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방과후학교의 유형과 학습몰입 정도에 따른 중학생의 방과후학교 교육만족도 차이

        신현아(Hyun-A Shin),장윤옥(Yoon-Ok Jang) 한국콘텐츠학회 201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1 No.8

        본 논문은 방과후학교의 유형과 학습몰입 정도에 따른 중학생의 방과후학교 교육만족도의 차이를 분석하면서 방과후학교의 유형과 학습몰입 정도에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지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중학교 1,2,3학년 382명이며, 조사도구로는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수강한 방과후학교 수업의 일반적 특성, 그리고 학습몰입 척도와 방과후학교 교육만족도 척도로 구성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다변량분산분석(MANOVA)을 사용한 결과 방과후학교 특기ㆍ적성수업을 수강한 중학생들이 교과수업을 수강한 중학생들보다 방과후학교 지도교사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습몰입 정도가 높은 중학생들이 학습몰입 정도가 낮은 중학생들보다 방과후학교 교육과정, 지도교사, 교육시설만족도가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학습몰입 정도가 높은 중학생들에 있어서는 특기ㆍ적성수업을 수강한 중학생들이 교과수업을 수강한 학생들보다 방과후학교 교육과정과 교육시설만족도가 높았으며, 학습몰입 정도가 낮은 중학생들에 있어서는 교과수업을 수강한 학생들과 특기ㆍ적성수업을 수강한 중학생들 간에 방과후학교 교육과정과 교육시설만족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investigate differences in middle school student's after school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type and the degree of flow of after school. For the purpose of this paper, a survey was conducted including a questionnaire consisting of a general characteristic of the study object, a general characteristic of the after school class, learning-flow scale, and after school satisfaction scale. The subjects were 382 students who were selected at random from middle school students. Cronbach’ α and MANOVA were employ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with special-abilityㆍaptitude class were more satisfied for after school instructors than the students with subject class. Second, the students with the degree of high learning-flow showed higher satisfaction in after school class curriculum, instructors, and educational facility than the degree of low learning-flow students. Third, among the students who were high in learning-flow, the students with special-abilityㆍaptitude class were more satisfied with after-school class curriculum and educational facility compared to the students with subject class.

      • 복소유전율 측정용 개방단말 동축선 프로브 제작오차의 영향에 관한 FDTD 모의계산

        신현,현승엽,김상욱,김세윤,Shin, Hyun,Hyun, Seung-Yeup,Kim, Sang-Wook,Kim, Se-Yun 대한전자공학회 1999 電子工學會論文誌, D Vol.d36 No.8

        umerical simulations are performed to estimate how strongly the manufacturing error of an open-ended coaxial probe affects its measured complex permittivity of a contacted medium. The reflection coefficients of several dielectric materials contacted with an open-ended coaxial probe are calculated by employing the FDTD method. And then those complex permittivities are reconstructed by applying the calculated reflection coefficients into a new imaginary transmission-line model, which reveals more physically meaningful than the conventional model. It is found that the reconstructed complex permittivities suffer from significant error in spite of a slight imperfection of open-ended coaxial probe. 개방단말 동축선 프로브의 제작오차가 프로브에 접촉된 매질의 복소유전율 측정에 얼마나 강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살펴보기 위한 수치계산을 수행하였다. 몇 가지 종류의 유전체를 접촉시킨 개방단말 동축선 프로브의 반사계수는 FDTD 방법을 적용해 수치계산 하였다. 이러한 계산된 반사계수들을 새로운 가상의 전송선 모델에 적용시켜 복소유전율로 확산하였는데, 본 논문에서 사용한 방법은 기존의 방법보다 물리적으로 더 의미가 있는 방법이다. 개방단말 프로브에 약간의 제작오차가 있을 때에도 복소유전율에는 큰 오차가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 개방단말 동축선 프로브를 이용한 다양한 유전체의 복소 유전율 측정

        신현,현승엽,김상욱,김세윤,Shin, Hyun,Hyun, Seung-Yeup,Kim, Sang-Wook,Kim, Se-Yun 대한전자공학회 2001 電子工學會論文誌-TC (Telecommunications) Vol.38 No.7

        본 논문에서는 자체 설계 및 제작한 개방단말 동축선 프로브를 이용하여 분말(설탕, 밀가루)과 고체(테플론, 아크릴)와 같은 다양한 유전체에 대하여 복소 유전율을 측정하였다. 측정장치로 프로브를 동축선을 통하여 벡터 회로망 분석기(VNA)와 연결하였다. 동축선의 끝단까지는 OSL(개방, 단락, 부하) calibration kit를 이용하여 교정하였다. 동축선 끝단에 프로브를 삽입함으로 발생하는 위상차이는 증류수에 대하여 수치계산한 반사계수를 이용하여 보상하였다. 측정매질의 표면에 프로브를 접촉시켰을 때 측정한 반사계수를 가상의 원추형 선로 모델에 대입하여 복소 유전율을 환산하였다. 30 MHz부터 3 GHz에 걸친 광대역 주파수 범위에서 여러 가지 분말과 고체에 대하여 본 논문의 방법으로 측정한 복소 유전율을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에서 잔송선로법으로 측정한 결과와 비교하였다. In this paper, the complex permittivity of various dielectrics such as powder(sugar and flour) and solid(teflon and acrvl) are measured by using an open ended coaxial-line probe, which is self designed and manufactured, The probe is connected to a vector network analyzer(VNA) through a coaxial cable, The end of the cable is corrected by using an OSL(open, short, and load) calibration kit, The phase difference, which is produced by inserting the probe at the end of the line. is compensated by using the numerically calculated reflection coefficient of distilled water, The complex permittivity is reconstructed by inserting the measured reflection coefficient, which is produced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probe and measuring material, into ,an virtual conical cable conversion model. Over a wide frequency range from 30 MHz to 3 GHz, the measured complex permittivitis of various powder and solid using the our method are compared with the results, which are measured by using an transmission-line method of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of Standards and Science(KRISS).

      • 대기업 협력업체의 성과분석

        신현한(Hyun - Han Shin),김소연(So - Yeon Kim) 한국경제연구원 2014 한국경제연구원 연구보고서 Vol.14 No.02

        IMF 한국의 일부 대기업들은 빠르게 성장하여 글로벌 경쟁에서 두각을 나타내게 되었으며, 그 성장의 이면에는 협력관계를 통해 대기업의 경쟁력을 뒷받침한 중소기업의 노력이 있다. 그러나 최근 들어 국내 대기업이 성장한 만큼 협력업체는 그 성과를 누리지 못하고 오히려 대기업의 착취 대상이 되어 대기업과 협력업체의 양극화가 심해진다는 주장이 대두되었다. 이러한 대기업과 중소 협력업체 간의 갈등은 기업 간의 갈등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사회 구성원 간의 갈등으로 번질 우려가 있어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상생협력을 통해 해결을 해야 한다는 사회적 분위기에 따라 각종 규제와 법안들이 발의되고 일부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협력관계에 관한 체계적인 학문적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몇몇 사례를 근거로 협력관계를 일반화 하는 것은 관계를 왜곡시킬 우려가 있으며, 왜곡된 정보를 바탕으로 수립된 정책은 의도하지 않은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새로 발의되는 규제와 법안이 지금까지 한국 경제를 이끌어 온 대기업과 협력업체 간의 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될 수도 있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보고서에서 4대 그룹의 대표적인 계열사를 기준으로 협력업체의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한 결과, 대기업의 성과는 협력업체의 성과에 긍정적인(+)의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기업이 협력업체를 착취하여 대기업의 성과를 높인다는 주장을 뒷받침하지 않는다. 그러나 대기업의 성과가 협력업체의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는 하지만, 협력업체가 더 많은 수익을 낼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협력관계로 인하여 제 몫을 챙기지 못하는 것일 수도 있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본 보고서에서는 협력업체와 비협력업체의 성과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협력업체의 매출총이익률이 비협력업체의 매출총이익률보다 유의하게 낮아 협력업체의 납품단가 할인이 발생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하지만 이후 매출원가 외에 다른 비용들이 반영되어 나타나는 이익률(영업이익률과 매출액 이익률)에서는 협력업체의 저성과 현상이 사라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협력업체가 비협력업체보다 매출원가 외의 다른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어 매출총이익률에서 나타난 손실을 만회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기업의 최종성과라 할 수 있는 총자산이익률(ROA)과 자기자본이익률(ROE)은 오히려 협력업체가 비협력 업체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좀 더 구체적으로 협력업체의 총자산이익률과 자기자본이익률이 비협력업체에 비하여 높게 나오는 이유를 알아보기 위하여 기업의 활동성비율을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협력업체의 자산회전율이 비협력업체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높은 자산회전율은 동일한 자산을 가지고 더 많은 매출을 발생시킨 것으로 해석되어 매출액이익률이 낮아도 듀퐁항등식(Dupont Identity)에 의해서 높은 총자산이익률과 자기자본이익률을 만들 수 있다 실제로. 성과분석에서 협력업체와 비협력업체 간에 매출액 이익률에 차이가 없지만 총자산이익률과 자기자본이익률이 높게 나타났다. 매출채권 회수율도 예상했던 대로 협력업체가 더 높아 대기업으로부터 대금 결제를 빨리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협력업체의 매출채권 회수기간과 재고자산 회전기간이 짧아 투입된 자원이 현금으로 전환되는 기간 역시 협력업체가 유의하게 짧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협력업체가 비협력업체보다 효율적으로 자본 운용과 영업 관리를 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협력업체의 대기업에 대한 매출 비중이 기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매출총이익률은 음(-)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영업이익률과 매출액이익률은 음(-)의 효과가 사라졌다. 반면, 매출비중이 총자산 이익률과 자기자본이익률에는 양(+)의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출 비중이 매출액 이익률에는 유의한 영향을 주지 못하지만 총자산이익률에 양(+)의 효과를 갖는 것으로 보아 자산회전율에도 양(+)의 효과를 가질 것으로 짐작할 수 있다. 대기업에 대한 매출 비중은 협력업체의 자산회전율과 매출채권 회전율, 매입채무 회전율 모두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협력업체의 현금전환주기도 감소시키는 효과를 보여 주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기존의 협력업체와 대기업의 거래 관계에 대한 인식이 일부는 옳고 일부는 옳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물론 시장 질서를 어지럽히는 대기업의 불공정 거래는 처벌 받고 제재 받아야 한다. 그렇지만, 어디까지가 불공정 거래인지를 판단하고 기업 간 협력관계를 개선시키기 위해서는 보다 객관적이고 정확한 실증 분석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In this study, we focused on the business relations between small suppliers and large buyers to examine how the buyer-supplier relationship affects small supplying companies. In particular, we focused on analyzing large business groups (Samsung, LG, SK, and Hyundai Motors) that are subject to the regulation. In the result of the analysis, we can see that the performance of buyers h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performance of suppliers. With the exception of the gross profit margin, performance of buyers and performance of suppliers are moving in the same direction. It is unlikely that buyers are exploiting suppliers in order to improve their own performance and dropping the performance of suppliers. The performance of buyers has a positive effect on suppliers, but suppliers could have been able to make more profit if it were not in a buyer-supplier relationship with large companies. In order to verify this, this paper compares the performance between the suppliers and non-suppliers. In the result of the study, suppliers' gross margin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comparing with the non-suppliers' gross margin and we were able to see that there was a discount occurring in the unit price of suppliers. On the other hand, profits that reflect other costs (such as operating profit and profit margin on sales) rather than cost of goods sold did not show any signs of under-performance of suppliers compared with non-suppliers. This can be interpreted as that suppliers could reduce SG&A costs, except for the costs of goods sold,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loss in the gross profit margin. In the result, we were able to see that the final outcome, return on assets (ROA) and return on equity (ROE) of supplier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non-suppliers. To further investigate reasons why suppliers' ROA and ROE are higher than non- suppliers', we looked into companies' asset utilization. In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we could see that the supplier's asset turnover rat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non-supplier's. Higher asset turnover rate is interpreted as 'having the same amount of assets but causing more revenue'; therefore even though return on sales is lower, it is possible to make higher ROA and ROE according to the Dupont identity. In the result of analysis, except for ROA and ROE, we were not able to identify any differences in supplier's profit margin on sales compare to non-supplier's profit margin on sale. As we have expected, supplier's receivables turnover rate was higher, which implies that suppliers received bills rapidly from large companies compared with non-suppliers. The combination of shorter receivables and inventory conversion periods make suppliers to have shorter cash conversion cycles. Finally, we analyzed the concentration effect of sales ratio of suppliers' to large companies. In the result, the sales concentration has a negative effect on the gross profit margin but has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operating profit margin or net profit margin. However, the sales concentr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ROA and ROE. Since the sales concentration does not have any effects on net profit margin, but has a positive effect on ROA, we can assume that the sales concentr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asset turnover of suppliers. Consistent with the hypothesis, the sales concentration raises both turnover ratio of receivables and inventories of suppliers. In conclusion, the sales concentration also shortens cash conversion cycle of suppliers. From these results, we are able to recognize that existing perception of the buyer-supplier relationship between the large companies and their suppliers is not entirely correct. Of course, large companies that disturb the market order and making unfair trading must be restricted and punished. However, in order to determine to what extent it should be considered as unfair trading, and in order to improve buyer-supplier partnership, we must consider a

      • KCI등재

        유동성위기상황에서 수신고객구조가 은행위험에 미치는 영향

        서정호 ( Jeong Ho Suh ),박정수 ( Jung Soo Park ),신현한 ( Hyun Han Shin ) 한국금융학회 2010 금융연구 Vol.24 No.1

        Shin(2009), Liu and Mello(2009) 등은 금융기관이 자금조달을 위해 법인, 금융기관 등 대규모신용공여자(large lenders)에 지나치게 의존할 경우 유동성위기상황에서 뱅크런의 위험이 증폭될 수 있다는 새로운 은행실패 가설을 최근 제시하였다. 대규모신용공여자들이 제공한 자금의 상당 부분이단기성일 뿐 아니라, 이들은 시중 유동성 악화에 따른 자신의 재무제표 위험을 선제적으로 통제하기 위해 제공한 자금을 조기에 회수하려는 디레버리징 동기를 갖기 때문이라고 설명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유동성위기상황에서 수신고객구조(depositor structure)가 국내 은행들의 위험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2004년 이후 국내 은행들의 분기별 불균형 패널 데이터에 대해 고정효과모형에 기초한 실증분석을 시도하였다. Lehman Brothers의 파산보호신청 등으로 인해 국내 은행들이 급격한 유동성 압박을 경험했던 2008년 하반기를 유동성위기상황으로 정의하고 은행위험의 변동을 살펴본 결과, 주식시장 참여자 뿐 아니라 예금자들도 유동성위기하에서 수신고객구조에 따른 위험에 차별적으로 반응한다는 실증적 근거를 볼 수 있었다. 은행의 특성을 나타내는 통제변수들이 감안되었고, 다양한 강건성 검증도 실행하였다. 본 연구는 Shin(2009), Liu and Mello(2009) 등이 제시한 새로운 가설과 이론에 대해 우리가 아는 한 최초의 실증분석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법인 등 도매조달(wholesale funding)의 비중이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는 국내 시중은행의 수신고객구조의 추이를 감안할 때 은행경영 뿐 아니라 건전성 감독규제를 설계함에 있어서도 시의성 있는 함의를 던져줄 것으로 판단된다. Shin (2009) and Liu and Mello (2009) presented a new theory on bank risk in which if a bank relies too much on the funding from the large lenders such as financial institutions, corporations, and major credit suppliers, it is more likely to increase the bank risk during the liquidity crisis. A significant portion of credit provided by large depositors is short-term, and it is sensitive to market liquidity because major credit suppliers (large depositors) have an incentive of de-leveraging when liquidity crisis occurs, and withdraw funds from other institutions in order to take a preemptive action against the risk of unfavorable financial situation. In this paper, we assume that capital market participants and bank depositors are concerned about the bank risk caused by depositor structure during the liquidity crisis. In other words, we assume that capital market participants expect potential withdrawals from large depositors during liquidity crisis when a large proportion of bank deposit is made by major credit suppliers. Using the fixed effect model and Korean banks` quarterly unbalanced panel data since 2004, we investigate whether the depositor structure affects the Korean bank risk. We use the following empirical model in order to test our hypothesis: Yi,t=αi+β1·RDEPOi,t+β2·RDEPOi,t*CRISISt+β3·CRISISt+γX+εi,t (1) where Yi,t is a dependent variable representing the risk of bank failure, RDEPOi,t is a proxy variable for depositor structure (the proportion of institutional and other types of non-individual deposits), CRISIS is a proxy variable for liquidity crisis, X is a vector of control variables representing bank characteristics. Dependent variable Yi,t measures the risk of a bank failure at a point in time. We use stock return volatility (SDR) and percentage changes in deposits (DEP) as a proxy for the risk of bank failure. Stock return volatility is a standard deviation of an individual bank`s stock returns (1nPt/Pt-1) for a quarter, and it measures how sensitive the capital market participants are to bank risk, while the percentage change in deposit measures how sensitive depositors are to bank risk. We use the second half of 2008 as a period of liquidity crisis because Korean banks experienced a sudden liquidity pressure following Lehman Brothers` bankruptcy filing. In other words, CRISIS takes the value of one for the 3rd and 4th quarter of 2008, while it takes the value of zero for all previous periods. We also use CDS premium as a proxy variable for liquidity crisis. During the second half of 2008, domestic banks have experienced liquidity crisis despite abundant liquidity in domestic currency. Because of deteriorating conditions in bank borrowing in foreign currency, bank risk premium has been rising rapidly. Thus, the domestic banks` degree of stress could be measured more accurately by the CDS premium since it reflects the full risk of the overall economic system caused by foreign borrowing conditions. We find empirical evidence that the reaction to the liquidity crisis by equity market participants as well as depositors is associated with the risk caused by depositor structure. We also performed various robustness tests controlling for variables representing the characteristics of banks.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is paper provides the first empirical evidence consistent with the recent hypothesis and theory provided by Shin (2009), and Liu and Mello (2009). The results of this paper are considered to provide timely implications in the bank management as well as in the design of the prudential regulations given the trend that the proportion of corporate and wholesale funding continues to rise in Korean banks.

      • 평판에 충돌하는 펄스파에 미치는 관출구 부분폐쇄의 영향

        신현동(Hyun-Dong Shin),이영기(Young-Ki Lee),김희동(Heuy-Dong Kim),?戶口俊明(Toshiaki Setoguchi) 대한기계학회 2004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04 No.4

        When a shock wave arrives at a duct, an impulsive wave is discharged from the duct exit and causes serious noise and vibration problems. In the current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he impulsive wave discharged from a partial closed duct exit is numerically investigated using a CFD method. The Yee-Roe- Davis’s total variation diminishing(TVD) scheme is used to solve the axisymmetric, unsteady, compressible Euler equations. With several partial closed duct exits, the Mach number of the incident shock wave M<SUB>s</SUB> and the distance L/D between the duct exit and a flat plate are varied in the range of M<SUB>s</SUB> = 1.01 ~ 1.50 and L/D = 1.0 ~ 4.0, respectively. The results obtained show that the magnitude of the impulsive wave impinging upon the flat plate strongly depends upon M<SUB>s</SUB>, L/D and the partial closure of duct exit. The impulsive wave on the flat plate can be considerably alleviated by the partial closure of duct exit and, thus, the present method can be a passive control for the impulsive wave.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다윗과 골리앗

        신현한(Hyun-Han Shin) 연세대학교 경영연구소 2010 연세경영연구 Vol.47 No.2

        2004년 10월, 크라운 제과는 해태제과식품 투자회사인 Korea Confectionary Holdings NV와 인수 계약을 체결하였다. 이 당시 추정된 총 인수 비용은 5,500억 원에서 6,500억 원으로서, 향후 실사 작업을 거쳐 구체적인 금액을 결정하기로 하였다. 이 인수 프로젝트의 주목할 점은 매출과 자산의 규모에 있어서 피인수사가 인수사보다 2배 이상 크다는 것이다. 그래서 인수사의 자금 조달이 인수 프로젝트 성공의 관건이었다. 즉, 본 사례는 크라운제과의 해태제과인수 과정을 분석함으로써 기업인수의 전략적 정당성과 인수가격의 적정성을 점검하고, 구체적인 자금조달 방안을 설명하여 국내기업의 기업인수시 자금조달의 구체적인 사례를 제시하였다. October 2004, Crown Confectionery Co. has signed an agreement with Korea confectionary Holdings NV to acquire HaiTai Confectionery & Foods Co. At that time, the estimated total acquisition cost was in the range between 550 billion won and 650 billion won, even though there is a room for adjustment depending on the results of duediligence. The size of acquisition is over two times greater than the size of Crown’s assets and revenues and the funding for the acquisition of the Haitai Confectionery Food Co. was the biggest stumbling block in the acquisition. By examining this case, we are finding strategic justification and checking the adequacy of the purchase price. Furthermore, we show a funding method a domestic company can use by describing the specific financing ca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