 구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생활만족도에 잠재프로파일별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학업중단청소년패널 5차년도 조사를 사용하였으며, 총 318명의 학교 밖 청소년을 대상으로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진행하였다. 게임·스마트폰 사용 양상에 따라 세 개의 하위집단으로 분류되었고, 특성에 따라 일반사용집단, 스마트폰의존집단, 과의존집단으로 집단을 명명하였다. 해당 잠재프로파일의 예측요인 분석 결과 개인체계에서는 성별이, 가족체계에서는 부모방임이, 그리고 사회체계에서는 학력에 대한 생각과 사회적 낙인감이 계층 분류에 유의한 효과를 보였다. 생활만족도의 잠재프로파일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일반사용집단의 생활만족도가 높게 나왔으나, 스마트폰의존집단과 과의존집단 사이의 생활만족도의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보호와 관리의 사각지대에 놓인 학교 밖 청소년을 향한 제도적 지원과 사회적 관심이 필요함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머신러닝을 활용한 취학 전 아동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예측 모형 및 영향 요인 탐색

        김지윤,안새별,홍세희 육아정책연구소 2023 육아정책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하여 취학 전 아동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고 이들의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한국아동패널(PSKC)의 7차 연도 자료 중 결측치를 제외한 총 2,150명의 아동과 데이터 전처리 과정을 통해 선정된 총 140개의 설명변수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상위 3개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내재화 문제행동의 경우 학습준비도와 친가의 사회적 지지가, 외현화 문제행동의 경우 어머니의 성역할 가치와 친가 및 이웃의 사회적 지지가 본 연구를 통해 취학 전 아동의 문제행동을 예측하는 주요 변수로 새롭게 도출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문제행동의 관련 요인을 밝히고 문제행동 예방을 위한 유용한 정책적・교육적 시사점 및 전략을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factors that influence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in preschool children and to examine these factors using machine learning methods with the data from the 7th year of PSKC. Based on a result of analyses using top regressor algorithms, learning readiness and paternal social support for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 and the value of mothers' gender roles and paternal and neighbor social support for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 were newly derived as major factor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factors influencing problem behaviors can be identified, thereby enabling the establishment of educational policies and strategies to prevent problem behaviors.

      • KCI등재

        머신러닝을 활용한 초등학생의 자아탄력성 영향 변수 및 예측모형 탐색

        송은정,김지윤,안새별,홍세희 한국아동교육학회 2022 아동교육 Vol.31 No.3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자아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맥락적·환경적 변수를 탐색하고,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하여 이들의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영향 변수의 탐색 과정에 개별 머신러닝 모델보다 더 우수한 성능을 보이는 최적화된 통합 모델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 12차(2019년) 자료 중 대부분의 응답 자료가 결측인 경우를 제외한 후 총 1,419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RMSE 기준으로 Bayesian Ridge, Gradient Boosting Regressor, Random Forest Regressor 모델 순으로 초등학생의 자아탄력성 예측에 우수한 성능이 확인되었다. 둘째, 아동의 총 친구 수, 어머니 애착, 어머니의 일-가정 양립 관련 변수는 자아탄력성을 예측하는 주요 변수로서 본 연구를 통해 새롭게 제시되었다. 셋째, 앙상블 기법의 블렌딩 방식을 활용하여 통합된 모델이 기존의 선정된 개별 모델보다 더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연구에 대한 의의와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및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중고등학생 회복탄력성 개입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이재연,신인수,안새별,양순미,김성봉 한국청소년학회 2023 청소년학연구 Vol.30 No.8

        This study aimed to comprehensively analyze the effects of resilience interventions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 systematic review of 35 articles (total sample size 1,381) selected from Korean academic journals published between January 2010 and October 2022 was conducted. The quality of individual studies was evaluated using RoB 2 and RoBINS-I. Excluding two outliers, 33 studies (N=k=33) were subjected to quantitative meta-analysis using a random effects model.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 the resilience intervention program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had a large effect size (g=0.968). Second, the moderating effects were analyzed based on participant characteristics, program design characteristics, and program operational characteristics. Among participant characteristics, interventions for middle school students and at-risk youth had larger effect size. Regarding program design characteristics, researcher-initiated studies, and RCTs were more effective. In terms of intervention type, counseling theories and media-based were more effective than educational interventions. In terms of subtypes, interventions utilizing an integrative counseling theory approach and folk dance were more effective. Among program operational characteristics, interventions lasting 8 weeks or less were more effective than those lasting 9 weeks or more, and intervention with a higher number of sessions and a lower number of participants were more effective. However, among the moderating variables, only the number of participant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t is necessary to reconfirm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moderating effect through the accumulation of future studies.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잠재전이분석을 적용한 초등학생 3·4학년 또래애착의 프로파일 분류 및 전이 영향요인 검증

        김지윤 ( Kim Jiyoon ),안새별 ( An Saebuyl ),홍세희 ( Hong Sehee ) 한국아동교육학회 2023 아동교육 Vol.32 No.2

        본 연구는 초등학교 3·4학년의 또래애착에 따른 하위유형을 분류하고, 시간 변화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전이 형태와 영향요인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의 10차(2017년)와 11차(2018년) 조사의 아동 1,383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잠재전이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초등학교 3학년 시기에는 2개(저 수준, 고 수준), 4학년 시기에는 4개(저 수준, 중고 수준, 중 수준, 고 수준)의 잠재프로파일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초등학교 3학년의 ‘저 수준’은 4학년 시기의 동일한 프로파일을 유지하였으나, 3학년 시기의 ‘저 수준’은 4학년 시기의 ‘중 수준’으로 전이된 확률이 높았다. 셋째, 영향요인의 분석 결과, 초등학교 3학년 시기의 잠재프로파일 구분에 어머니가 평가한 아동의 미디어기기 의존 수준이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또한 초등학교 3학년 시기에서 4학년 시기의 전이에는 아동의 전반적 행복감, 자아존중감, 미디어기기 중독, 아버지의 양육행동이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또래애착의 잠재프로파일을 파악하고 전이 양상을 파악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이를 통해 후속 연구과 제언,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classify latent profiles of peer attachment in the 3rd and 4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and to explore transition patterns of the latent profiles and their influential factors. Latent Transition Analysis was applied using 1,318 children from the 10th and 11th years of PSKC.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two(i.e., low level, high level) and four(i.e., low level, mixed level, middle level, high level) latent profiles were derived in the 3rd grade and 4th grade, respectively. Second, the ’high level’ of the 3rd grade maintained the same profile of the 4th grade, but the ‘high level’ of the 3rd grade was likely to be transferred to the ‘high level’ in the 4th grade, and the ‘low level’ was likely to be transferred to the ‘middle level’. Third, the level of media-devices addiction of children, rated by mothe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lassifying latent profiles in the 3rd grade. In addition, children’s overall happiness, self-esteem, media-devices addiction, and father’s parenting behavior were significant variables for the transition from 3rd grade to 4th grade. The study showed significant determinants of latent profiles of peer attachment and the transition patterns of the latent profiles, and discussed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 KCI등재

        연구논문 성장혼합모형을 적용한 청소년의 학업 스트레스 변화 유형화 및 영향요인 검증

        김지윤 ( Jiyoon Kim ),안새별 ( Saebyul An ),홍세희 ( Sehee Hong ) 한국조사연구학회 2024 조사연구 Vol.25 No.1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longitudinal changes in academic stress during adolescence, examining how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social relationship influence the trajectory patterns of academic stress. To achieve these goals, a growth mixture model was applied using the 1st to fifth years of the Korea Education Termination Study (KELS) 2013. Results showed that the quadratic function model was suitable for longitudinal changes in adolescents’ academic stress, and the change patterns were classified into three latent profiles (‘Moderate Decrease’, ‘Low Increase’, and ‘Radical Increase and Decrease’). Also, gender and external regulation motivation were significant when comparing the ‘Moderate Decrease’ group to the ‘Radical Increase and Decrease’ group. In comparison with the ‘Low Increase’ group, gender, academic self-concept, external regulation motivation, parent-child, and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were impactful. Additionally, gender, academic self-concept, and parent-child relationships significantly influenced comparisons between the ‘Low Increase’ and ‘Radical Increase and Decrease’ groups. It is meaningful to confirm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change trajectories in academic stress of adolescents and to show the need to understand academic stress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each latent grou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