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피고인에게 불리한 판례변경과 소급효금지원칙

        송승은(Song, Seung-Eun)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2007 圓光法學 Vol.23 No.1

        Der zeitliche Geltungsbereich der Strafgesetze wird festgelegt durch das Rückwirkungsverbot. Die Strafbarkeit muß gesetzlich bestimmt gewesen sein, bevor die Tat begangen wurde. Unzulässig sind rückwirkende Strafgesetze, die die Strafbarkeit begründen oder verschärfen. Der Grund des Rückwirkungsverbots liegt im Unterscheid zu den drei anderen Auswirkungen des Gesetzlichkeitsprinzips nicht in der demokratischen Legitimation der Strfgesetze, denn durch das Rückwirkungsverbot wird die Entscheidungsfreiheit des Gesetzgeber gerade eingeschränkt. Erheblich umstritten ist, ob das Rückwirkungsverbot auch für eine Änderung der Rechtsprechung zuungunsten des Beschuldigten gilt. Im rechtstheoretischen Bezugsrahmen handelt es auch um einen Zielkonflikt zwischen der Wahrung der Rechtssicherheit auf der einen und der Ermöglichung der Rechtsfortbildung auf der anderen Seite. Rechtsprechung und h.L. halten die Aburteilung des Beschuldigten nach der später strengeren Auffassung für zulässig und wollen nur durch Zubilligung eines Verbotsirrtum helfen. Damit wird das Ergänzungsverhältnis zwischen dem Gesetz und seiner Auslegung verkannt. Ein starker Umschwung in der Rechtsprechung wiegt u.U. schwerer als eine geringfügige Gesetzesänderung. Nur dann ist die Rechtswirklichkeit des Strafgesetzes Magna Charta, wenn für die das Gesetz entfaltende Auslegung das gleiche gilt, was für den Gesetzesbuchstaben in Anspruch genommen wird. Und der Bürger vertraue auf eine feste Rechtsprechung wie auf das Gesetz und dürfe in diesem Vertrauen nicht enttäuscht werden. Dem ist aber nicht zu folgen, weil es den Grundgedenken des Gesetzlichkeitsprinzips widerstreitet. Der Bürger braucht nicht die Rechtsprechung zu kennen (das wäre schon für die meisten Juristen eine Überforderung!) und soll sich auch nicht auf sie, sondern auf den Gesetzeswortlaut verlassen. Da Rechtsprechungsänderungen sich im Bereiche des möglichen Wortsinns halten müssen, sind sie ohnehin tendenziell weniger einscheidend und besser vorhersehbar als Gesetzesänderungen, und der Einzelne kann und muss sich in manchen Fällen auf sie einstellen. Es gibt viele Handlungen, bei denen der Täter sich in nicht vorwerfbarer Weise auf eine bestimmt Rechtsprechung verlassen und z.B. noch eigens Rechtsrat eingeholt hatte. Dann darf er für seine Rechtstreue bei einer späteren Rechtsprechungsänderung sicherlich nicht noch bestraft werden. Aber in einem solchen Fall muss ohnehin ein Freispruch wegen unverschuldeten Verbotsirrtum(§ 16 koreanisch StGB) erfollgen.

      • KCI등재후보

        사기죄의 처분행위와 처분의사

        송승은(Song, Seung-Eun) 한국법이론실무학회 2018 법률실무연구 Vol.6 No.3

        사기죄는 사람을 기망하여 재물의 교부를 받거나 재산상의 이익을 취득하거나 제3자로 하여금 취득하게 함으로써 성립한다. 사기죄가 성립하려면 기망행위, 피기망자의 착오와 처분행위, 재물의 교부 또는 재산상의 이익 취득, 그리고 재산상의 ‘손해발생’이 있어야 한다. 여기서 처분행위란 피기망자가 그 의사에 기초하여 직접 재산상 손해를 초래하는 작위 · 부작위 또는 수인을 말한다. 재물에 대한 처분행위는 점유를 이전하는 교부이고, 재산상 이익에 대한 처분행위는 재산상 이익의 이동으로 직접 손해를 야기하는 작위 또는 부작위이다. 처분행위는 기술되지 아니한 구성요건요소로서 기망에 의한 착오와 재산상의 손해라는 사기죄의 요건을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자기손상행위인 사기와 타인손상행위인 절도를 구별하기 위해 처분행위의 요소로서 처분의사가 필요하다. 그리고 처분의사의 내용은 사기죄가 본래 피기망자로 하여금 처분행위의 결과를 모르게 속이는 것을 내용으로 하는 범죄라는 점과 자기손상범죄로서의 사기죄의 본질로부터 처분결과에 대한 인식이 요구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에서 처분행위 인식설이 타당하다. 이에 따라 서명사취 사례와 환급금 사기의 경우 피기망자는 처분문서에 관한 서명 · 날인행위 또는 현금인출기 작동행위를 한다는 인식이 있으므로 처분의사가 인정되어 사기죄가 성립한다. 다만 환급금 사기의 경우 특별법인 통신사기피해환급법이 우선 적용된다. A person who defrauds another, thereby taking property or obtaining pecuniary advantage from another, shall be punished by imprisonment for not more than ten years or by a fine not exceeding 20 million won. For fraud to take place, there must be deceptive behavior, error and disposition of the defrauded person, the pecuniary advantage or property, and the occurrence of damage. The act of disposition refers to the act or omission of a person who causes the damage directly to the property based on the will. Disposition acts as a component element that is not described, and functions to link the requirements of fraud, such as error and property damage. It is also necessary to dispose of fraud as an element of disposition to distinguish fraud as a self-damaging act from theft as a damaging act. Fraud is an offense that essentially involves deceiving a defrauded person without knowing the consequences of the disposition. And the nature of fraud, which is a self-damage offender, does not require recognition of the consequences of disposition. So the disposition behavior awareness theory is valid. In the cases of signature swindling and refund fraud the defrauded person is aware of the fact that he/she is signing and sealing the disposal document or acting as an ATM. In this cases, the intention of disposition is recognized and a crime of fraud is established. In the latter case, ‘the special act on the prevention of loss caused by telecommunications-based financial fraud and refund for loss’ is applied before the Criminal Code.

      • KCI등재

        인질범죄의 처벌에 관한 형사법상 제규정의 검토

        송승은 ( Seung Eun Song )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11 홍익법학 Vol.12 No.1

        인질범죄는 사회적으로 큰 반향을 불러일으키며 불안심리를 확산시키고, 인질이 사망하는 등의 최악의 상황이 나타날 수 있는 강력범죄에 속한다. 세계 각국은 이러한 인질범죄에 대한 상세하고도 구체적인 입법 등을 통하여 적극적인 대응을 하고 있다. 우리의 경우도 형법 및 특별법상의 제규정을 통하여 인질범죄에 대처하고 있으나, 몇 가지 점에서 문제점이 발견되고 있다. 주요국가의 인질범죄 관련법규와 우리의 제규정들을 검토한 결과 문제점 및 개선안은 다음과 같다. 우선 형법상 인질강요죄는 그 본질상 재산죄에 속하는 것이 아니므로 외국의 입법례에서 보듯이 개인의 자유에 관한 죄의 장에서 규율해야 한다. 인질강도죄의 경우에도 그 법적 성격이 공갈죄의 가중된 구성요건에 해당하므로, 강도의 죄의 장보다는 공갈의 죄의 장에서 규정하는 것이 그 본질에 부합할 것이다. 또한 인질강도죄는 3자 관계를 전제함으로써 인질인 당사자에 대한 강요행위를 포함하지 못하므로 이에 대한 재검토가 있어야 한다. 그리고 형사특별법상의 인질범죄조항은 당시 여론에 의해 졸속으로 마련된 것이고, 별다른 문제없이 형법에 편입될 수 있으므로 삭제되어야 한다. 또한 흉기휴대 또는 2인이상 합동으로 범한 인질범죄는 그 강폭성과 집단성으로 인하여 일반인질범죄에 비해 불법이 가중된 범죄이므로, 이에 대한 조항의 신설이 요구된다. 아울러 우리 형사법체계에서는 항공기 또는 선박내에서 행하는 인질범죄에 대한 처벌조항이 없으므로, 이를 신설하여 국제인질테러행위에 대한 적극적 예방과 처벌을 위한 사법권확보를 하여야 한다. A hostage is a person or entity which is held by a captor. In modern days, it means someone who is seized by a criminal abductor in order to compel another party such as a relative, employer or government to act, or refrain from acting, in a particular way, often under threat of serious physical harm to the hostage(s) after expiration of an ultimatum. A party which seizes hostages is known as hostage-taker. Taking hostages is today considered a crime or a terrorist act. Hostage taking is still often politically motivated or intended to raise a ransom or to enforce an exchange against other hostages or even condemned convicts. It will not pay ransom, release prisoners, change its policies, or agree to other acts that might encourage additional terrorism. Under Korea Criminal Law, any person who arrests, confines, captures or entices another person as hostage, and interferes with exercise of right by a third person, or makes one do any unobliged work, shall be punished by imprisonment for definite term of three or more years. But if a person who has committed the hostage crime or who has attempt the crime, releases the hostage to a safe place, the punishment may be mitigated. And any person who arrests, confines, captures or entices another person as hostage, and acquires any property or benefits to property, or has a third person acquire them, shall be punished by imprisonment for definite term of three or more years. The Republic of Korea must seeks effective judicial prosecution and punishment for terrorists and criminals victimizing the Korea Government or its citizens and use all legal methods to these ends, including extradition. However, Korean Law is not adequate to crack down on hostage-taking effectively. In order to contribute a help to prevent of hostage crime, Korean Criminal Law has to be somewhat revised and the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criminal justice has to be more closely fixed.

      • KCI등재

        영국의 범죄피해자보상제도에 대한 소고

        송승은(Song, Seung-Eun) 한국피해자학회 2012 被害者學硏究 Vol.20 No.2

        At the start of the 21st century, the UK has one of the most developed arrangements for victims protection and compensation. In the UK the criminal victim may be able to get compensation from the criminal through a criminal court(Compensation Order) or from the government if you are the victim of a violent crime(Criminal Injuries Compensation Scheme). First, both the magistrates and the Crown Court have a discretionary power to make an order requiring a convicted defendant to pay compensation for any personal injury, loss or damage resulting from the offence in accordance with the provisions of the Power of Criminal Courts (Sentencing) Act 2000. The maximum sum that can be awarded by magistrates is £5,000 in respect of each offence. the Crown Court can order an unlimited sum to be paid as compensation. An order can be made in favour of the relatives and dependants of a deceased person, in respect of bereavement and funeral expenses. A compensation order can be imposed alongside a separate sentence or as a penalty in its own right. Where both a fine and a compensation order are appropriate but the offender lacks the means to pay both, the compensation order payments will take priority. In making the order, the court must have regard to the defendant's means. The offender may apply for review of the compensation order at any time before the whole of the money under the order has been paid. Second, a restitution order is designed to restore to a person entitled to them goods which have been stolen or otherwise unlawfully removed from him, or to restore to him a sum of money representing the proceeds of the goods, out of money found in the offender's possession on apprehension(the Power of Criminal Courts (Sentencing) Act 2000, s.148). There is no requirement under these provisions that account should be taken of the offender's means. Third, the Criminal Injuries Compensation Scheme is a fund which has been set up by the government to provide compensation to people who have suffered personal injury as a result of an assault or other violent offence which has been committed against them. Getting compensation form the scheme does not depend on someone being convicted of a criminal offence. The fund is controlled by the Criminal Injuries Compensation Authority, which is a government organisation responsible for processing claims for compensation and deciding how much compensation should be awarded in each individual case. Financial loss can include lost earnings due to time being off work, medical bills and expenses and the cost of providing special equipment to help rehabilitate you after your injury. The Criminal Injuries Compensation authority has a minimum award of £1000 and if the injury and financial loss are worth less than this, the applicant will not receive any compensation. The maximum award which the tribunal can make is £500,000. It is possible to appeal against a decision not to award compensation, or to limit the amount of compensation awarded. When a decision is appealed, the authority will first arrange for a review. If the review results in the same outcome as the original decision, it is possible to appeal against the decision to the First-tier Tribunal.

      • KCI등재
      • KCI등재

        임신 제1 삼분기 불일치 쌍태임신의 임상적 결과

        송승은 ( Seung Eun Song ),고옥진 ( Ok Jin Ko ),조현지 ( Hyun Ji Cho ),서은성 ( Eun Sung Seo ),정경란 ( Kyung Lan Jung ),최석주 ( Suk Joo Choi ),오수영 ( Soo Young Oh ),노정래 ( Cheong Rae Roh ),김종화 ( Jong Hwa Kim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0 No.12

        목적: 임신 제 1 삼분기 불일치 쌍태임신의 임신결과 및 주산기 예후를 임신 제 2 삼분기 이후 발생한 불일치 쌍태임신 및 일치 쌍태임신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875예의 쌍태임신 중 임신 제 1 삼분기에 시행한 초음파 자료가 있는 797예를 대상으로 후향성 조사를 하였다. 연구대상군은 (1) 임신 10주에서 14주 사이 쌍태아간 머리엉덩이길이가 5일 이상 차이나는 경우 (임신 제 1 삼분기 불일치 쌍태임신군 32예), (2) 임신 20주에서 28주 사이에 20 mm 이상의 태아 복부둘레 차이가 발생한 경우 또는 임신 29주 이후 25% 이상의 쌍태아간 체중차이가 발생한 경우 (임신 제 2-3 삼분기 불일치 쌍태임신군 42예), (3) 임신 전 기간에 걸쳐 불일치가 없었던 경우 (일치 쌍태임신군 723예)로 각각 분류하였다. 두 쌍태아 중 한 명 이상에서 주요 선천성기형, 태아성장지연, 자궁내 태아사망발생 유무를 주요변수로 하여 세 군의 주산기 예후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세 군의 인구학적 특성 및 융모막성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전반적으로 임신 제 2-3 삼분기 불일치 쌍태임신군은 일치 쌍태임신군에 비해 주산기 합병증의 빈도가 높았다. 선천성기형의 발생빈도는 임신 제 1 삼분기 불일치 쌍태임신군이 임신 제 2-3 삼분기 불일치 쌍태임신군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나 (21.9% vs. 11.9%, p<0.001) 태아성장지연의 빈도는 임신 제 2-3 삼분기 불일치 쌍태임신군이 임신 제 1 삼분기 불일치 쌍태임신군보다 높았다 (32.3% vs. 71.8%, p<0.01). 선천성기형, 태아성장지연 및 자궁내 태아사망의 빈도는 모두 임신 제 1 삼분기 불일치 쌍태임신군이 일치 쌍태임신군보다 높았다 (21.9% vs. 3.5%, p<0.001, 32.3% vs. 9.1%, p<0.01, 6.3% vs. 1.0%, p<0.05). 결론: 임신 제 1 삼분기 불일치 쌍태임신은 선천성기형, 태아성장지연, 자궁내 태아사망의 위험이 증가하며 따라서 임신 제 2 삼분기 이후 발생한 불일치 쌍태임신과 마찬가지로 고위험 임신으로 간주해야 한다. Objective: To compare the clinical outcomes of first trimester discordant twins with second or third trimester discordant twins and concordant twins. Methods: Pregnancy outcomes of twin pregnancies delivered from October 1994 to February 2006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Subjects were categorized into following three groups: 1) group 1, first trimester discordant twins defined as intertwin CRL difference ≥5 days at 10-14 weeks of gestation (n=32), 2) group 2, second or third trimester discordant twins defined as intertwin AC difference >20 mm at 20-28 weeks of gestation or intertwin fetal weight difference >25% beyond 29 weeks of gestation (n=42), 3) group 3, concordant twins with no discordancy throughout the whole gestation (n=723). Perinatal complications analyzed for were congenital anomaly, fetal growth restriction (FGR), fetal death in utero (FDIU). Results: The three groups were similar with respect to maternal characteristics and chorionicity. Overall, the group 2 had higher perinatal complications compared to the group 3. Congenital anomaly was more common in the group 1 than the group 2 (21.9% vs. 11.9%, p<0.001). However, FGR rate was higher in the group 2 than the group 1 (32.3% vs. 71.8%, p<0.01). Congenital anomaly, FGR and FDIU were more common in the group 1 compared to the group 3 (21.9% vs. 3.5%, p<0.001, 32.3% vs. 9.1%, p<0.01, 6.3% vs. 1.0%, p<0.05, respectively). Conclusions: First trimester discordant twins have an increased risk of congenital anomaly, FGR and FDIU, and therefore, they should be regarded as a high-risk pregnancy likewise second or third trimester discordant twins.

      • KCI등재

        한국 영화산업의 수직통합 및 독과점화에 대한 공법적 대응

        송승은 ( Song Seung-eun )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홍익법학 Vol.17 No.4

        현재 우리나라의 영화산업은 제2의 르네상스 시대를 맞이했다고 할 정도로 놀라운 성장을 하고 있다. 그러나 그 이면에는 소수의 대기업 계열사들이 영화의 제작 및 배급과 상영의 수직적 결합을 통하여 한국 영화시장을 지배하는 기형적 구조가 자리 잡고 있다. 이러한 자본의 횡포는 유통질서의 황폐화와 건전한 영상문화의 상실을 가져오고, 독립·예술영화 등 작은 영화시장을 위축시켜 영화문화의 다양성을 훼손시키고 종국에는 영화산업 전체의 불균형을 심화시킨다. 미국은 일찍이 연방대법원 판결(1948년)을 통하여 메이저 영화사들의 수직통합을 해체시켰고, 프랑스는 스크린점유율을 제한(30%미만)하고 있으며, 독일은 예술영화전용상영관 지원제도를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이 같은 제도 장치가 미비하다. 스크린 독과점을 해소하고 영화 다양성을 증진시켜야 한다는 의견은 지난 수년간 한국 영화계의 화두였다. 영화시장의 자정능력은 이미 그 기능을 상실하였고, 규제를 위한 입법은 결실을 맺지 못하였으며, 공정거래위원회의 제재 등도 실효를 거두지 못하였다. 그러므로 이제는 특정 영화의 스크린 상영 독과점을 막고 영화다양성을 구현할 수 있는 법적 수단을 마련하고 시행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헌법상 문화국가원리와 문화평등권을 실현하기 위해 제정된 문화기본법의 기본이념에 입각하여, 멀티플렉스 영화관에 1-2개 상영관을 영화기금의 지원 아래 작은 영화 전용관으로 지정·운영하게 하고, 다음에 멀티플렉스에서 특정 영화가 전체 스크린의 30% 이상을 점유하는 것을 금지하고 이를 정기적으로 그 이행여부를 확인하여 영화제작자와 수용관객이 상호 공존하고 영화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를 영화 및 비디오물의 진흥에 관한 법률에 반영하여 법적 구속력을 확보해야 할 것이다. 이 경우 위헌의 소지가 있다는 비판이 있으나, 우선 직업선택의 자유는 자유경쟁의 원칙을 전제로 하는 것이므로 특정 기업이나 직종의 독점은 이와 양립할 수 없고, 방송법이나 인터넷멀티미디어방송사업법과 같은 미디어 법에서도 스크린 점유율 제한과 유사한 시청자 점유율 제한 규정을 두고 있으므로 평등권을 침해한다고 볼 수 없으며, 헌법 제119조 제2항의 경제질서 조항의 해석상 그것이 자유방임적 시장경제질서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므로 스크린 점유율 제한이 우리 헌법상의 경제질서에 위배된다고 볼 수 없다. 또한 스크린 점유율 제한은 경제공동체의 이익을 위한 목적에서 비롯된 것이므로 메이저 영화사들의 행복추권을 침해하는 것도 아니다. In the early 2000s, Korean multiplex chains, CGV, Lotte cinema and Megabox were vertically combined, from investment/production to distribution/screening. They have dominate Korean film industry until today. The cinema market under the control of these multiplex chains, accounts for more than 80% of the total sales. These vertically combined companies are expanding their profits with extreme wide release. We call this current situation screen monopoly and oligopoly. It is one of the most debated issues in this industry. It is not easy to reorganize the order of this market because it is keeping the balance in the black. However, we need to examine this imbalanced market to make it fair. France could provide a good example of the growth and distribution in this industry with the aid of cinema support policy. This study deals with some problems resulted from vertical cartel. It tends to submit alternative proposals for the future of the Korean cinema market and film industry. Since 2008, the correction orders of The Fair Trade Commission has affected partial changes, yet there are problems to be solved by voluntary agreements of film makers and distributors. The Korea Film Council showed efforts to regulate unfair practices by providing standard terms and conditions but still the problem is that there is no institution that could force to apply and activate such reform. Thus it is time to reestablish the concept of diversity in film industry and enact an influential legal policy to actually limit the monopolies of film distribution and multiplex screening business. This will help the audience enjoy various movies and prevent film industry disruptions.

      • KCI등재

        항공기범죄에 대한 형사법적 대응방안

        송승은(Song Seung Eun) 한국형사정책학회 2017 刑事政策 Vol.29 No.1

        We have come to rely tremendously on the convenience afforded by air travel, however as much as advancements in air travel have made better more convenient for us, we cannot fail to look at the other side of it. The rise air traffic improved the impetus of terrorist groups providing them with a new objective and another means for acts of violence and crime. This study will look at the structure of a legal system that will aid aviation security and prevent hijacking and implement this system as a legal mechanism for the prevent of terrorism in the air. The current Aviation Safety Act, and Aviation Security Act seems to have many problems which do not meet the practical needs in Korea, because there were not enough consideration on civil aviation system in Korea, but only regarded the relevant international conventions and foreign practices on it. Now it is necessary to amend several provisions in Aviation Safety Act, and Aviation Security Act to enhance more practical efficiencies in its implementation through systematization of the provisions on crime which may happen during aviation. UAVs(Drones) are used attack aircrafts equipped with weapons like missile. The legal problems and conflicts with other legal system that can occur with the increasing uses if the UAVs. The new effective regulation in domestic legal system on the use of the UAVs must be needed. The universality principle is applicable to the aircraft crime as the hostage crime, and if a person who has committed the crime of hostage taking after aircraft hijacking, the punishment must be strengthen.

      • KCI등재
      • KCI등재

        무인항공기범죄에 대한 형사법적 대응방안

        송승은(Song, Seung Eun)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원 2021 성균관법학 Vol.33 No.2

        조종사가 탑승하지 않고 원격조정으로 항행할 수 있는 무인항공기(드론)은 처음에는 정찰·감시 등 군사적 목적으로 활용되었으나 근래에 들어 미사일 등 각종 무기를 장착하여 공격기로 활용되고 있다. 이는 국가안보에 대한 위협뿐만 아니라 사생활 침해는 물론 여타 범죄에 악용될 가능성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무인항공기범죄에 대해서는 기존의 법규범이 적절한 대응을 못하고 있는 실정이므로 이에 대항 효율적인 법적 규제가 중요하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항공기범죄에 대한 법적대응은 항공안전법, 항공보안법, 형법을 통해서 할 수 있지만, 이들 규정은 유인항공기를 전제로 한 것이라서 무인항공기범죄에 적용하기가 곤란하다. 따라서 현행 유인항공기범죄들 가운데 무인항공기범죄에도 적용할 수 있는 구성요건들에서 ‘사람의 현존’요건을 삭제한 후, 유사하거나 중첩되는 (무인)항공기범죄 구성요건들을 재정비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무인항공기범죄 대응법제를 정비하는 방식으로, 별도의 법률을 제정하거나 현행 항공관련법상 유인항공기 규정에 별도의 장을 신설하는 등의 방식이 거론되고 있으나, 항공기범죄에 대한 특별법의 규정을 형법에 편입하여 형법이 형사기본법으로서의 역할을 다하게 하려는 요구를 반영한 1992년 형법개정안을 응용하여, 항공업무상 행위준칙과 항공보안관련규제조항을 제외한 항공안전법과 항공보안법상에 산재되어 있는 항공기범죄 처벌조항 가운데 일부는 ‘항공기내 사람의 현존’ 요건을 삭제한 후 형법전으로 편입하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국경을 손쉽게 넘나들고 원격성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항공기범죄의 국제범죄성을 인정하여 세계주의 규정을 둘 필요가 있다. 또한 무인항공기(드론)의 기술 발달로 인하여 이를 이용한 납치 및 인질억류도 충분히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이렇게 무인항공기를 이용한 인질범죄는 일반 무인항공기 범죄에 비하여 사람의 생명, 신체에 대한 위험을 현저히 증가시켜 불법이 가중된 것이므로 가중처벌조항의 신설이 요구된다. Unmanned aerial vehicle crime can be defined as the case of committing terrorism and crime against or using an unmanned aerial vehicle (drone). The unmanned aerial vehicle, which was launched for military use such as reconnaissance and surveillance, has recently been used as an attacker with various weapons such as missiles. In addition to threats to national security, there can be issues such as invasion of privacy and the possibility of abuse in other crimes. Moreover, existing laws and regulations do not adequately respond to the rapid and limitless development of drone technology. Therefore, legal regulation is important. In Korea, criminal law on aircraft crime can be dealt with through the Aviation Safety Act, Aviation Security Act, and Criminal Code. However, the provisions of the aircraft crime penalty provisions of these laws are difficult to apply to unmanned aerial vehicle crimes because they were established on the basis of manned aircraft before the development of unmanned aerial vehicles. Therefore, after removing the requirement of man s presence from the current aviation law, the unmanned aerial vehicle crime composition requirements will need to be rearranged. In addition unmanned aerial vehicles are recognized for their international criminality, which easily cross borders and are characterized by remoteness. Therefore, there is also a need to define Universal Jurisdiction for unmanned aerial vehicle crimes. It is also possible to detain hostages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s, so regulation is also requi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