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Ni/Si 기판을 사용하여 성장시킨 비결정질 $SiO_x$ 나노 와이어의 성장 메커니즘

        송원영,신동익,이호준,김형섭,김상우,윤대호,Song, W.Y.,Shin, T.I.,Lee, H.J.,Kim, H.,Kim, S.W.,Yoon, D.H. 한국결정성장학회 2006 한국결정성장학회지 Vol.16 No.6

        Vapor phase epitaxy(VPE)법을 사용하여 amorphous $SiO_x$. nanowires를 성장시켰다. Ni thin film을 촉매로 사용하여 Si 기판위에 $800{\sim}1100^{\circ}C$ 범위의 온도에서 성장시켰으며, $SiO_x$ nanowires의 성장 메커니즘은 Vapor-liquid-solid(VLS)으로 확인되었다. $SiO_x$ nanowires의 shape와 morphology는 scanning electron microscope(SEM)으로 분석하였으며, cotton-like형태이고 길이는 $10{\mu}m$정도였다. 그리고 구조적 특징은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TEM)으로 관찰하였고, $SiO_x$ nanowires의 성분 분석은 energy dispersed X-ray spectroscopy(EDS)로 하였다. EDX spectrum으로 nanowires가 Si와 O로 구성되어졌음을 확인하였다. The amorphous $SiO_x$ nanowires were synthesized by the vapor phase epitaxy (VPE) method. $SiO_x$ nanowires were formed on silicon wafer of temperatures ranged from $800{\sim}1100^{\circ}C$ and nickel thin film was used as a catalyst for the growth of nanowires. A vapor-liquid-solid (VLS) mechanism is responsible for the catalyst-assisted amorphous $SiO_x$ nanowires synthesis in this experiment. The SEM images showed cotton-like nanostructure of free standing $SiO_x$ nanowires with the length of more than about $10{\mu}m$. The $SiO_x$ nanowires were confirmed amorphous structure by TEM analysis and EDX spectrum reveals that the nanowires consist of Si and O.

      • SCOPUSKCI등재

        Eisenmenger 증후군 3례 보

        송원영,이종태,이규태,Song, Won-Yeong,Lee, Jong-Tae,Lee, Gyu-Tae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84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17 No.2

        Eisenmenger syndrome is a condition which systemic arterial blood oxygen unsaturation occurs if obstruction in the pulmonary capillaries raises the pulmonary vascular resistance and pulmonary arterial pressure to or beyond systemic levels and then a significant right to left shunt develops across a preexisting cardiac septal defect or an aortopulmonary communication-We have experienced 3 cases of similar condition. Case I is 24 year old man who has had cyanosis and dyspnea on exertion since childhood. His pulmonary arterial pressure was 110/80mmHg. He was operated under diagnosis of the mitral stenosis and tetralogy of Fallot, but it was finally discovered that he had patent ductus arteriosus and ventricular defect was closed with perforated prosthetic patch, but the patient expired due to right heart failure low cardiac output. Case II was 16 year old female who had pulmonary hypertension of 110/85mmHg. She was diagnosed as Eisenmenger syndrome combining with atrial septal defect and patent ductus arteriosus. Case III was 20 year old male. His pulmonary arterial pressure was 110/70mmHg and the underlying defect was patent ductus arteriosus.

      • KCI등재

        뱀딸기풀의 항산화 활성 및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 흰쥐의 항산화 방어계 조절에 미치는 영향

        송원영(Won-Yeong Song),최정화(Jeong-Hwa Choi) 한국생명과학회 2018 생명과학회지 Vol.28 No.1

        본 연구에서는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 흰쥐에서 뱀딸기풀 파우더가 간조직의 항산화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실험군을 4군으로 나누어 정상 식이군(N 군),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군(HF 군),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에 뱀딸기풀 파우더를 5% 첨가한 군(DA 군),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에 뱀딸기풀 파우더를 10% 첨가한 군(DB 군)으로 나누었다. 식이 및 식수는 자유섭취하게 하였으며 4주간 사육한 후 희생시켰다. 간 조직 중의 항산화 효소계인 GSH-px 및 catalase 활성은 정상군(N 군)에 비해 HF 군에서는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으나 HF군에 비해 뱀딸기풀 파우더 공급군(DA 및 DB 군)에서는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다. 유리기를 소거하는 지표인 간조직의 superoxide radical 함량을 microsome에서 측정한 결과 정상군에 비해 HF 군에서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었으나 뱀딸기풀 공급으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또한 mitochondria에서는 HF 군에 비해 DB 군에서 정상군 수준으로 감소되어졌다. 간조직의 cytosol에서 H₂O₂의 함량에서는 DA 및 DB 군 모두에서 유의적인 감소로 정상군수준을 나타내었다. 간조직의 microsome 및 mitochondria에서의 산화단백질 함량은 정상군에 비해 HF 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 되었으나 뱀딸기풀 파우더의 공급으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과산화지질의 함량을 간조직에서 관찰 한 결과, 정상군에 비해 HF 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또한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로 인해 증가된 과산화지질은 뱀딸기풀 파우더를 공급한 군에서 감소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10% 공급한 군에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뱀딸기풀에 함유된 여러 항산화성분들은 효과적으로 활성산소종을 소거하여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로 인해 유발된 산화적 손상을 효과적으로 완화시켰을 것이라 사료되어진다. This study was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uchesnea chrysantha (DC) on antioxidative activities by in vivo. Rats were divided into four experimental groups which are composed of normal diet group (N group), high fat‧high cholesterol diet group (HF group), high fat‧high cholesterol diet with 5% DC powder supplemented group (DA group) and high fat‧high cholesterol diet with 10% DC powder supplemented group (DB group). Supplementation of DC powder groups resulted in increased activities of hepatic glutathione peroxidase and catalase. The microsomal superoxide radical contents of the DA and DB groups were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the high fat‧high cholesterol diet group. The mitochondrial superoxide radical contents of the DB group were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the high fat‧high cholesterol diet group. Hepatic hydrogen peroxide contents in cytosol were significantly reduced 5% and 10% DC powder supplemented group. The carbonyl values contents in mitochondria and microsome of the DA and DB groups were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the HF group. Thiobarbituric acid reaction substance (TBARS) values in liver were reduced in 10% DC powder supplemented group compared to the HF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DC powder may have a strong regulatory effect in the activation of the antioxidative defense system.

      • KCI등재

        2020년 형사소송법 개정에 따른 경찰 내사의 쟁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송원영(Song, Won Young) 경찰대학 경찰학연구편집위원회 2021 경찰학연구 Vol.21 No.1

        2020년 수사구조 개혁에 따라 경찰의 수사 자율성과 책임성이 증대됨에 따라 경찰 ‘내사’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는 것은 시대정신이라 할 수 있다. 새로운 형사소송법과 대통령령에 따라 종래 학설과 판례에서 인정해 오던 수사기관의 ‘내사’를 명문화하고 종래 내사의 범주에서 활용하였던 ‘피혐의자 수사기관 출석조사’를 한 경우 의무적으로 수사로 전환하도록 하는 등 그 통제를 강화하고 있다. 경찰이 이제는 명실상부한 수사주체성을 인정받은 이 시점에서 ‘내사’ 명칭의 사용 범위를 축소하고 그 성격에 걸맞는 적절하고 충분한 통제 시스템을 갖추는 것이 긴요하다 할 것이다. 그러한 통제장치로서 경찰 내부 수사지휘 및 심사 강화를 위해 도입된 여러 가지 ‘수사’관련 제도들이 ‘내사’에 있어서도 작동될 수 있도록 하고 그 종결의 투명성도 한층 강화될 수 있도록 일부 제도를 개선해 나갈 필요가 있다. At a time when the police’s autonomy and responsibility for investigations have increased due to the reform of the investigative powers in 2020, it can be said that the debate on strengthening the control of the police ‘internal investigation’ is the spirit of the times. The new Criminal Procedure Act and the Presidential Decree stipulate the ‘internal investigation’ of the investigative agency, which has been recognized in the theories and precedents, and, in the case of the ‘investigation of the attendance of the suspected investigative agency,’ which was used in the category of the conventional ‘internal investigation’, it is mandatory to switch to the investigation procedure. This attempt can be said to be a tendency to strengthen control over the ‘internal investigation’. A series of efforts to strengthen internal and external control over the police’s “internal investigation” and wash away negative images can be a shortcut to properly revive the purpose of the reform of the power of investigation in 2020. Now, at this point in which the subjectivity of investigation has been recognized, it is imperative to reduce the scope of use of the name “ internal investigation” and have an adequate and sufficient control system suitable for its nature. As such a control device, internal examination is reinforced, and various systems introduced to strengthen internal investigation direction and screening should be able to be operated in internal investigation as well, and the transparency of the closing can be further strengthened.

      • KCI등재

        고추씨가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 흰쥐의 항산화계 및 산화적 손상에 미치는 영향

        송원영(Won-Young Song),양정아(Jeong-Ah Yang),구경형(Kyung-Hyung Ku),최정화(Jeong-Hwa Choi)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9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8 No.9

        본 연구에서는 고추씨의 생체 내 항산화작용을 규명하기 위하여 고콜레스테롤?고지방 식이 흰쥐 간조직의 항산화방어계와 지질과산화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실험동물은 체중 150±10 g 내외의 Sprague-Dawley종 수컷 흰쥐를 사용하였으며, 정상식이 대조군(N), 고지방?고콜레스테롤 공급군(HF), 고지방?고콜레스테롤 공급군에 고추씨파우더 5% 공급군(SA), 10% 공급군(SB) 및 15% 공급군(SC)으로 총 5군으로 나누었다. 식이 및 식수는 자유섭취하게 하였으며 4주간 사육한 후 희생시켰다. 실험기간 동안 체중 증가량은 정상군에 비해 고지방?고콜레스테롤 공급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고추씨 공급군에서는 정상군 수준이었으며 식이효율도 유사한 경향이었다. 간 조직 중의 항산화 효소계인 SOD 활성은 HF군에 비해 고추씨 공급군에서 다소 증가한 경향이었다. GSHpx의 활성은 정상군에 비해 고지방?콜레스테롤 공급군 모두에서 감소되었으나 SC군에서는 정상군 수준이었다. 또한 catalase 함량은 고지방?고콜레스테롤 공급군에 비해 고추씨파우더를 공급한 군에서 증가되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유리기를 소거하는 지표인 간조직의 superoxide radical 함량을 microsome에서 관찰한 결과는 정상군에 비해 HF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되었으나 고추씨파우더를 공급한 모든 군에서 감소되었다. 간조직의 mitochondria에서는 고추씨파우더를 공급한 모든 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특히 SB, SC군에서는 정상군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간조직의 cytosol에서 H₂O₂를 관찰한 결과 고지방?고콜레스테롤군 대조군에 비해 고추씨파우더 공급군에서 감소되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간조직의 mitochondria에서는 정상군에 비해 HF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되었으나 SC군에서는 정상군 수준으로 감소되었다. 간조직의 산화적 손상의 지표가 되는 carbonyl가 함량을 microsome에서 측정한 결과는 정상군에 비해 HF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되었으나 고추씨파우더를 다량 공급한 두 군에서는 정상군 수준으로 감소되었다. 또한 mitochondria에서 측정한 결과는 HF군에 비해 고추씨파우더를 공급한 군에서 감소하였으나 군 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간 조직 중의 과산화지질의 함량을 관찰한 결과는 고지방?고콜레스테롤군에 비해 고추씨파우더를 공급한 모든 군에서 정상군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그리고 혈장에서 측정한 결과도 고추씨파우더를 공급한 군에서 정상군 수준으로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고추씨파우더의 항산화 성분이 효과적으로 활성산소종의 소거에 관여함으로써 산화적 손상을 완화시킨 결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ffect of red pepper seeds powder on antioxidative defense system and oxidative damage in rats fed high fat?high cholesterol diet. Rats were divided into five experimental groups which are composed of normal diet group, high fat?high cholesterol diet group, high fat?high cholesterol diet with 5% red pepper seeds powder supplemented group (SA group), high fat?high cholesterol diet with 10% red pepper seeds powder supplemented group (SB group), and high fat?high cholesterol diet with 15% red pepper seeds powder supplemented group (SC group). Supplementation of red seed pepper groups (SA, SB, and SC groups) resulted in increased activities of hepatic glutathione peroxidase and superoxide dismutase.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ctivity of hepatic catalase among all experimental groups. Hepatic superoxide radical contents in microsome and mitochondria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red pepper seeds powder supplemented groups. Hepatic hydrogen peroxide contents in mitochondria were significantly reduced 15% red pepper seeds powder supplemented group. Hepatic carbonyl values in microsome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10% and 15% red pepper seeds powder supplemented groups. Thiobarbituric acid reaction substance (TBARS) values in liver and plasma were reduced in red pepper seeds powder supplemented groups. These result suggest that red pepper seeds powder may reduce oxidative damage by the activation of antioxidative defense system in rats high fat?high cholesterol diets.

      • KCI등재

        자폐아동에 있어서 항산화 영양소 보충이 모발의 미네랄 함량 및 자폐성향에 미치는 영향

        송원영(Won-Young Song),홍정희(Jung-Hee Hong),박은주(Eun-Ju Park),이한우(Han-Woo Lee),최정화(Jeong-Hwa Choi)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9 No.2

        본 연구에서는 소아정신과에서 자폐로 진단받은 아동을 대상으로 항산화비타민을 공급하기 전후를 비교하여 신체 계측과 모발 내 유해 무기질 함량, 혈장 내 항산화 체계를 관찰하였고 혈장 지질 및 간 기능에 미치는 영향, 자폐성향 측정 및 사회성숙도를 비교하였다. 항산화비타민 섭취 전과 후의 영양소 섭취량을 조사한 결과 섭취량에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자폐아동에게 3개월간 항산화 비타민을 공급한 후 유해중금속 함량을 측정한 결과는 As, Pb 및 Al의 경우에는 항산화 비타민 공급 후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그러나 Cd와 Hg은 항산화 비타민 공급 후 유의적으로 감소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학습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미네랄인 Na, Cr도 항산화 공급 후 감소되어지는 것을 관찰하였으며 여러 항산화 효소들의 구성요소인 Fe, Zn, Mn 및 Se을 관찰한 결과 항산화비타민 공급 후 함량이 증가되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혈중 serotonin을 측정한 결과는 항산화 비타민 섭취 전에 비해 섭취 후 serotonin 함량이 다소 증가하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며 free radical 함량은 항산화비타민 섭취 전에 비해 섭취 후 free radical 함량이 23%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항산화 비타민이 모발 내 미네랄 함량, 중금속 함량, free radical 함량 및 자폐성향 및 사회성 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아 자폐아동에게 항산화비타민의 보충이 자폐아동의 행동 및 발달장애를 개선시킨 것이라고 사료되어진다.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he effect of antioxidative vitamin supplementation (β-carotene 175 ㎎, vitamin C 200 ㎎, vitamin E 33.5 ㎎) for 12 weeks on antioxidant status and autistic related behaviors in autistic children. The antioxidative vitamin-supplemented children had significantly lower concentrations of toxic mineral, such as cadmium (Cd), mercury (Hg) and lead (Pb) in hair, while they had higher concentration of antioxidant minerals (Se, Zn, Fe) in hair. Antioxidant vitamin supplementation for 12 weeks reduced free radical while it increased the hair levels of serotonin compared to the beginning of the study. Additionally, antioxidative vitamin supplementation resulted in significant improvement in social ag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consumption of antioxidative vitamin supplementation for 12 weeks in autistic children may increase plasma antioxidant mineral concentration, resulting in reduced toxic mineral and free radical and improved autistic behavior.

      • KCI등재

        디지털 성폭력 가해 경험자와 데이트 성폭력 가해 경험자의 성격 특성, 성관련 통념 및 성중독의 차이

        송원영(Wonyoung SONG)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2021 상담심리교육복지 Vol.8 No.6

        이 연구는 디지털 성폭력을 저지른 경험자와 데이트 성폭력 경험자의 특성 파악 및 비교를 통해 성폭력의 여러 양상에 대한 이해와 예방, 재범방지에 기여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20~60대 남성 158명을 대상으로 디지털 성폭력 가해경험, 데이트 성폭력 가해경험, 강간통념, 이미 지 기반 성적 학대 신념 수용도, 성중독 및 어둠의 4요소 성격 척도를 실시하고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디지털 성폭력 경험자는 대부분의 척도에서 성폭력 경험이 없는 사람들보다 높은 점수를 보였 고, 성 관련 통념에서는 데이트 성폭력 경험자보다도 높은 점수를 보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 해 예측해 본 결과, 이미지 기반 성학대 신념과 가학 성향이 디지털 성폭력 경험을 예측할 수 있었 고, 성중독과 나이가 데이트 성폭력 경험을 예측할 수 있었다. 결과를 바탕으로 두 집단 특성 및 성 폭력 행위에 대한 적절한 예방과 개입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various aspects of sexual violence and to prevent reoffending by identifying and comparing the characteristics of online sexual offenders and date sexual abusers. For this purpose, 158 men in their 20s to 60s across the country have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ir data on online sexual offending experience, dating sexual assault experience, rape myth, image-based sexual abuse belief acceptance, sex addiction, and the short tetrad for dark personality scale were analyzed. As a result, those who experienced online sexual offending scored higher than those who had never experienced sexual violence on most scales. They scored higher than those who experienced dating sexual violence in sex-related myths. As a result of predicting through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mage-based sexual abuse beliefs and sadistic tendencies could predict online sexual offending experiences, and sex addiction and age could predict date sexual abuse experiences. Based on the resul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two groups and appropriate prevention and intervention for sexual violence behavior were discussed.

      • KCI등재

        미나리 및 부추의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 흰쥐의 지질 함량 개선에 미치는 영향

        송원영(Won-Yeong Song),최정화(Jeong-Hwa Choi) 한국생명과학회 2016 생명과학회지 Vol.26 No.3

        본 연구에서는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 흰쥐에서 미나리 및 부추가 혈청 및 간조직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실험군을 5군으로 나누어 정상 식이군(N 군),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군(HF 군),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에 미나리를 5% 첨가한 군(OP 군),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에 부추를 5% 첨가한 군(AP 군),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에 미나리와 부추를 각각 2.5% 첨가한 군(OAP 군)으로 나누었다. 혈중의 중성지방 농도는 N 군에 비해 HF 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HF 군에 비해 OP 및 AP 군에서 유의적이지는 않았지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특히 OAP 군에서는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혈중 총콜레스테롤 함량은 HF군이 N 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미나리 및 부추 공급군에서 HF 군에 비해 유의적이지는 않지만 감소하였다. HDL-콜레스테롤은 함량은 HF 군에 비해 미나리 및 부추 공급군에서 증가하였고, 특히 OAP 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LDL-콜레스테롤은 함량은 HF 군에 비해 OP 군과 OAP 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되어졌다. AI의 경우 HF 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HF 군에 비해 미나리 및 부추 공급군 모두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간조직의 중성지방 함량은 HF 군에 비해 미나리 및 부추 공급군에서 감소하였고, 특히 OAP 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간조직의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HF 군에 비해 미나리 및 부추 공급군 모두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분변의 중성지방 및 총콜레스테롤의 함량은 N 군에 비해 HF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미나리 및 부추의 공급군에서 HF 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되어졌다. 또한 OP군에 비해 AP 군 및 OAP 군에서 유의적인 증가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미루어 미나리 및 부추는 지질대사 조절에 효과적으로 작용되어질 수 있음을 시사하였으며, 특히 미나리와 부추의 복합공급은 이러한 체내 지질조절에 상승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Oenanthe javanica and Allium tuberosum powder on lipid metabolism in rats fed high fat·high cholesterol diet. Experimental rats were divided into five groups which were composed of normal diet group (N), high fat·high cholesterol diet group (HF), high fat·high cholesterol diet with 5% Oenanthe javanica powder diet group (OP), high fat·high cholesterol diet with 5% Allium tuberosum powder diet group (AP) and high fat·high cholesterol diet with 2.5% Oenanthe javanica and Allium tuberosum powder diet group (OAP). The serum TG content of the HF grou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e N group, but that of the OAP group was significantly decreased. Serum HDL-cholesterol contents of the OAP grou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e HF group. The serum total cholesterol, LDL-cholesterol and AI of the HF group were increased compared to the N group and especially the LDL-cholesterol of OP and OAP group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the HF group. The liver TG and total cholesterol contents of the HF group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e N group, while TG contents of the OAP group was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the HF group. Fecal total lipid and total cholesterol of OP, AP and OAP group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e HF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supplementation of Oenanthe javanica and Allium tuberosum may have a pronounced impact on markers of lipid metabolism in serum and liver of rats fed high fat·high cholesterol diets.

      • KCI등재

        부평초 추출물의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분석 및 항산화 활성

        송원영(Won-Yeong Song),최정화(Jeong-Hwa Choi) 한국생명과학회 2017 생명과학회지 Vol.27 No.2

        본 연구에서는 부평초의 열수추출물과 에탄올추출물간의 항산화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100~2,500 μg/ml의 부평초의 농도를 이용하여 in vitro 실험으로 관찰하였다. 먼저 부평초 추출물을 농도별로 총 페놀 함량을 측정한 결과, 열수추출물에서 52.75~293.4 mg/g 그리고 에탄올추출물에서 60.12~398.4 mg/g의 함량이 관찰되었고, 플라보노이드 함량에서는 열수추출물(38.25~67.75 mg/g)에 비해 에탄올추출물(38.25~159.4 mg/g)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DPPH radical 소거능은 열수추출물(2.87~59.5%)과 에탄올추출물(4.12~81.52%)으로 농도 의존적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고, 에탄올추출물은 열수추출물에 비해 유의적으로 더 높은 소거능이 관찰되어졌다. ABTS radical 소거능을 비교한 결과는 열수추출물에서 8.30~83.16%, 에탄올추출물에서 13.11~80.34%로 농도 의존적인 높은 소거 활성을 나타내었다. 부평초 추출물의 IC50값을 비교한 결과 DPPH, ABTS radical에서 각각 열수추출물의 경우, 2,100 μg/ml, 798.7 μg/ml으로 나타났고, 에탄올추출물의 경우에는 1,034 μg/ml, 457.1 μg/ml으로 나타났다. 환원력은 500~4,000 μg/ml의 농도에서 관찰되어 졌는데, 열수추출물에서 0.055~1.122, 에탄올 추출물에서 0.140~1.428로 농도가 증가될수록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에탄올추출물이 열수추출물에 비해 유의적으로 더 높은 환원력을 나타내었다. 또한 항염증 효능을 관찰하기 위한 SLO를 측정한 결과는 열수추출물에서 157.7~168.0% 그리고 에탄올추출물에서 148.0~169.4%의 감소율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부평초의 용매에 따른 추출물은 항산화 효과에 뛰어난 활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항염증에도 관여할 수 있음이 사료되어지며, 항산화 효능에 대한 천연식물소재로서의 이용가치가 기대되어진다. We investigated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water and ethanol extracts from Spirodela polyrhiza (SP) through in vitro assays. The total phenolic contents of SP water and ethanol extracts were 52.75-293.4 and 60.12-398.4 mg/g, respectively. The total flavonoid content of SP ethanol extract (38.25-159.4 mg/g) was higher than that of SP water extract (38.25-67.75 mg/g). The water and ethanol extracts from SP scavenged the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 and 2,2"-azino-di-2-ethyl-benzothia-zoline sulfonate (ABTS) radical in a dose-dependent manner in the concentration range of 100–2,500 μg/ml.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SP ethanol extract (2.87%-59.5%) was higher than that of the water extract (4.12%-81.52%). The IC50s of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water and ethanol extracts were 2,100 and 1,034 μg/ml respectively. The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SP water and ethanol extracts were 8.30%-83.16% and 13.11%-8.34% respectively. The IC50s of the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SP water and ethanol extracts were 798.7 and 457.1 μg/ml, respectively. The reducing power activities of SP water and ethanol extracts were 0.055-1.122 and 0.140-1.428, respectively (500-4,000 μg/ml). The soybean lipoxygenase (SLO)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SP water and ethanol extracts were 157.7%-168.0% and 148.0%-169.4%,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water and ethanol extracts of SP may be useful as a potential antioxida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