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통영업직종에서 일터학습과 인적자원성과간의 영향관계

        심용보,남성집 한국유통경영학회 2020 유통경영학회지 Vol.23 No.2

        Purpose: The objective of current research is to explore the effectiveness of variable types of workplace learning at the work, especially for the sales persons in retail industry. As the more business processes and products are complicated, the higher the role of sales persons’ role in the retail industry are. Business practitioners and researchers have paid attention on capacity of employees and business performance relationship. From the equation, they emphasize that types of learning is the key to improve the employees’ capacity. The importance of learning at workplace has been stressed yet, their types of workplace learning methodology and learning outcome correlation has gained little attention. The current research aims to provide effective human resource development methodology in retail industry.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From the seventh human resource company panel survey conducted by Korea Research Institute of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the authors segregate sales persons in retail industry and analyze effective diverse types of workplace learning on their learning outcome. From the panel data set, the authors obtained 905 sample of sales employees. The author attempt to validate how different types of workplace learning induce on their job performance, job related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framework. Further, employees are segregated to high and low participations on types of education provisions to validate their workplace learning outcome in retail industry. Results: The result shows that workplace learning has positive influence on sales persons’ learning outcome. From the detailed investigation, the authors uncovered that informal learning has greater influence on job capability dimension. However, for th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dimensions, formal learning has greater influence than the informal learning methodologies. Conclusions: From the above findings, business managers and researchers may learn to implement different types of learning methodologies for desired job related outcomes. Forms of learnings can be extended to wide variety of types, especially in the ag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Formal and informal learning methodology provisions for the sales persons may be chosen in detailed purposes and the specifically chosen type of learnings can bring about better result depends on what dimensions are targeted.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인적자원개발 파트너십에 관한 사례연구 : 플랜트건설업종의 노사공동훈련

        심용보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0 직업능력개발연구 Vol.13 No.1

        This paper studies theoretical factors that facilitate partnership for human resource development. Four factors are identified based on previous research works and discussions, namely, training context, training content, training subject, and training support. Case study results indicate the companies in plant construction industry need partnership for human resource development. Labor-management joint training program has been activated in plant construction industry in Pohang, Ulsan, Kwangyang. The training content is appropriate for novice worker and the trainers are skilled workers. The labor and management’s joint committees have tried to activate partnership for human resource development. 플랜트건설업종에서 인적자원개발이 필요한 이유는 기술집약적인 원천기술을 중심으로 한 경쟁우위의 필요성과 저가수주경쟁으로 인한 인적자원개발 ‘죄수딜레마’ 현상으로 집약된다. 경쟁우위 확보를 비롯하여 ‘죄수 딜레마’로부터 벗어나는 방안은 업종 내 노사 간의 숙련네트워크를 강화하여 인적자원개발 파트너십을 구축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주목하는 인적자원개발 파트너십 사례는 플랜트건설업종의 노사공동훈련사업이다. 현재 플랜트건설업종의 노사공동훈련사업은 포항, 울산, 광양지역에서 실시되고 있으며 현장맞춤식 교육내용과 고숙련공의 강사선정을 통해 일용직인 조공과 준기능공의 숙련수준을 향상시켜 고용조건을 개선시키고 있다. 또한 플랜트건설업종의 노사는 노사공동훈련사업을 통해 노사 간·사용자 간의 숙련네트워크 형성, 재직자의 공식적인 숙련형성, 실업자 및 취약근로계층의 직업능력향상을 통한 일자리 창출, 노사공동훈련의 경험으로 통한 노사협력의 증대 등의 성과를 보여주고 있다.

      • KCI등재

        무형식학습 참여활성화에 영향을 미치는 조직수준의 요인에 대한 실증연구

        심용보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8 직업능력개발연구 Vol.2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impact of organizational factors on the promotion of informal learning and the mediating effect of informal learning i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variables and performance in Korean companies. The data in this study was collected from managers and workers in 281 sample companies, which were extracted from 4,109 Korean enterprises.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es indicated that organizational factors, including the management’s learning support, high involvement in the organization, and competency-based human resource management, had positive effects on the promotion of informal learning. Informal learning had positive effects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a mediated effect between most organizational factors and performances. 본 연구는 최근 기업환경의 변화에 적합한 학습유형으로서 무형식학습에 주목하여 근로자의 무형식학습 참여활성화에 영향을 미치는 조직수준의 요인들을 탐색하고자 하였고 나아가 이러한 조직수준의 요인이 무형식학습의 참여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조직수준의 변수와 성과간의 인과관계에서 무형식학습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5년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6차 인적자본기업패널조사’의 통계자료에서 281개의 기업을 추출하여 통계적 검증을 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우선 한국사회에서 근로자들의 무형식학습 참여율은 매우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회귀분석 결과에 의하면 근로자의 무형식학습 참여율이 높을수록 그 기업에서 근로자들의 직무능력과 근로의욕 그리고 노동생산성이 더욱 향상되며 나아가 이러한 무형식학습의 참여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조직수준에서 경영진의 학습지원과 자율적 작업팀 그리고 능력주의 평가/보상체계의 구축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영진의 학습지원, 자율적 작업팀, 능력주의 평가/보상은 무형식학습 참여활성화를 매개하여 대부분의 조직성과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번역비평: 번역대상 독자를 위한 번역전략

        심용보,김명균 신영어영문학회 2012 신영어영문학 Vol.52 No.-

        The aim of this paper is to look into the literature translation works of Thomas Hardy’s Tess of the D’urbervilles and find out how faithfulness for the target readers is fulfilled in them. For our analysis we chose six Korean translations of Thomas Hardy’s Tess of the D’urbervilles. This paper is to reconsider the notion of faithfulness for the target readers. This paper analyzed the cases of explanation by a translator’s note, parenthesis within the text and explanation by footnote for the target readers. The focus of the discussion will be on how such translation methods can be deployed in the translation process. These translated texts are examined for their treatment of faithfulness to the meaning for the target readers. The result of the analysis shows that faithfulness is to deliver SL message to TT readers without omission or deletion, without distortion by translator. Translators add information in the translated texts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target readers.

      • KCI등재

        지역고용거버넌스에서의 정책참여 활성화에 대한 실증연구: 참여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심용보,김철식 한국산업노동학회 2012 산업노동연구 Vol.1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고용거버넌스의 구성요인이 지역노동시장 및 지역사회의 발전에 기여하는 직접적인 영향관계를 분석하고 나아가 지역 노사민정주체의 참여만족도가 지역고용거버넌스의 구성요인과 지역 발전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과정을 실증하는 것이다. 특히 본 연구에서 지역 노사민정 주체의 참여만족도를 매개변수로 설정한 이유는 지역고용거버넌스의 도입ㆍ운영과정에서 참여주체간의 실질적인 신뢰와 협력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면 그 결과지역고용거버넌스라는 제도 자체의 존립이 불투명해지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정책네트워크에 관한 선행연구와 거버넌스로의 참여촉진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하여 지역고용거버넌스의 구성요인을 탐색하여 연구모형과 가설을 도출하였고 그 후 663개의 지역노사민정 단체를 표본추출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450개의 지역단체에 대해 통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보면 지역고용거버넌스에서의 참여구조요인, 참여주체요인, 참여내용요인은 서로 상호작용하며 내적 적합성을 보이고 있으며 또한 이들 요인들은 노사민정의 참여만족도를 매개하여 지역고용거버넌스 성과를 유의미하게 증가시키고 있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참여구조요인은 지역고용거버넌스의 다른 구성요인들에 비해 참여만족도와 지역고용거버넌스 성과에 가장 큰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참여주체요인은 참여만족도를 완전 매개하여 지역고용거버넌스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문화적 의미소를 갖는 현대 노어휘 연구

        심용보 현대문법학회 2000 현대문법연구 Vol.21 No.-

        Young-Bo, Shim. 2000. An Analysis of Contemporary Russian Lexical Words as Cultural Semantic Units. Studies in Modern Grammar 21, 115-147. The discordance of a word meaning in two languages usually occurs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nature and in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each people. Therefore, research in terms of non-conceptional semantic units is needed for scholastic reasons as well as for foreign language learning. In particular, an exact analysis and classification of the words with tendency to a tinge of culture which do not have perfect synonyms in translation may essentially be necessary for the proper translation of skillful and sophisticated Russian language, which has experienced a lot of changes in its language system during the complications of the collapse of socialism from seventies through nine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cultural analysis of non-translation words (non-equivalent words) found in modern Russian literature based on the theoretical approach of the Russian lexical words. The major three subjects of the research are established for achieving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Characteristic analysis and theoretical approach of contemporary Russian lexical words as cultural semantic units; Classification and analysis of nonequivalent words presented in the work of Yuri Trifonof; The analysis of linguistic and local research value in nonequivalent wor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