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임란 被虜人 홍호연은 누구이며 어떻게 피랍되었는가

        신윤호(Shin Yun-ho)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10 이순신연구논총 Vol.- No.14

        홍호연(洪浩然, 1582~1657)은 雲海라고도 한다. 1593년, 제2차 진주성전투 이후 나베시마 나오시게 군대에 붙잡혀 일본으로 끌려가 佐賀藩主 나베시마의 家臣이 되어 서예가로 활약했던 인물이다. 그는 조선으로 돌아오려고 하였으나 그 소원을 이루지 못하고 생을 마쳤다. 그가 12세의 어린 나이에 일본으로 건너갔기 때문인지 조선에서의 행적이 남아있지 않다. 그의 출신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진 바가 없으며 다만 고향이 산음(현재의 경남 산청지역)이라는 것뿐이었다. 따라서 홍호연의 출생지 및 가족관계를 조사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산청군 오부면 중촌리에 南陽洪氏 마을이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임진왜란 시기에 ‘洪雲海’ 라는 이름이 실려 있는 『南陽洪氏族譜』와 그 일가 인물들의 문집 등을 확보하여 일본 측 사료인『洪浩然傳』과 내용을 대조·분석하였다. 그 결과 홍호연의 아버지는 안제이며, 형제는 맏형 성해, 둘째 형 천해, 동생 진해라는 가족관계를 밝혔다. 400여 년이 지난 이 시점에도 홍호연의 출신을 밝힐 수 있었던 것은 그가 조선 에서 쓰던 성명을 일본에서도 그대로 사용했기 때문이며 그 후손들도 현재까지 홍씨 성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He is Hong Ho-yeon, penname Un-hae. After(or When) second Jin-ju fortress war broke out at 1593, he was caught by Japanese troops. He became a servant of Saga s Nabesima and then gained a reputation as a calligrapher. He wanted to come back Joseon but ended his life in Japan. At the age of 12, he crossed into Japan. And so, We couldn t find his birth but just knew that his hometown is Saneum (Present Sancheong region, Gyeongnam ). For this reason, I searched for Hong Ho-yeon s birthplace and family relations which almost had disappeared. From these, we found that he had lived in Saneum (Sancheong, Gyeongnam). Comparing「Namyang Mr.Hong genealogy」that includes Hong Un-hae (洪雲海) with「A Hong Ho-yeon s biograpy」written in Japanese, I concluded that his father is An-je, first brother is Sung-hae, second brother is Cheon-hae and younger brother is Jin-hae. He used Joseon name of his own in Japan. so we have easily found Hong Ho-yeon s birth over the past 400 years.

      • KCI등재후보

        한국언론의 공공저너리즘의 역할에 관한 고찰

        신윤호,Shin, Yun-Ho 한국전자통신학회 2009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4 No.3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온라인 공공저널리즘에 관한 연구 자체가 단 3건 밖에 없는 상황에서, 그나마 2건이 미국 온라인 공공저널리즘에 관한 연구들이기에, 국내의 온라인 공공저널리즘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고, 이런 온라인 공공저널리즘의 역할을 저널리스트나 기획기사가 아닌, 언론사가 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가에 대한 필요성을 느낀 나머지, 지난 16대 대선 과정에서의 보도를 살펴봄으로써 한국의 온라인 신문이 공공저널리즘의 정책에 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In this research, the first online journalism in South Korea on the research itself in reality only have 3, only 2 cases in the United States the study of online journalism deulyigie, in online journalism for the public to feel the necessity of research and These online agents not jeoneolriseuteuna the role of public journalism, the media can perform that role, she felt the need for the rest, in the process of the last 16 presidential election, as reported salpyeobomeu in South Korea of jourmalism online newspapers will want to research about the policy.

      • KCI등재

        충북지역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발생밀도 변동과 이동

        신윤호,윤승환,박영욱,안정진,윤창만,윤영남,김길하,Shin, Youn-Ho,Yun, Seung-Hwan,Park, Young-Uk,An, Jeong-Jin,Yoon, Chang-Mann,Youn, Young-Nam,Kim, Gil-Hah 한국응용곤충학회 2012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1 No.2

        Seasonal fluctuations of Riptortus pedestris were investigated in four regions including two sites each at Mt. Yangseong (Munui-myeon, Cheongwon-gun), O-chang (Cheongwon-gun), and Jujung-dong (Cheongju) using aggression pheromone traps from April to November in 2010 and 2011. Aggression pheromone and aggression pheromone + soybean traps were set at all investigated sites, and the Mt. Yangseong A and B sites were investigated at a farmland (80 m, asl) and forest (200 and 300 m). The population density of R. pedestris was high in mid June, mid August, and late October in 2010 and in early May, mid June, mid September, and early October in 2011 with trivoltine. O-chang and Jujung-dong populations, which were distinguished in farmlands and forests, were highest from June to August in the farmland and in September in the forest. Similar numbers of R. pedestris were capture in the farmlands and the forest in June-August, September-November, respectively. From the results of the four regions, more R. pedestris adults were captured in the aggression pheromone + soybean trap than that in the pheromone trap. To investigate the migration route by altitude, 500 R. pedestris adults marked with fluorescent paint were released and re-caught insects were counted in traps after 10 and 20 days. The pattern of the re-caught R. pedestris indicated migration from the forest to farmlands during April-Jun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insects did not migrate in August because food was plentiful in the forest at 200 m, but they moved to the forest during October due to the scarcity of food and for overwintering. The R. pedestris seasonal fluctuations in 2011 were affected heavily by the environment, particularly rain precipitation. 충북지역 4곳의 농경지 및 산림지를 선정하여 2010년 4월 5일부터 2011년 11월 30일까지 발생밀도를 조사하였다. 농경지(80 m, 산림경계)와 산림지(200 m, 300 m)로 이루어진 양성산 두 지역은 고도별로 집합페로몬트랩과 집합페로몬+대두트랩을 설치하였다. 2010년도에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가 6월 중순, 8월 중순, 10월 하순에 높은 발생밀도를 보였고, 2011년도에는 양성산 두 지역에서는 5월 초순, 6월 중순, 9월 중순, 10월 초순에 높은 발생밀도를 보였다. 농경지와 산림지로 구분된 청원군 오창면, 청주시 주중동 두 지역에서는 6월에서 8월까지 농경지에서, 9월에는 산림지에서 많이 포획되었다. 계절별로도 6월부터 8월까지는 농경지 쪽에서, 9월부터 11월까지는 산림지쪽에 존재하였다. 트랩별 유인력의 차이는 4곳의 지역 모두에서 집합페로몬트랩보다 집합페로몬+대두트랩에서 더 많은 수의 성충이 포획되었다. 성충 500마리에 형광페인트를 칠하여 양성산에서 고도별로 방사하고 10일과 20일 후 고도별 이동을 조사한 결과, 4월부터 월동에서 깨어나기 시작하여 6월까지는 산림지에서 농경지로 이동하였다. 8월에는 고도별로 이동하지 않았으나, 9월과 10월에는 다시 농경지에서 산림지로 이동하였다.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는 계절별로 적은 수가 이동을 하며 대부분은 주변에서 먹이를 찾는 것으로 보인다. 2011년도의 발생밀도는 환경, 특히 강우량에 영향을 많이 받았다.

      • KCI등재

        임진왜란 시기 전라도수군의 편제와 운용

        신윤호 ( Shin Yun-ho )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18 역사학연구 Vol.72 No.-

        임진왜란은 약 15만여 일본군의 침략으로 왕이 피란하고, 20일 만에 조선의 수도가 점령될 정도로 조선의 국방상태가 나약함을 드러낸 사건이었다. 조선 전역이 일본군에 유린된 가운데 보전된 전라도는 국가의 보장으로서 근왕 활동 및 타지에 대한 병력의 부원, 군량·군수물자 공급 등을 담당하게 되면서 엄청난 병력과 물력이 동원되었다. 이런 상황은 전라도수군 운영에도 막대한 지장을 불러왔으니 병력·물자의 징발이 무분별하게 나타나 수군조직에 크고 작은 변동이 야기되고 여러 문제점들이 드러났던 것이다. 전라도가 전란극복의 주축이 된 가운데, 수군이 남해안의 제해권을 장악함으로써 전세에 큰 영향을 미쳤다. 임진왜란시 남해안에서 활약한 수군은 충청·전라·경상의 삼도 수군이 있었지만, 전라도수군이 주력을 이루고 있었다. 수군의 활동을 논함에 있어서 이순신의 역할을 빼놓을 수 없는 이유로서 첫째는 1593년 8월 삼도수군통제사에 제수되면서 수군 전체를 통솔하였기 때문인데, 전라좌수사로서 전라도수군의 실상 뿐만 아니라 삼도수군 운영의 전모를 파악할 수 있다는 점이다. 둘째는 그의 『난중일기』 및 『임진장초』에 수군의 상황 및 운용에 관한 상세한 내용이 수록되어 있기 때문이다. 임진왜란시 조선의 국방체제는 제승방략의 분군법을 기본전략으로 삼고 있었다. 제승방략의 시행 시점은 명확히 알 수 없으나 16세기 왜란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정착되었는데, 남방에 있어서는 을묘왜변을 전후하여 실시되었다. 이로 인해 수군절도사는 기존 수군진 뿐만 아니라 연해제읍 수령까지 지휘하게 되었고, 결과적으로 해상방어가 강화되었다. 제승방략은 관습적으로 전해진 것으로서 법제화 된 기록이 없기 때문에 임진왜란시 전라도수군의 편제는 이순신의 『일기』 및 『장계』 등의 기록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전라좌수군 5관 5포, 전라우수군 14관 12포로 구성된 현황을 정확히 밝히고 연해제읍의 역대 고을수령 및 수군진 장수를 가능한 한 규명하여 정리하였다. 이러한 수군의 규모와 활동 인물들을 기반으로 수군의 활동양상과 군사 동원체제의 실상을 살펴보았다. 임진왜란 이전 일본군의 침략에 대비하는 과정에서 ‘왜적은 수전에 강하지만 육지에 오르면 불리하다’는 이유를 들어 육전 위주의 방어에 치중하였다. 그러나 전쟁 발발 이후 예상과 반대의 상황이 전개되었으니 일본 수군보다 조선의 수군이 우월함을 확인하였고, 이순신은 장계를 올려 수군을 강화해야 함을 역설하였다. 조정에서도 이를 받아들여 ‘전선을 넉넉히 만들라’는 수군강화 정책을 실시하였다. 그러나 수군역은 고역으로 인식되어 징발에 어려움이 있는 상황에서 조정의 또 다른 정책으로서 ‘도망한 군사들이 있어도 그 친족이나 이웃에게 대충 징발하는 것을 일체 면제하라’는 연좌제를 금지시키는 명령을 내렸다. 이 정책은 백성을 위무하기 위한 것이었지만 수군의 전투수행 및 전선건조를 위한 군사징발을 제한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결국 조정의 두 가지 명령은 상호 모순된 것으로서 수군운영상의 문제가 되었다. 수군 운영의 또 다른 문제는 제읍수군의 동원을 둘러싼 육군과의 갈등이었다. 제승방략에 따라 수군으로 편성된 연해지역 고을로서 전라좌도 5관, 전라우도 14관이 있었으나 전라우도 14관은 임진왜란 초부터 근왕군에 동원되거나 의병과 연합하면서 육상전에 임하였다. 전라좌도의 일부 고을수령은 1593년을 전후하여 육상전으로 동원되었는데, 전라좌수사 이순신은 이러한 상황을 조정에 장계하여 수군소속 고을은 해전에만 임하고 육전에 투입하지 못하도록 요청하였다. 수사 휘하의 연해지역 고을이었지만 명령에 응하지 않아 통제하기 어려웠고 군무에 있어서 병사와 관찰사의 권한과 중첩되거나 상관으로서 관찰사의 지휘권이 우선시 되면서 지휘체계에 문제점을 드러내기도 하였다. 대체로 병사는 육군을, 수사는 수군을 관장하며 관찰사는 이들의 상관으로서 감찰·지휘하는 입장이었는데, 이순신은 왕에게 장계를 올려 고을 수령에 대한 지휘권을 병사와 관찰사에 준하여 요청하였다. 그 권한은 고을 수령들에 대하여 처벌권을 동반한 군병점고, 군사징취, 응적동군 등이었다. 고을 수령들은 수군진 장수와 달리 군정과 민정을 겸하였기 때문에 관찰사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는데, 이순신은 수사가 이 모든 것을 관장할 수 있도록 조정에 요청하였던 것이다. 이러한 지휘체계로 인한 수군과 육군 간의 갈등은 이정암이 전라도관찰사로 부임하면서 구체적으로 드러났다. 이정암은 1593년 11월 경 전라좌수군 5읍과 전라우수군 14읍을 개편하여 전라우수군 9읍을 육군으로 이속하였다. In the Imjinwaeran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952), 150,000 Japanese troops invaded Korea, the king sought shelter and the capital of Chosun was occupied only in 20 days, which was an incident that showed the weakness in the national defense of Chosun. While the entire Chosun was ravaged by Japanese troops, Jeolla-do, which was preserved, was responsible for the royal activities, supporting other areas with troops and supplying rations as national security, mobilizing enormous troops and supplies and military supplies. This situation caused enormous trouble to the operation of Jeolla-do naval forces, such as indiscriminate requisition of troops and supplies, resulting in small and large changes in the navy structure and various problems in the organization of the naval forces. As Jeolla-do became the pivot for overcoming the war, the naval forces took control of the sea in the southern coast, affecting on the aspect of the war greatly. During the Imjinwaeran, the naval forces, that played an active role in the southern coast, included naval forces of 3 dos: Chungcheong, Cholla, and Gyeongsang-do, but the Jeolla-do was the main force. The reasons why the role of Yi, Soon Shin can not be overlooked in discussing the activities of the naval force are as follows; First, he commanded the entire naval forces as he was appointed as the commender of the naval forces of 3 dos in Aug 1593. As the commander of Jeolla west-wing defense forces, he could comprehend the actual situation of the Jeolla-do naval forces and the operation of the naval forces of 3 dos. Second, in his war diary and Imjinjangcho, he recorded the situation and operation of the naval forces in detail. During the Imjinwaeran, the defense system of the Chosun was based on the bungun system(dispersing troops in places of strategicall importance) of Jeseungbangnyak. It is unclear when the Jeseungbangnyak was implemented, but it was settled in the process corresponding to the Japanese invasion in the 16th century. In the southern area, it was implemented before and after Eulmyowaebyeo. As a result, the navy commander commanded not only the existing naval posts but also Yeonhaejeeup, which in turn strengthened the naval defense. As Jeseungbangnyak passed down conventionally and there was no legalized record, the organization of the Jeoola-do naval forces during Imjinwaeran was analyzed based on Yi, Sun-sin’s “Nanjungilgi (war diary)” and “Janggye(report)”.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Jeolla-do naval forces was composed of Jeolla left-wing defense forces 5 gwans and 5 pos, and Jeolla right-wing defense forces 14 gwans and 12 po, and the chief of Yeonghejaeeup and the generals of naval posts were organized. Based on the on the scale and figures of the naval forces, the activity patterns of the military mobilization system were examined. In preparation for the invasion of the Japanese troops, Chosun focused on defending the land based on the reason that “Japanese invaders are strong in the naval battle but they are weak in the ground battle. However, after the outbreak of war, a situation contrary to anticipation developed, confirming superiority of the Japanese naval forces to that of Korean naval forces. Therefore, Yi Sun-sin emphasized in his report that the naval forces should be strengthened. The royal court accepted his suggestion and implemented a policy of strengthening the naval force to make ‘sufficient fronts’. However, in the situation where the requisition was difficult because the service in the naval forces was recognized as a toil, the royal court banned the implicative system which was to exempt the requisition from the relatives and neighbors of the soldiers who ran away. This policy was intended to pacify the people, but it resulted in military restrictions on the requisition of troops for sea battles and the construction of fronts. Eventually, the two orders of the royal court were contradictory, becoming a problem in the operation of the naval forces. Another problem with the operation of naval forces was the conflict with the army over the mobilization of Jaeeup naval forces. There were 5 gwans in western Jeolla-do and 14 gwan in eastern Jella-do organized as Yeonhae county naval forces in accordance with Jeseungbangnyak, but 14 gwans in eastern Jella-do were mobilized as royal forces from the beginning of Imjinwaeran or participated in the land battle in conjunction with the righteous army. Some county chief were mobilized before and after 1593, and Yi-Soon-sin, the commander of Jeolla left-wing defense forces, reported this situation to the royal court, requesting that the counties belonging to the naval forces should participate in sea battle only, without being mobilized for land battle. It was difficult to control them because they did not comply with the order even though there were under the control of the commander, and there was a problem due to the fact that the authority of the beyongsa and the governor overlapped in military affairs and the command authority of the governor was overweighted. In general, the byeongsa supervised the army, the commander supervised the navy, and the governor supervised and directed them as their superiors. Therefore, Yi, Soon-sin asked the king in his report for the command authority over the country chief which was equivalent to that of the beyongsa and the governor. The authority included investigation of troops, requisition of troops, and drafting accompanied by the right of punishment over country chief. The county chief was greatly influenced by the governor because they served as the military commander and civil servant. Therefore Yi, Soon-sin asked the royal court to mandate the commander to control all these functions. The conflict between the navy and the army due to this command system was specifically revealed when Lee Jeong-am was appointed as Jeolla-do governor in Nov. 1593, Lee, Jeong-am reorganized 5 eups of Jeolla left-left wing defense forces and 14 eups of Jeolla right-wing defense forces to affiliate 9 eups of Jeolla right-wing naval forces to the army. The reasons for the military reorganization were as follows: First, due to the defeat of the second Jinju battle, the Japanese troops invaded the Jeolla-do. Therefore it was necessary to build a defense cordon in the area. Secondly, it was to build the fortress in the places of strategic importance in Jeolla-do to fight a battle to defense the fortress in time of emergency. He secured troops through the reorganization of the naval forces. To restore the 9 eups of Jeolla right-wing defense forces affiliated to the army, Yi Soon - shin made several reports to the royal court. As a result, 5 eups were restored in Oct 1594, and 14 eups were fully restored in Dec 1597.

      • 임진왜란기 영광지역의 대응과 참상

        신윤호(Yun-ho Shin)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22 이순신연구논총 Vol.- No.36

        임진왜란 시기 영광지역의 상황은 1592~3년과 1597~8년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초기에 영광은 전라도 지역이 보전됨으로써 스스로 방어대책을 마련하고 타지로 지원할 수 있었지만, 후기에는 일본군의 전라도 점령으로 참혹한 지경에 처하였다. 16세기 중반 이후, 영광은 제승방략에 의해 전라우수군으로 편제되었다. 따라서 임진왜란 초기 해전에 참전해야 했지만 전라감사 이광의 징집령에 의해 전라우도 고을수령들이 모두 근왕군으로 편성되면서 육상전에 임하게 되었다. 이때 영광의 관군도 주로 육상에서 활동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임진왜란 초기 호남에서 의병이 궐기함에 따라 영광에서도 이에 호응하여 병력과 군량을 지원하는 등 근왕 및 부원활동에 적극적이었다. 김천일과 고경명이 일으킨 의병에 참전하였으며, 영광군수가 없을 때 스스로 읍성방위 체계를 세울만큼 조직력이 뛰어났다. 즉, 수성동맹을 조직하여 24부 55인, 행정부와 전투부로 구분하여 효율적으로 운영하였던 것이다. 심우신 의병장은 독자적으로 활동하며 영남까지 달려갔는데, 2차 진주성전투에서 충청병사 황진과 함께 동문에서 싸우다 전사하였다. 이때 영광의병 12명이 함께 순절하였다. 정유재란 시기에는 일본군의 전라도공략을 목표로 총공세가 펼쳐지면서 전라도 전역이 철저히 유린되었다. 榜文의 내용과 같이 강압적 방침으로 인해 조선 백성들이 서로 고발·수색·살해하도록 함으로써 분열을 조장하였다. 여러 곳에서 부역행위가 발생함으로써 의병활동에 큰 걸림돌이 되었고, 강진·해남·영암 등지의 의병은 혈전 끝에 거의 전멸하고 말았다. 영광지역은 해안이었기 때문에 수륙 양면으로 침략한 일본군에 의해 큰 피해를 당하였다. 육로로 침략한 깃카와 히로이에의 군사에 의해 1만여 명에 달하는 백성이 코베임을 당하였고, 해로로 침략한 도도 타카도라에 의해 바다로의 피난길이 막혀 포로로 끌려가거나 살해당하였다. 강항 일가 역시 도도타카도라 군사에게 피랍되었는데, 정희득 일가와 같이 일본으로 피랍되어가는 과정은 정유재란 시기 호남지역의 참상을 보여주는 일례라 하겠다. The situation of the Yeonggwang area during the Imjin war can be divided into two time periods: 1592~3 and 1597~8. In the early days, Yeonggwang was able to establish defense measures and provide supports to other places as the Jeolla-do area was preserved, but in the latter days, it faced the horrendous situation as Japanese military occupied Jeolla-do. After the middle of the 16th century, Yeonggwang was organized into Jeonlausugun by the Heseungbanryak. As a result, all the heads of Jeollau-do and villages had to participate in the land warfare as they were organized into the royal army by the conscription order of Jeolla governor Lee Gwang, whereas they had to participate in the naval warfare in the early days during the Imjin war. It seems that the royal forces of Yeonggwang was mainly active on land. In the early days of the Imjin war, the loyal army of Honam rose and in response to this, Yeonggwang supported troops and rations for loyalty to the king and sources of resources. They participated in the loyal army raised by Kim Cheon-il and Go Gyeong-myeong and when there was no Yeongwang-gun governor, they show organization ability which was excellent enough to establish a self-defense system for the eupseong fortress. In other words, they organized allies to defend the fortress and operated efficiently by dividing them into 24 divisions and 55 members, the administration division and the battle division. Shim Woo-shin, the head of the loyal army worked independently and ran to Yeongnam, where he died while fighting at the east gate with Chungcheong loyal soldier Hwang Jin in the 2nd battle of Jinjuseong Fortress. At this time, the 12 loyal soldiers died for their country together. During the Jeongyojaeran, Japanese troops launched full-scale offensive with the aim of attacking Jeolla Province, and all of Jeolla-do area was thoroughly devastated. As seen in the content of the bangmun, they promoted the division by compelling the Chosun people to accuse, search, and murder each other. As a result of the occurrence of treacherous activities in various places, which became a major obstacle to the activities of the loyal army, and the loyal army in Gangjin, Haenam, and Yeongam were almost killed in bloody battle. Since the Yeonggwang area was a coastal area, it was greatly damaged by the Japanese troops invading both on land and water. The noses of 10,000 people were cut off by the soldiers of Kikka and Hiroie that invaded by land, and soldiers were taken prisoner or killed as the evacuation route to the sea was blocked by Todo Takadora, that invaded by sea. Kang Hang family was also kidnapped by the army of Todo Takadora, and taken to Japan, which is an example of the horrendous situation of the Honam region during the Jeongyujaeran.

      • 임진왜란 강화교섭 시기 조선의 對日정책

        신윤호(Shin Yun Ho)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15 이순신연구논총 Vol.- No.23

        1592년 4월 발발한 임진왜란은 일본군이 전라도를 제외한 조선 전역을 침략하였고 이에 명군이 출병하여 1593년 1월, 평양성전투에서 명군이 승리함으로써 전세가 역전되어갔다. 명군은 일본군을 추격하다 벽제관에서 일본군에 패함으로써 강화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하였다. 명군의 입장에서는 굳이 손해를 봐가며 싸울 필요성이 없다고 판단했으며 일본군의 입장에서도 酷寒ㆍ병량부족과 행주산성에서의 패배 등으로 피폐해진 군사로는 명나라 정벌이 불가능할 뿐 아니라 조선에 주둔하는 것조차 어렵다는 판단 하에 강화를 논의하게 되었다.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평양에서 패배하였지만 군사 및 병량을 보충하여 다시 북상할 것을 지시하였으며, 전라도 점령을 위해 우선 진주성 공격을 명하였다. 전라도를 점령하려는 목적은 그곳의 병량을 확보하여 다시 명나라를 향해 북상하려는 것이었다. 강화교섭에서 일본 측이 제시한 조건은 명의 황녀를 일본 천황의 후처로 삼는 다거나 조선의 4도를 할양할 것 등 처음부터 강화가 이루어질 수 없었다. 도요토미 히데요시도 강화에 대한 논의가 나온 이후에도 전쟁을 멈추지 않고 목적 달성을 위한 군사행동을 지속하였는데, 군사 및 병량 부족을 보충하여 다시 북상할 것을 지시하였으며 전라도를 점령하기 위해 진주성 공격을 명하였다. 1593년 6월 2차 진주성전투가 바로 그것이었다. 명ㆍ일 강화교섭의 허구성을 파악한 조선 조정은 명 조정에 이러한 상황을 직접 보고하려 하였으나 송응창 등 명군의 실책을 고발하는 격이었기 때문에 번번히 실패하였다. 따라서 조선으로서는 자구책을 마련할 수밖에 없었으니 일본군과 직접 교섭을 진행하였으며, 다른 한편으로 전투를 감행하는 양면책을 구사하였다. 함안ㆍ양산 등지에서는 이빈ㆍ백사림ㆍ김응서-고니시 유키나가ㆍ나베시마 나오시게ㆍ야나가와 시게노부, 서생포에서는 사명대사-가토 기요마사의 교섭구도가 형성되었다. 이를 통한 성과를 보면, 명일강화교섭에서 조선은 제외되었기 때문에 풍문으로만 파악한 강화조건의 실체를 확인하게 되었다는 것이며 가토와 고니시를 이간하였다는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진행한 일본군 공격은 웅천ㆍ거제주변의 연해지역에서 집중되었다. 1593년 2~3월 웅천해전, 1594년 3월 당항포해전에서 적선을 분멸하였으나 적군은 대부분 뭍으로 달아나고 말았다. 1594년 9월~10월은 도원수 권율의 지휘로 수륙합공작전이 개시되었으니 육장으로는 곽재우와 김덕령이 수군에 합세하였던 것이다. 강화교섭 시기 남해안은 양국 군사가 대치하는 상황에서 명나라 측은 조선 측에 일본군 공격을 만류하는 상황이었으나 조선 측에서는 이에 반발하여 여러 차례 일본군을 공격하였으며 끊임없이 정탐하여 공격의 기회를 잡으려 하였다. 명ㆍ일 강화교섭이 진행되던 당시에는 조선의 입장이 곤란한 상황이었다. 조선은 일본군을 공격하여 패해도 문제이고 승첩해도 문제인 진퇴양난에 처해있었으며, 이는 교섭과 전투를 동시에 진행하게 된 원인이 되었다. The Imjin War broke out in April 1592. The Japanese army had invaded the whole of Chosun except Jeolla. The Ming Dynasty sent troops and they won a victory at Pyeongyang Castle battel in January 1953, which reversed the situation. The Ming troops chased the Japanese army, but they were defeated at Byeokjaegwan, which triggered the peace negotiation. The Ming Dynasty thought they did not need to fight battles, suffering losses. Japan also thought they could not only conquer the Ming but also station in Chosun because of their defeat at Haengjusanseong, bitter cold and a shortage of provisions. So, they started peace negotiation. Toyotomi Hideyoshi proposed conditions such as making the Chinese Royal princess the second wife of the Japanese emperor and ceding 4 Dos of Chosun to Jan pan, etc., which made the peace negotiation come to a standstill. Toyotomi Hideyoshi continued military operation to achieve his purpose. For example, he ordered his army to replenish provisions and move north and attach Jinju Castle to occupy Jeollado(the second Jinju Castle War in Jun 1953). Having recognized the fictitious properties in Ming-Japan peace negotiation, Chosun’s royal court tried to report this situation to the Ming directly, but failed because they needed to accuse the Ming’s troops(e.g. Song, Eung-Chang, etc.) for their mistakes. So Chosun had to seek measures to save themselves so they tried to negotiate with the Japanese army directly. However, on the other hand, they fight battles (i.e. two-pronged policy). Negotiations proceeded between Lee, Bin, Baek, Sa-Rim, Kim, Eung-Seo vs. Konishi Yukinaga, Nabesima Naoshige and Yanagawa Sigenobu in Hamyang and Yangsan, and between Reverend Samyeong vs. Kato Kiyomasa in Seosaengpo. From the perspective of performance, since Chosun was excluded from the Ming-Japan peace negotiation, Chosun came to know the existence of peace negotiation through this and Chosun also alienated Gato from Koshini. Meanwhile, Chosun attacked the Japanese army in the coastal areas(e.g. Woongcheon and Geoje). They defeated enemy ships in Woongcheon sea battel(FEb-Mar 1593) and Danghang sea battel(Mar 1594), but most of the enemies took flight inland. In Sep-Oct 1594, Do marshal Gwon-Yool commanded amphibious operations, in which the army generals such as Gwak, Jae-Woo and Kim, Deok-Ryeong joined. During the peace negotiation, both nations confronted with each other in the southern coast. But the Ming held Chosun back from attacking the Japanese army, but Chosun kept spying on them to have the opportunities to attack. Chosun was in a awkward position, more precisely Chosun was in a fix because both winning and losing battles would bring problems to them. This is the reason why Chosun parallelled both negotiation and batt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