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별 및 주별 원 / 달러 환율의 예측에 관한 연구

        송치영 한국금융연구원 1997 금융연구 Vol.11 No.2

        본 논문에서는 自己回歸模型을 根幹으로 하는 6개의 일별 및 주별 원/달러 환율 예측모형을 수립한 후 각 모형별 標本外豫測力을 비교하였다. 예측모형 수립시 환율의 변동을 설명하는 獨立變數로서 환율의 時差變數뿐만 아니라 月初 · 月末效果 또는 曜日效果를 나타내는 더미변수, 엔/달러 환율, 國內外金利差 變數 등을 추가적으로 고려하였다. 예측력 비교에는 특정 모형의 임의보행모형에 대한 상대적인 예측력을 나타내는 Theil's U를 이용하였다. 각 모형을 추정하여 예측력을 비교한 결과에 따르면 엔/달러 환율 또는 국내외금리차 변수를 기본적인 자기회귀모형에 추가하였을 경우 標本外豫測力이 개선되었을 뿐만 아니라 임의보행모형에 비해 예측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月初 · 月末效果를 나타내는 더미변수는 예측력 개선에 도움을 주고 있는 반면 曜日效果 變數는 예측력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 모형을 GRACH(1,1)형태로 변환하여 재추정한 결과 週別 원/달러 환율의 예측력을 개선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標本數의 변화가 標本外豫測力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설문조사에 나타난 국민의 경제 의식

        송치영 국민대학교 경제연구소 2003 국민경제연구 Vol.26 No.-

        본 연구에서는 노무현 정부가 출범하기 직전 실시한 여론조사의 결과를 소개·분석하였다. 이에 따르면 조사대상자의 대부분이 새 정부하에서 경제가 나아질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으며 현재의 분배구조가 개선되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새 정부가 최우선적으로 추진해야 하는 경제분야로서는 빈부격차 해소와 고용안정을 꼽았으며 재벌에 대한 규제를 강화해야한다는 것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의견을 나타내었다. 한편, 설문조사의 응답자들이 빈부격차 해소, 분배구조 개선 등에 대하여 강한 지지를 나타냄과 동시에 지속적인 경제성장도 반드시 필요하다는 의견을 나타내었다. 한편 경제 의식이 세대간 격차는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results of the survey on current economic issues which was done just prior to the launch of the Rho Moo-hyun administration in January 2003. According to the survey, most of the respondents expect that the Korean economy would improve under the Rho's administration, and strongly hope that its distributional structure should be enhanced. They also agree that the first priority of the economic policies should be given to reduction of income discrepancy and unemployment rate. However, they do not disagree that the more regulation on chaebols should be considered. In addition, the survey cannot find a significant inter-generation gap on the most of economic issues.

      • 거주자 외화예금과 외환시장 안정성

        송치영,박해식 한국금융연구원 2020 KIF 연구보고서 Vol.2020 No.2

        Ⅰ. 서론 ▣ 본 연구는 국내은행의 거주자 외화예금의 결정요인과 거주자 외화예금이 국내 외환시장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2000년 10월~2019년 6월의 월별자료를 이용하여 거주자 외화예금에 유의한 영항을 미친 변수를 조사하고,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과 이후에 결정요인의 변화가 있는지를 확인함. · 원/달러 환율 변동성의 설명변수에 거주자 외화예금 변수를 추가하여 거주자 외화예금이 외환시장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함. Ⅱ. 외화예금의 추이 및 특징 ▣ 국내은행의 전체 외화예금(거주자+비거주자 외화예금)은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2009~2010년)를 제외하고는 전반적으로 증가세를 지속하였으며, 특히 2011년부터는 증가세가 가파르게 진행됨. · 외화예금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거주자 외화예금이 비거주자 외화예금보다 빠르게 증가함. · GDP 대비 외화예금 비율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빠른 상승세를 보였으나 상승속도는 외화예금 규모에 비해 낮음. · 국내은행의 총수신 대비 전체 외화예금과 거주자 외화예금의 비중도 비슷한 추세를 보임. ▣ 거주자 외화예금은 개인보다는 기업 위주로 확대되었으며, 미달러화의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음. · 다만, 증가속도로 보면 개인의 거주자 외화예금 증가속도가 기업의 외화예금 증가속도보다 더 빠른 것으로 나타남. · 거주자 외화예금의 통화별 구성을 보면 미달러화, 유로화, 엔화, 위안화 중심으로 구성되며, 미달러화의 비중이 2019년 10월 현재 86%로 압도적으로 높음. Ⅲ. 외화예금의 결정요인 ▣ 거주자 외화예금의 결정요인과 관련하여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음. · 첫째, 전체 표본기간에서 원/달러 환율의 변화율 또는 외환시장 압력지수의 증가는 GDP 대비 거주자 외화예금 비율의 변화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남. · 또한, 거주자 외화예금 금리와 원화예금 금리간 격차는 예상과는 반대로 GDP 대비 거주자 외화예금 비율의 변화에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됨. ·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에도 이와 유사한 결과가 발견되나, 위기 이전에는 추가적으로 소비자물가상승률의 변화가 GDP 대비 거주자 외화예금 비율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남. · 둘째, 국내은행의 총수신 대비 외화예금 비율의 변화 역시 원/달러 환율의 변화율, 외환시장 압력지수, 소비자물가상승률의 변화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남. · 추가적으로, 원/달러 환율의 변동성도 총수신 대비 외화예금비율의 변화에 유의한 양(+)의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남. Ⅳ. 외화예금이 환율 변동성에 미치는 영향 ▣ 거주자 외화예금이 원/달러 환율의 변동성, 즉 원/달러 외환시장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음. · 첫째, 전체 표본기간에서 거주자 외화예금의 변화는 원/달러환율 변동성의 크기에 영향을 주지 못하며, 글로벌 금융위기이전과 이후의 기간으로 나누어 추정한 결과도 이와 동일함. · 둘째, 거주자 외화예금의 변화는 원/달러 환율의 변동성 증가율에는 유의한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되며, 특히 위기 이후 기간에 음(-)의 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남. · 이는 외화예금의 증가가 직접적으로 환율변동성을 축소하는 기능을 하지는 못하였지만 환율변동성 증가속도의 완화를 통하여 외환시장 안정화에 일부 기여하였음을 시사함. Ⅴ. 시사점 · 본 연구에서는 제한적이기는 하나 외화예금이 급증한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를 중심으로 외화예금의 증가가 국내 외환시장의 환율안정에 어느 정도 도움이 된 것으로 나타남. · 다만, 외화예금이 국내 외환시장의 안정성 확보에 보다 실질적인 기여를 하기 위해서는 국내은행이 안정적으로 외화예금을 조달할 필요가 있어 보임. · 국내은행이 외화예금을 외화자금의 안정적인 조달수단으로 활용 가능하기 위해서는 첫째, 국내 외환시장이 보다 안정적으로 운용될 필요가 있음. · 둘째, 국내은행은 해외현지법인이 보유 중인 외화여유자금의 국내유치를 위해 자금관리서비스 기능을 국제적인 수준으로 끌어올릴 수 있도록 자체적인 노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음. · 셋째, 저금리기조의 장기화로 외화표시자산에 대한 관심 증가가 예상되는바, 국내은행은 다양한 상품개발을 통해 개인자금을 장기 외화예금의 형태로 유치하는 전략을 추진할 필요가 있음. The purpose of this report is two-fold. First, it aims to find out what determines foreign currency deposits held at Korean banks. Second, it attempts to examine whether foreign currency deposits help reduce exchange rate volatility in the Korean foreign exchange market. The empirical analysis is carried out using monthly data during the period from October 2000 to June 2019. The foreign currency deposit to GDP ratio is found to increase significantly in response to rises of exchange rate and FX market pressure index. When the regression is performed on the ratio of foreign currency deposit to total deposit, inflation rate, in addition to exchange rate and FX market pressure index, is estimated to have positive effect on the ratio. Foreign currency deposit is found to have little impact on exchange rate volatility. However, changes in exchange rate volatility are found to decline significantly when foreign currency deposit rises, and this evidence is strong especially during the post-crisis period.

      • KCI등재후보

        東아시아 외환위기 예측모형

        송치영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5 East Asian Economic Review Vol.9 No.1

        In this paper, we have developed a forecasting system for currency crisis in East Asia based on a signaling approach. Our system uses 15 monthly indicators of five East Asian countries including Indonesia, Korea, Malaysia, the Philippines and Thailand that were severely hit by the currency crisis in 1997. We investigate the performance of the system through deploying out-of-sample forecasting for the periods both before and after the 1997 East Asian currency crisis. Unlike the existing research based on the signaling approach, our out-of-sample forecasting does not fix the in-sample period. The out-of-sample forecasting between July 1995 and June 1997 shows that prior to breakout of the crisis, several indicators including real exchange rates and exports sent frequent warnings to all crisis-hit East Asian countries except the Philippines. This may indicate that a signaling-based early warning system for currency crisis could have been an useful method of forecasting the East Asian crisis. On the other hand, we also find that our forecasting system often generates warning signals during the out-of-sample period between July 1999 and June 2001. Since we have not observed any currency crisis in this region after 1998, these are all false alarms, indicating that our system may be seriously exposed to the type II error. We can, however, mitigate this problem if we adjust the optimal critical values of indicators depending on the preferences of forecasting system manager. 본 연구에서는 신호접근법과 15개의 월별 지표를 이용하여 한국,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태국, 필리핀 등 1997년 극심한 외환위기를 경험한 동아시아 5개국을 대상으로 외환위기 예측모형을 구축하였다. 또한 예측모형의 성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동아시아 이전과 동아시아 이후의 두 기간에서 표본외 예측을 따로 시행하였다. 기존의 연구와는 달리 본 연구에서는 표본외 예측시 표본내 기간을 고정하지 않았다. 동아시아 외환위기가 발생하기 이전 기간인 1995년 7월~1997년 6월에서의 표본외 예측결과에 따르면 실질환율과 수출변수를 중심으로 필리핀을 제외한 4개국에서 다수의 경보가 발생하였으며 위기발생 가능성의 확률도 크게 상승하였다. 이는 동아시아 5개국만을 대상으로 한 신호접근법이 동아시아 외환위기를 어느 정도 예측할 수 있었던 유효한 수단이었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구축한 예측모형은 동아시아 외환위기 이후 이 지역에서 새로운 위기가 발생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1999년 7월~2001년 6월의 표본외 기간에서 역시 다수의 경보를 발생하여 제2종 오류의 문제를 표출하였다. 한편 본 연구의 결과는 위기지표의 신호 발생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최적 임계치의 조정을 통해서 예측모형의 운영자의 선호도에 따라 제2종 오류의 문제를 어느 정도 완화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KCI등재

        거주자 외화예금의 결정요인

        송치영,박해식 한국국제금융학회 2021 국제금융연구 Vol.11 No.1

        This paper empirically investigates what determines foreign currency deposits held at Korean banks by residents. The empirical analysis is carried out using monthly data during the period from October 2000 to June 2019. According to our empirical results, the foreign currency deposit to GDP ratio increased significantly in response to the rises of won/dollar exchange rate and foreign exchange market pressure index. The same results are found for the regressions which are confined only to the period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On the other hand, when the regression is performed on the ratio of foreign currency deposit to total deposit, inflation rate, in addition to won/dollar exchange rate and foreign exchange market pressure index, showed positive effects on the ratio. 본 연구에서는 2000년 10월∼2019년 6월의 월별 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미달러화 거주자 외화예금의 결정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에 의하면 전체 표본기간에서 원/달러 환율의 변화율 또는 원/달러 외환시장 압력지수의 증가는 GDP 대비 거주자 외화예금 비율의 변화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의 기간만을 고려한 실증분석의 결과도 이와 동일하다. 한편, 거주자 외화예금의 규모를 측정하는 대안 변수인 외화예금/총수신 비율의 변화는 원/달러 환율의 변화율, 외환시장 압력지수, 원/달러 환율 변동성, 소비자물가상승률의 변화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 경주 남산 마애불 암석의 물리적 특성연구 - '경주배리윤을곡마애불좌'을 중심으로 -

        송치영,한민수,이장존,전병규,Song, Chi-young,Han, Min-su,Lee, Jang-jon,Jun, Byung-kyu 국립문화재연구소 2007 保存科學硏究 Vol.28 No.-

        The Seated Buddha image carved on rock surface of Yuneulgok in Bae-ri, Gyeongju constituted of alkali feldspar granite. There is surface weathering by abrasion, exfoliation and break out. As a result variou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esting rock material property to quantitatively grade weathering. Besides, this study is focused on properties of rock and correlation between things. Additionally, comparison of chemical properties to nondestructive weathering grade in the buddha image carved on rock. This result utilized on important resource for scientific conservation system compared with weathering appearance.

      • 석조문화재 보존처리제의 현황 조사 - '접착충전제와 발수·강화제'를 중심으로-

        송치영,한민수,이장존,전병규,Song, Chi-Young,Han, Min-Su,Lee, Jang-Jon,Jun, Byung-Kyu 국립문화재연구소 2008 保存科學硏究 Vol.29 No.-

        Precise scientific-diagnosis for preserving stone cultural properties has been well-advanced, but research on proper methods for conservation, restoration and repair is still in early stage. Accordingly it is quite difficult to establish conservation treatment methods compatible to unique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s of each cultural property. We tried to select most compatible conservation materials through thorough assessment of conservation materials in current use. This research is focused on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materials except cleaner, which are used as adhesive, filler, repellent and consolidant. Conservation treatments for stone cultural properties were first tested in 1960's and have been carried out by various methods under relevant organizations and conservation treatment companies since. We investigated present status of conservation materials being used for cultural properties. Based on these data, we will look through types and properties of the conservation materials to figure out existing problems. Among many kinds of resins, the ratio of conservation materials used in cultural properties is very low. Therefore, new conservation materials equipped with proved long-term stability should be developed as soon as possib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