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한국과 중국 시각장애 학생 직업교육과 관련된 동향 연구 -2010년부터 2019년까지 학술지 중심으로-

        송건,정진자,만문정,사가선,송설비,이사,장량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19 시각장애연구 Vol.35 No.4

        본 연구는 2010년부터 2019년까지 한국과 중국의 시각장애 학생 직업교육의 연구 동향을 고찰하여 시각장애 학생 직업교육의 연구분야에 대한 향후 연구 과제 및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과 중국의 시각장애 학생 직업교육과 관련된 2010년부터 2019년까지의 학술지 논문 32편(한국 8편, 중국 24편)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은 2인 연구가, 중국은 1인 연구가 많았다. 둘째, 한국과 중국 모두 대학교수가 실시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셋째, 한국과 중국 모두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한국과 중국 모두 단순시각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많았다. 다섯째, 한국은 조사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중국은 문헌연구가 가장 많았다. 여섯째, 한국은 인식 및 만족도에 대한 연구주제가, 중국은 적용(프로그램)에 대한 연구주제가 많이 이루어졌다. 한국은 중학생, 고등학생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인식 및 만족도를 주제로 한 연구가 많았으며, 중국은 중학생, 고등학생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적용(프로그램)을 주제로 한 연구가 많았다. 한국은 조사연구와 질적연구를 사용하여 인식 및 만족도를 주제로 한 연구가, 중국은 조사연구, 질적연구와 문헌연구를 사용하여 적용(프로그램)을 주제로 한 연구가 많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을 토대로 향후 시각장애 학생 직업교육과 관련된 연구에서 한국과 중국 모두 실제적인 실험연구 등 다양한 연구방법의 확대와 시각장애 학생의 학교급별과 연령에 적절한 직업교육의 연구주제, 내용의 다양화 등을 고려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trends and experiences of vocational education for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in Korea and China from 2010 to 2019. In other words, 32 journal papers(8 Koreans and 24 Chinese) from 2010 to present related to vocational education of blind students in Korea and Chin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Korea has the largest number of two-person studies, and China has the largest number of one-person studies. Second, Korea and China have the most research conducted by university professors. Third, both Korean and Chinese students showed a lot of research on college students. Fourth, both Korea and China have more researches for students with simple visual impairment than those with visual impairment. Fifth, Korea has the most survey research, and China has the most literature research. Sixth, Korea has done a lot of research on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research topics, and China has done a lot on application (program) research topics. Many studies on cognition and satisfaction of middle school, 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s appeared in Korea, and many studies on application (program) in middle school, 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s appeared in China. Korea has found that many studies have focused on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using survey research and qualitative research. While China has many studies on application (program) using research, qualitative research and literature research. Based on these findings, in future research on vocational education for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Korea and China have expanded various research methods, including practical experimental studies, and diversifying the research topics and contents of vocational education appropriate for school level and age of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 KCI등재

        ‘시각장애연구’ 학술지의 최근 연구 동향 분석

        송건,정진자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20 시각장애연구 Vol.36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udies related to visual impairments published in the journal ‘The Korean Journal of Visual Impairment’ and present future research tasks and trends in the field of visual impairments. Method: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113 papers related to visual impairments were analyzed in the journal ‘The Korean Journal of Visual Impairment’ in the last 5 years(2015-2019). Results: First, the number of authors was the largest in single research and two joint research, and each author was found to publish about 0.5 papers. Second, there were many professors as the first authors. Third, there were many studies on visually impaired students. Fourth, research subjects were found to have many research subjects related to education. Fifth, there were many survey research on the research types. Sixth, the types of research based on the research subject had many research and literature studies in the studies related to the subject education. Conclusi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suggested the direction of research in the journal ‘The Korean Journal of Visual Impairment’ by presenting future research tasks and trends for the study on visual impairment.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각장애연구’ 학술지에 게재된 시각장애와 관련된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향후 시각장애 분야의 연구 과제 및 연구 경향을 제시하는 것이었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최근 5년(2015년-2019년)의 ‘시각장애연구’ 학술지에서 나타난 시각장애와 관련된 논문 113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저자 수는 1명 단독연구와 2명 공동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저자 1명당 약 0.5편의 논문을 게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제1저자 신분은 교수가 많았다. 셋째, 연구대상은 시각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많았다. 넷째, 연구주제는 교과교육과 관련된 연구주제가 많이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연구유형은 조사연구가 많았다. 여섯째, 연구주제에 따른 연구유형의 경우, 교과교육 관련 연구는 조사연구 및 문헌연구를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결론: 이상의 연구결과는 향후 시각장애 관련 연구 과제 및 연구 경향을 제시하여 ‘시각장애연구’ 학술지의 연구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증거기반 실제의 질적 지표에 근거한 장애학생 진로 및 직업교육 관련 단일대상연구 경향 분석

        송건,정진자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21 장애와 고용 Vol.31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effect size, and the characteristics of quality indicators based on evidence-based practice of single subject research related to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Method: For this purpose, 24 papers published in journal for January 2010 to September 2020 were analyzed. Results: First, as a result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ere may studies of high school students, students for disabilitie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students of special education schools. The number of subjects was large in 3 cases. Many research sites were conducted together in classrooms and communities, and the research session were more than 20 to less than 30 times. There were may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subjects for research design. The independent variable had many vocational training, and the dependent variable had many job skills. All studies describing intervention fidelity, inter-observer reliability, and social validity were above 50%. There were many studies describing maintenance, and few studies describing generalization. Second, as a result of the effect size, most studies have shown high effect size over 90%. Third, as a result of the qualitative indicators, the independent variables and baseline areas were found to be more than 80% to less than 100% of satisfactory. The dependent variables, internal validity, and social validity areas were found to be more than 60% to less than 80% of satisfactory. The study subjects and external validity areas were found to be level of less than 60% of satisfaction. Implic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directions of a single subject study related to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 future was presented, and suggestions for follow up studies were presented. 연구목적: 본 연구는 장애학생 진로 및 직업교육 관련 단일대상연구의 일반적 특성, 효과크기와 증거기반 실제에 근거한 질적 지표 특성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2010년 1월부터 2020년 9월까지 국내 학술 등재지 및 등재후보지에 게재된 논문 24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일반적 특성의 결과,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장애학생, 고등학생 그리고 지적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많았다. 대상자 수는 3명이 많았으며, 연구장소는 교실과 지역사회에서 함께 중재를 실시한 연구가 많았다. 연구회기는 20회 이상∼30회 미만이 많았으며, 연구설계는 대상자간 중다간헐기초선설계가 많았다. 독립변인은 직업훈련이 많았으며, 종속변인은 직무기술이 많았다. 중재 충실도, 관찰자간 신뢰도 및 사회적 타당도를 기술한 연구는 모두 50% 이상으로 나타났다. 유지를 기술한 연구가 많았고, 일반화를 기술한 연구는 적었다. 둘째, 효과크기의 결과, 대부분 연구가 90% 이상의 높은 효과크기가 나타났다. 셋째, 질적 지표의 결과, 독립변인 및 기초선 영역은 80% 이상∼100% 미만 정도의 충족 수준으로 나타났다. 종속변인, 내적 타당도 및 사회적 타당도 영역은 60% 이상∼80% 미만 정도의 충족 수준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 및 외적 타당도 영역은 60% 미만의 낮은 충족 수준으로 나타났다. 시사점: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장애학생 진로 및 직업교육 관련 단일대상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였고, 이에 관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청각장애인 진로 및 직업교육 관련 연구 분석

        송건,이예다나 한국특수교육학회 2019 특수교육학연구 Vol.5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recent research trends related to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for the deaf and to provide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tasks. For this purpose, a total of 34 papers related to hearing impairment published in journals from 2009 to June, 2019 were divided into study subjects, research topics, research contents (detailed fields), and research methods. The specific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trend analysis by study subjects showed that the study of the deaf was the most common in the study of hearing impaired persons. Second, the results of the trend analysis by research topic showed that there were many effects and related topics. Third, as a result of trend analysis by research contents (detailed fields), vocational education performed vocational evaluation, vocational education, and hiring support. Fourth, the results of trend analysis by research method were mainly used for research purpos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 of follow-up studies related to the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for the deaf were presented. 본 연구는 국내의 청각장애인 진로 및 직업교육과 관련된 연구논문을 분석하여 전반적인 연구 동향을 파악함으로써 향후 연구과제들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2009년부터 2019년 6월까지 한국연구재단 등재지 또는 등재후보지에 게재된 청각장애인과 관련된 논문 총 34편을 선정하여, 구체적으로 연구대상, 연구주제, 연구분야, 연구방법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별과 관련하여 학령기 이후 청각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주제별 분석 결과, 효과 및 영향과 관련된 주제로 연구들이 많이 이루어진 반면, 법이나 정책과 관련된 연구는 수행되지 않고 있었다. 셋째, 연구분야별 분석 결과, 직업교육과 관련 내용이 많이 이루어진 반면, 사후관리나 고용지원과 관련된 연구는 수행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방법별 분석 결과, 조사연구가 많이 수행되고 있으나 실험연구는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청각장애인 진로 및 직업교육과 관련된 후속연구의 방향에 대한 시사점 등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