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로드킬 발생 영향요인 분석 - 설악산 국립공원 44번 국도를 대상으로 -

        손승우,길승호,윤영조,윤정호,전형진,손용훈,김민선,Son, Seung-Woo,Kil, Sung-Ho,Yun, Young-Jo,Yoon, Jeong-Ho,Jeon, Hyung-Jin,Son, Young-Hoon,Kim, Min-Sun 한국조경학회 2016 韓國造景學會誌 Vol.44 No.3

        본 연구는 설악산 국립공원 내 44번 국도를 대상으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로드킬이 발생한 지역의 공간적 특성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의 적합도 및 예측도를 평가하여 로드킬 발생 근본 원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2008년부터 2013년까지 구축된 81개의 로드킬 데이터를 종속변수로 설정하고, 선행연구 및 현장조사를 통해 도출한 경사, 향, 식생, 백두대간 등의 자연환경 요인과 펜스 옹벽 등의 인공시설물, 경작지, 주거지역 등의 토지이용 변수를 독립 변수로 설정하고,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회귀식을 추정하였다. 식생 영급, 하천으로부터의 거리, 펜스 옹벽 등의 설치구간, 주거지역 건물 등의 시설로부터의 거리가 로드킬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선택되었다. 회귀모형에 포함된 모든 변수들은 유의수준(p<0.01)을 충족하였다. 회귀모형에서 로드킬 발생에 가장 큰 영향력을 보인 변수는 펜스 옹벽 등의 설치구간(회귀계수: -1.0135)으로 나타났으며, 가장 낮은 영향력을 보인 변수는 식생 영급(회귀계수: 0.0001)으로 나타났다. 즉, 펜스 옹벽 등의 설치 구간에서는 로드킬이 일어날 확률이 낮으며, 주거지역 건물 등의 시설로부터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하천으로부터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식생 영급이 커질수록 로드킬 발생이 높아질 수 있다. 추정된 로지스틱 회귀모형 결과로부터 로드킬이 일어날 것이라고 옳게 예측한 확률은 74.1%, 로드킬이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옳게 예측한 확률은 70.4%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는 옳게 분류한 확률은 72.2%로 비교적 높은 비율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로드킬 저감을 위한 계획 및 정책 수립, 방지시설 설치 계획 등의 공간의사 결정에 객관적 근거로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aimed to interpret the fundamental cause of road-kill occurrences and analyzed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road-kill locations from Route 44 in Seorak National Park, Kore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tilized for backward elimination on variables. Seorak National Park Service has constructed GIS-data of 81 road-kill occurrences from 2008 to 2013 and these data were assigned as dependent variables in this study. Considered as independent variables from previous studies and field surveys, vegetation age-class, distance to streams, coverage of fences and retaining walls, and distance to building sites were assigned as road-kill impact factors. The coverage of fences and retaining walls(-1.0135) was shown 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whereas vegetation age-class(0.0001) was the least influential among all of the significant factor estimates. Accordingly, the rate of road-kill occurrence can increase as the distance to building sites and stream becomes closer and vegetation age-class becomes higher. The predictive accuracy of road-kill occurrence was shown to be 72.2% as a result of analysis, assuming as partial causes of road-kill occurrences reflecting spatial characteristics. This study can be regarded as beneficial to provide objective basis for spatial decision making including road-kill occurrence mitigation policies and plans in the future.

      • KCI등재

        UAS 기반 대형 폐기물 발생량 측정 가능성 모색

        손승우,유재진,전형진,임성하,강영은,윤정호,Son, Seung Woo,Yu, Jae Jin,Jeon, Hyung Jin,Lim, Seong Ha,Kang, Young Eun,Yoon, Jeong Ho 대한원격탐사학회 2017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33 No.5

        재난 등에서 발생하는 대형 폐기물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가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대형 폐기물은 환경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대기질이나 수질, 생활 환경 등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대형 폐기물이 발생하면 임시적환장으로의 이동이나 처리 등을 위해서 발생량을 추정할 수 있어야 한다. 현재까지 위성영상이나 폐기물의 원단위를 이용하여 발생량을 추정하고 있지만 그 정확성에 대한 의문이 지속적으로 제기되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UAS를 기반으로 3차원 공간정보를 구축하고 폐기물 측정 및 정확도 평가를 목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UAS를 이용하여 폐기물 지역을 측정한 결과, 3차원 공간정보의 X, Y, Z RMSE 수치는 각각 0.022 m, 0.023 m, 0.14 m로 비교적 높은 정확도를 보였다. 이를 기반으로 측정한 폐기물량은 약 $4,273,400m^3$로 도출되었다. 또한 과거부터 지형, 문화재 등 정밀한 측량에 사용된 지상 LiDAR를 이용하여 동일지역의 폐기물량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값은 약 $4,274,188m^3$로 도출되었다. UAS 기반으로 도출한 폐기물량과 크게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를 통해 UAS를 이용한 폐기물 발생량 측정에 대한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재해 폐기물이나 대형 폐기물 등의 환경관리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Efficient management of large-size wastes generated from disasters etc. is always in demand. Large-size wastes are closely connected to the environment, producing adverse effects on the air quality, water quality, living environment and so on. When large-size wastes are generated, we must be able to estimate the generated amount in order to transfer them to a temporary trans-shipment site, or to properly treat them. Currently, we estimate the amount of generated large-size wastes by using satellite images or unit measure for wastes; however, the accuracy of such estimations have been constantly questioned. Therefore,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establish three-dimensional spatial information based on UAS, to measure the amount of waste, and to evaluate the accuracy of the measurement. A measurement was made at a waste site by using UAS, and the X, Y, Z RMSE values of the three-dimensional spatial information were found to be 0.022 m, 0.023 m, and 0.14 m, all of which show relatively high accuracy. The amount of waste measured using these values was computed to be approximately $4,273,400m^3$. In addition, the amount of waste at the same site was measured by using Terrestrial LiDAR, which is used for the precise measurement of geographical features, cultural properties and the like. The resulting value was $4,274,188m^3$, which i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amount of waste computed by using UAS. Thus, the possibility of measuring the amount of waste using UAS was confirmed, and UAS-based measurement is believed to be useful for environmental control with respect to disaster wastes, large-size wastes, and the like.

      • KCI등재

        도시공원 서비스권역 내 · 외 이용인구 정밀 분석 - 대구광역시 근린공원, 주민등록 데이터 분석을 중심으로 -

        손승우,안동만,Son, Seung-Woo,Ahn, Tong-Mahn 한국조경학회 2013 韓國造景學會誌 Vol.41 No.5

        본 연구는 도시공원 공간적 분포의 문제점을 도시공원 서비스권역과 주소별 주민등록 데이터를 사용한 분석을 통해 밝히고자 하였다. 도시공원 중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에 의해 지정된 "거주자의 보건 휴양 및 정서생활의 향상에 이바지 하기 위해 설치"된 근린공원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방법은 크게 1) 근린공원 서비스권역 분석, 2) 근린공원 서비스권역 내 외 인구분석, 3) 기존 연구와의 비교 검토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기존 연구들에서 나타났던 거주민 분석의 한계를 개선하고자 차별성을 두어, 각 주소별로 등록된 거주민 주민등록 데이터를 활용하여 실제 거주하는 주민수를 적용하였다. 근린공원 서비스권역 또한 기존에 주로 사용되었던 직선거리를 적용한 버퍼분석이 아닌 보행로, 새주소길 등을 적용한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하여 도출한 결과, 근린공원 서비스권역 면적은 전체면적의 7.99%의 비율을 보였으며, 전체 주거지역 중 근린공원 서비스권역 면적은 31.23%의 비율을 보였다. 근린공원 서비스권역 내에 거주하는 인구는 대구광역시 인구의 43.03%만이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전체 인구 반 이상의 인구가 서비스권역 외에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기존 연구방법과의 비교 검토 결과는 근린공원 서비스권역 및 서비스권역 내 외 인구 수치에서 큰 차이를 보였다. Urban parks are public spaces that provide various services for any urban resident to use and enjoy. Parks should be fairly distributed so that the urban parks can be equally used amongst different regions, generations and classes. Researches on spatial distribution of urban parks have been continuously conducted from the past based on the principles of fairness with variety, and it was evident that their techniques have become more elaborate and sophisticated. Yet, there have been limitations in the analysis of residents who are the main users of the urban parks. The research done so far was unable to apply the real number of the residents and it was carried out by only classifying and analyzing the population by the same scale(grid in the same sizes), postal(zip) code and administrative district. The actual population that resides within the usable range of urban parks was not used. This study analyzes and evaluates the spatial distribution that the residents can use on foot, by utilizing the service areas and the residents' registration data by addresses. In this study, to analyze the square measure of the service areas of neighborhood parks in Daegu Metropolitan City and the number of residents within and outside of the service area, network analysis techniques were employed and the residents' registration data were utilized. Major findings were that the Square measure of service areas of neighborhood parks turned out to be 31.23% of the square measure of the residential areas and also, that only 43.03% of the population of the Daegu Metropolitan area lives within the service areas of the neighborhood parks.

      • KCI등재

        환경감시업무 지원을 위한 환경정보시스템 분석과 정보 활용도 평가

        손승우(Seung-Woo Son),윤정호(Jeong-Ho Yoon),전형진(Hyung-Jin Jeon),이종민(Jong-Min Lee),문지원(Ji-Won Moon),김태현(Tae-Hyun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8 No.2

        본 연구는 다양한 환경정보시스템 중 대기 및 수질 환경정보시스템 분석을 통해 도출한 환경정보가 환경감시 지도·점검에서 활용이 가능한지 여부를 분석하기 위해 연구를 수행하였다. 환경정보시스템에서 구축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한 정보를 토대로 배출업소 지도·점검 현장 동참, 지도·점검 전문가와의 심층면담을 통해 지도·점검에 활용 가능한 환경정보 활용체계를 구분하였다. 또한 구분한 환경정보 활용체계를 기반으로 해당 정보의 활용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환경정보시스템은 대부분 배출업소에서 배출하는 배출물질 및 측정물질정보가 구축되어 해당 목적에 따라 관리되고 있었으며 지도·점검에 필요한 환경정보 범주를 배출물질정보, 배출업소정보, 점검이력정보, 지리정보 4가지로 구분할 수 있었다. 4가지 범주를 기반으로 각 시스템의 환경정보를 평가한 결과, 대부분의 시스템에서 지도·점검에 중요한 점검이력 정보를 확인할 수 없었으며 지리정보 또한 낮은 활용도를 보였다. 도출한 결과를 토대로 기존 환경정보시스템의 정보 활용 관점과 환경정보를 연계하고 통합하는 방안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효율적인 지도·점검 업무 지원에 필요한 환경정보시스템 및 정보 활용 측면에서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whether environmental information could be used for environmental inspection. In addition, environmental information was collected and then an environmental information system applicable to inspection was (developed) using the on-site inspection of pollutant emission facilities and interviews with inspection experts based on the collected information. Moreover, the availability of the information was evaluated based on the (dual-purpose) environmental information system. The information was accumulated in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system and controlled according to its purpose.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needed for inspection was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information on emissions, information on emission companies, information on inspection records, and geographic information.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for each system was evaluated based on these four categories. For most of the systems, it was not possible to find the necessary inspection records. Based on the results, a method was proposed to connect and integrate the perspective of applied and environmental information from previous environmental information systems.

      • 3D-NAND 플래시 메모리의 오류율 기반 군집분석과 차별화된 보호정책 적용을 통한 SSD의 신뢰성 향상 방안

        손승우(Seung woo Son),오민진(Min jin Oh),김재호(Jaeho Kim)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1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9 No.2

        3D NAND 플래시 메모리는 플래너(2D) NAND 셀을 적층하는 방식으로 단위 면적당 고용량을 제공한다. 하지만 적층 공정의 특성상 각 레이어별 또는 셀 위치에 따라 오류 발생 빈도가 달라질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은 플래시 메모리의 쓰기/지우기(P/E) 횟수가 증가할 수록 두드러진다. SSD와 같은 대부분의 플래시 기반 저장장치는 오류 교정을 위하여 ECC를 사용한다. 이 방법은 모든 플래시 메모리 페이지에 대하여 고정된 보호 강도를 제공하므로 물리적 위치에 따라 에러 발생률이 각기 다르게 나타나는 3D NAND 플래시 메모리에서는 한계를 보인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오류 발생률 차이를 보이는 페이지와 레이어를 분류하여 각 영역별로 차별화된 보호강도를 적용한다. 우리는 페이지와 레이어 별로 오류 발생률이 현저하게 달라지는 3K P/E 사이클에서 측정된 오류율을 바탕으로 페이지와 레이어를 분류하고 오류에 취약한영역에 대해서는 패리티 데이터를 추가하여 차별화된 보호 강도를 제공한다. 오류 발생 횟수에 따른 영역 구분을 위하여 K-Means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우리는 이와 같은 차별화된 보호정책이 3D NAND 플래시 메모리의 신뢰성과 수명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인다.

      • KCI등재

        Sphingobacterium sp. SW-09 Effectively Degrades Phenanthrene, a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 in a Soil Microcosm

        손승우(Seung Woo Son),장혜원(Heywon Chang),김성국(Sung-Kuk Kim),장종수(Jong-Soo Chang) 한국생명과학회 2011 생명과학회지 Vol.21 No.11

        페난스렌은 다환방향족 탄화수소의 일종으로서 미량으로도 인체에 강한 해를 미칠 수 있는 주요 환경오염 물질이다. 미생물을 이용한 페난스렌 제거 목적으로 중국 쑤저우(Suzhou) 지역의 유류 오염토양에서 페난스렌을 강력하게 분해하는 세균을 분리하였다. 16S rDNA 염기서열 결정에 의하여 이 세균은 Sphingobacterium sp. SW-09로 동정되었으며 PCR 증폭을 통하여 페난스렌 분해 유전자인 nahH를 가지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전의 연구에서 포천일대의 군부대에서 분리된 강력한 페난스렌 분해세균인 Staphylococcus sp. KW-07과 이번에 분리된 Sphingobacterium sp. SW-09을 이용하여 이들의 페난스렌 분해능을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쑤저우 지역에서 분리된 Sphingobacterium sp. SW-09이 최소배지와 실제토양에서 모두 Staphylococcus sp. KW-07보다 강하게 페난스렌을 분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이번에 분리된 Sphingobacterium sp. SW-09을 사용하여 유류 오염토양의 환경정화에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We isolated a potent phenanthrene-degrading bacterium from oil-contaminated soils of Suzhou, China, and assessed the potential use of these bacteria for bioremediation of soils contaminated by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 in a microcosm. Based on 16S rDNA sequencing, we identified this bacteria as Sphigobacterium sp. SW-09. By PCR amplification, we also identified catechol 2,3-dioxygenase genes (nahH genes) mediating PAH degradation. Staphylococcus sp. KW-07, which has been identified in our previous study, showed potential for use in bioremediation of oil-contaminated soils. In this experiment, we compared the rate of phenanthrene-degradation between Staphylococcus sp. KW-07 and Sphingobacterium sp. SW-09 in a microcosm condition. Newly isolated Sphingobacterium sp. SW-09 showed a higher phenanthrene-degradation rate than that of Staphylococcus sp. KW-07 in soil microcosms. Together,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Sphingobacterim sp. SW-09 strain isolated from the Suzhou area may also be useful in bioremediation of PAH-contaminated soil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위상잠금 적외선열화상 기법을 이용한 플라스틱(POM) 이면결함 검출에 관한 연구

        손승우(Seung-Woo Son),김규섭(Kyu-Seob Kim) 한국기계가공학회 2023 한국기계가공학회지 Vol.22 No.7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etection of defects such as pores and cracks generated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polyacetal (POM), the plastic part material used in automotive parts manufacturing. POM was fabricated as a backside defect specimen, and defects were detected using lock-in infrared thermography (LIT). The frequency was applied from 0.1 Hz to 0.01 Hz using the heat source of a halogen lamp. The amplitude and phase images were generated by applying the four-point method algorithm to the LIT data through MATLAB, and the optimized excitation frequency of the POM specimen was presented through signal-to-noise ratio (SNR) analy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