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비전공자 SW기초 교육을 위한 디자인씽킹 기반의 SW교육 프로그램 개발 사례 연구

        신희성(HeeSeong Shin),서응교(EungKyo Suh),오경선(KyungSun Oh),정혜진(Haejin Chung),박소현(Sohyun Park)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8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2 No.2

        본 연구는 지능 정보화시대에서 요구하는 역량을 길러내기 위해 소프트웨어 교육 내용을 제안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비전공자 대상의 SW 기초교육의 개선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수도권 소재 D대학교 SW 기초교육의 사례 통해 핵심 역량을 신장하기 위한 디자인씽킹과 소프트웨어 교육을 접목하여 개발한 1단계 SW 기초교육 내용을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는 1단계 SW 기초교육은 SW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할 충분한 기회를 제공하도록 한다. 그뿐만 아니라 팀 과제와 팀 활동을 통해 협업의 기회를 제공하고, 의사소통과 창의력이 향상되도록 한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SW 기초교육에서 SW 교육의 필요성을 체득할 수 있는 활동의 기회를 제공하고, 컴퓨팅 사고뿐 아니라 미래핵심역량의 준비도 함께 되어야 함을 이야기하고 있다. 본 연구는 향후 체계화된 SW 기초교육의 밑거름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문법 교과서 내 구어 자료 양상 연구

        신희성 ( Heeseong Shin ) 한국문법교육학회 2015 문법 교육 Vol.24 No.-

        This study has critical mind about language material in the grammar textbooks that lean to written language. Although several research had emphasized that language material should be treated variously at level of discourse, there is little argument about extension of spoken language. However, considering that real language life consists mostly of spoken language, extension of spoken language in textbook leads to guarantee of authenticity in education. In order to improvement the grammar textbook in terms of material, this study reviewed the grammar textbook now in use quantitatively. Suggestions based on this review are that (1) language materials at level of discourse and of authentic spoken language are expanded, and to do that (2) gathering a spoken corpus for education has to be preceded. Lastly, (3) audio materials are used for education in order to exceed limit of paper textbook.

      • KCI등재

        고등학교 문법 영역에서 상대 높임 교육 내용에 대한 연구 : 상대 높임 체계표 개선을 중심으로

        신희성 ( Shin Heeseong ) 한국문법교육학회 2016 문법 교육 Vol.27 No.-

        The Hearer honorific system is important in Korean and Korean education. Grammar education that is in charge of hearer honorific system should improve contents of education by reflecting the aspect of language use. This study aims to piece together related discussion and settle that. Specifically, this study suggests improvement suggestion of hearer honorific system table in textbooks. In conclusion, researcher suggests three methods to modify that table. Firstly, contents that form learners’ misconceptions should be modified. To do this, binary system divided into formal and informal should be changed into a variable that determines the speech level of the hearer honorific system. In addition, hearer honorific system should be taught by explaining system is selected to do treat people differently for various factor, not to do enhance or degrade people. Secondly, the hearer honorific system education has to help students connect contents of education to real language use by diversifying ending list. Finally, the hearer honorific system education should be able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usage of hearer honorific system.

      • KCI등재

        예비 국어 교사의 ‘문법교육론’ 강좌 수강 경험 연구

        신희성 ( Shin Heeseong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21 한국어문교육 Vol.35 No.-

        본 연구는 예비 국어 교사가 ‘문법교육론’ 강좌를 수강하는 일이 국어 교사가 되는 과정에서 어떤 유의미함을 발생시킬 수 있을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간 사범대학 교육과정에 대한 논의에서 주요하게 지적되어 온 것 중 하나는 ‘○○교육론’ 강좌가 ‘○○론’과 크게 대비되지 않는다는 것이었다. 또 최근 교원양성과 관련하여 교사의 연구 역량 강화에 대한 요구가 증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법교육 담론이 주요 교육 내용이 되는 문법교육론 강좌를 설계하고 이에 대한 예비 국어 교사의 수강 경험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예비 국어 교사들은 문법 지식뿐 아니라 문법교육의 필요성 및 효과적인 교수 방법에 대해 알고 싶어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문법교육 담론을 접하고 이를 국어 교사로서의 정체성 형성에 활용하는 데 있어 자신의 문법교육 및 언어생활 경험을 적극 활용하기도 했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이 수강생들에게 어려운 일로 인식되기도 하지만 교수자 및 수강생 간의 상호작용이나 실제적 자료의 풍부한 활용 등으로 해결할 수 있는 실마리 역시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what significance it would be in the process of becoming a Korean language teacher to take a "Grammar Education Theory" course. One of the main points that has been pointed out in the discussion on the curriculum of the College of Education has been that the "○○ education theory" course does not contrast significantly with the "○○ theory." It can also be confirmed that the demand for strengthening teachers' research competence has been increasing recently in connection with teacher training. Therefore, in this study, the pre-service Korean teacher's learning experiences were analyzed by designing “Grammar Education Theory” course where grammar education discourse is the main content of education.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pre-service Korean teachers wanted to know not only grammar knowledge but also the need for grammar education and effective teaching methods. He also actively used his grammar education and language life experience to develop his identity as a Korean teacher when he was exposed to the discourse on grammar education. Although this series of tasks are perceived as difficult for pre-service Korean teacher, clues that can be solved by interaction between professors and students or rich use of practical data were also found.

      • KCI등재

        체계기능언어학을 활용한 텍스트 분석의 양상과 쟁점

        신희성(Shin, Heeseong) 한국어학회 2021 한국어학 Vol.93 No.-

        최근 체계기능언어학 이론을 텍스트 분석에 활용하고 있는 사례들이 많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시의에 맞춰 체계기능언어학을 활용한 텍스트 분석 연구물들을 사례 연구 차원에서 살펴보았다. 먼저 국내에서 체계기능언어학이 주목받고 있는 이유를 확인함으로써 해당 이론의 유용성을 탐색해 보았다. 국어학 외 분야 연구물들에서는 맥락을 중요시하고 저자의 언어 선택에 담긴 의미기능을 분석해 주는 체계기능언어학을 활용해 텍스트 이면의 사회현상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들은 교과교육학이나 문예 비평, 비판적 담화 분석 등에서 다양한 성과를 축적하고 있었다. 한편 체계기능언어학은 여타 언어학 이론과 다르게 이론의 한국어 접목에 비해 텍스트 분석에의 활용이 먼저 활성화되었다. 이로 인해 국어학 차원에서 체계기능언어학을 활용한 텍스트 분석 연구들과 협업할 지점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Recently, more and more cases are using systematic-functional linguistics(SFL) theory for text analysis. In this study, text analysis studies using SFL were examined as a case study. First, by confirming the reason why SFL is attracting attention in Korea, the usefulness of the theory was explored. Disciplines other than Korean linguistics aim to reveal the social phenomena behind the text through text analysis. Researchers judged that SFL values context and provides an eye to reveal the author’s intention to produce a specific language by providing theories on the semantic function of lexicogrammar. They were accumulating various achievements in subject matter education, literary criticism, and critical discourse analysis. On the other hand, unlike other linguistic theories, SFL was first activated in text analysis compared to the incorporation of Korean language in theory. For this reason, it was possible to identify points to collaborate with text analysis studies using SFL at the level of Korean linguistics.

      • KCI등재

        초등 문법교육에서의 시간 표현 교육 내용 연구

        신희성(Heeseong Sh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5

        목적 본 연구에서는 2022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신설된 초등 시간 표현 성취기준의 교육 내용을 개발하는 데 있어 중요하게 고려해야 하는 쟁점 사안들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방법 2022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초등 시간 표현 교육의 지향을 명료화하기 위하여 2007, 2015 국어과 교육과정과 2022 국어과 교육과정을 비교했다. 또한 교육 내용 개발의 쟁점을 탐색하기 위해 시간 표현의 상위 범주인 문법 요소 성취기준들이 구현된 기존의 교과서들을 분석했으며, 시간 표현 교육에 사용할 수 있을 만한 언어 자료들을 예시하기 위해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도 분석하였다. 결과 교육과정 분석을 통해 2022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시간 표현 교육의 지향이 2007 국어과 교육과정에서의 그것과 많이 달라졌음을 확인했다. 특히 2022 국어과 교육과정은 ‘사용으로서의 언어, 언어의 역동성, 언어의 다면성’ 등에 주목하고 ‘담화, 맥락’을 강조하고 있었다. 또한 시간 표현 교육이 높임 표현 및 피동 표현 교육 사이에서 적합한 위계성을 가지고 구현되는 방식에 대해 교과서 분석을 통해 논의했다. 마지막으로 초등 시간 표현 교육이 문학이나 읽기 및 쓰기 영역과 연계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고 특히 초등학교 5학년 수준에서 다룰 수 있는 텍스트들에서도 시간 표현이 표현 효과를 담지하고 있음을 예시했다. 결론 2022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초등 시간 표현 교육은 그 지향과 위계 및 연계에 대해 섬세한 고려 속에서 구현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앞으로 초등 시간 표현 교육의 정착을 위해서는 학습자의 시간 표현 사용 양상 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issues that should be considered important in realizing the educational content of the elementary school time expression achievement standards newly established in the 2022 Korean language curriculum.. Methods First, in order to clarify the orientation of elementary school time expression education in the 2022 Korean language curriculum, the 2007 and 2015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the 2022 Korean language curriculum were compared. In addition, in order to explore the issues of educational content development, the upper category of time expression, grammar element achievement standards, were analyzed in textbooks that were previously implemented. Finally, elementary school Korean textbooks were also analyzed to illustrate language materials that can be used for time expression education. Results Through curriculum analysis,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orientation of time expression education in the 2022 Korean language curriculum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in the 2007 Korean language curriculum. In particular, the 2022 Korean language curriculum focused on “language as use, language dynamics, and various aspects of language” and emphasized “discourse and context.” In addition, I argued that time expression education should be implemented with an appropriate hierarchy between height expression and passive expression education through textbook analysis. In addition, the possibility that elementary school time expression education can be linked to literature or reading/writing was confirmed. Specifically, it was exemplified that time expression also contains an expression effect in texts that can be treated at the 5th grade level of elementary school. Conclusions In the 2022 Korean language curriculum, elementary school time expression education should be implemented in delicate consideration of its orientation, hierarchy, and connection. In addition, in order for elementary school time expression education to be implemented as intended, research on learners' use of time expression is necessary.

      • KCI등재

        과거와 현재, 미래를 아우르는 국어사 교육의 방향성 탐색 ―국어의 역사성 교육을 중심으로

        신희성 ( Shin Heeseong ) 국어교육학회 2019 國語敎育學硏究 Vol.54 No.3

        최근 국어사 교육은 학습자 중심성을 수용하여 학습자가 과거의 언어에 대해 느낄 수 있는 거리감을 극복하려는 노력을 보여 왔다. 이러한 노력은 2015 국어과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1학년의 성취 기준에서 국어의 변천 자체를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국어가 변화하는 실체임을 이해하는 데 방점을 두는 식의 변화를 끌어냈다. 하지만 이를 실현하는 교과서에서는 이전의 교수·학습 내용과의 큰 차이를 보이지 못한 채 해당 성취 기준을 달성하기에 충분한 교육 내용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국어가 변화하는 실체임을 이해하는 국어의 역사성 교육에서 과거와 현재, 미래를 언어 체계 내에서 아우르지 못하고 국어의 위상 층위와 혼동하여 교육 내용을 연결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국어사적 지식이 현대 국어와 관련되는 지점에 대한 풍부한 예시를 보이지 못하고, 또한 이러한 지식이 미래의 언어를 결정짓는 방향도 보이지 못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언중이 과거의 언어에 대해 가지고 있는 인상을 바탕으로 높임 표현을 중점 삼아 과거와 현재, 나아가 미래까지 아우를 수 있는 국어의 역사성 교육 내용 마련의 가능성을 제언하였다.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was revised in 2015 to allow for a learner-centered teaching method so that the students of Korean language history can narrow down their historical distance. In the revised curriculum, the achievement criteria focus on understanding the changing nature of Korean language. However, the content of the textbooks has not been revised in a manner that would have been essential for supporting the new approach of teaching and differentiating it from the conventional one. Thus, the requirements of the achievement criteria has been left unaddressed. One of the issues that emerged was related to the process of elucidating the dynamic nature of the Korean language system―it links the past and the present to the levels of the language rather than encompass the past, present, and future within the language system itself. It is necessary that we present enriching examples that can help the students in relating their knowledge about the history of the Korean language to that of modern Korean language. Furthermore, the way in which gaining such knowledge can influence Korean language in the future also needs to be evaluated. In light of this, our study suggests the possibility of preparing such an education system for teaching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that can encompass the past, present and future and emphasize the enhanced usage of expressions.

      • 비용집계를 통한 개방형 어휘 의미 분할

        신희성(Heeseong Shin),조석주(Seokju Cho),홍성환(Sunghwan Hong),김수현(Soohyun Kim),김승룡(Seungryong Kim) 대한전자공학회 2023 대한전자공학회 학술대회 Vol.2023 No.6

        Existing works on open-vocabulary semantic segmentation have utilized large-scale visionlanguage models, such as CLIP, to leverage their exceptional open vocabulary recognition capabilities. However, the problem of transferring these capabilities learned from image-level supervision to the pixel-level task of segmentation and addressing arbitrary unseen categories at inference makes this task challenging. To address these issues, we aim to attentively relate objects within an image to given categories by lever- aging relational information among class categories and visual semantics through aggregation, while also adapting the CLIP representations to the pixellevel task. However, we observe that direct optimization of the CLIP embeddings can harm its open-vocabulary capabilities. In this regard, we propose an alternative approach to optimize the image- text similarity map, i.e. the cost map, using a novel cost aggregation-based method. Our framework, namely CAT- Seg, achieves state-ofthe-art performance across all bench- marks. We provide extensive ablation studies to validate our choices.

      • KCI등재

        『언어와 매체』 내 문법 요소 단원의 ‘표현 효과’ 학습 활동 연구

        신희성 ( Heeseong Shin ) 인문사회 21 2023 인문사회 21 Vol.14 No.1

        연구 목적: 이 연구는 문법교육에서 중요하게 자리 잡은 표현 효과의 개념을 확인하고 현행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서 어떤 양상으로 실현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2015 국어과 교육과정을 실행하고 있는 『언어와 매체』 교과서를 연구 대상으로 삼아 문법 요소 단원의 표현 효과 관련 학습 활동을 분석하였다. 연구 내용: 분석 결과 먼저 학습 활동이 ‘표현 효과’를 표상하는 방식이 다양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학습 활동에서 ‘표현 효과’는 간접성이나 추상성 측면에서 다양하게 표상되었는데 이는 학습자가 활동을 수행하는 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표현 효과의 경우 계열적으로 표상하는 것이 유용하다고 보았다. 다음으로 ‘표현 효과’ 개념이 ‘표현 의도’와 혼용되고 있음을 확인하고 이들의 관계 설정이 필요함을 지적하였다. 결론 및 제언: 이 연구를 통해 표현 효과 개념의 복잡성 및 다층성을 확인하였으며, 앞으로도 표현 효과가 다른 다양한 개념들과 함께 정치하게 논의되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ttempted to confirm the concept of expression effect, which has become important in grammar education, and to confirm how it is realized in the current curriculum and textbooks. The learning activities related to the expression effect of the grammatical elements unit were analyzed by examining the Language and Media textbook that is implementing the 2015 Korean language curriculum as the research object. First,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re are various ways in which learning activities represent ‘expression effects’. In learning activities, the ‘expression effect’ was represented in various ways in terms of indirectness or abstraction, which can affect learners’ performance of activities.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expression effect, it was considered useful to express it paradigmatically. Second,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concept of ‘expression effect’ is used interchangeably with ‘expression intent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This study confirmed the complexity and multilayerity of the concept of expression effect, and suggested that the expression effect should be delicately discussed with various other concepts in the future.

      • KCI등재

        양태 범주의 문법 교육적 위상 제고를 위한 시론

        신희성 ( Shin Heeseong ) 국어교육학회 2018 國語敎育學硏究 Vol.53 No.4

        최근 양태 범주에 대한 담론이 국어학이나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 왕성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맞춰 문법 교육에서도 양태 범주 교육에 대한 논의가 조금씩 시작되고 있다. 이는 분명 양태 범주가 어떤 가치를 가지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이에 비해 현행 문법 교육에서 양태 범주의 위상은 미미하다. 이에 본고에서는 양태 범주의 문법 교육적 가치를 짚어 보고 이를 바탕으로 어떻게 위상을 제고할 수 있을지 살펴보았다. 양태 범주는 본래 양상 논리에서 파생된 논의였으나 실제 언어생활에서 대인적 기능을 적극 담당하여 쓰이고 있다. 따라서 양태 범주에 대한 교육은 문법 교육뿐 아니라 국어교육 전반에서 유의미하게 작용할 수 있다. 양태 범주를 현행 문법 교육에서 수용하는 방안은 기존 체계에 병렬적으로 양태 범주를 더하는 방법, 체계를 조정하여 보다 표현론적인 관점을 강화하여 수용하는 방법, 대안적으로 입장 개념에 포함하여 수용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grammar educational value of the modality and examines how to improve the status of grammar education based on it. The modality concept was originally derived from the modal logic, but it is used in actual language by actively handling the interpersonal function. Therefore, modality as a category can be meaningful not only in grammar education but also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whole. In order to accept modality in current grammar education is to add the modality in parallel to the existing system, to adjust the system to strengthen the more onomasiological approach, or to accommodate it in the alternative concept of st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