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홍로’ 사과 과원 재식거리에 따른 기계전정 활용

        손진향(Jin Hyang Son),오주열(Ju Yeol Oh),김현수(Hyun Soo Kim),홍정진(Jeong Jin Hong),정은호(Eun Ho Jeong),장영호(Young Ho Chang) 한국원예학회 2021 한국원예학회 학술발표요지 Vol.2021 No.10

        현재 농촌 인구의 약 2/3가 60세 이상이고, 65세 이상인 비율도 38%에 달하는 고령화 사회로 노동력 절감 및 관리 작업의 효율화를 위해 기계화 기술이 필요하다. 특히 사과 재배에서 전정 작업 노동은 전체 노동의 15%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노동력 절감을 통한 기계전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과 과원 재식거리에 따른 기계전정 효율성을 검토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경남농업기술원 사과이용연구소 시험포장인 3.5 × 2.0, 1.5, 1.0m로 재식된 ‘홍로’/M9 시험포장에서 기계전정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전정 시기 및 방법은 동계 및 하계전정으로 구분하여 손전정, 손 + 기계전정, 기계전정으로 실시하였다. 전정 정도는 열간 길이 대비 최하단 측지를 기준으로 열간 너비의 20% 길이로 기계전정을 하였다. 동계전정 시 전정 소요시간과 전정량을 비교한 결과, 재식거리 3.5 × 2.0, 1.0m에서는 손전정에 비해 기계전정이 소요시간이 적었다. 재식거리 3.5 × 1.5m에서는 손전정과 손 + 기계전정 소요시간이 비슷했고, 기계전정이 소요시간이 적어 노동력이 절감되었다. 전정량은 재식거리 3.5 × 2.0, 1.0m 기계전정에 비해 손전정이 50% 이상 많았다. 하계전정 시 전정 소요시간과 전정량을 비교한 결과, 재식거리 3.5 × 2.0, 1.0m에서는 손전정에 비해 손 + 기계전정, 기계전정이 소요시간이 적었고, 재식거리 3.5 × 1.5m에서는 손전정에 비해 기계전정이 약 2h/10a 정도 소요시간이 적었다. 전정량은 재식거리 3.5 × 2.0, 1.0m 기계전정에 비해 손전정이 약 27~50% 정도 많았다. 수확량을 비교한 결과, 재식거리 3.5 × 2.0 1.5, 1.0m 손전정과 기계전정 이 약 5~6ton/10a으로 비슷하여 손 + 기계전정의 약 4ton/10a 보다 많았다. 세장방추형 특성상 기계전정을 했지만 주간 사이에도 손전정 노력이 많이 필요하였다. 따라서 재식거리 1.0m에서 단가지가 형성되어 기계전정 활용도가 높았다고 판단된다. 밀식재배 과원의 세장방추형보다 2차원적인 수형을 구성하여 기계전정의 활용성을 검토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되었다.

      • KCI등재
      • 채팅 어플리케이션 분석을 통한 새로운 앱 제안

        유진 ( Yu-jin Son ),심효은 ( Hyo-eun Sim ),정해빈 ( Hae-bin Jeong ),김명주 ( Myuhng-joo Kim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1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8 No.1

        기존 채팅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감청 논란으로 인해 소비자들은 채팅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불신이 커졌다. 따라서 소비자들은 보안 채팅 어플리케이션을 선호하게 되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현재 사용하는 보안 채팅 어플리케이션의 기능과 서비스를 비교하여 향후 바람직한 보안 채팅 어플리케이션이 갖추어야 할 기능들을 도출하고 이의 일부 기능을 구현한 결과를 소개한다.

      • KCI등재
      • KCI등재

        당대 초기 중국불교의 유교관 - 『법원주림』 요괴편 제24ㆍ변화편 제25를 중심으로 -

        손진 ( Son Jin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1 인문학연구 Vol.60 No.4

        道世는 『法苑珠林』에서 불교적 우주관을 전개하면서 많은 내외전을 참고하였다. 가장 많이 인용한 『冥祥記』와 달리 두 번째로 많이 인용한 『搜神記』에서는 대치적인 측면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즉, 『수신기』에서 干寶가 수많은 ‘변화’를 기록하였을 뿐만 아니라 그러한 원리를 추구하는 ‘五氣變化論’을 내포하였기 때문이다. 『成唯識論』을 번역한 玄奘의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보이는 도세는 『법원주림』에서 그러한 유식론으로 간보의 ‘오기변화론’을 타파하면서 불교의 우위성을 명확히 하고자 하였다. 지금까지 儒佛道삼교의 연구는 주로 佛道논쟁에 중점을 두어왔다. 그렇지만 중국불교에 불교인들이 중국 지식인의 세계관을 근저에서부터 규정하는 유교의 힘을 간과하였던 것은 아니다. 간보의 『수신기』는 劉歆ㆍ鄭玄이 이론화한 ‘氣’를 중시하면서 동시에 京房易등의 象數易으로 豫占化한 災異사상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므로 도세는 도교에 대한 반론보다도 『수신기』에 포함된 유교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天人相關說’에 대한 반론을 『법원주림』에서 보이고 있다. Daoshi (道世) developed a Buddhist view of the universe in Fayuan Zhulin (法苑珠林 Forest of Gems in the Garden of the Dharma), and was most conscious of the confrontation with the Soushen Ji (搜神記 In Search of the Supernatural) because not only does the Soushen Ji record a number of changes, but it also contains "the theory of changes in the five pneumas (五氣變化論)" pursuing such a principle. Inspired by Xuanzang (玄奘), who translated Cheng Weishi Lun (成唯識論 Discourse on the Perfection of Consciousness-only), Daoshi established the theory of consciousness-only by breaking apart Gan Bao's (干寶) theory of changes in the five pneumas (五氣變化論) to succinctly demonstrate the superiority of Buddhism. The study of three religions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has thus far focused on the debate between Buddhism and Taoism. Yet, Buddhism has not overlooked the power of Confucianism, which established the worldview of the intellectuals in China. Gan Bao's Soushen Ji emphasizes the Qi(氣) as theorized by Liu Xin (劉歆) and Zheng Xuan (鄭玄) and includes the idea of zaiyi (災異 natural calamity), which preceded the theory of Xiangshu Yi (象數易). Therefore, Daoshi argued against the most important interrelations between Heaven and Mankind (天人相關說) among Confucianism incorporated in the Soushen Ji (搜神記), rather than against Taoism.

      • KCI등재
      • KCI등재

        수당대 중국불교 명계관의 변용 -『금강경찬』을 중심으로

        손진 ( Son Jin ) 한국동서철학회 2021 동서철학연구 Vol.- No.102

        수당대에 명계의 주재자는 태산부군에서 염라왕으로 변화하였다. 중국불교의 영험담에서 죽은 사람이 살아 돌아오는 재생의 이야기 중에는 죽어서 명계에 가게 되고, 司命의 취조를 받은 결과, 살아서 돌아오게 되었다는 기사가 있다. 이와 같이 명계에 가서 돌아 온 이야기는 명계체험담이라 부를 수 있다. 중국의 불교인들은 이러한 유형의 이야기에 불교의 요소를 넣었다. 지금까지는 명계의 상태와 살아 돌아오기까지의 과정에 관심의 중점이 두어졌는데 불교의 영향을 받은 명계체험담은 명계에서의 심판과 생전의 죄에 대한 벌을 받는 장소인 지옥이 주제가 되었다. 應驗과 마찬가지로 명계의 체험과 재생이 이야기되고 있다. 또한 경전을 염송하여 자신의 죄업을 용서받고 수명이 연장되기도 하였다. 불교의 영향을 받은 명계체험담은 불교측의 수용 방식에 따라 몇 가지의 방향이 모색되었다. 또한 목적에 대해서도 단순히 포교에 국한되지 않은 사정이 있었던 것이다. 명계체험담에서 염라왕의 등장과 송경은 남북조시대 말기부터 시작되었다. 본고는 중국에서 찬술된 『금강경찬』을 중심으로 이러한 명계체험담을 살펴보았다. 남북조시대 말기부터 각각의 독자적인 교의를 가진 다양한 불교 종파가 등장하였고, 그들은 명계를 방문하는 것과 관련된 이야기와 다른 불교의 이야기들을 자신의 교의와 일치시키기 위하여 변용하기도 하였다. 『금강경찬』의 명계 방문과 재생에 대한 이야기는 이렇게 만들어진 것이다. The host of the underworld changed from Taishan fujun (泰山府君 the Lord of Mount Tai) to Yanluo wang (閻羅王 King Yama) during the Sui and Tang dynasties. In the miraculous stories of Chinese Buddhism, among the tales of regeneration in which a dead person returns to life, there is one about someone who dies, goes to the underworld, gets interrogated by Siming (司命), and then comes back to life. Such stories about coming back from the underworld can be called tales of journeys to the netherworld and back. Chinese Buddhists added Buddhist elements to these types of stories. Back then, attention had been focused on the state of the underworld and the process of returning to life, but the topic has become that of a judgment in the netherworld influenced by Buddhism and hell as a place where people are punished for their sins. Like yingyan (應驗, lit. response and verification), it is about the experience of the netherworld and regeneration. Also, people were forgiven for their sins and their lives were extended by reciting the scriptures. Tales about the netherworld, which were influenced by Buddhism, were approached from several directions based on the ways that Buddhism was accommodated. In addition, there were circumstances in which the goal was not limited to missionary work. In the tales of the netherworld, the appearance of King Yama and the reciting of the sūtra (誦經) began at the end of the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This paper looks at these tales about the netherworld, focusing on Jin’gangjing zuan (金剛經贊), written in China. From the end of the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various Buddhist sects with their own teachings emerged, and they transformed the stories about visiting the netherworld and other Buddhist stories to match their doctrines. This is how the story of visiting the netherworld and regeneration in Jin’gangjing zuan came into be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