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신형상 냉간성형 단면의 구조적 거동(II) - 휨거동

        송인섭,김갑득,권영봉,Song, In Seop,Kim, Gap Deuk,Kwon, Young Bong 한국강구조학회 2002 韓國鋼構造學會 論文集 Vol.14 No.2

        스터드, 조이스트 및 지붕 트러스에 적용하기 위한 폐단면 냉간성형부재의 휨실험을 수행하고 해석치와 비교하여 보았다. 길이 2.4m, 폭 0.9m의 휨 시편은 46cm 간격의 두 개의 강재보의 한면에 석고보드와 합판을 부착한 시편과 부착하지 않은 시편으로 구성되었고, 각 시편에 대한 정, 부모멘트실험을 수행하여, 강재보에 부착된 합판 및 석고보드가 강재의 좌굴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포함한 합성거동을 파악하였다. 또한 합판이 부착된 실물 트러스 실험을 통하여 트러스 부재의 좌굴거동 및 파괴양상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The study performed a series of flexural tests on Closed Cold-Formed Steel Sections for stud, joist, and roof truss. Results were compared with analytical values. Each 2.4-m long and 0.9-m wide specimen consisted of two steel beams set at 0.46 m interval. The steel beams were attached to the specimens using either plaster board or ply wood. Another specimens did not use any attachment material. Positive and negative bending tes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omposite behavior, including the effects of plaster board or ply wood on the buckling behavior of steel beam. Full-scale roof truss tests were also performed to study the buckling behavior and failure mode of the truss members.

      • 기획특집 3: 군사용 전자광학 기술의 현재와 미래 -군사용 전자광학장비 산업체 기술 현황

        송인섭,Song, In-Seop 한국광학기기산업협회 2010 光學世界 Vol.130 No.-

        군사용 전자광학장비는 정보지식 기반의 현대무기체계에 필수적인 장비로 발전하고 있다. 그러나 광학부품의 원소재나 영상증폭관, 열상검출기 등의 일부 핵심부품은 여전히 해외도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항공기나 위성에 탑재되는 감시정찰용의 복합시스템에 대한 체계설계기술 역시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향후 군사용 전자광학장비의 완전한 자립을 위한 연구협력체 구성과 이를 통한 국제경쟁력 제고가 필요하다.

      • 미세주사효과를 이용한 배경기반 열영상 불균일 보정 기법

        송인섭,라성웅,Song, In-Seob,Ra, Sung-Woong 대한전자공학회 2000 電子工學會論文誌-SP (Signal processing) Vol.37 No.3

        본 논문에서는 미세주사장치를 이용하는 이차원배열 적외선 검출기의 불균일 출력특성 보정을 위한 배경 신호 기반의 디지털방식 실시간 보정 기법을 제안한다 기존의 배경기반 불균일 보정 알고리즘은 영상의 움직임을 전제로 하가 때문에 정지영상에 적용하는 경우 영상이 흐려지면서 사라지는 현상이 나타난다 제안된 기법에서는 미세주사 효과와 변형된 Scribner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영상의 불균일을 실시간으로 보정하였다 컴퓨터 모의실험과 하드웨어 시험을 통해 제안된 기법은 동영상뿐만 아니라 정지영상에서도 뛰어난 성능을 보임을 입증하였다. In this paper, a real-time implementation of scene-based non-uniformity correction by digital technique is proposed for microscan-mode staring infrared cameras. Most scene-based non-uniformity correction algorithms, without sensor motion, can not be applied to stationary scenes because of image blurring and fading. Using microscanning effect, coupled with a modified version of Scribner's algorithm, the proposed technique can correct the artifacts and non-uniformities in real time Computer simulations and hardware experiments demonstrate substantial Improvement of image qualities in stationary as well as moving scenes.

      • KCI등재

        자아개념검사의 구인타당화 연구

        송인섭(In-Sup Song),이희현(Hee-Hyun Lee) 한국교육평가학회 2005 교육평가연구 Vol.18 No.3

        본 연구는 송인섭(1982)의 3차원 위계적 구조모형을 근거로 자아개념 척도를 개발하고,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타당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일반 자아개념, 학급 자아개념, 능력 자아개념, 성취 자아개념, 가족 자아개념, 사회 자아개념, 정서 자아개념, 신체 자아개념의 각 하위요인에 해당하는 문항을 제작하였다. 예비검사와 본검사를 통해 총 68문항이 추출되었고 이에 대해 중·고등학생 2,757명을 대상으로 양호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인 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삼차 요인인 일반자아개념, 이차 요인인 학문·중요타인·정의 자아개념, 일차 요인인 학급 자아개념, 능력 자아개념, 성취 자아개념, 가족 자아개념, 사회 자아개념, 정서 자아개념, 신체 자아개념으로 구성된 3차원 위계모형을 확인하였다. 자아개념의 평면모형보다는 위계모형이 지지되었으며, 잠재변인으로서의 일반 자아개념의 개념화와 4차원 위계모형에 대한 가능성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e preaent study is to develop an Self-concept Scale for korea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to test construct validation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Based on the third-order hierarchical structure model proposed by Song(1982). Examination of the item descriptive statistic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sulted in the 68-item final scale consist of general·classroom·ability·achievement·social·family·emotional·phisical self-concept subscales. Data from 2,757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ere analysed to confirm the third-order hierarchical structure. The result supported the model has general self-concept at the apex and academic·significant others·affective self-concept as second-order factors. Academic self-concept can be further divided into classroom·ability·achievement self-concept and significant others can be further divided into social·family self-concept and affective self-concept can be further divided into emotional·phisical self-concept. Also, It was discuss that the probability to the fourth-order hierachical structure of Self-concept.

      • KCI등재후보

        중학생 진로성숙 검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송인섭(Song In-Sub),김효원(Kim Hyo-Won),남궁정(NamKung Jeong) 한국영재교육학회 2008 영재와 영재교육 Vol.7 No.1

        본 연구는 연령별 진로성숙 수준에 적합한 도구를 개발하기 위해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청소년들이 각 단계에서 주어지는 진로문제들에 대해 대처할 수 있는 준비도인 진로성숙을 측정하는 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진로성숙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관련 도구 분석을 통해 진로성숙 구인을 개념화하고 이에 근거하여 중학생의 진로성숙을 측정하는 도구를 개발하였다. 둘째, crites의 CMI에 근거하여 본 연구의 진로성숙 연구모형을 개발하고 관련연구들을 토대로 형성된 경쟁모형을 제시하여 최적의 모형을 경험적으로 검증하여 진로성숙 구조모형을 타당화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공변량구조분석(AMOS)을 통해 적합도 지수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상대적합도 지수인 TLI ,CFI가 .90 이상으로, 절대적합도 지수 RMSEA는 .052로 본 연구모형(모형 Ⅰ)의 적합도 지수가 다른 경쟁모형의 적합도 지수보다 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존의 검사들의 단점을 보완하여 진로성숙 구인을 개념화하고 이에 근거한 연구모형을 개발 경험적으로 타당화 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고 본다. 영재교육의 측면에서도 진로선택 및 결정은 중요한 과업으로 일반학생 뿐만 아니라 영재아들도 진로결정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보고된다. 그러므로 적용적 측면에서 일반학생들뿐만 아니라 영재아들의 정밀한 진로성숙도 측정을 통해 진로발달과 관련하여 그들이 가져야할 정의적, 인지적 발달에 대한 자료를 제시하여 진로문제와 생활지도면에서 합리적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1)develop an Career Maturity scale for Korean middle-school students and 2)test construct validation through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In order to answer these purposes, we first reviewed related documents and inventories, as to research the constructed factors which to develop an Career Maturity scale, then defined the concept of Career Maturity and the theological constructive model. They were included in 2 components of attitude and cognitive abilities for career maturity accordingly in 6 sub-components. 172 middle school students were analysed at pilot test and 749 students were conducted final test. Based on factor analysis and item analysis, 94 items were selected to final test items. Second, to examine the best fit construct model for career maturity, we assumed conceptual model for career maturity, model Ⅰ, base on CMI model (Crites, 1978) and proposed competing models base on the related studies that included the other components(behavioral) for career maturity. As a result of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AMOS), we confirmed 3rd order construct model include 2 components was the best adequate through the indices of best fit(TLI,CFI>.90, RMSEA=.052). Career Maturity scale of this study developed andexamined can be applied future study for the gifted students who haven"t decidedtheir career decision because of their multi potentials and talent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외국어고등학교 학생들의 성취목표지향성에 따른 귀인경향과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

        송인섭(Song, In sub),최명구(Choi, Myung gu),김누리(Kim, Noo ree),육진경(Youk, Jin kyoung) 한국영재교육학회 2009 영재와 영재교육 Vol.8 No.2

        본 연구는 외국어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성취목표지향성에 따른 귀인경향과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가 어떠한지를 확인하였다. 성취목표지향의 유형을 세 집단으로 구분하고 이를 다시 상·하 집단으로 세분화 하여 설정한 후 이에 따른 귀인의 요인, 학교생활적응 요인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수행-접근목표지향성은 내적 귀인, 수행-회피목표지향성은 외적귀인 하는 경향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숙달과 수행접근이 수행회피에 비해 학교생활적응에서도 더 긍정적인 결과를 나타내었다. 학교생활적응을 설명하는 성취목표지향성과 귀인요인들의 설명량을 확인한 결과, 외적통제 소재와 수행-회피지향성은 학교생활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숙달목표지향성과 수행-접근지향성은 학교생활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며, 각각이 능력요인, 노력요인에 귀인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숙달-노력, 수행접근-능력의 단순관계보다 성취목표지향성과 능력과 노력요인이 함께 상호작용하며 영향을 줄 때, 학교생활적응에 대한 설명량과 영향이 크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the difference between attribution tendency and Adaption of school life, according to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study set up the specific question and method. The subject were 300 foreign language high school students in Kyoungki. Achivement Goal Orientation, Adaption of school life and Attribution tendency Scales were used for the survey. And the subject were seperated 20% high, 20% low groups by their achivement goal orientation score. There are the difference on attribution tendency by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Mastery goals attribute ‘effort’ their success or fail. And Performance-approach goals attribute their ‘ability’. Performance-avoidance goals attribute external thing including another person(the degree of task difficulty) or lucky. The result of examination the difference on adaption of school life by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types, Mastery goals got the best adaption level. The other side, performance-avoidance goals predicted negative the adaption of school life. The study checked the variation for the adaption of school life that were described achievement goals orientation and attribution. The result found that, when Mastery Goal or Perfomance goal types interact with ‘effort’ but also ‘ability’, the adaption of school life was advanced.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