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Glasser 선택이론에 기반한 이야기 탐색과 이야기 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송윤나 한국유아교육학회 2022 유아교육연구 Vol.42 No.3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tory exploration and story making activities based on Glasser's choice theory on young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and self-efficacy.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included forty-four 5-year-old young children attending A and B kindergartens in D city. Half of them belong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half to the comparative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engaged in story exploration and story making activities based on Glasser's choice theory. The comparison group practiced regular story exploration and story making activitie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ctivities based on Glasser’s choice theor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young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In particular, they were effective in order of leadership, leading caring, communication, empathy and control, helping, and approach attempts among the sub-domains of pro-social behavior. Second, the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young children's self-efficacy. They were effective in order of the cognitive domain, the social·emotional domain, and the physical domain among the sub domains of self-efficac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posed a method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based on Glasser's choice theory using story exploration and story making activities, and verified its effectiveness. 본 연구의 목적은 Glasser 선택이론에 기반한 이야기 탐색과 이야기 꾸미기 활동이 유아의친사회적 행동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D시에 소재한 A 유치원과 B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 44명(실험집단 22명, 비교집단 22명)이다. 실험집단은 Glasser 선택이론에 기반한 이야기 탐색과 이야기 꾸미기 활동이 진행되었으며, 비교집단은 이야기 탐색과 이야기 꾸미기 활동이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본 연구의 활동은 첫째, 유아의친사회적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친사회적 행동의 하위영역중 지도성, 주도적 배려, 의사소통, 감정이입 및 조절, 도움주기, 접근시도 순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자기효능감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분석되었다. 특히, 자기효능감의 하위영역 중 인지적 영역, 사회·정서적 영역, 신체적 영역 순으로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야기 탐색과 이야기 꾸미기를 활용한 Glasser 선택이론 기반의 유아교육 방법을 제안하고 효과를 살펴보았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4차 산업혁명 시대 유아교육을 위한 제도적 기반 분석 연구: 질적 내용분석(QCA) 방법의 적용

        송윤나,박희숙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2018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propose the institutional found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For this study, the researchers collected and analyze the dat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4th Industrial Revolution. Qualitative content analysis(QCA) was applied to the analysis of research data. research result of administration institutional found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that is drived 10 sub categories of 4 main categories up. main categories were found to the democratic education operating system, teacher training system, establishment of a checking agency for the Education Ministry and re-establishment of the role of school-based factors. research result of teaching and learning institutional found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that is drived 13 subcategories of 4 main categories up. main categories were found to learners as a sovereign, teachers as a voluntary creator, education courses that realize the basis of humanitarianism, and physical environments of education with flexible and secure. This study has significance about the provide th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an institutional basi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본 연구의 목적은 4차 산업혁명 시대 유아교육을 위한 제도적 기반을 분석하고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4차 산업혁명 유아교육 및 교육과 관련된 연구물을 수집하였다. 수집한 연구물을 대상으로 질내용분석(QCA) 방법을 적용하여 4차 산업혁명 시대 유아교육을 위한 제도적 기반사항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4차 산업혁명 시대 유아교육의 행정 제도적 기반사항으로는 4가지의 상위범주에 관한 10개의 하위범주로 구성하여 나타났으며, 상위범주로는 민주적인 교육운영체제 교원 양성체제 교육부 견제 기의 신설 학교 기반요소의 역할 재정립으로 도출되었다. 4차 산업혁명 시대 유아교육의 교수와 학습을위한 제도적 기반사항으로는 4가지의 상위범주에 관한 13개의 하위범주로 구성하여 나타났으며, 상위주로는 주권자로서의 학습자 유아 자발적 창출자로서의 유아교사 인본주의 토대의 교육을 실현하는 유아교육과정, 유연하며 안전한 유아교육의 물리적 환경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 유아교육을 위한 제도적 기반 마련을 위한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보육효능감, 돌봄아동 부모의 지지, 집단자긍심이 아이돌보미의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송윤나,최아라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24 한국영유아보육학 Vol.- No.145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childcare efficacy, parental support, and collective self-esteem on job stress of child caregivers. The subjects of the study involved 181 child caregivers who participated in supplementary education about childcare in G cit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child caregivers from April 27 to August 18, 2023, on childcare efficacy, parental support, collective self-esteem, and job stress. We carried out a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8.0 on the collected research data.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collective self-esteem, childcare efficacy, and parental support was high, and the level of job stress was low. Second, the child caregiver's childcare efficacy, parental support, collective self-esteem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job stress. Third, childcare efficacy, parental support and collective self-esteem were found to be variables that negatively affect the job stress of child caregivers. In addition, collective self-esteem was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on job stress, and the next most influential variable is parental support. Based on these results, we investigated ways to alleviate job stress of child caregivers.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child caregivers maintenance education materials to be developed in the future.

      • KCI등재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유아 초기대수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송윤나,박희숙 한국유아교육학회 2019 유아교육연구 Vol.3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유아 초기대수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 하는 것에 있다. 최종 개발된 본 연구의 프로그램 체계는 목적 및 목표, 교육내용, 교수-학습 방법, 교사역할 및 평가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의 실험 처치는 2018년 5월 21일부터 7월 13일까지 총 8주간 진행되었으며, 연구 기간 중 실험집단 유아들에게는 본 연구에서 개발한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유아 초기대수교육 프로그램을 매주 2-3회 적용하였다. 통제집단 유아들에게는 누리과정에 제시된 유아 수학교육 활동을 매주 2-3회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은 유아의 이야기 이해능력 중 그림책 초기탐색과 유도된 이야기이해와 대수적 사고능력 중 규칙인식하기, 규칙설명하기, 규칙전이하기 규칙추리하기와 수학적 문제해결능력 중 측정, 수 연산, 대수, 기하에 관한 능력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의 대수교육을 위해 초기대수 교육을 제안하고 이를 위한 교수학습방법으로 스토리텔링을 적용하여 유아 초기대수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를 검증하였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apply the early algebra education program applying storytelling for young children. The program was composed of purpose and goal, contents of education, teaching-learning method, and evaluation.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participants experimental group of 20 children, and a control group of 20.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from May 21, 2018 to July 13, 2018. During the study period, the experimental group performed mathematics education activities applying the early algebra education using the storytelling program 2-3 times per week. The control group’s children performed mathematics education activities based on Nuri cours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was effective for young children in improving storytelling ability, early searching skills for picture books, and understanding induced stories. Children’s algebraic thinking ability about recognizing, explaining, transferring, and reasoning rules was improved. The program also proved effective for enhancing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bility of measurement, computation, algebra, and geometry. This study’s significance abides in that it proposed an early algebraic education in which the algebraic thinking is emphasized for young children, developed an early algebra education program, and verified its effectiveness by applying storytelling as 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 KCI등재

        디지털 놀이 누리과정 현장지원자료의유아 디지털 예술놀이 내용분석: 예술가의 행동 가르치기(TAB) 예술교육 접근법을 중심으로

        송윤나 한국아동교육학회 2023 아동교육 Vol.3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and meaning of art play process and art educational environment presented in the digital play Nuri curriculum support Resources. The digital play Nuri curriculum support Resources was collected from the Nuri Course Portal Site(i-nuri.go.kr). The analysis standard was prepared and the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Teaching for Artistic Behavior(TAB) art education approach. The results of content analysis on the current status of young children's digital art play presented in the collected research data are as follows. First, cases of digital art play in which young children create a work over several weeks have not been analyzed. Second, it was analyzed that the content related to the teacher's role supporting the growth of young children was presented. The results of content analysis on the meaning of young children's digital art play presented in the collected research data are as follows. First, young children had experienced arts that combine digital and non–digital methods through played with digital and non–digital materials. Second, young children were able to experience the courage not to be afraid of failure by easily modifying the picture with digital technology. Third, a digital-based Atelier environment must be builded in order to supports young children's art play. This study is valuable in that it can explores how to play early childhood digital arts based on the Nuri course. furthermore, it can also provide basic data on the research of digital-based early childhood arts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놀이 누리과정 현장지원자료에 나타난 유아 디지털 예술놀이 과정 및 교육적 환경 내용의 현황과 의미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누리과정 포털사이트(i-nuri.go.kr)에서 디지털 놀이 주제의 누리과정 현장지원자료를 수집하였다. 다음으로 예술가의 행동 가르치기(TAB: Teaching for Artistic Behavior) 예술교육 접근법을 토대로 분석준거를 마련하여 내용분석을 진행하였다. 디지털 놀이 누리과정 현장지원자료의 유아 디지털 예술놀이 현황에 관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디지털 놀이 누리과정 현장지원자료에는 유아들이 한 작품을 몇 주에 걸쳐 만들어 내는 디지털 예술놀이 사례가 제시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디지털 놀이 누리과정 현장지원자료에는 유아들의 성장을 지원하는 교사역할이 제시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음으로, 디지털 놀이 누리과정 현장지원자료의 유아 디지털 예술놀이 의미에 관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들은 디지털 재료와 비(非) 디지털 재료를 한데 뭉쳐 놀이하면서 디지털과 비 디지털 방식이 결합한 형태의 예술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들은 디지털 매체로 그림을 쉽게 수정함으로써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용기를 경험할 수 있었다. 셋째, 유아의 예술놀이를 지원하는 디지털 기반 아틀리에(Atelier) 환경이 조성되어야 함이 제시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는 누리과정에서 실천될 수 있는 디지털 예술놀이 방법을 탐색할 수 있으며, 추후 진행될 디지털 기반 유아 예술교육 연구의 기초적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 KCI등재

        유아교사의 창의․인성 교육에 관한 실천적 지식의 인식 변화과정

        송윤나,송영인,박희숙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9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4 No.4

        This study aims to examine experienc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conducted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in educational facilities and explore the change in practical knowledge process regarding their creativity-character education. For methods, participants were targeted and sampled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interested in practical knowledge on their creativity-character education, performed in-depth interview and analyzed collected data qualitatively. In this way, drawn results included “the first meeting between creativity-character education: seeing the given creativity-character education with a glasses of viewpoint,” “searching for creativity-character education: dual play between ambiguous feeling and confusing emotion in search of intangible creativity- character education,” “making creativity-character education: making invisible creativity-character education visible,” “Finally realized authentic creativity-character education: the discovery of successful key to achieve the authentic creativity-character education. The present study is expected to propose complements and improvements of kid creativity-character educational program to be developed and provide basic data for the future creativity-character education research by analyzing the process of practical knowledge regarding creativity-character education to be developed as early childhood teachers practice creativity-character education. 본 연구는 교육 현장에서 창의․인성 교육을 실천하는 유아교사의 경험을 살펴보고, 유아교사의 창의․인성 교육에 관한 실천적 지식의 인식 변화과정을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연구 방법으로 창의․인성 교육에 관한 실천적 지식에 관심을 지닌 유아교사 대상으로 연구 참여자를 목적표집하고 이들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진행하여 수집된 자료를 질적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된 연구결과는 ‘창의․인성 교육과의 첫 만남-가치관의 안경으로 주어진 창의․인성 교육 바라보기’, ‘창의․인성 교육 찾아가기-무형의 창의․인성 교육을 찾아가는 모호한 느낌과 혼란스러운 감정의 이중주’, ‘창의․인성 교육 만들어 내기-보이지 않는 창의․인성 교육 보이게 만들기’, ‘마침내 깨달은 진짜 창의․인성 교육-진짜 창의․인성 교육을 실현시키는 성공의 열쇠 발견’ 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교사가 창의․인성 교육을 실천하는 과정 속에서 나타난 창의․인성 교육의 실천적 지식에 대한 인식 변화과정을 분석함으로써 앞으로 개발될 유아 창의․인성 교육 프로그램의 보완점과 개선사항을 제안하고 추후에 진행될 유아 창의․인성 교육 연구에 기초적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중년 성인의 자기개념명확성과 SNS중독경향성의 관계: 온라인 상호작용 선호경향성과 스트레스 대처전략의 조절된 매개효과

        송윤나,권경인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9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preference for online social interac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coping strateg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cept clarity and SNS addiction proneness of middle-aged adults. Method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middle-aged adults across the country, and the final 374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and the Process Marco program. First, the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SNS use-related characteristics were identified, and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variable was analyzed. Second, the mediation effect was verified through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bootstrapping. Third, Aiken-West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moderating effect and moderated mediation effect.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lower self-concept clarity of middle-aged adults resulted in higher perceived preference for online social interaction. Second, the analysis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 of preference for online social inter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cept clarity and SNS addiction proneness.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eference for online social interaction and SNS addiction proneness, the analysis verified the moderating effect of avoidance, which is one of the sub-factors of the coping strategy. Conclusions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self-concept clarity of middle-aged adults affected SNS addiction proneness. In addi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self-concept of middle-aged adults in the counseling and to help them use an effective coping strategy.

      • KCI등재

        그림책을 활용한 영유아 사회성 발달 관련 국내 학술지 연구동향

        송윤나 ( Yunna Song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6

        본 연구는 그림책을 활용한 영유아 사회성 발달 관련 국내 연구물의 연구동향을 분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21년 9월 20일까지 발표된 그림책을 활용한 영유아 사회성 발달 관련 국내 학술지 연구자료 95편을 SPSS 23.0으로 분석하여 빈도와 백분율로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00~2001년 이후로 관련된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었다. 둘째, 현재까지 진행된 연구물은 모두 양적연구 방법으로 진행되었다. 셋째, 수집한 연구물은 대부분 유아와 영아를 연구대상으로 진행되었다. 넷째, 2008~2009년부터 영유아 사회성 발달 연구에 다양한 그림책 유형이 활용되었다. 다섯째, 영유아의 사회성 발달 연구에는 그림책 연계 미술활동이 많이 활용되고 있었다. 여섯째, 수집된 연구물에는 정서발달과 관련된 사회성 발달 영역이 많이 연구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는 추후 진행될 그림책을 활용한 영유아 사회성 발달 연구에 기초적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 of the social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using picture books in Korea. For this purpose, we collected 95 Korean journal research data related to this research purpose published from 2000 to Sept. 20, 2021. and we analyzed the collected studies with SPSS 23.0 and presented as frequency and percent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search has been continuously conducted since 2000-2001. Second, research data were have studied using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Third, research subjects of the collected research were mostly young children. Fourth, From 2008 to 2009, various types of picture books have been used in the study. Fifth, Art activities linked to picture books have been widely used to study. Sixth, a lot of research has been done related to emotional development.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study of social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using picture books to be conducted in the future.

      • KCI등재

        알고리즘 기반의 수학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송윤나 ( Song Yun-na ),박희숙 ( Park Hee-suk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8 아동교육 Vol.27 No.2

        본 연구는 알고리즘 기반의 수학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했다. 연구대상은 D지역의 I유치원 만 5세반 유아 42명으로 실험집단 유아 21명(남아 11명, 여아10명), 비교집단 유아 21명(남아 11명, 여아 10명)이다. 연구절차는 알고리즘 기반의 유아수학활동 구성, 예비검사, 실험장소의 선정 및 실험자 교육 실시, 사전검사, 실험처치, 사후검사 순으로 진행되었다. 실험처치는 2017년 8월 21일부터 9월 29일까지 6주간 진행되었으며, 연구기간 중 실험집단 유아들에게는 알고리즘 기반의 수학활동을 매주 2-3회 적용하였다. 비교집단 유아들에게는 누리과정 중심 수학활동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을 사용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연구 결과, 유아의 수학적 문제해결력 전체는 실험진단과 비교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수학적 문제해결력의 하위영역 중 측정, 대수, 기하, 통계영역의 수학적 문제해결력을 향상 시켰다. 본 연구는 알고리즘 기반의 수학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문제해결력 발달을 위한 새로운 교수학습 접근법을 제시함에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lgorithm-based mathematic activities to young children's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bility. The participants were 42 of five-year old children(experimental group 21, comparative group 21) at I kindergarten located in D city. the research proceeded in order that consisted of algorithm - based early childhood mathematical activity composition, preliminary test, selection of experiment site, implementation of experimenter education, pre - test, experimental treatment and post - test.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from August 21 to September 29, 2017 for 6 weeks. The experiment group performed the mathematics activities through the algorithm-based, and the comparative group performed the mathematics activities in the Nuri course based on life topic.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that, in the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bilit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Second,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bility of measurement, algebra, geometry, and statistical domain was improved among sub - areas of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bility. Therefore, it has been shown that algorithmic mathematical activities are effective in improving the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bility of young children. This study suggests that algorithm - based mathematical activities can be proposed as a new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for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bility of young children and it is a mathematical activity of unplugged learning which learns computer science without using computer. Is expected to be developed into a new type of mathematics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