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논문 : 시장지식의 창출노력과 기억이 신제품 성과에 미치는 영향: 환경 동태성의 조절효과

        심덕섭 ( Duk Sup Shim ),최지호 ( Ji Ho Choi ) 명지대학교 금융지식연구소 2007 금융지식연구 Vol.5 No.1

        본 연구는 기업이 시장지식을 창출하기 위하여 노력하는 정도와 현재 보유하고 있는 기업의 시장지식이 신제품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하는데 일차적인 목적이 있으며, 아울러 이들 관계가 환경의 불확실성 차원 중의 하나인 환경 동태성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탐색적으로 분석하였다. 제조업과 서비스업을 포함한 국내 124개의 기업을 대상으로 방문면접방식을 통한 설문조사가 실시되었으며, 수집된 자료에 기초하여 다음과 같은 분석결과가 도출되었다. 기업이 시장지식을 창출하기 위한 노력과 신제품 성과 간에는 긍정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관계는 환경의 동태성에 따라 차이를 보여주지 못했다. 반면에 기업이 현재 가지고 있는 시장지식은 신제품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러한 영향력은 환경의 동태성 수준이 클수록 증가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끝으로, 이러한 결과의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이 논의되고 연구의 한계점과 미래의 연구방향이 제시되었다. Recent theorizing on product development emphasized the crucial impact of information processing on product success and the importance of organizational, in addition to individual, learning. A key result of learning is the creation of organizational memory and the effort of market intelligence generation. We examine th effects of organizational memory level and market intelligence generation on new product performance and the moderating role of environment dynamism. Using a data collected from 134 large Korean firms including both manufacturing industry and service industry through personal interviews, research model is tested. Results show that organizational memory level and market intelligence generation increase new product performance. The moderating role of environment dynamism is supported on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memory level and new product performance. Finally,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 KCI등재

        직무특성, 통제위치, 리더

        심덕섭(Duksup Shim),양동민(Dongmin Yang),하성욱(Seongwook Ha) 한국인사조직학회 2010 인사조직연구 Vol.18 No.3

        본 연구는 최근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 심리적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들을 검토하고, 이들 선행요인들이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직접 효과와 더불어 이들 간의 관계에 있어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매개 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선행변수들 간의 관계와,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직무성과 간의 관계를 보다 정교하게 이해하기 위해서 심리적 임파워먼트를 의미, 역량, 자기결정과 영향력의 네 가지 하위차원별로 구분해 분석하였다. 선행변수들로는 기존 연구에서 많이 다루어진 직무특성 뿐만 아니라 개인특성과 사회적 관계특성이 임파워먼트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통합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서 8개 기업의 종업원 17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첫째, 리더-구성원 교환관계가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자기결정 차원에 미치는 영향을 제외하고, 직무특성, 통제위치, 리더-구성원 교환관계는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각 차원에 모두 유의한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각 차원 중에서 역량과 영향력 차원만이 직무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주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마지막으로,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직무특성과 통제위치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리더-구성원 교환관계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차원별로 살펴보면,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역량과 영향력 차원만이 직무특성과 통제위치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리더-구성원 교환관계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직무성과를 향상시키는데 중요하지만, 직무성과가 종업원의 임파워먼트 이외에 다른 요인들에 의해서도 설명되기 때문에 심리적 임파워먼트 외에 다른 변수들(예를 들어, 종업원의 역량)에 대한 고려를 할 필요가 있음을 말해준다. 또한, 심리적 임파워먼트 연구에서 역량과 영향력 차원에 보다 많은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음도 시사한다. 이러한 논의를 포함한 본 연구의 시사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mpirically tackles the influencing factors of employee’s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analyzes the direct effect of each factor on the job performance of employee, and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factor and job performance. This study divides employee’s psychological empowerment into four dimensions: meaning, competence, self-determination, and impact. Spreitzer(1995)’s construct definitions is use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in detail. Meaning refers to ‘the value of a work goal or purpose, judged in relation to an individual's own ideals or standards.’ Competence means ‘an individual’s belief in his or her capability to perform activities with skill.’ Self-determination is ‘an individual’s sense of having choice in initiating and regulating actions.’ Impact refers to ‘the degree to which an individual can influence strategic, administrative, or operating outcomes at work.’ In sum, psychological empowerment is used as a motivational construct which reflects an active, rather than a passive, orientation to a work role. The influencing factors include job characteristics, locus of control, and leader-member exchange(LMX). Job characteristics model, as suggested by Hackman & Oldham(1975), encompasses job characteristics which motivate workers: skill variety, task identity, task significance, autonomy, and feedback. Locus of control is used as an individual characteristic of worker, and refers to the extent to which individuals believe that they can control events that affect them (Rotter, 1996). LMX is included as an relational characteristic between leader and worker. While prior studies have usually tackled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haracteristics and the job performance of employee, they have rarel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locus of control and job performance or LMX and job performance,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on these relationships. Based on prior literature, this study derives following hypotheses. H1:Job characteristics will be positively related to the perception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of employee. H2:Internal locus of control will be positively related to the perception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of employee. H3:LMX will be positively related to the perception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of employee. H4:Perception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will be positively related to the job performance of employee. H5:Perception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will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haracteristics and the job performance of employee. H6:Perception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will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locus of control and the job performance of employee. H7:Perception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will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LMX and the job performance of employee. To test these relationships, we have conducted a survey of Korean firms. Questionnaires are sent to 204 employees in eight firms. After excluding unanswered and untrustful items questionnaires, the final sample size for this study is 177 employees in eight firms. This sample consists of 134 males(75.7%) and 43 females(24.3%). The average age and tenure of employees are 36.1 years old and 9.3 years, respectively.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s us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based on Baron & Kenny(1986). Sobel test is used to test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s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The results of analyses reveal that (1) job characteristics(H1), locus of control(H2), and leader-member exchange(H3)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each dimension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exclu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member exchange and self-determination dimension. (2) Competence and impact dimension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job performance of employee(H4).

      • KCI등재

        정보탐색이 신제품개발 과정 및 성과에 미치는 영향

        심덕섭 ( Shim Duksup ),하성욱 ( Ha Seongwook ) 한국지식경영학회 2020 지식경영연구 Vol.21 No.4

        본 연구는 정보탐색이 신제품개발 과정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5개 기업의 82개 신제품개발과제에 대한 실증조사를 진행하였다. 정보탐색은 일반정보, 내부정보와 외부정보에 대한 탐색으로 구분하였고, 신제품개발과제의 성과는 기술성과와 시장성과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내부정보 탐색은 신제품개발과제의 기술지식을 증가시키고, 외부정보 탐색은 신제품개발과제의 시장지식을 증가시켰다. 신제품개발과제의 기술지식과 시장지식은 각각 기술성과를 향상시키고, 시장지식만이 시장성과를 향상시켰다. 전체적으로 신제품개발과제의 기술지식은 내부정보 탐색과 기술성과간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였다. 신제품개발과제의 시장지식은 외부정보 탐색과 기술성과간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고, 외부정보 탐색과 시장성과간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였다. 기술지식 혹은 시장지식은 여기 언급된 조합 이외에 정보 탐색과 신제품개발 성과간의 어떤 관계도 매개하지 않았다. 연구결과에 대한 시사점과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empiricall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information search on new product development (NPD) process and performance with a sample of 82 NPD projects in 5 firms. The information search is consisted of general sources, internal sources, and external sources. The performance is consisted of technological and market performance. Findings show that information search from internal sources increases the technological knowledge of the NPD team, and information search from external sources increases the market knowledge of the NPD team. The technological and market knowledge of the NPD team increases its technical performance respectively. Only the market knowledge of the NPD team increases its market performance. Overall, the technological knowledge of the NPD team fu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formation search from internal sources and its technical performance. The market knowledge of the NPD team fu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formation search from external sources and its technical performanc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formation search from external sources and its market performance. There is no other significant mediation relationships between the information searches and the performances.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findings are discussed, and recommendation for future research are provided.

      • KCI우수등재
      • KCI등재후보

        프로젝트팀 내 리더출현의 선행요인에 관한 연구

        심덕섭 ( Duk Sup Shim ),양동민 ( Dong Min Yang ) 한국인력개발학회 2010 HRD연구 Vol.12 No.1

        본 연구는 최근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 팀 내 비공식적 리더출현을 설명하는 데 있어 선행변수로서 성별, 연령, 팀 과업선호도, 성취동기, 자기효능감을 고려하고, 이들 변수들이 리더출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C 대학교의 학생 프로젝트 팀에 참여하고 있는 349명을 대상으로 설문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리더 출현에 대해 연령, 성별, 팀 과업선호도, 성취동기, 자기효능감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 평가 시에는 팀 과업선호도, 성취동기, 자기효능감과 같은 인지적 요소들이 리더출현에 있어 중요한 반면, 타인 평가 시에는 연령 및 성별과 같은 인구통계학적 요소들이 리더출현에 있어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팀 내 비공식적 리더출현에 영향을 주는 특성들을 제시하고, 리더출현에 대한 자기평가와 타인평가시의 차이점을 밝히고 있다는 점에서 이론적, 실무적 의미를 지니고 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antecedents of the leader emergence in project teams. We empirically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x, age, preference for group work, achievement motivation, and self efficacy on leader emergence,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data from 349 stude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Age, sex, preference for group work, achievement motivation, and self efficacy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leader emergence. Furthermore, In the self-evaluation, cognitive factors(preference for group work, achievement motivation, and self efficacy) have a stronger impact on the leader emergence. In the other-evaluation, however, demographic factors(age and sex) have a stronger impact on the leader emergence.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findings are discussed, and recommendation for future research are provided.

      • 팀 구성, 팀 프로세스, 성과 사이의 관계에 대한 연구

        심덕섭(Shim Duksup),양동민(Yang Dongmin) 한국인사관리학회 2008 한국인사관리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08 No.1

        본 연구는 81개 학생 프로젝트 팀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팀 구성, 팀 프로세스와 성과간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검증 결과, 연령 및 성별과 같은 인구 통계적 다양성은 팀 프로세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지 않는 반면, 기능 다양성은 팀 프로세스의 구성요소 중 정서관리, 과업조정, 커뮤니케이션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팀 과업선호도는 팀 프로세스의 구성요소 중 정서관리, 과업조정, 과업분담에 유의한 영향관계를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 및 결론부에서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eam composition on team process an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eam process on performance. The Questionnaire data comes from 81 student project teams in South Korea University. Results indicated that both age and sex diversity had not any significant effect on team process. Functional diversity, however, had a positive effect on affective management, 'work coordination, communication among team process variables. Preference work group had a positive effect on affective management, 'work coordination, workload sharing among team process variables. And team process had a positive effect on performance and team satisfaction.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and limitations are outlined.

      • KCI등재후보

        R&D 프로젝트 리더의 챔피언 리더십이 프로젝트 생존성 및 팀 효력에 미치는 영향

        심덕섭(Shim Duksup) 한국기술혁신학회 2007 기술혁신학회지 Vol.10 No.4

        본 연구는 국내 공공 및 민간 부문 전자, 통신, 기계, 화학분야 22개 연구기관 92개 탐을 대상으로 수집한 실증 자료를 통해 프로젝트 리더에 의한 챔피언 리더십이 팀에 대한 자원 공급 및 조직 지원, 팀원들의 팀 효력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분석결과 프로젝트 리더의 챔피언 리더십은 높은 수준의 조직 지원 및 자원 공급과 관련되어 있으며, 프로젝트 리더의 챔피언 리더십을 높게 지각하는 팀의 팀원들은 보다 높은 수준의 팀 효력을 보였다. 또한, 프로젝트 유형 및 혁신 분위기는 챔피언 리더십과 자원 공급 및 조직 지원, 팀 효력 사이의 관계를 조절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끝으로, 연구결과의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이 논의되고 연구의 한계점과 미래의 연구방향이 제시되었다. This study draws on a sociopolitical perspective to investigate the possible impact of champion leadership by project leaders on project viability(resource supply and organizational support) and team members' team efficacy by analyzing the empirical data of 92 ongoing projects collected from 22 public and private R&D institutes in the electronics, telecommunication, machinery, and chemical industries. Results revealed that higher level of project championing by project leader tended to positively related to a high level of organizational support and resource supply. It was also found that teams members who experienced higher level of project championing by project leader tended to have higher team efficacy. Furthermore, project type and innovative climate moderate the champion leadership-project performance relationships. The results found in this study offer several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First, champion leadership by project leaders is quite helpful to get more moral support and legitimacy of the organization for the project, and thus for acquisition of more tangible and intangible resources required for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R&D project. Champion leadership by project leaders also impacts the morale and self-confidence of the team members. Project leaders gives a sense of purpose and meaning to project members by actively and enthusiastically promoting the project, and by expressing confidence in team members' capabilities to perform a given task. In addition, his or her soliciting assistance and additional resources can contribute th building the confidence of members that the project can be performed well.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champion leadership and project performances is context-specific (i.e., project type and innovative climate). This study is one of the few to have tested the moderating effects between champion leadership and project performances with a empirical research design. This study extends the current knowledge on champion leadership in the innovation process by generalizing their importance in R&D projects to a new industrializing context, Korea, and further sheds light on the contingent relationship between champion leadership and project performances in the innovation process. Based on these findings, some area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