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고려 현종대 강민첨의 생애와 군사활동

        신성재(Shin Seongjae) 백산학회 2017 白山學報 Vol.- No.109

        이 글은 고려 현종대 거란 및 여진과의 전쟁에서 활약한 은열공 강민첨의 생애와 군사활동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강민첨을 비롯한 여러 중견급 지휘관들이 대거란전쟁에서 크게 활약한 기록이 고려사 고려사절요 등에 제법 전하는데, 이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진한 편이다. 이에 문제의식을 갖고 대거란전쟁기에 강민첨의 군사활동이 전하는 기록을 중심으로 특히 2차및 6차 전쟁에 주목하여 검토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에 이르게 되었다. 우선 강민첨은 2차 전쟁기에 서경성을 방어하는 전투에 큰 수훈을 세웠다. 당시 서경성 전투에 앞서 고려는 총지휘관이던 강조가 거란군에 포로로 잡히는 등 매우 열세적인 상황이었다. 그러나 강민첨을 중심으로 한 중견급 지휘관들은 군민의 마음을 다잡고 서경성 사수를 완수하였다. 이를 계기로 고려군은 전열을 정비하면서 반격의 기회를 확보할 수 있게 되었고, 결국 거란군은 회군을 결정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강민첨은 6차 전쟁기 귀주전투에서 큰 역할을 수행하였다. 일반적으로 강감찬의 귀주대첩으로 널리 알려진 이 전투에서는 강민첨 역시 크게 활약하였다. 그는 매복기습전략과 수공전술, 공세 적인 추격전을 적극 전개하여 반령의 들판에서 거란군의 주력군을 모두 섬멸하였다. 강민첨의 분전에 힘입어 고려는 거란의 위협으로부터 벗어나 향후 100여 년간 평화를 유지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서북계의 요충지대인 강동 6주에 대한 지배권을 굳건히 함으로써 압록강 연안까지 영토를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 This article deals with the life and military activities of Kang Min-chum who fought in the Khitan and Jurchen wars during the times of king Hyeonjong of Koryo. In History of Koryo and Essentials of Koryo History, there are many records of veteran commanders, including Kang himself, achieving great valors in the Khitan wars. However, such documentations still did not deserve much scholarly attention, which was the motive for this paper which specially focused on second and sixth wars centering around Kang’s military activities during the Khitan wars. The conclusion has been reached as follows. First of all, Kang Min-chum played a major role in defending Seogyeong fortress during the second Khitan war. Seogyeong was in crisis as Kang Jo, Koryo’s supreme commander, was captured as prisoner by the Khitans. But Kang and veteran commanders organized the people and accomplished their mission in defending the city against the Khitans. This achievement gave a momentum as Koryo forces reshuffled internally and set for counterattack, which forced the Khitan army to retreat. Kang Min-chum was also a game changer in the battle of Guiju during the sixth Khitan war. This battle is more famously known as Kang Gam-chan’s great battle of Guiju, but Kang Min-chum took a major role in turning the tide. Kang Min-chum masterfully employed the military art of ambush, sudden attack, inundation tactics, and offensive chase to ultimately annihilating Khitan main troops on the plains of Bhanryeong. Thanks to Kang Min-chum’s struggle, Koryo freed itself from Khitan threat and enjoyed an era of peace for the next 100 years. It also strengthened the ruling of Six Garrison Settlements East of the River, which was the strategic area in northwestern frontier, thereby securing the territory to the banks of Yalu river.

      • 관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OLAP 분석을 위한 피벗 테이블 생성 알고리즘의 구현

        신성현(Sung-Hyun Shin),김진호(Jinho Kim),문양세(Yang-Sae Moon),김상욱(Sang-Wook Kim) 한국정보과학회 강원지부 2007 한국정보과학회 강원지부 학술대회 논문집 Vol.1 No.1

        온라인 분석 처리(OLAP)에서는 다양한 분석을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데이터를 여러 분석 기준(즉, 차원)에 따라 다차원 구조인 수평 테이블로 표현한다. 그러나, 관계형 테이블들은 보통 애트리뷰트의 개수에 제한이 있으므로 이러한 수평 테이블을 직접 저장하기 어렵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수직 테이블에서 수평 테이블로 변환하는 피벗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스프레드시트로 표현하기 위한 OLAP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이 알고리즘은 수직 테이블을 물리적 디스크에 저장하고 사용자에게 수평 테이블로써 제공하며 다수의 행과 열을 동적으로 선택할 수 있어 다양한 데이터 분석에 효율적이다.

      • KCI등재

        거인의 몰락

        신성재(Shung Jae Shin),김양민(Yang Min Kim) 한국경영학회 2012 Korea Business Review Vol.16 No.3

        GM은 2009년 6월 1일 파산신청을 하면서 역사상 최대의 파산이라는 불명예를 안게 되었다. 2008년의 금융위기가 파산의 직접적인 도화선이 되었으나, GM의 몰락은 그 훨씬 이전부터 진행되고 있었다. GM 몰락의 원인을 근본적으로 찾으려면 멀리는 1960년대의 치킨 관세부터 1970년대의 오일쇼크까지 거슬러 올라가야 할 것이다. 본 사례는 미국 최대이자, 20세기 최대의 자동차 기업이었던 GM의 현황을 설명하고 GM이 성장하고 몰락하는 과정을 고찰한다. GM은 1920년대 알프레드 슬론의 개혁으로 세계 제 1의 자리를 차지하였으나 1970년대 이후 연비가 떨어지는 대형차 위주의 생산라인과, 디자인 면에서 경쟁기업의 차종들보다 뒤떨어지는 차들로 인하여 위기를 맞이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외부의 사건들인 치킨관세와 오일쇼크가 큰 역할을 하게 되는데 치킨 관세는 수입 경 트럭에게 부과되는 25%의 관세로서 미국의 경 트럭 시장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여 미국 자동차회사들의 경 트럭 및 SUV의존도를 심화시켰고, 오일쇼크는 일본차들의 수입증대를 야기하였다. 일본 자동차들의 맹공으로 인하여 GM은 1985년 쉐보레 이래 67년 만에 새로운 자동차 회사 브랜드인 새턴을 선보이게 되지만 결국 GM은 과도한 인건비로 인한 누적적자로 2009년 파산을 신청하게 된다. 본 사례는 GM의 파산을 전략, 노사관계, 연구개발 및 신차 디자인, 경 트럭 및 SUV의존도, 경영진의 보상 등 다양한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On June 1st, 2009, General Motors (hereafter GM) declared itself bankrupt, triggering the biggest bankruptcy in history. The direct cause of the bankruptcy was a global financial crisis in 2008. But we need to go back in time-probably to the Chicken tax in the 1960s and the oil crisis in the 1970s-- to find the real reasons for GM`s gradual collapse. The fall of GM is probably one of the most important events in business history of last 100 years. The purpose of this case is to describe the rise and decline of GM, once the biggest company of all in the world, and the biggest automaker during the period from the early 20th century to 2006, while focusing on a few historic events. Those events are Alfred Sloan`s revolution, the Chicken tax and the oil crises in the 1960s and 1970s, Saturn project, and collapse of GM after 2000. These events surprisingly well summarize the rise and declining process of GM. Two of those events, the Chicken tax and the oil crises occurred outside GM, while other events such as Sloan`s revolution and Saturn project occurred within the company. While these events occurred with significant intervals, they are somehow connected with each other. For example, the oil crises in the 1970s were an warning signal to GM that had made primarily fuel inefficient large sedans and trucks by that time, and Saturn project was a GM`s reaction to the warning signal. This study uses qualitative case methods, using numerous articles on GM, the autobiography and memoir of Alfred Sloan and Bob Lutz, and studies of such scholars as Alfred Chandler. After careful analyses, it is concluded that GM`s fail was due to many reasons, including organizational inertia, lack of service mind, and implementation of poorly formulated strategies.

      • KCI등재후보

        레이저의 피부 흡수에 대한 시뮬레이션

        신성선 ( Seong Seon Shin ),박종락 ( Jong Rak Park ) 조선대학교 공학기술연구원 2015 공학기술논문지 Vol.8 No.1

        The optical constants and anatomical structures of human tissues were investiga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investigations, simulations of the absorption of a laser beam in the tissue were performed using a numerical technique based on the Monte Carlo method in the wavelength range 370 nm-1570 nm. The absorbed power density exhibited larger values at wavelengths around 400 nm and 1450 nm and has been found to be determined mainly by the absorption coefficient of the tissue. The penetration depth was maximum at wavelengths around 1300 nm.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for the further study on the efficient laser stimulation in human tissues.

      • KCI등재

        키워드 분석을 통한 취미공예의 개념 정립에 대한 연구

        신성창(Shin, Seong Chang),나건(Nah, Ke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8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4 No.1

        본 연구는 현대 사회 대중문화 발달로 생겨난 취미공예에 대한 개념 정립의 필요성을 고찰하는 선행연구이다. 특히 4차 산업혁명을 맞이하며 한국적 공예환경의 특성을 반영한 용어의 정립과 방향성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기 발간된 문헌 자료에 대한 이론적 배경 연구와 ‘공예백서’를 통해 현 산업을 반영한 현황 조사를 진행하였다. 문헌 연구 결과, 공예와 취미공예의 개념 및 흐름을 살펴보았고, 취미공예의 범주를 1차적으로 도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공예’를 제목에 포함하는 출판물 456건과 ‘취미+공예’를 포함한 웹 문서 370건에서 대중적 관점으로 쓰인 키워드를 추출하였다. 또한 취미공예의 산업적, 문화적 측면에서 대중과의 거리감을 우선적으로 살펴보기 위하여 각 분야별 공예 전문가 5인과 인터뷰를 진행하고 키워드를 추출 · 정리하였다. 대중적 관점으로 추출된 취미공예 관련 키워드는 대체로 상품의 제작과 소비의 차원이 아닌 공예 교육과 교육을 통한 특정 목적을 수행하는 정서적 활동 측면에서 그 가치를 나타내고 있었다. 반면 전문가의 경우 공예 활동 자체에 대한 전문가적 인식이 반영된 키워드가 추출되었다. 연구 결과 취미공예에 대한 타 분야와의 융합적 연구와 대중의 눈높이를 고려한 공예 교육의 중요성을 도출할 수 있었다. 일반 대중에게 취미공예는 교육이나 취미 활동으로서 공감을 형성하는 중요한 매개체로 작용하고 있으며, 이는 공예의 저변화와 대중화에 기여하는 중요한 항목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가 취미공예를 의미하는 적절한 용어 개발 및 개념 정립의 필요성을 제안하는 선행연구로서, 추후 다양한 매체를 통해 확장된 연구로 이어지는 밑거름이 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is a precedent study to examine the necessity to establish the concept of hobby craft which is one of the hobby activities created by the development of modern society popular culture. In particular, the propose of this study lies in the establishment and proposal of the direction of terminolog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 of craft environment in Korea which has met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Researches on the documented literature were performed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concept of hobby craft and current status surve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the industry. Through the literature research, the flow of concept of ‘craft’ and ‘hobby craft’ was examined, and the category of hobby craft was derived preliminarily. Based on this, popular key words were selected from 456 publications which have ‘craft’ in the title and 370 web documents which have ‘hobby + craft’. In addition, in order to identify the sense of distance from the public in terms of industrial and cultural aspects of hobby craft, five craft experts in each field were interviewed and the key words were extracted and sorted. Hobby craft related key words extracted from the popular perspectives showed their values not from the dimension of production or consumption but from the dimension of emotional activities which perform specific purpose through craft education and general education. On the other hand, key words extracted from the interviews with experts reflected the perception of experts on the craft activities. From the study results, it was induced that the craft education considering the eye level of the public and the integrated research with other fields were very important. For the general public, hobby craft is an important medium to form empathy as education or a hobby activity, which is an important item contributing to base expansion and popularization of craft.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come the basis for further research through various media as a precedent study suggesting the necessity of proper term development and concept formation of hobby craft.

      • KCI등재

        On Intelligent Design Against Chomsky’s (2010; 2011) Language Evolution

        Shin, Sungkyun(신성균)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인문과학연구 Vol.0 No.33

        촘스키(2010; 2011)는 보편문법(UG)은 주로 외적, 내적(이동)인 Merge로 이루어진다고 가정했다. 이러한 UG는 진화, 특히 돌연변이 과정에 의하여 갑자기 이루어졌다고 가정한다. 촘스키(2010; 2011)의 진화 특히 돌연변이에 의한 UG의 가정은 많은 모순되는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다. 언어습득(성숙)을 특히 야생동물에게 길러진 아이들의 상황에서 설명하기 위해서는 상반되는 개별 돌연변이와 단체변이를 동시에 가정해야한다. 촘스키(2010: 19)는 “돌연변이는 단체가 아니라 개별상태에서 발생한다”라고 하고, 촘스키(2010: 20)는 이전의 진술과 달리 단체 돌연변이를 의미하는 “이러한 능력을 소유한 유일한 사람이라면 의미가 없다”라고 언급하여 상호 모순적인 주장을 한다. 촘스키(2010; 2011)는 또한 언어능력은 (소리)체계인 감각운동체계 없이 내적체계(Merge 혹은 UG)라고 가정한다. 촘스키에 따르면, 이러한 내적체계를 감각운동체계에 연결하는 것이 외재화라고 하며, 이것은 UG나 선천적인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이러한 주장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언어는 소리와 의미의 연결, 소쉬르의 언어기호는 소리와 의미의 연결이라는 전통적이고 기본적인 언어기술을 부인하는 것이다. 본 저자는 촘스키의 가정과는 달리 지적 설계 이론의 근간이 되는 베희(1996: 39)의 환원 불가능한 복잡성과 덤스키(1999: 47)의 명시화된 복잡성에 근거하여 설명하였다. 언어는 환원 불가능한 복잡성과 명시화된 복잡성의 좋은 예가 되는데, 언어 해부구조와 촘스키의 내적체계의 공동 작용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와 내적 체계는 (내적체계, 감각운동 체계와 외부화)인 언어능력을 구성하며, 인간은 추상적인 개념들을 배우고 전달할 수 있으며, 광범위한 소리를 발성하기 위해(입, 목, 탄력적인 혀, 아래로 쳐진 후두 등)을 가진 신체적 해부기관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언어는 지적설계에 근거한 환원 불가능한 복잡성과 명시화된 복잡성에 근거한 지적설계에 의해 더 잘 설명될 수 있다. Chomsky (2010; 2011) assumes Universal Grammar(UG) consists of external and internal Merge, (which is Move). This UG, he assumes, developed suddenly through the process of evolution, especially mutation(s). Chomsky’s (2010; 2011) supposition of UG through evolution, especially mutation(s), has so many conflicting problems. To explain language acquisition(growth), especially in feral children, he must assume two conflicting mutation(s) about UG, individual, and at the same time group mutation(s). Chomsky (2010:19) assumes “mutations take place in an individual not in a group” and Chomsky (2010:20), contradictory to his former statement, says “There is no point in doing it if you are the only person who has this capacity”, which is group mutation(s) in another words. Chomsky (2010; 2011) also assumes language faculty is just the internal system (Merge or UG) without the sensory motor system (sound system). According to Chomsky, relating the internal system to the sensory motor system is externalization, which is not UG or innate. This is against the traditional common sense assumption of language from Aristotle’s description of language as sound with a meaning, Saussure’s language (sign) as the relationship of signifiant (sound) and signifie (meaning), and those of modern linguists. I rather propose as in Shin (209; 2010), instead of Chomsky’s assumptions, Behe’s (1996: 39) irreducible complexity “a single system which is composed of several well-matched interacting parts that contribute to the basic function, wherein the removal of any one of the parts causes the system to effectively cease functioning”, and Dembski’s (1999:47) specified complexity based on intelligent design. Language is just a good example of irreducible complexity and specified complexity, showing the working together of speech anatomy and Chomsky’s internal system, which together constitute language faculty (the internal system, the sensory motor system, and externalization). Humans have both a species-specific brain capable of learning and conveying abstract ideas and the physical anatomy (mouth, throat, flexible tongue, descended larynx, etc.) to produce a wide range of sounds. Language shows irreducible complexity and specified complexity based on intelligent design.

      • KCI등재

        생약복합조성물(HemoHIM)의 수지상세포 활성화 효과

        신성해(Sung Hae Shin),김도순(Do Soon Kim),김성호(Sung Ho Kim),조성기(Sung Kee Jo),변명우(Mung Woo Byun),이성태(Sung Tae Y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6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5 No.10

        In our previous study, a novel herb mixture (HIM-Ⅰ) of Angelica gigas radix, Cnidium officinale rhizoma, and Paeonia japonica radix was developed to protect the intestinal and immune systems and to promote their recovery from radiation damage. A new herbal composition (HemoHIM) with the high immune modulating activity was developed from HIM-Ⅰ. In the present study, we examined the effects of HemoHIM on the maturation process of murine bone marrow (BM)-derived dendritic cells (DC). BM cells were cultured in the presence of IL-4 and GM-CSF and the generated immature DC were stimulated with HemoHIM for 24 hours. HemoHIM significantly enhanced the expression of co-stimulatory molecules, CD80 and CD86, especially. The activation capacity of HemoHIM-treated DC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immature DC, as analyzed by IL-2 and IFN-γ production and proliferation of the responding T cells in the co-culture with allogeneic T cells. The antigen-presenting capacity of HemoHIM-treated DC was also increased by the co-culture with OVA-specific T cells (HS-1), as analyzed by IL-2 and IFN-γ production and the prolifera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HemoHIM causes the maturation and activation of DC, which may be a part of mechanisms of immunomodulation by HemoHI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