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구논문 : 분기별 판매관리비 원가행태

        송승아 ( Seung Ah Song ) 한국회계학회 2013 회계저널 Vol.22 No.2

        본 연구는 판매관리비의 하방경직적 원가행태를 연구한 안태식 외(2004) 이후의 판매관리비 연구들과는 달리 적시성을 갖춘 분기별 원가정보를 활용하여 분기별 판매관리비의 원가행태를 최초로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판매관리비의 분기별 원가행태가 비대칭적이라면 하방경직적인지, 혹은 하방탄력적인지 그리고 각 분기별로는 어떠한 원가행태를 보이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전년 동기대비 증감은 평가관리목적으로 매우 중요하기에, 동일연도 내에서의 분기별 변화와 전년 대비 동 분기의 원가 변화라는 두 가지 관점에서 연구를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판매관리비에 대한 분석에서 매출액이 감소할 때, 1분기와 3분기에는 기업이 원가를 더 적극적으로 감소시켜 발생하는 하방탄력적 원가행태가, 그리고 2분기와 4분기에는 원가를 소극적으로 감소시켜 발생하는 하방경직적 원가행태가 관찰되었다. 둘째, 손실보고기업의 경우 4분기에 하방경직적 원가행태를 보였으며, 셋째, 전년 동기 원가행태 분석결과에서는 1~4 분기 모두에 대해서 하방경직성을 보였다. 본 연구는 기존 분기별 이익의 특성에 대한 연구에 대하여, 이익을 매출과 원가로 세부항목으로 나누어 보았을 때 원가의 한 요소인 판매관리비의 분기별 특성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는 점에서 향후 분기이익연구에도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No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e SG&A cost behavior using the cost information from quarterly financial statements since the emergence of cost stickiness study followed by Anderson et al.(2003) and Ahn et al.(2004).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whether the quarterly cost behavior is symmetric or asymmetric. And if the cost behavior is asymmetric, the study questions whether it is cost sticky or super-variable across 4 different quarters after considering each quarter`s own characteristics. The analysis includes new models modified based on cost stickiness model as suggested by Anderson et al.(2003). The empirica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ost stickiness is observed for the 2nd and 4th quarters. Meanwhile, super-variable cost behavior is observed for the 1st and 3rd quarters. Secondly, firms with loss in the 4th quarter showed cost sticky behavior. Thirdly, cost behavior analysis by comparing quarters to the previous year, instead of comparing quarters to the previous quarter, shows that SG&A costs are sticky as predicted.

      • KCI등재

        요한복음 19:34에 기록된 예수의 옆구리에서 흘러나온 물의 의미에 대한 재고

        송승인(Seung-In Song) 한국복음주의신약학회 2020 신약연구 Vol.19 No.2

        본 연구를 통해 필자는 요한복음 19:34에 등장하는 물이 오로지 문자적 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고 제안한다. 본 연구는 크게 두 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전반부에서는 이 물에 대한 여섯 가지 주요 견해들을 검토한다. 여섯 가지 주요 견해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 물은 문자적인 물로 해석되어야 한다. 둘째, 이 물은 성령을 상징한다. 셋째, 이 물은 세례를 가리킨다. 넷째, 이 물은 유월절과 관련이 있다. 다섯째, 이 물을 창세기 2장과 연계하여 그리스도께서 교회를 출생함의 이미지로 해석한다. 마지막으로, 이 물은 모세가 바위를 친 사건과 깊은 연관이 있다. 후반부에서는 이 여섯 가지 견해에 대한 검토에 근거하여 이 중 문자적 물 견해가 가장 설득력이 있는 견해라고 결론을 내리고 필자가 이 결론에 이르게 된 일곱 가지 근거들을 제시한다. 이 일곱 가지 근거들 중 중요한 세 가지를 요약하면, 먼저 필자는 문자적 읽기와 상징적 읽기는 많은 경우 긴장을 유발함으로 많은 학자들이 취하듯이 요한복음 19:34의 물에 대해 양쪽 읽기를 동시에 인정하는 해석보다는 오히려 두 가지 읽기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고 주장하며 다른 근거들에 기초해 본 연구는 문자적 읽기를 선택한다. 두 번째 주요 근거는 요한복음 19:35에 기록된 요한복음 저자의 증언이다. 저자는 자신이 예수의 옆구리로부터 피와 물이 나오는 것을 보았다고 증언하며 자신의 증언이 참이라고 확증하는데, 이는 이 사건의 역사성을 보여주며 결과적으로 이 물이 문자적 물로 해석되어야 함을 뒷받침하는 근거가 된다. 마지막 세 번째 주요 근거는 이 문자적 물 해석이 이 복음서가 기록된 역사적 상황과도 잘 어울린다는 점이다. 요한복음이 기록될 당시에 요한 공동체에 가현설의 영향이 있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고, 피와 물에 대한 저자의 이 언급은 예수가 한 인간으로서 피와 물을 가졌음을 강조함을 통해 이 가현설의 영향에 대항하기 위한 의도가 있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Through this study, I suggest that the water in John 19:34 should be interpreted only as literal water. The study consists of two parts. In the first half, I examine the six main views of the water. Here are the six main views. First, this water should be interpreted as literal water. Second, this water symbolizes the Spirit. Third, this water refers to baptism. Fourth, the water at 19:34 is associated with the Passover. Fifth, in connection with Genesis 2, this water is interpreted as the image of Christ’s birth of the Church. Lastly, this water is deeply related to the incident of Moses’ striking the rock. In the latter part, based on the review of these six views, I conclude that the literal water view is the most convincing, and I present the seven reasons that led to this conclusion. Three key points of these seven ground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 propose to choose between literal reading and symbolic reading, rather than taking a both-and approach, as many scholars do, because literal reading and symbolic reading often create tensions. And based on other evidence, this study chooses literal reading. Second, the testimony of the evangelist in John 19:35 supports the literal water view. The evangelist testifies that he saw blood and water coming from Jesus’ side and even assures that his testimony is true. This means that this incident is a historical event and this water must be interpreted as literal water. Third, this literal interpretation coheres well with the historical situation in which this Gospel was written. In other words, it is very likely that the Johannine community was influenced by docetism at the time of composing this Gospel. Thus it is convincing to assume that the evangelist emphasized the humanity of Jesus by narrating this incident of Jesus flowing blood and water from his side to counteract the influence.

      • KCI등재

        요한복음의 서론과 요한복음 1:19-51의 관계

        송승인 ( Seung-in Song ) 한세대학교 영산신학연구소 2020 영산신학저널 Vol.0 No.53

        요한복음의 서론(1:1-18)과 본론(1:19-20:31)의 관계는 요한학계의 오랜 논쟁 중하나이다. 많은 학자들이 서론은 본론과 독립적인 부분이라고 생각함으로 이 두 부분은 다른 저자들에 의해 기록되었다고 주장한다. 이 학자들이 이렇게 주장하는 근거는 그들이 보기에 이 두 부분은 유사점들보다는 차이점들이 더 많기 때문이다. 이에 비해 일단의 학자들은 이 두 부분이 실제로는 많은 유사점을 가지고 있으며 차이점은 상대적으로 적다고 관찰한다. 이 오랜 논쟁에 기여하기 위해 필자는 이이슈에 대해 새롭게 접근했다. 이전의 연구들은 서론과 서론을 뺀 나머지 부분을비교하여 이 두 부분 간 어떤 연결점들이 있는지를 조사한 반면, 본 연구는 서론과 서론에 바로 이어지는 요한복음 1:19-51 간 관계에 집중한다. 이 연구를 통해 필자는 서론과 요한복음 1:19-51은 내러티브적으로 긴밀하게 짜여져 있다고 제안한다. 이 두 부분을 철저하게 분석한 결과 필자는 이 두 부분 간 전체 열 가지 연결점을 관찰했다(증언 주제, 보냄의 개념, “보다” 동사, 계시 개념, 그리스도의 선재 개념, 새창조 패러다임, 1:19-42은 1:6-8의 패턴을 따름, 세 단어(모세, 율법, 예수)를 공유함, 성전 모티프, 그리스도라는 단어). 필자는 또한 이 열 가지 연결점을 언어적 연결, 주제적 연결, 구조적 연결의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했다. 이 관찰을 통해 필자는 두 가지를 제안한다. 첫째, 서론과 본론은 동일 저자에 의해 기록되었다. 둘째, 서론 중1:6-8, 1:12c-13, 1:15, 1:17-18은 기존에 존재하던 시(소위 로고스 시)에 후대에 첨가된 부분이 아니다. The relation between the Prologue of the Fourth Gospel (John 1:1-18) and the body (John 1:19-20:31) is one of the long-running Johannine debates. Many scholars have held that the Prologue is an independent part of the body so that these two parts were composed by different authors. The ground for this contention is that they are thought to have more differences than similarities. On the contrary, a group of scholars observes that these two parts actually have a lot of continuity, and differences are relatively small. In order to advance this debate, I present a new approach. While the previous studies have compared the Prologue with the rest of the Gospel, examining what connection points exist between these two, the present study focuses on the relation between the Prologue and John 1:19-51, which immediately follows the Prologue. Through this study, I assert that the Prologue and John 1:19-51 are interwoven in the same narrative frame. Based on my analytical comparison, I have identified a total of ten connection points: testimony theme, sending concept, “see” verb, revealing concept, the concept of preexistence of Christ, new creation paradigm, 1:19-42 following the pattern of 1:6-8, sharing three words (Moses/the Law/Jesus), temple motif, and sharing the word Christ. I also classified them into three types: linguistic connections, thematic connections, and structural connections. These findings have led me to propose two suggestions. First, the Prologue and the body were composed by the same hand. Second, 1:6-8, 1:12c-13, 1:15, and 1:17-18 in the Prologue are not parts that were added to an original poem (the so-called “a Logos hymn”).

      • KCI등재

        상징/문자 결정 지표를 활용한 스가랴 14:8, 요엘 3:18, 에스겔 47:1-12에 등장하는 물의 의미에 대한 재고

        송승인(Seung-In Song) 한국구약학회 2020 구약논단 Vol.26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meaning of the outflow of water from the temple or Jerusalem as described in Zechariah 14:8, Joel 3:18, and Ezekiel 47:1-12. This study is divided into three main parts. In the first part, I briefly examined these three texts. In the second part, I reviewed eight main interpretations so far of water in the three texts (the historical earthly temple, the symbol of future hopes, the heavenly temple, the use of the image of the Garden of Eden, the Holy Spirit, the process of cleansing the earth as a preparation for true worship, the amniotic fluid being shed at birth, and the influence of 1 Kings 7:39). In the final third part, these eight interpretations were evaluated by the use of my literal/symbolic indicators that were identified in my doctoral dissertation. Each of these six indicators was applied to the three texts. Based on this application, I ruled out four symbolic interpretations of the eight candidates. Of the four remaining interpretations, I rated “the use of the image of the Garden of Eden” as the best option, which best matches the indicator of whether the proposed interpretation (literal or symbolic) fits the adjacent context. Based on this analysis, therefore, I interpret that the image of the outflow of water from the temple in Zechariah 14:8, Joel 3:18, and Ezekiel 47:1-12 indicates literal water flowing from the physical temple to be built in Jerusalem in the future. I also suggest that the authors of these three Old Testament books used this picture of the Eden image to portray this futuristic event.

      • KCI등재
      • KCI등재

        Wisdom Motifs in the Nicodemus Discourse (John 3:1-21)

        송승인 ( Seung-in Song ) 한국대학선교학회 2020 대학과 선교 Vol.45 No.-

        본 논문의 목적은 니고데모 담화가 지혜 모티프에 상당히 의존되어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필자는 이 담화에 등장하는 열 가지 지혜 모티프를 발견했다. 요한복음 3:3의 거듭남과 하나님의 나라를 봄의 개념은 지혜서 7:22-27과 10:10로부터 기원한 듯하다. 니고데모의 오해는 아마도 시락서 4:17-19로부터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요한복음 3:8의 바람과 성령의 배치는 전도서 11:5로부터 영향을 받았다. 지혜서 16:5-14이 요한복음 3:14-18의 광야의 놋뱀 이미지의 주된 배경이다. 이러한 관찰에 근거해 필자는 니고데모 담화가 지혜 모티프로 가득할 뿐만 아니라 지혜모티프의 빛 가운데서 더 잘 이해될 수 있다고 결론 내린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emonstrate the Nicodemus discourse’s indebtedness to sapiential motifs. I have identified ten wisdom motifs in the discourse. Rebirth and seeing the kingdom of God in John 3:3 seem to be originated from Wisdom 7:22-27 and 10:10. Nicodemus’ misunderstanding is probably influenced by Sirach 4:17-19. The juxtaposition of wind and the Spirit in John 3:8 is borrowed from Ecclesiastes 11:5. Wisdom 16:5-14 is the primary background of the image of the serpent in the wilderness in John 3:14-18. Based on these observations, I conclude that the Nicodemus discourse is not only full of wisdom motifs but also can be understood better in light of the sapiential motif.

      • KCI등재

        요한복음에 등장하는 이중 아멘 발언에 대한 연구

        송승인(Seung-In Song) 한국복음주의신약학회 2020 신약연구 Vol.19 No.4

        본 연구는 요한복음에 등장하는 이중 아멘에 대한 연구이다. 이제까지 이 주제를 다룬 연구는 2001년에 발표된 쿨페퍼(R. Alan Culpepper)의 소논문인 “The Origin of the ‘Amen, Amen’ Sayings in the Gospel of John” 한 편밖에 없을 정도로 이 주제에 대한 연구가 부족할 뿐만 아니라 쿨페퍼의 이 연구는 이중 아멘의 기원에 초점을 맞추었다. 따라서 이 쿨페퍼의 연구의 부족한 점을 보충하기 위해 본 연구는 이 발언의 위치적 특성, 내용적 특성, 장르적 특성, 기능 및 수사학적 효과를 검토했다. 내용적 특성에 관해서는 생명, 예언, 그리스도의 선재 사상 세 가지가 두드러짐을 제안했다. 장르적 특성에 관해서는 10:1과 12:24를 비유로, 13:16과 21:18을 잠언으로 분류했다. 마지막 기능 및 수사학적 효과에 관해서는 기존 학자들의 핵심 진술의 기능과 새로운 정보를 전달하는 기능에 더하여 강조의 기능을 새롭게 제안했다. This study is about double amen in the Gospel of John. Thus far, there has been only one article on this topic, “The Origin of the ‘Amen, Amen’ Sayings in the Gospel of John,” published by R. Alan Culpepper in 2001. This study focuses on the origin of double amen. Therefore, to make up for the shortcomings of this Culpepper s research, my study examined the locational characteristics, content characteristics, genre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and rhetorical effects of this saying. Regarding the content characteristics, three things were suggested: life, prophecy, and Christ s pre-existence. For genre traits, 10:1 and 12:24 were classified as parables, and 13:16 and 21:18 were classified as Proverbs. As for functions and the rhetorical effects, I propose the function of emphasis in addition to the function of conveying new information and the function of the core statements that scholars have proposed thus far.

      • KCI등재

        임신 제1 삼분기 불일치 쌍태임신의 임상적 결과

        송승은 ( Seung Eun Song ),고옥진 ( Ok Jin Ko ),조현지 ( Hyun Ji Cho ),서은성 ( Eun Sung Seo ),정경란 ( Kyung Lan Jung ),최석주 ( Suk Joo Choi ),오수영 ( Soo Young Oh ),노정래 ( Cheong Rae Roh ),김종화 ( Jong Hwa Kim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0 No.12

        목적: 임신 제 1 삼분기 불일치 쌍태임신의 임신결과 및 주산기 예후를 임신 제 2 삼분기 이후 발생한 불일치 쌍태임신 및 일치 쌍태임신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875예의 쌍태임신 중 임신 제 1 삼분기에 시행한 초음파 자료가 있는 797예를 대상으로 후향성 조사를 하였다. 연구대상군은 (1) 임신 10주에서 14주 사이 쌍태아간 머리엉덩이길이가 5일 이상 차이나는 경우 (임신 제 1 삼분기 불일치 쌍태임신군 32예), (2) 임신 20주에서 28주 사이에 20 mm 이상의 태아 복부둘레 차이가 발생한 경우 또는 임신 29주 이후 25% 이상의 쌍태아간 체중차이가 발생한 경우 (임신 제 2-3 삼분기 불일치 쌍태임신군 42예), (3) 임신 전 기간에 걸쳐 불일치가 없었던 경우 (일치 쌍태임신군 723예)로 각각 분류하였다. 두 쌍태아 중 한 명 이상에서 주요 선천성기형, 태아성장지연, 자궁내 태아사망발생 유무를 주요변수로 하여 세 군의 주산기 예후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세 군의 인구학적 특성 및 융모막성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전반적으로 임신 제 2-3 삼분기 불일치 쌍태임신군은 일치 쌍태임신군에 비해 주산기 합병증의 빈도가 높았다. 선천성기형의 발생빈도는 임신 제 1 삼분기 불일치 쌍태임신군이 임신 제 2-3 삼분기 불일치 쌍태임신군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나 (21.9% vs. 11.9%, p<0.001) 태아성장지연의 빈도는 임신 제 2-3 삼분기 불일치 쌍태임신군이 임신 제 1 삼분기 불일치 쌍태임신군보다 높았다 (32.3% vs. 71.8%, p<0.01). 선천성기형, 태아성장지연 및 자궁내 태아사망의 빈도는 모두 임신 제 1 삼분기 불일치 쌍태임신군이 일치 쌍태임신군보다 높았다 (21.9% vs. 3.5%, p<0.001, 32.3% vs. 9.1%, p<0.01, 6.3% vs. 1.0%, p<0.05). 결론: 임신 제 1 삼분기 불일치 쌍태임신은 선천성기형, 태아성장지연, 자궁내 태아사망의 위험이 증가하며 따라서 임신 제 2 삼분기 이후 발생한 불일치 쌍태임신과 마찬가지로 고위험 임신으로 간주해야 한다. Objective: To compare the clinical outcomes of first trimester discordant twins with second or third trimester discordant twins and concordant twins. Methods: Pregnancy outcomes of twin pregnancies delivered from October 1994 to February 2006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Subjects were categorized into following three groups: 1) group 1, first trimester discordant twins defined as intertwin CRL difference ≥5 days at 10-14 weeks of gestation (n=32), 2) group 2, second or third trimester discordant twins defined as intertwin AC difference >20 mm at 20-28 weeks of gestation or intertwin fetal weight difference >25% beyond 29 weeks of gestation (n=42), 3) group 3, concordant twins with no discordancy throughout the whole gestation (n=723). Perinatal complications analyzed for were congenital anomaly, fetal growth restriction (FGR), fetal death in utero (FDIU). Results: The three groups were similar with respect to maternal characteristics and chorionicity. Overall, the group 2 had higher perinatal complications compared to the group 3. Congenital anomaly was more common in the group 1 than the group 2 (21.9% vs. 11.9%, p<0.001). However, FGR rate was higher in the group 2 than the group 1 (32.3% vs. 71.8%, p<0.01). Congenital anomaly, FGR and FDIU were more common in the group 1 compared to the group 3 (21.9% vs. 3.5%, p<0.001, 32.3% vs. 9.1%, p<0.01, 6.3% vs. 1.0%, p<0.05, respectively). Conclusions: First trimester discordant twins have an increased risk of congenital anomaly, FGR and FDIU, and therefore, they should be regarded as a high-risk pregnancy likewise second or third trimester discordant twins.

      • KCI등재

        요한복음 6:1-7:52의 οἱ Ἰουδαῖοι와 ὄχλος 사이의 관계

        송승인(Seung-In Song) 한국복음주의신약학회 2021 신약연구 Vol.20 No.3

        본 연구는 요한복음 6:1-7:52의 οἱ Ἰουδαῖοι와 ὄχλος사이의 관계에대해 연구한다. 학자들은 본문에서 이 두 용어가 같은 그룹을 가리키는지 아니면 다른 두 그룹을 가리키는지에 관해 논쟁한다. 본 연구는이 논쟁에 일정 부분 공헌한다. 이 본문에 대한 필자의 내러티브적언어적 분석에 기초하여 필자는 본문에서 οἱ Ἰουδαῖοι는 동일한 의미를 유지하며 이 두 용어는 서로 분명하게 구별되어야 함을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 파생되는 결과는 요한복음 내 유대인들의 정체이다. 요한복음 6:1-7:52의 οἱ Ἰουδαῖοι에 대한 관찰에 근거하여 필자는 이 용어가 일반 유대인 백성들(무리)에 비하여 토라에 대한 우월한 지식과열정을 소유한 특정한 그룹을 가리킨다고 제안한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relation between οἱ Ἰουδαῖοι and ὄχλος in John 6:1-7:52. The debate is whether these two terms refer to the same group or two different groups in the passage. This article makes a contribution to the debate. Based on my narratological and linguistic analysis on this passage, I suggest that οἱ Ἰουδαῖοι is used consistently in the passage and that these two terms should be sharply distinguished each other. A spin-off result of the present study is the identity of the Johannine Jews. Based on my observations on οἱ Ἰουδαῖοι in 6:1-7:52, I also propose that this term refers to a specific group who possessed a superior knowledge about the Torah and zeal for it compared to common Jewish people (the crow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