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범대학의 교육실습체제 개선 사례 및 성과 분석

        손은령 ( Eunyoung Son ),박수정 ( Soojung Park ),이주욱 ( Joowook Lee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6 교육연구논총 Vol.37 No.1

        이 연구는 ``교원양성교육 선도 사범대학 지원사업``에 선정되어 적극적으로 교육실습체제 개선을 추진한 A 사범대학의 사례와 성과를 분석하고 시사점을 확인함으로써, 그 성과를 공유하고 효과적인 결과들을 확산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2011년부터 2014년까지 4년간 사업비를 지원받은 A 사범대학은 사업 첫해부터 교육실습 개선을 위한 연구와 실행을 본격적으로 진행하였고, 참관실습-교육봉사-현장실습의 연계체제를 강화하고자 하였다. 현장교육실습 사전사후교육 강의와 현장교육실습 포트폴리오를 개발하는 등 교육실습 지원체제를 구축하였고, ``글로컬 교육실습``을 지향점으로 교육소외집단에 대한 실습과 봉사, 그리고 연변 조선족자치주에 대한 국제교육실습을 운영하였다. 현장교육실습 사전사후교육 및 성찰활동이 강화됨으로써 현장교육실습생의 현장이해 및 교사 역량이 연차별로 향상되었으며, 현장교육실습 활동에 대한 실습생과 실습학교의 만족도도 증가하였다. 그리고 국제교육실습생 수와 만족도가 상승하였으며, 실습생의 상호교류도 나타나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토대로 시사점 및 의의, 그리고 연구의 제한점을 고려한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ase of student-teacher training practicum systemsmodification process a "A" College of Education, and identify the outcomes and implications. "A" college was selected and funded by a government project. The project was titled ``Leading College of Education Support``. From 2011 to 2014, "A" College of Education tried to improve student-teacher practicum systems, and changed the curriculum for student-teacher education including pre-post preparation education. For example, "A" college tried to link observation-educational volunteering-field practicum and constructed practicum support systems including the development of portfolios and the reinforcement of pre-post lecturing for practicums. In addition, "A" college sent its student-teachers to a college in YeonBeon in China, with the perspective of ``Global Practicum``, and the colleges exchanged student-teachers with each other. The number was increased and student teachers` and college`s interests and supports were enhanced. To improve the systems, "A" college connected observation-educational volunteering - field practicum relation, and evaluated degrees of satisfaction and the effectiveness of student-teacher training from the view of practicum schools and participants undertaking practicums. The results revealed a gradual improvement in satisfaction and effectiveness. Finally, the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were proposed.

      • KCI등재

        중학생 대상 자기주도학습 프로그램 효과

        박소리(Park, Sori),손은령(Son, Eunyoung) 한국교육방법학회 2017 교육방법연구 Vol.29 No.3

        본 연구는 중학생 대상 예비교사 중심 자기주도학습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개인 변인 및 가정환경변인에 따른 효과(자기주도학습 능력, 학업성취)를 비교하고 이를 근거로 효과적인 자기주도학습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D시에 소재한 중학교 3곳에서 2, 3학년 재학생 총 59명의 학생들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프로그램 진행자는 D시의 대학교 사범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예비교사 15명으로, 예비교사 1명과 중학생 3-4명을 팀으로 구성하였다. 본 자기주도학습 프로그램은 학 기 중 매주 1회씩 총 10회기 수업과 방학 중 3번의 캠프로 구성되었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 참여 전과 후의 효과를 알아본 결과, 자기주도학습은 동기조절을 제외한 인지조절과 행동조절에서 향상되었다. 학업성취는 과학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에 따른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 남학생에게 동기조절, 인지조절, 행동조절의 각자기주도학습 능력의 하위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학업성취는 과학 과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다음으로 성취수준을 상, 중, 하 집단으로 나누어 자기주도학습 능력 차이를 살펴본결과, 중 집단의 자기주도학습 능력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가정환경 수준에 따라 상, 하 집단으로 구분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살펴본 결과, 상 집단이 자기주도학습 능력의 인지조절, 행동조절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 예비교사 중심 자기주도학습 프로그램이 자기주도학습, 학업성취에 효과적인 방법임을 보여주었다. 또한 효과적인 프로그램을 위한 참여 대상에 따른 맞춤형 적용 기준 제공하고, 치열하게 사교육에 참여하고자 하는 부모의 인식개선과 자기주도학습의 중요성을 시사해 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SDL programs on the learning abilities and academic achievements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a total of 59.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SDL improved cognitive regulation and behavior regulation.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the program according to gend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DL among male students, whereas in terms of academic achievement, the only difference was in Science. Upon dividing the achievement level of students into upper, middle, and lower groups, only the middle group mad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Lastly, students were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groups according to the quality of their home environment,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gnitive and behavior regulation of those students belonging to the upper group.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operate a customized program according to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 for a positive effect of the program. This will also help parents have the right approach to their child’s learning.

      • KCI등재

        학습자가 이해한 시민교육의 의미 탐색: d시의 시민단체 학습자를 대상으로

        유승래 ( Yoo Seungrae ),손은령 ( Son Eunyoung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문화연구 Vol.24 No.3

        시민은 교육을 통해 성장한다. 교육을 통해 성장한 시민들은 민주시민사회를 만드는 주역이 된다. 시민교육은 삶에 밀접한 지식이며, 다른 교육과 마찬가지로 시민교육도 학습자들이 이해하는 수준을 파악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시민단체의 학습자들이 이해하는 시민교육의 의미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문제는 학습자들이 이해한 시민교육의 정의와 의미는 무엇인가? 시민교육의 필요성은 무엇이고, 시민교육을 통해 어떤 변화를 경험하였는가? 시민교육의 가치는 무엇이고, 시민교육을 통해 이루고자 하는 교육의 보편적인 가치는 무엇인가? 이다. 연구 대상은 d시의 한 시민단체에 참여하는 학습자이며, 연구방법으로는 의미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시민교육은 지식의 확장을 통한 개인의 성장, 세상의 다양한 변화 이해, 대화와 나눔을 통한 대인 관계의 향상, 공동체 형성과 가치 공유, 현재와 미래를 위한 준비과정, 학교교육에서 부족한 것에 대한 채움을 의미하였다. 이는 자기 성찰을 위한 지혜 탐구, 삶을 바라보는 진지한 태도, 의미 있는 삶 추구, 건강한 공동체 발전을 위한 노력, 교육을 통한 민주사회 건설 추구, 지속적인 배움의 욕구 표출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가치는 학습자의 경험을 통해 시민교육의 의미를 탐구했다는 것에 있다. Citizens grow through education. Citizens who have grown through education become the main players in creating democratic civil society. Citizens education is closely related to life, and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level of education that learners underst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aning of citizen education that citizen education learners understand. Research problems are as follows: What are the definitions and meanings of civic education understood by learners? What is the need for civic education and what kind of changes have we experienced through civic education? What is the value of civic education, and what is the universal value of education that civic groups want to achieve? The study subjects were learners who participated in a civic group at d city. Research method is semantic analysis. As a result, civic education means Individual Growth through Expanding Knowledge, Understanding the various changes in the world, Improvement of interpersonal relations through dialogue and sharing, Community formation and value sharing, Preparations for present and future, Fill in the lack of school education. This was interpreted as Exploring wisdom for self-reflection, A serious attitude toward life, Meaningful pursuit of life, Efforts to promote healthy communities, The pursuit of democratic society through education, and the need for constant learning. It is value of this study lies in exploring the meaning of civic education through the experience of learners.

      • KCI등재

        학교-직장 이행기 청년의 대학생활만족과 직장만족도 영향요인 탐색

        김현주(Kim, Hyunjoo),손은령(Son, Eunyoung) 한국열린교육학회 2021 열린교육연구 Vol.29 No.2

        본 연구는 학교-직장 이행기 청년의 대학생활과 직장만족의 영향요인을 탐색하고 증진 방안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청년노동시장 및 학교생활의 대표통계를 제공하는 청년패널 2007(YP2007)의 9차(2015)년도와 12차(2018)년도 자료를 분석하였다.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 시기의 부정적 자기개념, 진로자기효능감, 직업가치관, 진로계획과 같은 정서·인지·행동적인 다양한 변인 간의 관계에서 정적 또는 부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간접적으로 대학생활만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장인 시기의 부정적 자기개념, 진로자기효능감, 직업가치관이 직장만족도에 정적 또는 부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대학생 시기의 부정적 자기개념이 대학생활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반면 직장인 시기의 부정적 자기개념은 직장만족도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 시기의 진로관련 변인과 대학생활만족이 직장인 시기의 직장만족도에 직·간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학생활과 직장만족의 영향요인 검토를 통해 대학생 시기의 대학생활만족 정도에 따라 직장인 시기의 직장만족도가 달라질 수 있음을 확인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대학생의 정서·인지·행동적 특성을 고려하여 진로교육이 선행되어야함을 확인하고 나아가 대학생활만족을 위한 진로교육프로그램 운영과 대학의 역할, 상담적 개입의 중요함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college life and work satisfaction of young people experiencing school-to-work transition periods and to aid in the understanding of promotional plans. For this, an analysis was conducted on data from the 9th year (2015) and 12th year (2018) of the Youth Panel 2007 (YP2007) from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KEIS) that provides representative statistics of the youth labor market and school life.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re were either positive or negative effects in relationships among various emotional, cognitive, and behavioral variables such as negative self-concepts, career self-efficacy, occupational values, and career planning during the college period and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college life satisfaction. Second, it was shown that the negative self-concepts, career self-efficacy, and occupational values of the working period positively or negatively affect work satisfaction. In particular, negative self-concepts during the college period do not significantly affect college life satisfaction, but negative self-concepts during the working period were shown to have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on work satisfaction. Third, career-related variables and college life satisfaction during the college period were shown to have direct and indirect positive effects on work satisfaction during the working perio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verified that work satisfaction during the working period may differ depending on college life satisfaction during the college period by examining the factors influencing college life and work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t was demonstrated that career education must be provided first in consideration of the emotional, cognitive,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students. Furthermore, this study emphasizes the significance of the roles of universities and career education program management for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along with the importance of counseling intervention.

      • KCI등재

        재수 후 입학한 코로나 학번 학생들의 대학생활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임경수(Lim, Kyungsoo),손은령(Son, Eunyoung)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1 교육혁신연구 Vol.31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재수 후 입학한 학생들이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교육환경의 변화 속에서 경험하게 되는 대학생활을 심층적으로 탐색하여 본질적인 의미 구조를 이해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재수 후 입학한 2020학번 대학생 6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고,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 방법을 적용하여 그들의 경험세계를 Martin Heidegger의 존재론적 관점에서 접근하고 이해하였다. 연구결과: 참여자들의 체험된 시간성은 “불가피한 코로나19 팬데믹 상황 속에서의 기투”, 체험된 공간성은 “실존의 공간이 된 또 다른 공간인 온라인”, 체험된 신체성은 “코로나에 발목 잡혀 우울한 기분에 젖은 현존재”, 체험된 관계성은 “다만 함께 거기에 있음과 서로 함께 있음”이었다. 이러한 네 차원을 포괄하는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들은 “새로운 상황에서 기투하는 ‘나의 존재’ 발견하기”의 세계-내 존재인 실존체로서, 그들이 기대했던 대학생활을 하지 못하는 상황에 처해 있으면서도 발견한 것은 기투하고 있는 그들 ‘존재’였다. 논의 및 결론: 이번 연구는 재수 후 입학한 학생들의 대학생활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심리적 문제로 호소하는 학생들의 상담에 있어서 어떤 각도로 접근해야 하는지에 대한 도움이 되는 실제적인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intrinsic meaning structure by in-depth exploration of university life lived experiences of students who entered the university after retake amid changes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caused by COVID-19. Method: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6 university students in the class of 2020 who entered the university after retake. By applying van Manen s hermeneutic phenomenology methodology, the lived experience from the ontological point of view of Martin Heidegger. Results: As a result, the lived experience temporality of the participants was “Projection toward the unavoidable COVID-19 pandemic situation”, the lived experience spatiality was “Non-face-to-face online another space is the space of existence”, the lived experience physicality was “Dasein who got a depressed mood of existence caught up in the COVID-19”, and the lived experience relationship “Only but being there together and being with each other.” Based on the results encompassing these four dimensions, the university students as entities that are existence within the world of “Discovering ‘my exsistence’ to project in new situation”, it was their projecting existence that they discovered while they were in a situation where they did not have the expected university life. Conclusion: This study has significant implications in that it provides practical data that can help students who have entered after retake and from what angle we should approach counseling for students who complain of psychological problems due to the difficulties of university life.

      • KCI등재

        문해 교수방법에 따른 책 만들기 활동이 유아의 영어 문해 발달과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

        임경수(Lim, KyungSoo),손은령(Son, Eun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2

        본 연구는 문해 교수방법에 따른 책 만들기 활동이 유아의 영어 문해발달과 학습 동기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에 대해 분석하고 이를 근거로 효과적인 유아 영어 교수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D시에 소재한 유치원 소속 만 5세 유아 54명 중에서 26명은 균형적 언어접근법을 적용한 연구집단으로, 28명은 총체적 언어 접근법을 적용한 비교집단으로 임의 배정하여 8주 동안 연구수업을 하고 그 효과를 영어문해발달 및 영어 학습동기와 관련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영어 문해발달에서 균형적 언어접근법을 적용한 책 만들기 활동을 한 연구집단의 점수가 총체적 언어접근을 적용한 비교집단의 점수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유아의 알파벳·단어·음소·파닉스 인지 발달, 음운인식 읽기 발달, 음운인식 쓰기 발달, 문장읽기 발달, 문장쓰기 발달 모두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영어 학습동기에서 균형적 언어 접근을 적용한 연구집단 점수가 총체적 언어접근법을 적용한 비교집단 점수보다 상승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학습동기의 하위요인인 영어에 대한 흥미, 학습열의, 자신감, 유능감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균형적 언어접근법을 적용한 책 만들기 활동이 유아의 영어 문해발달과 학습동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효과적인 교수방법임을 보여주었다. 또한, 유아교육 현장에서 영어 교수방법으로서 발음중심 접근법과 총체적 언어접근법을 자연스럽게 제시하고 책 만드는 과정을 통합·실행하여 유아가 적극적으로 영어 문해발달에 참여하는 수업이 필요함을 시사해 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book–making activity of literacy teaching methods on preschooler’s English literacy development and learning motiv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elected by fully 5 years old children attending J kindergarten, 28 people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6 people in the comparison group in D city. The experimental group was conducted to do the book-making activity applying a balanced language approach, the comparison group was conducted to do the book-making activity applying a whole language approach. The duration of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he teaching 16 times for 8 weeks. The effects of book-making activity on literacy teaching methods of preschooler’s English literacy development and English learning motivation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hildren of the experimental group performed significantly better on the alphabet, words, phonemes, phonics cognitive, phoneme awareness(reading), sentence reading, phoneme awareness(writing), sentence writing development than children of the comparison group. Second, the English learning motivation of children, interest, learning enthusiasm, confidence scores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elevated than the comparison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book-making activity of balanced language approach in teaching methods should be considered an effective instructional method for preschoolers.

      • KCI등재

        일반계 고등학교 졸업생들의 수험생 삶과 대학선택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접근

        임경수(Kyungsoo Lim),손은령(Eunyoung Son) 한국질적탐구학회 2020 질적탐구 Vol.6 No.1

        본 연구는 일반계 고등학교 졸업생들이 진로선택 경험이 어떠했는지에 관해 발생적 맥락에서 그들의 수험생 삶의 경험을 탐색하고 대학선택 과정의 경험에 대한 의미와 본질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자는 질적 연구 방법 중,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 방법을 적용하여 일반계 고등학교 졸업생들의 수험생 삶과 대학선택의 경험 세계를 Merleau-Ponty의 존재론적 관점에서 접근하고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일반계 고등학교를 졸업한 연구 참여자의 체험이 지니는 본질적 의미를 찾기 위해 면담기간은 6개월이고, 참여자마다 2회씩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는 경쟁의 공간에서 포기 그리고 후회, 미래를 담보한 공간에서의 긴 학습시간, 선택의 제한과 몸의 공감, 힘겨운 시간, 학교 공간에서의 몸의 현상 체험, 피하고 싶은 존재와 공간으로 나타났다. 연구 참여자들의 진로선택을 위한 실존의 모습은 체험된 공간, 체험된 시간, 체험된 몸, 체험된 관계를 통한 지각이었고 자신의 실존을 구성하다는 것이었다. 학생들은 진학을 위한 수험생으로서의 긴 시간의 삶은 또한 그들의 몸에도 반영되었는데 그들은 시험과 성적관리 스트레스로 인하여 다양한 증상에 시달리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부모, 교사와의 의사소통을 통한 대학선택을 자신의 목소리와 자신이 원하는 방향으로 세계에 내보이고 싶어 하는 현존재로서의 의미 있는 실존체로 드러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xperience of the students’ life and experiences in the process of university choice and to understand the meaning and essence in a genetic context. The researcher applied van Manen’s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method to approach and understand the process of general high school graduates’ student life and university choice experience from Merleau-Ponty’s ontological perspective.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conducted a six-month in-depth interview for each participant to learn the essential meaning of the experience of a research participant who graduated from a general high schoo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abandonment and regret in the space of competition, the long learning time in the space to prepare for the future, limitation of choice and body empathy, turbulent time, the experience of the phenomena of the body in the school space, existence and space to avoid. The existence for career choice of the participants was perceived through experienced space, experienced time, experienced body, experienced relationship, and constituted one’s existence. The students’ long and turbulent time to prepare for university entrance was also reflected in their bodies, as it confirmed that they were suffering from various symptoms due to a series of exams and stress from grade management. In addition, it revealed that they are meaningful entities as an existing being who wants to express in their own voice for the university choice through communication with parents and teachers and wants to show themselves to the world in the direction they want.

      • KCI등재

        한국과 대만 청소년의 학교 경험과 학교 밖 경험이 시민의식에 미치는 영향요인 비교

        이상옥 ( Sangok Lee ),손은령 ( Eunyoung Son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5

        본 연구는 한국과 대만 청소년의 시민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고 한국 청소년들의 시민의식을 독려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8년에 공개된 국제시민교육연구(ICCS) 2016년 데이터를 활용하여 한국과 대만 청소년들의 시민의식에 미치는 7개의 영향요인들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첫째, 한국의 경우 학교 경험에서 시민교육, 의사결정 활동, 창의적 활동이 시민의식에 영향력이 나타났다. 학교 밖 경험에서는 또래와의 대화가 시민의식에 유의하게 영향을 주었고 사회참여활동에서는 시민의식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부모와의 대화와 대중매체활용은 시민의식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만의 경우 학교 경험에서 시민교육, 의사결정 활동은 시민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창의적 활동은 시민의식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학교 밖 경험에서 부모와의 대화, 대중매체 활용이 시민의식에 부적영향을 미쳤으며 또래와의 대화와 사회참여 활동은 시민의식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한국 청소년들의 시민의식을 독려하고 함양하기 위해서는 보다 적극적인 사회참여활동과 부모들의 시민의식함양을 위한 노력을 독려하는 한편 대중매체 선택과 활용을 신중하게 제공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citizenship of Korea and Taiwan youth`s and to encourage citizenship of Korean youth. So we used the data from the 2016 International Civic and Citizenship Study (ICCS), which was released in 2018, to examine the seven factors affecting citizenship among Korean and Taiwanese youth.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in Korea, in school experiences civic education, decision-making activities, and creative activities had an influences on citizenship. In the out-of-school experience, talking with peers had an influences on citizenship and social participation had not an influences on citizenship but talking with parents and using of media had negative an influences on citizenship. Second, in the case of Taiwan, in school experiences civic education and decision-making activities had an influences on citizenship but creative activities had not an influences on citizenship. In the out-of-school experience, talking with parents and using of media had negative an influences on citizenship but talking with peers and social participation had not an influences on citizenship.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it suggest that more active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Efforts to Cultivate Parents’ Citizenshipt, and media selection and utilization need to be carefully provided in order to encourage and cultivate citizenship among Korean youth.

      • KCI등재

        자기주도학습의 의미 이해를 통한 실천적 방향 탐색

        최유선(Choi, YuSeon),손은령(Son, Eun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23

        자기주도성은 세계화와 정보화 사회를 살아가는 학습자들이 갖추어야 할 핵심역량으로 강조되며 또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학습자의 자기주도성을 중시하는 자기주도학습에 대한 바른 이해는 우리나라의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제시가 될 것이다. 이에 자기주도학습과 관련한 선행연구들을 통해 자기주도학습이 어떻게 이해되는지 분석하였다. 먼저 우리나라에서 특히 혼용되는 자기주도학습과 자기조절학습의 개념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다음으로 단위 학교에서의 자기주도학습을 이해하고자 국 가수준 교육과정과 학교현장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그 결과, 자기주도학습과 자기조절학습은 등장배경과 접근함은 다르나 구성요인이 유사하여 혼용되는 경향이 있었고, 자기주도학습을 하기 위해서는 자기조절의 핵심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자기주도 학습이 더 큰 관점에서 자기조절학습을 포함시킬 수 있다고 여겨진다. 또 단위 학교의 교육과정과 학교현장의 자기주도학습은 어떤 목표를 이루기 위한 수단적인 것만이 아니라 자기주도학습이 목적 그 자체가 되어 실행되고 연구되어야 한다는 것이 다. 이에 본 연구는 앞으로의 자기주도학습에 대한 실천적 방향으로 교사들의 역할이 중요함과 이를 위한 다양한 접근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Self-directedness is emphasized and demanded as a core competency for learners living in a globalized and informatized society. Therefore, the correct understanding of the self - directed learning that emphasizes the learner s self - initiative will be a direction for the education of our society to move forward. Therefore, we analyzed how self - directed learning is understood through previous studies related to self - directed learning. First, I discussed the concept of self - directed learning and self - regulated learning, which are mixed-used in Korea. Next, I looked at national level curriculum and school site to understand self - directed learning in unitary school. As a result, self-directed learning and self-regulated learning tend to be mixed with each other due to the similarity of constitutional factors, although the background and approach are different. Also, since self-directed learning requires a core process of self-regulation, the term ‘self-regulated learning’ is considered to be included in self-directed learning in a bigger angle. In addition, the self - directed learning of the unitary school curriculum and the school site is not merely a means to achieve any goal, while it should be studied as the purpose itself.. Therefore, this study discussed the importance of teachers role in the future direction of self - directed learning and the necessity of various approaches for this.

      • KCI등재

        도덕적 손상의 연구동향과 심리치료 및 상담에 주는 함의

        권창모(Kwon, Changmo),손은령(Son, Eunyoung) 한국재활심리학회 2020 재활심리연구 Vol.27 No.4

        도덕적 손상은 참전 경험으로부터 개념화된 이후 최근 들어 해외 학계에서 더욱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참전군인을 만나온 임상가들이 도덕적이고 명예로운 규범이 위배 됨으로써 뒤따르는 내적 고통을 통찰한 이후로 도덕적 손상은 심리적 외상에 대한 보완적 또는 대안적 접근으로 발전되어 왔다. 최근에는 사회복지, 윤리, 영성 등 다양한 영역에서 ‘민간’에 적용한 이론 및 실천적 논의가 전개 중이다. 예컨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의료 인력의 도덕적 손상 노출이 다뤄지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근래 들어서야 도덕적 손상이 소개되기 시작하였고 그나마 도덕적 손상의 개념과 연구동향을 심도 있게 고찰한 문헌은 거의 없다. 주된 실천 영역인 심리치료 및 상담에 적용하여 논의한 경우는 더욱이 찾아볼 수 없다. 이에 본 연구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를 통해 해외 85건과 국내 5건의 관련 문헌을 선별하여 연구동향 및 주요 내용을 체계적으로 제시하였다. 도덕적 손상의 정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와의 관계, 측정, 개입 등 핵심적인 하위 주제들을 살폈고 이로부터 심리치료 및 상담에 함의되는 바를 논의하였다. 또한, 참전 외상의 심리적 재활을 넘어 최근의 확장된 논의를 고려함으로써 도덕적 손상에 대한 국내 학계의 관심을 촉진하고 다양한 조력직에 해당할 실천적 의미를 조명하고자 하였다. With its conceptualization from combat experiences, moral injury(MI) is now an internationally burgeoning field of research. Since clinicians treating war veterans had found inner wounds among them as an aftermath of betrayals of their moral codes and values, MI has been developing as an complementary or alternative approach to psychological trauma. Accordingly it expands into various disciplines such as social work, ethics and spirituality with discussions applied to civilian life. MI exposure in medical folks dealing with COVID-19 is a recent example. Internally, however, MI remains on its initial stage of research and practice. Thorough reviews are rarely found and the same with entailed discussions focused on psychotherapy or counseling. Thus, current review examined total 85 foreign studies and 5 domestic studies searched through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RISS), resulting in MI’s research trend in a systematic manner from its original context through to interventions. Following implications centered on psychotherapy and counseling we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veterans’ psychological rehabilitation but included wider discussions relevant to various helping profess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