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보육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정신건강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안미정(Ahn Mi Jeung),조희정(Cho Hee Jung)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21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25 No.4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정신건강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연구되었다. 연구대상은 K도 지역의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2019년 7월 17일에서 8월 25일까지 보육교사 승급 교육에 참여한 자 중 설문에 동의한 209명을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보육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정신건강과 자기효능감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사용하였다.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증은 Baron과 Kenny(1986)가 제시한 3단계 매개효과 검증을 이용하여 선형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매개효과에 대한 유의성 검증은 Sobel test로 분석하고 매개효과 검증에서 발생하는 간접효과와 표준오차에 대해 Process macro를 통해 Bootstrapping을 적용하여 검정하였다. 연구결과 보육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정신건강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은 부분 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This study was studied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mental health of childcare teachers. The subjects of the study analyzed 209 people who agreed to the survey among those who participated in the promotion education of childcare teachers from July 17 to August 25, 2019, targeting childcare teachers in the K-do reg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WIN 25.0 program. Pearson s correlation coefficient was used to confirm the correlation between job stress, mental health, and self-efficacy of childcare teachers.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using the three-step mediating effect test proposed by Baron and Kenny (1986). The significance verification of the mediating effect was analyzed by the Sobel test. Bootstrapping was applied through the process macro for indirect effects and standard errors that occurred in the verification of mediating effects. As a result of the study, self-efficacy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mental health of childcare teacher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해방 전후 제주 잠수(해녀)들의 부산 정착의 사회사적 고찰: 지역 간 경계를 넘은 이동과 갈등을 중심으로

        안미정 ( Mi Jeong An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010 탐라문화 Vol.0 No.37

        식민지시대부터 1970년대 초반까지 제주도 마을의 여성들은 무리지어 섬 밖으로 나가 해산물을 채취한 후 목돈을 마련하여 고향으로 돌아가는 반복적 이동을 행해왔다. 이 글은 이러한 여성들의 이동을 사회적 변동 속에서 그 이동의 성격을 조명해보고자 하였다. 이동이 식민지 시대에 집단적 양상을 띠며 촉발되었다는 점과 특히 잠수들의 이동에 있어서 부산이 거점이 되고 있었던 점, 그리고 해방 후 현지에서 일어난 분쟁에 초점을 두어 살펴보았다. 잠수들의 이동은 식민지 시대에 촉발되고 가속화된 것으로 이는 식민지 수산물 상품경제 하에서 이루어진 체계적 이동이었다. 개항 이후 부산을 거점으로 형성되어 온 객주들은 해산물이 수요를 가진 일본 해조상인들의 자금을 대부받고 제주도의 잠수들을 모집하여 여러 어장으로 이동시킬 수 있었다. 일본의 군수산업 및 산업발전에 따른 해초의 수요가 유통상인 집단으로서 객주를 매개로 하여 채취자 잠수들의 이동을 촉진시켰던 것이다. 즉 해산물을 둘러싼 제 관계에 있어서 잠수들은 채취자(생산자)로서 가장 하부단위에 위치하고 있었으며, 차별적 분배의 구조적 고리 안에 놓여 있었다. 활발하였던 잠수들의 타지 이동은 수산 상품(자원)을 쫓아 자원획득을 도모하였던 식민지 수산경제체제 하에서 이루어진 `자유입어` 활동이었다. 즉 지역주민의 자원권보다 자원의 상품적 필요성이 타지 이동의 자유를 암묵적으로 용인한 식민지수산경제 속에서 전개된 것이다. 해방 후, 정주(定住)를 기본으로 한 수산업법의 제도화 과정에서 식민지시기의 관행은 지역 간 갈등의 양상으로 나타났다. 이를 연구자는 식민지 시기 이동채취의 자유와 해방 후 정주자의 채취권 간의 갈등임을 지적하고, 지역 간의 경계를 넘나들며 자원을 채취할 수 있었던 이동의 자유는 본질적으로 자원획득의 목적을 둔 식민지 상품경제 하에서 용인되었던 자유임을 지적하였다. Women of Jeju island had moved periodically getting off island in groups to scrap together some money by collecting seafood and coming back to home from the colonial era to 1970`s. This article aims to illuminate the characteristic of these women`s movements in context of the social changes. To this purpose, it points to the facts that the movements had been provoked in the form of collective behavior since the colonial era and Jamsu(women-divers) made Busan as a foothold in the course of the movements, and the conflicts occurred in Busan after 1945. Jamsu` movements were organized ones under the colonial commodity monetary economy of seafood which had been set off and accelerated in the colonial era. Gaeck-ju(mediate merchant) who flourished in Busan after the opening of port would recruit Jamsu of Jeju island and send to other fishing grounds borrowing the money of Japanese seafood traders. In other words, The growing demands of seafood owing to the development of Japanese military and other industries provoked the movements of Jamsu who collected seafood under the sea through the intermediary of Gaeck-ju, the circulation merchant group. Therefore, Jamsu as the collectors of seafood located in the lowest place at the relationship formed around the seafood and linked systemically to the network of the discriminative distribution. Jamsu` active movements to other places were the fishing activities carrying out without licenses of authorities under the colonial marine economy system which sought to gain the commercial fishery resources. Consequently, they had developed in the colonial marine economy that tolerated the movements to other places for the necessity of commercial resources, not for the resource rights of local people. After 1945, this colonial practice caused many conflicts between the locals in the course of enactment of laws relating to fishing industry on the base of settlement conception. These conflicts illustrated the contradiction between the unconditional movement and collection in the colonial era and the collection right of the settlers after 1945. After all, the unconditional movements being enable to collect resources across the local borders in the colonial era were to be tolerated under the colonial commodity economy which sought to gain easily the commercial resources.

      • KCI등재후보

        오사카 재일(在日)제주인 여성의 이주와 귀향

        안미정 ( Mi Jeong An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008 탐라문화 Vol.0 No.32

        이 글은 오사카 이쿠노구(生野區)에 사는 재일(在日) 제주출신 여성들의 생애와 생활을 중심으로 하여 초기 이주와 정착, 그리고 귀향에 얽혀 있는 사회문화적 지형을 기술한 것이다. 2006년부터 2007년까지 참여관찰 및 심층인터뷰를 통해 수집한 자료를 토대로 분석하였다. 이주한 제주인들이 이쿠노구를 중심으로 밀집한 것을 이 지역의 조선시장과 관련하여 살펴보았다. 조선시장은 이주자들이 초기 정착과정에서 상호 거래를 하며 정주기반을 마련하였던 사회적 네트워크 공간이라 할 수 있으며, 사회적으로 무자본(無資本)의 상황에서 서로 모여 삶으로써 그들 사이에 형성된 네트워크가 정착의 자본 구실하였다고 본다. 초기 이주자들의 정착을 세 여성의 생애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는데, 그 가운데 제주여성의 `물질`은 열악한 상황에서 생계수단이 될 수 있었으며, 현재 재일 제주인 내의 사회적 관계를 잇는 기능을 하였다. 또한 여성들 사이의 계(契) 모임은 회원들의 생활상의 경제적 목적을 달성하는데 기여하였다. 고령이 된 여성들은 지속적으로 고향인 제주도와 네트워크를 가지려고 하며 그것은 일시적 고향방문이나 산소의 마련, 현금 기부와 같은 여러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후원은 친족의 도덕적 의무로서 간주되며, 고향에 부재(不在)함에 따르는 후원으로서 그들이 고향에 대해 일방적 후원자 위치에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경제적 후원의 의무, 그리고 국적에 따라 정체성의 변화가 요구되는 상황 등 재일제주인들의 귀향은 단지 고향방문 이상의 복잡한 지형 안에 있음을 보게 된다. 이 연구는 미시적 접근에 의한 거시적 담론의 분석에는 한계가 있으나, 재일제주인 사회 연구에서 다루어지지 않았던 (제주)여성의 생활경험을 다루고, 일상생활, 고향(사람)에 대한 재일제주인의 시각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연구자는 재일제주인들이 일본사회에서 일상적으로 상호작용하며 살아가는 재일한인집단으로서 제주사회의 부속 집단이 아니며 그들의 민족 정체성을 민족=국가라는 도식으로 접근하는 한계를 지적하고자 하였다. This paper describes Jeju women`s social-cultural feature which is involved in from life and living to early emigration, settlement and homecoming. This is based on the materials by participant observation and life historical approaching from 2006 through 2007. This study inspects concentration of Jeju women that centers on Ikunoku(Osaka) in connection with its regional Chosun market. Chosun market is social networking area which emigrants have its roots by trade and the network provided capital. As this report puts emphasis on three women`s life course, especially their Muljil, underwater diving was essential means of living, which connected themselves with social network. In addition, Kye, a mutual loan club contributed financial succeed to its members. The aged women make an effort to be connected with their homeland, Jeju Island, that appeared to be variety of the forms such as temporarily visitation to hometown, making grave for parent and cash contribution. This contribution is regarded as moral obligation of kinship, shows their position of supporters one-sidedly caused by not being in homeland. As a consequence of obligation of financial support and changing of identity which caused by nationality, their homecoming means much more than home visiting. This research deals with Jeju women`s living experience and express their viewpoint which has excepted from a great discourses. The researcher assert that Jeju islander in Japan is not an attached group to Jeju society but the Korean group interacting with Japanese society. And it indicates the limit of the viewpoint which identifies the nation and the nation state.

      • KCI등재

        문화의 세계화와 민족주의 담론: 제주해녀(잠녀)문화의 유네스코 등재 사례를 중심으로

        안미정(An, Mi-Jeong) 부산경남사학회 2020 역사와 경계 Vol.117 No.-

        1990년대 중반 한국 사회의 세계화 담론은 한국 문화의 세계화라는 화두를 제기하였다. 한국문화의 정체성에 대한 규명과 더불어 과거의 역사적 경험이 재해석되면서 세계화 담론은 민족문화의 위기 담론과 함께 형성되어 왔다. 2016년 제주해녀문화의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등재는 한국 사회에서 문화의 세계화가 어떻게 수용, 전개되는지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제주해녀문화의 등재 과정에서 문화의 세계화 담론은 변화를 겪었다. 2000년대 초반부터 제주해녀문화는 한일 양국에만 있다는 고유함과 사라질 수 있다는 문화 위기론으로 말미암아 양국이 공동 등재가 제기되었고 일본의 아마(해녀)들과의 국제교류도 이뤄졌다. 그러나 2010년을 전후하여 실질적인 등재 절차가 이뤄지면서 국가 간 경쟁구도의 양상으로 바뀌었다. 2013년 제주에서는 단독 등재 추진이 공식화 되고 국제교류는 중단되었으며, 문화유산의 선점적 경쟁 논리가 대두되고 민족주의 담론이 확산되었다. 등재과정에서 해녀문화를 보호하기 위해 모색된 공동등재 방안은 민족문화를 보호하기 위한 한국의 단독등재로 전환되었고, 지역 전통문화가 민족문화로 담론이 바뀌어 갔다. 이것은 일제의 식민통치에 대한 한 ․ 일간의 역사문제가 양국의 갈등문제로 남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세계화의 국가적, 지역적 수용 양상은 유네스코의 문화 보호 정책이 지향하는 목적을 실현하기 위함에 있어 해당 당사국들이 가지고 있는 역사적 관계와 인식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음을 확인시켜 주고 있다. 또한 1990년대 중반 이후 한국사회의 문화의 세계화가 민족 문화의 위기담론으로 형성되었던 것처럼 제주해녀문화도 민족문화의 위기담론과 쉽게 결합되었다. 자칫 민족주의 담론은 자문화중심주의로 인해 그 문화의 세계성을 축소, 왜곡 시킬 수 있다는 것을 주의할 필요가 있다. 아직까지 양국 해녀들이 주도하는 국제적 교류가 전개되고 있지 못함은 아쉬운 일이다. 이 문화를 둘러싼 담론들은 생업종사자인 여성들이 국민국가 담론을 넘어 평화적 문화 연대로 나아갈 때 이들에 의한 새로운 담론이 등장하리라 본다. In the mid-1990s, the globalization discourse of Korea society raised the topic of globalization of Korean culture. Through the reinterpretation of the identity of Korean culture and the historical experience of the past, the globalization discourse formed a crisis discourse of national culture. The inspiration of Jeju women-divers (jamnyeo, or haenyeo)’s culture as a UNESCO’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ICH) is an example of the globalization of culture in Korea society. The discourse of the uniqueness that women’s diving culture can only be seen in Korea and Japan and this culture can disappear have been formed in Korean society since the 1990s. In the 2000s, Korea and Japan began to discuss UNESCO’s ICH inspiration and international event for women divers. However, as the inspiration process was carried out around 2010, it changed to a competition between Korea and Japan. In 2013, the Jeju provincial government officially announced the inspiration of Jeju haenyeo’s culture and the nationalism discourse expanded. In the process of inspiration the jointly inspiration, which was considered to protect women-diver’s culture, was converted to the inspiration of Korea national culture, also the discourse of the local traditional culture was changed to the national culture. This change was influenced by the history of Japanese colonial rule. Therefore, the historical relationship and recognition of countries are important when the state and local society accept the UNESCO’s cultural policies. In addition, Jeju haenyeo’s culture was easily combined with the crisis discourse of national culture, like this the 1990s globalization discourse of Korean culture has been formed as a crisis discourse of national culture. It should be noted that nationalism discourse can reduce or distort the globality of the culture due to ethnocentrism. Unfortunately, there has been no international exchange led by Japanese and Korean haenyeo yet. Beyond national discourse, the discourse surrounding this culture is expected to lead to new discourse by women-divers’s cultural solidarity.

      • SCOPUSKCI등재

        地衣類 추출물을 섭취한 흰쥐 간의 산화적 인산화 과정 및 대사물 측정(Ⅱ)

        안미정(Mi-Jung An),서정순(Jung-Soon Sub),이인자(In-Ja Lee),조성희(Sung-Hee Cho)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85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14 No.2

        지의류(lichens) 수용성 추출물에 약리적인 효과를 알기위해 CCl₄로 흰쥐의 간손상을 유도시킨후 단기간, 장기간 사육시켜서 간장조직의 mitochondrial respiration측정을 하였고 간장조직내의 lactate, malate와 fumarate glutamate, 혈청 glucose 및 간장조직의 glucose-6-phosphatase의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급성 만성의 간장애를 받은 쥐에서 4가지호흡지수(state 3 respiration P/O ratio, respiratory control, 합성된 ATP)로 측정된 mitochondrial respiration 기능이 지의류(lichens) 추출물을 섭취한 실험군이 대조군 보다 높았고, serum glucose, 간장내의 lactate, glutamate, malate와 fumarate및 glucose-6-phosphatase 활성도 실험군이 높은값을 나타내었다. 이것으로 지의류추출물은 간장조직의 mitochondrial respiration에 대해 보호작용과 해당과정을 촉진하는 작용이 있다는 것으로 추정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pharmacological effect of water soluble extract of Lichens (Parmelia, Physcia and Cladonia species) on liver-damaged rat by CCl₄ injection. Rat livers were damaged acutely and chronically by one-time injection of CCl₄ just prior to five days of experimental period and continuous injections in every three days for eight weeks of experimental period, respectively. During each period the experimental group was fed Lichens extract(5.5 ㎎ of dry wt/ml) instead of water given to the control group. For both acute and chronic liver damage,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er oxidative activity of hepatic mitochondria measured by state 3 respiration, P/O ratio, respiratory control and ATP synthesized, compard to the control group. Serum glucose was slightly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but liver glycogen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In experimental group, liver glucose-6-phosphatase activity was increased during first two days after acute liver damage, but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control group during chronic damage. Liver lactate, malate plus fumarte and glutamate tended to be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especially for chronic liver damaged rat. It is concluded that Lichens extract stimulate cytoplasmic and mitochondrial oxidative activities and the possible mechanism of the latter is supposed to involve the preservation of membrane integrity by certain component(s) of water-soluble Lichens extract.

      • KCI등재

        해항도시의 이주자

        안미정(An, Mi-Jeong) 부산경남사학회 2013 역사와 경계 Vol.89 No.-

        이 글의 초점은 부산시 해녀들이 구성하고 있는 연안 커뮤니티를 통해 해항도시의 문화적 특성을 이해하고자 하는 데 있다. 대도시 속 해녀의 생활문화는 근대적 경험과 기억이 남아 있는 ‘다문화 공간’이자 역사적으로 이문화간 접촉이 전개되었던 ‘해항도시’라는 구체적 공간에서 일어난 문화접촉의 양상을 보여준다. 일제시대 부산의 바다는 일본인들에게 ‘황금어장’과 같은 식민지 바다였으며, 이들의 이동은 거시적으로 볼 때 제국주의가 확장하는 과정에서 구조적으로 파생된 것이다. 즉 군수 산업원료를 채취하기 위한 노동력으로서의 이동이었기 때문이다. 오늘날 해녀의 커뮤니티는 부산의 대도시화 과정을 거치며 형성되어 도시 생활양식과 부응해 나가는 적응기제의 역할을 하였다. 또 커뮤니티를 형성하고 있는 이 해안 공간들은 여성 이주자가 도시에서의 생활기회를 찾는 적극적 전략의 산물이며 생업을 바탕으로 창출된 생활공간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커뮤니티의 성원들은 상호 공평해지도록 하는 자율적 규칙들을 만들어 운영하는데, 이것은 공유지의 사회적 성격을 성원들이 발현시키는 과정인 동시에 또 ‘공동체’로서의 집단의식과 생업을 지속시키는 중요한 요소이다. 이들은 자신들이 해온 생업을 도시에서 지속적으로 이어나감으로써 도시 속의 ‘농촌(어촌)화’를 만들고 있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바다의 생업 방식을 도시 상황에 접목시키고 변화시키는 현대적 의미로 볼 수 있다. 해녀의 어로법이 가진 전통적 색채에 따라서가 아니라 행위목적을 고려할 때 이들에 대한 타자화된 시선도 거둘 수 있을 것이다. 이문화간접촉 공간으로서 해항도시로부터 얻을 수 있는 경험적 교훈은 타자의 시선이 내재된 관용이나 환대가 아니라 서로의 인정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This thesis focuses on women divers’ coastal communities in Busan in order to understand cultural features of seaport City. Women diver’s living culture is ‘multi cultural space’ where modern experiences and memories are left and also reveals cultural contact occurred in detailed place such as ‘Seaport City’.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the ocean in Busan was colonial sea like ‘a rich fishing ground’ and looking at the big picture, their migration is structurally derived during the imperialism expansion. In other words, that is the migration of labor to collect industrial materials. Today women diver’s communities in Busan has been processed urbanization and taking a role as the adjustment mechanism that is compliant with urban living culture. Also the coastal areas are as with communities are product of active strategy that women migrants who are seeking living opportunities and living space created on professions. Especially the member of the communities operate the communities by making autonomous rules for mutual fair. This is very important factor that makes group consciousness as ‘community’ and profession sustainable as well as revelation of social character of common land. By keeping their old profession after moving to city, this means they adjust coastal life style and change the city rather than ‘becoming rural’ among cities. Considering its goal women diver’s fishing even though it has traditional color, other’s view towards them can be changed.

      • KCI등재

        해양 전통의 발명

        안미정(An, Mi-Jeong)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7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5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erpret the symbolism behind diving performances by women divers(Ama) in Pearl Island, Tobashi(鳥羽市) Mie Prefecture, Japan. In Pearl Island, where Mikimoto cultured pearls, it is thought that the diving show, during which local women divers bring pearl shells out of the sea, has a symbolic meaning. According to local myth, women divers belong to a group that has extracted pearls since ancient times; they are fishermen who dedicated their labour and the seafood they caught to the Ise Grand Shrine, which worshipped the ancestor god of the emperor’s family. Today, the Pearl Island women’s diving performance ‘proves’ that women divers were the ones who collected pearls and abalone and who devoted themselves to the shrine. The white clothes they wear continue tradition and suggest that the current divers are the ancient mythical women divers reborn. The pearl shells they bring from the water also represent this. Mikimoto Koukichi is reported to have been a successful pearl diver in 1906 and discovered a large number of Ise Shima’s cultured pearls. Because of this, Japan proved their superiority over the West in terms of modern science and technology and, after the Second World War, the pearl industry played a leading role in Japan’s economic revival. During the globalization of cultured pearls, the white clothes and diving performance of Shima’s women divers illustrated political power by implying that the pearls were not imitations, but instead ‘real pearls’ collected from the sea. Women divers began to wear the white clothing in the mid-19th to mid-20th centuries, intentionally making the connection to their historical use: the performance of women in ‘traditional’ dress implies it is being done for some purpose that relies on the power of tradition. I interpreted that this performance and Mikimoto’s cultured pearls reflect the dream of world conquest through the golden age of the pearling industry and Japan’s economic revival after the Second World War. At the same time, the cultured pearls also implies the pain of war and depression. Furthermore, the symbolic politics of the combination of pearls and women divers bring together an invariant relationship between the political and diver groups that appears in mythology. The act of diving into the sea and the women divers’ white clothes demonstrate the power of tradition.

      • KCI등재

        국경이 놓인 오사카 재일한인 여성의 가족과 친족

        안미정(An Mi-Jeong) 역사문화학회 2010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13 No.1

        이 글은 재일한인 세 여성의 생애사를 바탕으로 가족 · 친족 사이의 다양한 경계와 이산에 대해 기술한 것이다. 주요 내용은 일본 오사카에 거주하고 있는 재일한인 1세 세 여성의 고향과 가족 · 친족에 관한 것으로서, 가족과 친척 사이에서 형성되어 온 다양한 사회적 경계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국적이 다르게 된 역사적 배경, 그리고 정치경제적 상황이 달라지고, 거주하는 공간이 달라짐에 따라 이주한 자들은 자신의 고향 · 가족 · 친족 사이에서 상호 역할의 조정과 교환관계를 이뤄가고 있음을 보았다. 경제적 후원과 친족의 다양한 도덕적 의무를 실행하는 것으로써 지속적 관계를 유지할 뿐만 아니라, 더욱 해체의 위기에 놓여 있는 가족의 경우 부계친족 원리를 중심으로 하면서 동시에 가족의 영속성을 지탱하려는 문화적 실천을 볼 수 있었다. This article aims to describe the varying borders and dispersions of family and kinship exploring the life stories of three Korean women in Japan. Each of these aged women have played a role as mediator between the family and kinship in homeland and those in Japan. In their lifetimes, the impossibility to go freely to their mother country and homeland can be separate apart from the fact that it has been not easy for these families/relatives to meet each other. Because the complicate and multifold International politics from the colonial period to the Cold War system has affected the relations of family and kinship with diverse borders. Between the family and kindred which left home and those which were left home, the coordination of roles and the connection of exchanges has been made up reciprocally. It can be said that the patrilineality that appears in the course of pedigree successions reflects the values of continuity that playa part in preserving the networks of dispersed families, even though it has reinforced somewhat the traditional patriarch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