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단삼 분획추출물의 암예방 효과

        손윤희,조현정,장현욱,손건호,남경수,Shon Yun-Hee,Cho Hyun-Jung,Chang Hyeun-Wook,Son Kun-Ho,Nam Kyung-Soo 한국생명과학회 2006 생명과학회지 Vol.16 No.3

        Six fractions of Salvia miltiorrhiza were tested for their chemopreventive potentials using biochemical markers of carcinogenesis such as quinone reductase (QR), glutathione S-transferase (GST) and glutathione (GSH). Seventy percentage of EtOH extract was potent inducer of QR activity in Hepa1c1c7 murine hepatoma cells. GST activity was increased about 1.4-fold with EtOAc extract at concentration of 50 ${\mu}g/ml$. GSH level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H_2O$ extract, 70% EtOH extract and water extract at concentration of 50 ${\mu}g/ml$ (p<0.005). From these results, 70% EtOH extract (250 mg/kg) was intragastrically administered to ICR mice for 14 days. QR, GST and GSH level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the 70% EtOH treatment. These studies suggest that the 70% EtOH extract of S. miltiorrhiza could be considered as a potential agent for cancer chemoprevention. 본 연구는 단삼 분획추출물로부터 in vitro와 in vivo상에서 QR과 GST의 활성 유도와 GSH의 함량변화를 지표로 암예방 효과를 측정하였다. Hepalcla7 세포에 대한 in vitro상에서의 실험결과 QR 활성 유도율은 70% EtOH 추출물 50 ${\mu}g/ml$ 처리군에서 2.5배로 가장 높은 유도율을 나타내었고, GST 활성 측정은 EtOAc추출물 50 ${\mu}g/ml$농도에서 1.4배의 유도율을 나타내었다. GSH 생성변화를 살펴본 결과에서는 $H_2O$추출물, 70% EtOH 추출물 그리고 water layer 추출물 50 ${\mu}g/ml$ 농도에서 높은 생성율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QR활성과 GSH 함량변화에서 높은 증가효과를 나타낸 70% EtOH 추출물을 관류법으로 마우스에 투여하여 in vivo 상에서의 QR과 GST의 활성 변화와 GSH 함량을 측정한 결과 QR, GST활성과 GSH함량이 250 mg 투여시 각각 1.7배 및 1.5배의 활성 증가와 1.4배 함량증가를 측정할 수 있었음으로 70% EtOH추출물은 암예방효과가 가장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와동 형태와 충전 방법에 따른 Class V 복합 레진 수복치의 유한요소법적 응력 분석

        손윤희,조병훈,엄정문,Son, Yoon-Hee,Cho, Byeong-Hoon,Um, Chung-Moon 대한치과보존학회 2000 Restorative Dentistry & Endodontics Vol.25 No.1

        Most of cervical abrasion and erosion lesions show gingival margin where the cavosurface angle is on cementum or dentin. Composite resin restoration of cervical lesion shrink toward enamel margin due to polymerization contraction. This shrinkage has clinical problem such as microleakage and secondary caries. Several methods to diminish contraction stress of composite resin restoration, such as modifying cavity form and building up restorations in several increments have been attemp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polymerization contraction stress of composite resin in Class V cavity subjected to cavity forms and placement methods. In this study, finite element model of 5 types of Class V cavity was developed on computer tomogram of maxillary central incisor. The types are : 1) Box cavity 2) Box cavity with incisal bevel 3) V shape cavity 4) V shape cavity with incisal bevel 5) Saucer shape cavity. The placement methods are 1) Incisal first oblique incremental curing 2) Bulk curing. An FEM based program for light activated polymerization is not available. For simulation of curing dynamics, time dependent transient thermal conduction analysis was conducted on each cavity and each placement method. For simulation of polymerization shrinkage, thermal stress analysis was performed with each cavity and each placement method. The time-temperature dependent volume shrinkage rate, elastic modulus, and Poisson's ratio were determined in thermal conduction dat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With all five Class V cavifies, the highest Von Mises stress at the composite-tooth interface occurred at gingival margin. 2. With box cavity, V shape cavity and saucer cavity, Von Mises stress at gingival margin of V shape cavity was lower than the others. And that of box cavity was lower than that of saucer cavity. 3. Preparing bevel at incisal cavosurface margin decreased the rate of stress development in early polymerization stage. 4. Preparing bevel at incisal cavosurface margin of V shape cavity increased the Von Mises stress at gingival margin, but decreased at incisal margin. 5. At incisal margin, stress development by bulk curing method was rapid at early stage. Stress development by first increment of incremental curing method was also rapid but lower than that by bulk curing method, however after second increment curing final stress was the same for two placement methods. 6. At gingival margin, stress development by incremental curing method was suddenly rapid at early stage of second increment curing, but final stress was the same for two placement methods.

      • KCI등재

        키토산 올리고당의 암 개시단계에 미치는 영향

        손윤희 ( Son Yun Hui ),남경수 ( Nam Gyeong Su ) 한국키틴키토산학회 2003 한국키틴키토산학회지 Vol.8 No.4

        N/A Two types of chitosanoligosaccharides(COS), COSⅠ (1-kDa<MW<3-kDa) and COSⅡ(3-kDa<MW<5-kDa) were tested for the cancer chemopreventive activities by measuring the activities of cytochrome P4501A1(CYP1A1), quinone reductase (QR) and glutathione S-transferase(GST) related to tumor initation. COSⅠand COSⅡ significantly increased QR and GST activities at all concentrations we tested ICR mice were treated with COSⅠ(500 mg/kg body wt)and COSⅡ(500mg/kg body wt) for 14 days. The animals received 2,3,7,8 TCDD( 25ug/kg body wt) once orally 7 days prior to sacrifice. Enhanced CYP1A1 activity by 2,3,7,8 TCDD was not influenced by COSⅠand COSⅡ. These results suggest that chitosnnoligosaccharides have inducing activities of cancer initiation in vitro models and therefore. could be considered as potential materials for cancer chemoprevention.

      • KCI우수등재

        Multilevel Multiple-Group Latent Profile Analysis of Instructional Practices in Science: Cross-national Comparison between Korea and Japan : 다층 다집단 잠재 프로파일 분석의 적용: 한국과 일본의 과학교과 수업 인식 사례

        손윤희(Son, Yoonhee),홍유정(Hong, Yujung),박현정(Park, Hyun-Jeong),김전옥(Kim, Junok) 한국교육학회 2021 敎育學硏究 Vol.59 No.7

        이 연구에서는 Morin et al. (2016)에서 제시한 다집단 잠재 프로파일 접근법을 다층 모형으로 확장하고, 이를 실제 자료에 적용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과학 수업 방식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유형을 구분하고 국가 간 비교하기 위하여, PISA 2015의 한국, 일본 자료를 활용하였다. 이를 위해 다층 다집단 잠재 프로파일 분석(MMLPA)을 7단계로 나누어 실시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에서는 PISA 2015 예시 자료를 활용한 다층 자료 분석 시, 다층 잠재 프로파일이 단수준 잠재 프로파일보다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두 번째와 세 번째 단계에서는 한국과 일본에서 다층 잠재 프로파일의 형태적 및 구조적 유사성이 충족되었으며 두 국가에서 가장 적합한 모형은 4개 잠재 프로파일로 나타났다. 이후, 4~7단계에서는 잠재 프로파일의 분산 및 분포, 예측변수와의 관계, 평균이 두 국가 간 동일한 지 살펴봄으로써, 잠재 프로파일 특성의 차이가 국가의 맥락에서 해석될 수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이 연구는 학생이 학교에 내재한 다층 자료의 특성을 반영한 잠재 프로파일을 도출하고, 이를 활용하여 국가 간 다층 잠재 프로파일의 특성을 비교할 수 있는 접근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extend the multi-group latent profile approach proposed by Morin et al. (2016) to a multilevel context and to provide an illustration with real-world data. Specifically, multilevel multiple-group latent profile analysis (MMLPA) models were fitted following seven steps to classify students according to their perception of instructional practices in science classrooms and to compare the latent profiles of two countries using Korean and Japanese data from the 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PISA) 2015.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ultilevel latent profile analysis models fit better than single-level models. Second, configurational and structural similarity were satisfied for both countries in the second and third steps, and the four-profile solution had the best fit. Third, the means, variances, and distributions of latent profiles and their relationships to the predictors were similar for both countries, indicating that the differences across latent profiles could be attributed to the educational context of each country. The study results show that MMLPA can provide latent profile probabilities accounting for clustered data where students are nested within a school, enabling the international comparison of the characteristics of latent profiles for Korea and Japan.

      • KCI등재

        다층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한 다층 매개효과 분석 : 모의실험 연구를 중심으로

        손윤희(Yoonhee Son),박현정(Hyun-Jeong Park) 한국교육평가학회 2020 교육평가연구 Vol.33 No.1

        In the educational research, it is the main concern how the school-level treatment has an effect on the students’ outcom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quality of the direct and indirect estimates by data conditions when analyzing the mediation effect in the 2-1-1 multilevel structure using the multilevel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Based on this point, the simulation data was generated by considering the contextual effect conditions and the multilevel data conditions such as ICC, the number of groups, and group size. And this study compared the accuracy, efficiency, and power of the direct and indirect estimates by data condi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accuracy of the direct and indirect estimates was affected by contextual effect, so the biased directions of the direct and indirect estimates were different by contextual effect conditions. Also the accuracy of the direct and indirect estimates improved as ICC, the number of groups and group size increased. Second, the efficiency and power of the direct and indirect estimates were not affected by contextual effect conditions but were better as ICC, the number of groups and group size increased in number.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confirmed the appropriate data conditions to properly analyze the mediation effect in the multilevel structure and suggested to use the multilevel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교육 연구에서는 학교 수준의 처치가 어떠한 메커니즘을 통해 학생의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주요한 관심을 갖는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다층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하여 2-1-1 구조를 따르는 다층 구조에서 발생하는 매개효과를 분석할 때 자료의 조건에 따라 직·간접효과 추정치의 양호도를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급내 상관계수, 집단의 수, 집단 크기와 같은 다층 자료의 조건과 맥락효과의 조건을 고려하여 생성한 모의실험 자료를 활용하였다. 또한, 자료의 조건에 따라 직·간접효과 추정치의 정확성, 효율성, 검정력을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간접효과 추정치의 정확성의 경우, 맥락효과의 유무에 따라 영향을 받았으며, 맥락효과의 조건에 따라 편의되는 방향이 다르게 나타났다. 또한, 급내 상관계수, 집단의 수, 집단 크기가 증가할수록 정확성이 향상되는 모습을 보였다. 둘째, 효율성 및 검정력은 맥락효과의 유무에 영향에 받지 않았으며, 급내 상관계수, 집단의 수, 집단 크기가 증가할수록 향상되었다. 이를 토대로 다층 구조에서 발생하는 매개효과를 적절하게 분석하기 위해 적절한 자료 조건을 확인하고, 다층 구조방정식모형의 활용을 제안하였다.

      •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데이터 분배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커넥티비티 개발 방법

        손윤희(Yunhee Son),임형준(Hyungjun Yim),김점수(Chumsu Kim),장혜민(Hyemin Chang),최훈(Hoon Choi),이규철(Kyu-Chul Lee) 한국정보과학회 2012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9 No.1B

        OMG(Object Management Group)의 데이터 분배 서비스(DDS: Data Distribution Service)는 발간(publish)/구독(subscribe) 모델에 기반하여 동일한 타입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주고 받는 데이터 중심의 분산 환경에서 많이 사용되는 통신 미를웨어 기술이다. 하지만 DDS는 실시간으로 발생하는 데이터에 대하여 일회성인 특징을 갖기 때문에 추후 데이터에 대한 분석, 검증 등을 위해 영속성을 제공할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를 반영하듯 RTI DDS, PrismTech Opensplice 등의 대표적인 DDS 시스텀에서는 데이터베이스를 연동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실시간 통신 미를웨어인 DDS와 데이터베이스의 연동은 DBMS 애플리케이션이 일반적으로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는 것뿐만 아니라 DDS의 시맨틱을 알지 못하더라도 데이터 중심의 발간/구독 모델을 유기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닌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위해 DDS 시스텀인 DB-ReTiCom의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기 위한 커넥티비티를 제안하고 사용자 친화적 인터페이스를 위한 변환 방법을 제시한다.

      • KCI등재

        과학 수업에서의 탐구 활동 및 교사 피드백에 대한 학생 인식 유형: 학생-학교수준 영향요인 및 정의적 특성 분석

        박현정(Hyun-Jeong Park),손윤희(Yoon-Hee Son),홍유정(YuJung Hong) 한국교육평가학회 2018 교육평가연구 Vol.31 No.3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 수업에서 이루어지는 탐구 활동 및 교사 피드백에 대한 학생의 인식 유형과 그 특징을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PISA 2015 자료를 활용하여 168개 학교에 소속된 만 15세 한국 학생 5,130명을 대상으로 다층 잠재프로파일분석(multilevel latent profile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탐구 활동(적용, 실험, 탐구)과 교사 피드백(모니터링, 스캐폴딩)에 대한 인식의 유형은 5개로 분류되었다. 대부분의 학생은 탐구 활동 및 교사 피드백이 과학 수업에서 가끔 일어나거나 전혀 일어나지 않는다고 인식하였고, 소수의 학생만이 탐구 활동과 교사 피드백이 자주 일어난다고 인식하였다. 인식 유형에 대한 영향요인을 분석한 결과, 학생 수준에서는 성별, 학교급, 과학 활동 정도, 학교 수준에서는 학급 당 학생 수, 적정 수준 과학기자재 구비 여부, 교사의 수업내용 자율성이 학생의 인식 유형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인식 유형에 따른 과학의 정의적 특성을 비교한 결과, 과학 수업에서 탐구 활동 및 교사 피드백이 자주 일어난다고 인식하는 유형에서 과학적 자아효능감과 과학흥미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우리나라 과학 수업 실태를 파악하고, 탐구 활동 및 교사 피드백 수업 활성화와 관련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rofiles of students’ perception to inquiry activities and teacher’s feedback in science classroom. This study analyzed multilevel latent profile analysis for korean 5,130 15-year-old students nested in 168 schools by using PISA 2015 dat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showed that there were the five profiles of students’ perception to inquiry activities(application, experiment, and inquiry) and teacher’s feedback(monitoring and scaffolding). Most students perceived inquiry activities and teacher’s feedback sometimes or never occurred in science classroom while a few students cognized inquiry activities and teacher’s feedback did in most science classroom. Second, students’ gender, school class and science activities affected to the membership of profiles in student-level. And the number of students per class, preparing the science material and teacher autonomy had effects on the membership of profiles in school-level. Finally, the students in the profile which perceived that inquiry activities and teacher’s feedback occurred in most science classroom had the highest science self-efficacy and interest in broad science.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the implications to activate the instruction based on inquiry activities and teacher’s feedbac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