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등학교 기간제 교사의 불안정 경험과 그 대응에 관한 질적 연구

        손준종(Son JoonJ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

        기간제 교사는 정규 교사의 일시적 보충을 위해 한시적으로 임용된 비정규직, 임시직 그리고 계약직 교사이다. 이들의 대부분은 고등교육을 이수하고 교원자격증을 취득한 전문가이지만 교원임용시험에 합격하지 못한 교사라는 특징을 공유한다. 이들은 임용과 해고를 반복하는 고용이 불안정한 비정규직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중등학교 기간제 교사가 경험하는 불안을 분석하고, 그에 대한 대응 양상을 살펴보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중등학교 기간제 교사 13명을 대상으로 면접을 실시했다. 면접대상자는 눈덩이 표집을 통해 선정했으며, 면접은 2018년 2월부터 4월까지 진행했다. 자료분석은 반복적 비교분석을 실시했다. 연구 결과, 기간제 교사들은 삶의 불안정과 위계적 신분 질서에 종속, 부당한 대우의 자기 합리화 등을 경험하고 있었다. 이러한 불안정 경험은 기간제 교사를 계약을 위해 자신의 쓸모를 적극 개발하는 기업가적 대응, 학교의 요구에 적응하는 대응, 불안에 소극적인 대응 그리고 자유로운 기회로 간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기간제 교사의 성격에 대한 이론적 검토, 기간제 교사 노동시장의 실태 분석, 정규 교사와 연대 방안 모색에 대한 후속 논의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xperience and subjectivity of fixed-term secondary teachers as precarious workers in Korea. This article focused on the precarious employment of fixed-term secondary teachers. The work and life of fixed-term teachers were becoming increasingly vulnerable. In order to analyze fixed-term teacher’s work and live in precarious conditions, I conducted interviews with 13 teachers. As a result, fixed-term teachers were experiencing the precalization of everyday life, subordinate to hierarchical order of status, exclusion and self-exploitation. Based on this precarious experience, teachers formed their subjectivity as entrepreneurial teachers, sacrificial teachers, disposable substitute teachers, and freelance teachers. I suggested follow-up research on the class characteristics of fixed-term teachers, the career path of fixed-term teachers, and the possibility of solidarity with regular teachers.

      • KCI등재후보

        ‘비전통적 학습자’의 고등교육기회 분석 - 대학입학전형제도를 중심으로

        손준종(Son Joon-Jong),구혜정(Koo Hyae-Jung) 한국평생교육학회 2007 평생교육학연구 Vol.13 No.2

          이 연구는 비전통적 학습자(나이 든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입학전형제도를 실시하여 그들에게 고등교육기회를 부여하고 있는 대학의 제도적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비전통적 학습자들에게 고등교육에 대한 참여와 접근을 확대하는 것은 전통적으로 젊은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육하는 곳으로 인식되었던 대학이 평생교육체제로 변모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모든 대학이 비전통적 학습자들에게 문호를 개방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어떤 대학이 개방적 평생교육체제로의 변화에 친화적인지를 분석하는 것은 평생학습과 관련하여 고등교육의 성격 변화를 가늠할 수 있는 중요한 잣대라고 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2008학년도 입학에서 비전통적 학습자(나이 든 학습자)를 선발하는 대학의 제도적 특성을 밝히기 위하여 대학의 설립별, 소재지, 규모, 신입생 충원율, 대학서열 등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대학서열이 낮은 대학이 비전통적 학습자 모집에 가장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비전통적 학습자의 고등교육 참여가 대학의 위계적 계층화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을 암시하는 것이다.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of universities that provide an access to higher education for non-traditional learners going on Korean higher education. Non-traditional learners are defined as delayed learners like the mature and adult learners. Traditionally, non-traditional learners were excluded in higher education. The university was the learning place for the elite and the young students. University extension program, not degree courses, was only for adult learners as a peripheral student. However, the government"s higher education policy for lifelong education is to attract increasing numbers of non-traditional learners to higher education.<BR>  Research result, the universities which provide a higher educational opportunity to the non-traditional learners were located from a university rank mainly in the low-rank. The private university, the non-core (Seoul) area university, and the low-level university were more positive in widening of the higher education opportunity for mature learners. The increase of non-traditional students is a signal that the openness of higher education has more positive effect on the public mission of higher education.

      • KCI등재

        코로나바이러스-19와 교육의 관계에 대한 교육사회학적 성찰

        손준종(JoonJong Son) 한국교육사회학회 2022 교육사회학연구 Vol.32 No.2

        교육적 일상을 갑자기 중단시킨 코로나는 개인적으로 놀라운 경험이었다. 학교가 코로나 확산에 취약하다는 의학적 판단에 따라 학교는 일정 기간 문을 닫았고, 교사와 학생은 사회적 거리두기를 실시했으며, 모두 백신을 접종했다. 코로나는 예전의 교육과는 성격이 다른 교육적 실천을 요구했다. 이 글의 목적은 코로나로 인한 낯선 경험을 어떻게 이해할 수 있는지 성찰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코로나에 대한 교육부의 대응 담론과 코로나의 미시적 수준에서의 교육적 영향을 분석하고, 앞으로 논의가 필요한 쟁점을 제시했다. 먼저, 교육부는 배움 담론, 돌봄 담론, 안전 담론, 미래 담론이라는 관점에서 코로나에 대응했다. 코로나는 인간과 비인간인 물질과의 교육적 관계 강조, 장의 변화로 인한 히스테리시스 효과, 몸의 정동 능력과 같은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포스트코로나 시대에 추가 논의가 필요한 주제로 교육 거버넌스와 국가 역할, 교육불평등의 다중성, 교육통치성의 변화, 그리고 교육의 디지털화와 학교의 재배치를 제안했다. Covid-19 was an unfamiliar experience that abruptly interrupted the educational practices. Based on medical decisions, all schools are closed and we must follow social distancing rule and get vaccinated. I change the teaching methods used to in formal education and adopted those that fit online-based virtual learning environmen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fl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id-19 and education, serve insight into how to understand the unfamiliar experience of Covid-19. To this end, I firstly analyze the Ministry of Education's response discourses to Covid-19. The Ministry of Education's response discourses summarize in four discourses: learning discourse, care discourse, safety discourse, and future discourse. Secondly, I explore the impact of Covid-19 on education at the micro level. Covid-19 influences the educational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non-human material, the hysteresis effect of field changes, and the effects of the body's affect capacity production. Finally, I suggest further research issues in the post-Covid-19 era: state's educational role, changes of governmentality in education, digitalization of education, and multiplicity of educational inequality.

      • KCI등재

        중등학교 기간제 교사와 정규 교원의 비대칭성 연구1

        손준종(Son, JoonJong) 한국교육정치학회 2021 敎育政治學硏究 Vol.28 No.4

        최근 중등학교에서 한시적으로 정규 교원을 대신하는 기간제 교사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기간제 교사는 정규 교원과 동일한 자격을 가지고, 동일한 장소에서, 동일한 업무를 담당하지만, 고용이 불안정한 임시교사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기간제 교사와 정규 교원의 비대칭성을 능력주의 원칙에 따른 교원임용시험과 관련하여 살펴보는 것이다. 비대칭성이란 교사들이 서로를 우리와 그들로 구분하고 상대방을 불평등하게 대비하는 것을 말한다. 두 집단의 비대칭성을 분석하기 위해 기간제 교사와 관련된 법규, 정책, 보고서, 선행연구 등을 검토했다. 연구 결과, 기간제 교사와 정규 교원의 주된 비대칭성은 고용의 불안정성이었다. 이러한 비대칭성은 능력주의 임용 원칙에 따른 임용시험의 합격 여부와 관련이 있었다. 임용시험에서 합격한 정규 교원은 고용과 삶이 안정적이지만, 임용시험에 합격하지 못한 기간제 교사는 부정적 타자화, 개별화된 책임, 몫의 비대칭적 배분 등을 경험했으며, 노동조합과 같은 정치적 조직화도 제약받았다. 기간제 교사는 임용시험에 불합격한 이등 교사가 아니라, 새로운 유형의 교사로 인정받아야 한다. 아울러 능력에 따른 임용시험을 재검토하고 그 대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기간제 교사가 존중받으면서 교직을 수행할 수 있는 조건을 제공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symmetry of regular and irregular fixed-term teachers in relation to the teacher employment examination. Since 1990 s, the number of irregular teachers who are hired to cover maternity and child leave of regular teachers has increased rapidly. Irregular teachers have the same qualifications and perform the same tasks at the same school with regular teacher. The main asymmetry between regular and irregular teachers is the difference in employment precariousness. Irregular teachers are not much different from regular teachers, but they are only temporary teaching jobs. This is related to the teacher employment exam based on the meritocratic principles. Irregular teachers has experienced negative othering, individualized responsibilities for precarious employment, asymmetrical distribution of right and advantages, and difficulty in organizing their union. Irregular teachers should be recognized as a new type of teacher not as second-level teachers who failed the exam. We need to review the limitations of the teacher employment exam based on meritocracy and seek its alternatives. Irregular teachers should be respected, and conditions should be created to respect them.

      • KCI등재

        성인학습자의 직업교육훈련 참여결정요인 분석―임금근로자와 미취업자를 중심으로―

        손준종(Son Joon Jong) 한국평생교육학회 2004 평생교육학연구 Vol.10 No.2

        이 연구는 성인학습자의 직업교육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발견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이를 위하여 한국노동패널자료 (KLIPS 가구조사)를 이용하여 암금근로자와 미취업자 (실업자)를 대상으로 직업교육참여와 참여희망에 영향을 마찬 결정요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임금근로자와 미취업자 묘두 성인학습자의 나이와 교육수준이 직업교육훈련 참여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있다. 임금근로자의 경우 재직하고 있는 가업규모가 클수록 그리고 취업이 안정적일수록 참여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직업교육훈련 참여에는 기업체 속성 변인보다 나이와 교육수준의 개인적 변인들이 더욱 큰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취업근로자의 경우 임금근로자와 비교하여 전체적으로 참여경험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 미혼 그리고 교육수준이 높은 미취업근로자일수록 직업교육훈련 참여희망과 정 (+)적 관계를 보였으며, 나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관계를 보였다. 또한 자격이나 기술부족 등으로 구직에 실패한 경험이 있는 학습자일수록 직업교육의 희망정도가 더욱 큰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analyzed the determinants of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of adult workers participation. To accomplish this aim, this paper analyzed Korea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Data(KLIPS). KLIPS is very useful to examine the patterns of participation of work-related adult learners. In this paper, 4,012 are the employed workers and 1,256 are the unemployed workers. First, I reviewed and discussed theoretical frameworks that have attempted to model and explain participatory behavior at individual and institutional level. Second, I analyzed the decision to participate or not participate in vocational education/training of two groups. And, I found that adult learners' individual factors, as sex, age, year of schooling, were very strongly effect on vocational education/training participation. Also, the unemployed adult learner's educational participation rate was lower than the employed learners. Employed workers in the big size company (over 300 employers) showed more participation than ones in the small-middle company. However, to understand adult education participation of adult learners, it is strongly recommended to explore new variables.

      • KCI등재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의 교사 정체성 담론 연구

        손준종 ( Joon Jong Son ) 안암교육학회 2015 한국교육학연구 Vol.21 No.1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서 1980년대 후반 이후 교육운동을 주도하였던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의 교사 정체성의 특징을 분석하는 것이었다. 구체적으로 전교조에 가입한 교사들은 전교조의 집합적 정체성을 어떻게 인식하였으며, 그것이 교사로서 자신의 정체성 형성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Castells의 정체성 유형을 활용하여 전교조의 교사 정체성을 저항적 정체성과 기획적 정체성으로 구분하고 그 성격을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전교조에 가입한 적이 있는 교사 10명을 대상으로 면접을 실시하였으며, 전교조 관련 문건을 내용 분석하였다. 전교조 출범 초기에는 참교육을 위해 소명의식과 계몽적 태도 그리고 탈세속적 희생을 강조하는 저항적 정체성을 특징으로 하였다. 그러나 전교조 안팎으로부터 제기된 저항적 정체성에 대한 비판 때문에 교사 정체성이 수업 전문성, 학교혁신, 개방성 등을 특징으로 하는 기획적 정체성으로 재구성되었다. 전교조는 교사 정체성을 둘러싸고 정부와 지속적인 긴장 관계를 보였으며, 내부적으로도 이념과 세대에 따라 정체성의 차이를 보였다. 전교조는 출범 초기의 저항적 및 노동자 정체성이 약화되고 있으며, 교사들 또한 정체성 혼돈을 경험하고 있었다. This study analyzed the discourses of teacher identity of KTU (JeonGyoJo) that lead the educational movement in Korea since the late 1980s. In particular, it focused on three research problems: first, the social characteristic of KTU teachers`` identity discourses, second, the effects of KTU organizational identity on the formation/reformation of individual teachers`` identity, lastly, the major factors of the identity competition between government and KTU toward teachers`` identity. In order to explore these problems, this study drew on interviews with ten KTU teachers and used discourse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KTU teachers were against government`s legitimate teacher identity and educational policy. To achieve their educational values and purposes, Cham-education(참교육), they were internalized a resistance discourse as an alternative identity. A ‘resistance identity’ was consisted of three different characteristics; Calling discourse, Critical and Organic intellectuals discourse and Spirit of sacrifice discourse. Second, in order to response to the social criticism of resistance identity, KTU was reconstructed new teacher`s identity, ‘a project identity.’ KTU teachers`` identity was changed from a resistance identity to a project identity. The characteristics of a new project identity were ‘teacher professionalism discourse’ focused on teaching and learning, ‘school innovation discourse’ for Cham-education, and ‘open-mindedness discourse’ in order to cooperate with non-member teachers of KTU.

      • KCI등재

        자녀교육의 여성화에 관한 연구: 어머니의 역할과 경험을 중심으로

        손준종(Son, Joo-Jong)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09 敎育問題硏究 Vol.0 No.34

        이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가 자녀교육을 위해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이른바 자녀교육의 여성화(feminization of children's education) 현상을 분석하는 것이다. 특히, 어머니들이 자녀교육을 어떻게 자신의 일로 내면화하는지를 알아보고, 이 과정에서 어머니들이 교육수준과 계급에 따라 자녀교육 지원활동에서 무엇을 경험하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문헌분석과 면접법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어머니들이 자녀교육을 자신의 일로 내면화한 것은 가족주의 이데올로기와 성별 분업 이데올로기, 자연스러운 모성 본능, 합리적 선택, 그리고 여성의 구성적 권력화의 영향 때문이었다. 이러한 것들은 상호배타적이 아니라 어머니의 사회적 조건에 따라 중첩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어머니들은 자녀교육을 지원하는 과정에서 교육과 계급의 숨겨진 상처에 따라 영향을 받고 있었으며, 자녀교육 활동이 지속적으로 확장되고 다양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들은 스스로 좋은 어머니와 는 거리가 있다는 불안감을 가지고 있었으며, 그로 인해 책임감과 죄책감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article explores the social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the feminization of children's education. In particular, it focuses on the mother's descriptions of why they internalize children's education as their work, and what they experience in educational support activities for their children. In order to examine these problems, this article draws on interviews with twelve mothers. The results are below. First, the feminization of children's education is explained by four different reasons: patriarchy-gendered ideology, mothering ideology, adaptive preference theory, and domestic constructive empowerment of the mother. These reasons are not mutually exclusive but are very inter-related. Second, many mothers have very different experiences in practices of educational support activities for their children. Their experiences are affected by the social conditions of mothers and practices of mothering can be understood as the social construction. The mother's role and experiences in their children's education are more intense and diverse. Also, many mothers have not only strong responsibilities but also guilt feelings, and they do not think themselves as a ‘good mother’ because of their educational and economic inabilities. Last, this article suggests that we need to study the roles and types of father's involvement in their children's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