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제중심학습(PBL)의 학습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손미 ( Mi Shon ),하정문 ( Jung Moon Ha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08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4 No.3

        본 연구는 메타분석법을 적용하여 문제중심학습을 활용한 교수-학습이 학습효과(인지영역, 정의적 영역)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07년까지 연구된 문제중심학습을 활용한 교수-학습의 효과를 검증한 석·박사 학위논문 49편을 대상으로 총 93개의 효과크기를 산출하였고 효과크기에 대한 변인 간 차이는 ANOVA검정을 적용하였으며 얻어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제중심학습을 활용한 교수-학습이 학습 효과의 향상에 미치는 평균 효과크기는 .81로 큰 편이었고, U3값이 79.16%를 나타내어, 문제중심학습을 활용한 교수-학습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학생들의 학습 효과를 29.16% 향상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문제중심학습은 사회, 과학, 실과 등 비교적 전 교과영역에서 학습효과 향상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으며 초등, 중등, 고등, 성인 교육에서 비교적 전반적으로 학습효과를 나타내고 있었다. 또한 면대면 학습환경 뿐만아니라 웹기반, 불랜디드 학습환경에서도 학습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습대상 인원과 관련하여 문제중심학습은 학습대상의 인원에 큰 영향을 받지 않고 학습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문제중심학습의 종속변인에 대한 평균효과크기는 인지적 효과가 .69, 정의적 효과가 1.10로 나타나 문제중심학습은 인지적 학습효과 및 정의적 학습효과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기대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문제중심학습의 양적연구만을 대상으로 분석되었지만 보다 명확한 결과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문제중심학습의 교수-학습과정에서 나타나는 질적 자료에 대한 메타분석이 후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the learning effects of teaching-learning that adopts problem-based learning using meta-analysis method. Forty nine MA and Ph.D degree papers published from 2000 to 2007 were analyzed and 93 effect sizes were calculated. The verifications of the differences among variables were carried out with F-verificati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eaching-learning that adopts problem-based learning turned out to be highly effective in improving learning effect. The total mean effect size was as big as .8819 and the value of U3 was 79.16%. The teaching-learning group that adopts problem-based learning increased learning effect by 29.16%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Second, the mean effect size of problem-based learning on cognitive domain was .69 and all each effect size of sub variables of cognitive domain showed medium effect size,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m. Third, the mean effect size of problem-based learning on affective domain was 1.10 and all each effect size of sub variables of cognitive domain showed high effect size,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m. Forth, in terms of subjects, problem-based learning was effective methods for social studies, science, home economics, and others. Also, it was proved that problem-based learning was effective method for elementary, secondary, and university students with medium effect size of over .68. Fifth, in terms of learning environments, problem-based learning was effective methods to be used for all face-to-face, computer-mediated, and blended learning environments with the effect size of over .6591. Also, it was proved that problem-based learning was effective method regardless of the treatment duration with the effect size of over .74.

      • KCI등재
      • KCI등재

        MOOC 활용 플립드러닝 수업 적용 사례 연구 : 예비교사의 수업참여 경험과 인식을 중심으로

        손미(Mi Sh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0

        목적 본 연구는 대학 정규수업에서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MOOC을 활용한 플립드 러닝 수업을 적용하여 수업에 대한 학습자들의 경험과 인식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부산 소재 대학생 29명을 대상으로 한 학기 동안 사례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수업을 실시하고 학습자 성찰노트와 연구자의 관찰을 중심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내용별로 범주화하여 귀납적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MOOC활용 플립드 러닝 수업은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 환경 구성에 대한 암묵적 지식 형성을 촉진하는 의미 있는 수업으로 인식하였으며, 학습자들은 플리드 러닝 수업구조와 교수전략으로 사전학습, 학습내용과 교실수업 과제와의 연계성, 주별 학습량과 과제 난이도 조절, 협력활동과 상호작용 조절, 사전학습 확인평가 등의 요소가 수업의 집중도와 참여도를 높이는데 유용하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결론 MOOC을 활용한 플립드 러닝 수업 경험은 학습자들의 사고와 지식의 확장, 교수방법과 교수전략 적용에 대한 자신감 형성, 학습자들의 교수효능감과 교사 역량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해석되며 이런 측면에서 예비교사들의 수업지도 역량 강화를 위해 MOOC활용 플립드 러닝 적용은 의미가 있다. Objectives This paper attempts to investigate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flipped learning via the MOOC-based flipped learning method in order to examine their experiences and awareness of the appli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ology. Methods This study employed a case study of 29 pre-service teachers attending a regular university lecture given via the MOOC-based flipped learning method. The main data gathered through students’ reflective journals and interview, and analyzed by using inductive contents analysis method. Resul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nalysis of the data provided by students indicated MOOC-based flipped learning is indeed conducive to formulating a learner-centered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 Second, learners perceived teaching strategies that actively employ and integrate several teaching elements such as advance learning, content-task connection, adjustment of task difficulty in correlation with weekly learning milestones, collaboration and interaction among learners, and advance learning evaluations to be effective in increasing learner participation and focus. Third, the learners most prominently utilized three major learning strategies (advance learning, reviewing, and repeated practice) in order to adjust to the MOOC-based flipped learning environment. Fourth, collaboration and interaction among learners in a flipped learning environment, as experienced by learners, were seen to have promoted critical thinking as well as reinforcement of learning motivation. Conclusions The experience of MOOC-based flipped learning has not only proven effective in expanding learners’ knowledge and reasoning capabilities, but has also contributed to enhancing the learners’ confidence to apply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self-efficacy for teaching and learning, as well as teacher capacity.

      • KCI등재후보

        디지털교과서의 활용이 사회과 문제해결력과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손미 ( Mi Shon ),김소영 ( So Young Kim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3 한국초등교육 Vol.24 No.4

        본 연구는 최근 개발되어 학교 현장에 보급되고 있는 디지털교과서의 활용이 학생들의 문제해결력과 학습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상남도 양산소재 B 초등학교 4학년 2개 학급을 대상으로 실험집단(25명)과 비교집단(27명)으로 하였으며, 실험집단은 총 8주간(주별 3시간 총 24차시) 사회과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한 수업을 진행하였다. 두집단에게 문제해결력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적용하였으며, 실험집단에게 학습만족도 사전검사 및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디지털교과서 활용에 대한 추가적인 자료 확보를 위해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의 장점과 단점에 대한 개방형 질문을 학습만족도 검사에 추가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독립 표본 t 검증과 대응 표본 t 검증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사회과 수업에서 디지털교과서의 활용은 학습자의 문제해결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입증하였다. 둘째, 사회과 수업에서 디지털교과서의 활용은 학습자의 학습만족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는 디지털교과서의 활용을 통해 사회과 문제해결력의 향상과 학습만족도에 긍정적 효과를 입증하였다는데 의의를 두고 디지털교과서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시사점과 가능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what effect the use of a digital textbook has on the students` problem-solving ability and learning satisfaction in social studies compared to book-type textbook. To that end, experimental(n=25) and control(n=25) groups were selected from the 4th graders of B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Yangsan city. Gyeongnam-do. For a period of 8 weeks from May through June, 2012, class of social studies using a digital textbook were given to experimental group with a total of 24 session hours, three hours a week. After experimental treatment post-test on problem solving was conducted for both groups. Post-test on learning satisfaction were conducted for experimental group.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in a class of social studies, use of digital textbook proved to be effective in enhancing problem-solving in the learners. Second, in a class of social studies, use of digital textbook was effective in improving learning satisfaction in the learners.

      • KCI등재

        정보생태계의 변화와 정보리터러시 재조명: 자원기반학습환경 설계에의 함의

        손미 ( Mi Shon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09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5 No.4

        최근 생태학적 관점에서 정보 및 지식, 학습을 유기적 관계망 속에서 조망하는 노력이 정보생태계, 지식생태계, 학습생태계 등으로 나타나고 있다. 본 고는 정보생태계, 지식정보생태계, 학습생태계의 연관 선상에서 기존의 정보리터러시를 재조명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정보생태계의 특징 및 정보탐색활동의 의미와 새롭게 인식되어야 할 정보리터러시의 핵심을 논의한 후, 자원기반학습환경 설계에 주는 시사점을 고찰하였다. 주요 연구방법은 문헌 분석과 고찰이며, 재조명되는 정보리터러시의 핵심으로 지식을 내면화하는 능력, 정보 재맥락화 과정으로서의 성찰 능력, 자원과의 상황맥락적 교류를 위한 직관적 감성적 통찰 능력, 메타인지 능력을 강조하였다. 정보리터러시의 재조망을 바탕으로 다차원적 입체적 접근의 학습환경 제공, 실제맥락을 지향하는 학습경험의 제공과 그 과정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 직관의 사용법으로서 다양한 생각도구를 통한 학습경험의 제공, 매타인지 관련 전략과 지원시스템의 제공 등의 측면에서 자원기반학습환경설계에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digital age has changed the nature of resources and information and hence information ecology. In new information ecology, information-seeking is more powerful based on both the networked relationship and semantic search inquiry of information. However, information literacy must be readdressed if we are successfully to use resources for learning and to implement resource-based learning environments. In this respect, information literacy is redefined as inquiry abilities to internalize information into knowledge, to reflect information in the situational context, to interact and insight intuitively with resources and information, and to develope metacognitive knowledge in the process of searching. With the new understanding of information literacy, some implications for the design of resource-based learning environments. Topics discussed in details include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information ecology, open-ended learning environments; the nature of resources and information literacy changed; key challenges to be addressed in instructional design of resource-based learning environments.

      • KCI등재

        『교육정보미디어연구』의 역대 정부별 연구주제 변화 동향 분석: 20년간,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적용하여

        손미 ( Mi Shon ),정주훈 ( Ju Hun Jeong ),김영환 ( Young Hwan Kim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6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원격, 방송, 미디어활용 교육의 발전을 위한 학술활동을 지원하고 노력을 기울이는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에서 발간하는『교육정보미디어연구』에 20년간 게재된 논문을 대상으로 주제의 동향과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앞으로의 연구 주제 및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교육정보미디어연구』21권 4호까지 게재된 총 545편의 논문을 분석하였다. 연구주제 변화를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용어로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3명의 교육공학 및 컴퓨터교육 계통의 연구자들이 편당 5개의 주요 주제어(Core Keyword)를 선정하였다. 이를 통해 총 1,141개의 주요 주제어가 선정되었다. 빈도수 분석 결과, 지난 20년간 빈도수가 높았던 주요 주제어는 ‘이러닝’, ‘웹기반 학습’,‘학업성취도’, ‘상호작용’, ‘만족도’, ‘원격교육’ 등의 순이었다. 정부별 분석에서는 김대중 정부에서는 ‘웹기반 학습’, ‘교육방송’, ‘학업성취도’ 순으로, 노무현 정부 때는 ‘이러닝’, ‘웹기반 학습’, ‘학업성취도’ 순으로, 이명박 정부 때는 ‘이러닝’, ‘만족도’, ‘학업성취도’ 순으로, 박근혜 정부는 ‘학업성취도’,‘이러닝’, ‘협력학습’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정부별 분석을 통해 ‘웹기반 학습’의 빈도수는 1위-2위-5위-62위 순으로 용어의 사용빈도수가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원격교육’, ‘사이버수업’, ‘리터러시’ 등의 용어 사용빈도수는 급격히 낮아졌고, ‘협력학습’, ‘몰입’, ‘인지부하’, ‘스마트교육’, ‘SNS’등의 용어 사용빈도수가 매우 높아진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용어의 변화가 일어난 것으로 추론할수 있다. 마지막으로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적용하여 정부별 빈도수 상위 주요 주제어들 간의 중앙성 및 관계를 파악하여 가시화하였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analyzing research trends of the last 20 years and finding futuristic issues of Journal of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Study.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s, we analyzed 545 articles from the Journals which published a total 21 books and 4 volumes in 2015. A total of three researchers selected five major core keywords while reading all of the summaries of the papers. After all, it was possible to select a total 1,141 keywords. The most frequently appeared keywords are ‘e-Learning’, ‘web-based learning’, ‘learning achievement’, ‘interaction’, ‘satisfaction’, ‘distance education’. By the criteria of government, the most frequently appearing keywords are as follows: 1) Kim Dae-Jung: ‘web-based learning’, ‘educational broadcasting’ and ‘learning achievement’ 2) Rho Moo-Hyun: ‘e-Learning’, ‘web-based learning’ and ‘learning achievement’, 3) Lee Myung-Bak: ‘e-Learning’, ‘Satisfaction’ and ‘learning achievement’, 4) Park Geun-Hye: ‘learning achievement’, ‘e-learning’ and ‘cooperative learning’. These results show some meaningful outcomes. First, the frequency of ‘web-based learning’ has declined accordingly: 1st-2nd-5th-62nd. Second, the following keywords frequence have also significantly declined - ‘distance education’, ‘cyber class’ and ‘literacy’. Third, the frequency of keywords such as ‘cooperative learning’, ‘flow’, ‘cognitive load’, ‘smart education’ and ‘SNS’ has increased. These outcomes clearly show a changing tend and terms used in education. Lastly, while using network-text analysis, it was possible to present the median and relationship amongst the keywords of each government.

      • KCI등재

        블랜디드 러닝 환경에서 학습효과 저해 요인 분석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손미 ( Mi Shon ),정현희 ( Hyeon Hee Chung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07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초등학교 블랜디드 러닝 환경에서의 학습 효과 저해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초등 5학년 사회과 수업에 블랜디드 러닝을 적용한 후 학습자특성, 교수-학습 설계, 교수-학습 환경의 어떤 요인들이 학습 효과 저해 요인으로 작용하는지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5학년 3개 반 학생 94명을 대상으로 4주간의 블랜디드 러닝을 적용한 후, 선행연구 결과들을 기초로 3개 범주 41개 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다중회귀분석법에 의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블랜디드 러닝 환경에서 학습자 특성, 교수-학습 설계, 교수-학습 환경 요인 전체는 학습효과 저해 요인으로 53%의 설명력을 가지며, 그 영향력의 크기는 교수-학습 설계, 교수-학습 환경, 학습자 특성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블랜디드 러닝 환경에서 학습자 특성 요인이 학습저해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은 38.3%의 설명력을 지니고 있으나 각각의 하위 요소들은 학습 효과 저해에 미치는 영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블랜디드 러닝 환경에서 교수-학습 설계 측면에서의 학습 효과 저해 요인들은 학습 설계의 문제, 화면 설계의 문제, 상호 작용의 어려움 순서로 전체 46.9%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가운데 학습 설계의 문제는 p<.001 수준에서, 화면 설계의 문제는 p<.05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학습 효과 저해 요인으로 나타났다. 넷째, 블랜디드 러닝 환경에서 교수-학습 환경 요인은 물리적 환경 문제, 운영의 문제 순서로 학습 효과 저해 요인으로의 전체 36.79%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물리적 환경의 문제는 p<.001수준에서, 운영의 문제는 p<.05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학습 효과 저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learning hindrance factors in terms of learner characteristics, teaching and learning design, and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 in blended-learning environments. To accomplish the purpose, this study used blended learning of social studies for 4 weeks with 94 elementary students of 5th grade. The data were gathered through the questionnaire composed of 41 questions in three categories of learning hindrance facto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multiple regression method. The results were founded as follows: First, in general, the factors related to `teaching and learning design` and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s` were related to hinder the students` achievement in blended learning environments. Second, The factors related to learner characteristics could explain the students` negative achievement in blended learning with hindrance effects of 38.3%. But none of the sub factors in teaching and learning design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learning hindrance effects in blended learning. Third, the factors related to teaching and learning design could explain the students` negative achievement in blended learning with hindrance effects of 46.9%. the sub factors of learning design and screen design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learning hindrance effects in blended learning. Finally, the factors related to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 could explain the students` negative achievement in blended learning with hindrance effects of 36.79%. The sub factors of facilitation problems and management problem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learning hindrance effects in blended learning.

      • KCI등재

        제형주름강판의 주름깊이에 따른 이력거동과 에너지 소산능력

        수덕(Shon, Su-Deok),유미나(Yoo, Mi-Na),이승재(Lee, Seung-Jae) 대한건축학회 2016 大韓建築學會論文集 : 構造系 Vol.32 No.12

        Trapezoidal-corrugated steel plate refers to a plate with horizontal and inclined panels that have been processed at a fixed angle. When this plate is used in a shear wall system, rigidity along the corrugation direction does not increase due to its accordion effect. This plate is also economical to use because it serves as a vertical stiffener. However, corrugated steel plates have orthotropic characteristics. It is also not easy to determine the corrugation shape for design because their shear performance or hysteric behavior is difficult to reveal. In this study, the hysteric behavior of a corrugated steel plate under cyclic loading was investigat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rrugated steel plates of the same size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corrugation depth. Results of the experiment were compared with the buckling shape through a buckling analysis of the corrugated steel plate, and the collapse mechanism under cyclic loading was examined. In conclusion, the fracture at boundary had an effect on the generation of buckling, and the specimen where shear buckling occurred showed better resistance and cumulative energy dissipation according to corrugation shape than the specimen where no shear buckling occurred.

      • KCI등재

        사인형 주름웨브보의 이산화 최적구조설계

        수덕,유미나,이승재,Shon, Su Deok,Yoo, Mi Na,Lee, Seung Jae 한국강구조학회 2012 韓國鋼構造學會 論文集 Vol.24 No.6

        박스형 거더나 박공형 철골조 프레임에서 주름웨브보의 사용은 최근 많이 늘어가고 있다. 그 이유는 얇은 주름웨브보를 사용함으로서 압연형강이나 용접을 이용한 조립보에 비해 중량을 크게 줄일 수 있으며, 박판의 좌굴은 주름이 막아줄 수 있기 때문이다. 자동생산기술의 향상으로 인해 주름웨브를 가진 단위 부재를 양산할 수 있게 되어 적용분야가 확장되고 있으며, 주름웨브보의 부재 제원을 고려한 최적설계의 구현이 필요하게 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주름웨브보의 생산부재 데이터를 고려한 이산화 최적구조설계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집중하중과 등분포하중을 받는 주름웨브 단순보에 대해 적용하였다. 최소중량을 목적함수로, 세장비, 응력 및 처짐을 제약조건으로 채택하고, 전역최소값을 탐색하기 위해서 유전자 알고리즘을 채택하였으며, 생산부재의 번호를 불연속설계변수로 이용하였다. 최종적으로 해석설계의 검증을 위해서 이산화 최적설계 결과를 연속일 때의 결과와 비교하였으며, 최적단면 특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The use of sinusoidal corrugated web girder for the box-type girders and gable steel main frames has recently been increasing very much. The reasons are that the thin web of the girder affords a significant weight reduction compared with rolled beam and welded built-up girder, and that corrugation prevents the buckling failure of the web. Improvements of the automatic fabrication process makes mass production of the corrugated web and unit possible, and applications of this girder have been extended considerably. Thus, the research for the optimum design processer considering the production data is needed practically. For doing this research, we develope the discrete optimum structural design program in consideration of production list data for the research, and the program apply to the single girder under the uniform load and the concentrated load as numerical example. We consider objective function as minimum weight of the girder, and use slenderness ratio, stress of flanges and corrugated web, and the girder deflection as the constraint functions. And also the Genetic Algorithms is adopted to search the global minimum point by using the production list as a discrete design variable. Finally, to verify the optimality of the design, we conduct a comparison of the results of the discrete optimum design with those of the continuous one, and als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optimum cross-section.

      • KCI등재

        교사의 부정적 정서경험과 정서조절능력의 관계: 적응적 인지적대처와 주의재배치행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강숙 ( Shon Kang Suk ),정소미 ( Jeong So Mi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7 청소년복지연구 Vol.19 No.2

        본 연구는 교사가 교실에서 경험하는 부정적 정서경험과 정서조절능력의 관계에서 정서조절의 과정 변인들, 즉, 적응적 인지적대처, 주의재배치행동의 매개효과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중학교와 고등학교 교사 822명을 대상으로 부정적 정서경험과 정서조절능력, 적응적 인지적대처 그리고 주의재배치행동을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18.0 프로그램으로 빈도분석, 기술통계, 상관분석을 하였으며, AMOS 18.0 프로그램으로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개별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팬텀변수를 사용한 효과분해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교사의 부정적 정서경험은 적응적 인지적대처를 매개로 정서조절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부정적 정서경험과 정서조절능력 간의 관계에서 적응적 인지적대처와 주의재배치행동을 통한 이중 매개효과도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교사의 정서조절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과 정서조절 과정에 개입할 수 있는 프로그램 구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The study aims to examine variables of the process from the relation between the negative emotion experience and the emotion regulation ability that a teacher experiences in class. 822 teachers in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participated in the study to explore negative emotion experience, adaptive cognitive coping, and attention redeployment behavior. SPSS 18.0 program was used to analyze frequency, correlation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lso, structure equation model analysis was performed by AMOS 18.0 program. Degradation using the phantom variable was used to identify the separate mediator effect.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 teacher`s negative emotion experience influenced emotion regulation ability through adaptive cognitive coping as an intermediation. Second, the dual mediator effect through adaptive cognitive coping and attention redeployment behavior played a key role in the relation between teacher`s negative emotion experience and emotion regulation ability.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to design the program which helps to improve teachers` emotion regulation ability and intervenes emotion regulation proc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