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비당뇨인에서 당화혈색소와 안압과의 관련성

        강경오,전성흡,신경숙,손두용,유병욱,김선희,홍성호,조주연,신황식,조용진,오정은 대한가정의학회 2019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Vol.9 No.1

        연구배경: 당뇨병을 진단받은 사람은 자율 신경계의 이상 및 유전적 요인으로 비당뇨인에 비해 평균 안압이 높다고 알려져 있다. 최근연구에 따르면 당뇨병 뿐만 아니라 당뇨병 전단계에서도 당뇨병 합병증이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다고 한다. 이에 저자는 일개병원의 건강검진센터에서의 전자의무기록 자료를 이용하여 비당뇨인의 당화혈색소와 안압과의 관련성을 분석하고자 이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2015년 11월부터 2017년 9월까지 일개 대학병원 건강검진센터를 방문한 16,64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중 고혈압, 당뇨병, 뇌졸중,심혈관질환, A, B, C형간염, 암 및 기타 질환이 있다고 응답한 대상자,약물을 복용하고 있는 자, 검사 결과 공복혈당 126 mg/dL 이상 혹은HbA1C 6.5% 이상인 자, 양안 안압 측정이 되지 않는 자는 제외한302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당화혈색소 5.7% 미만, 5.7% 이상이고6.5% 미만의 두 그룹으로 나누어 각 그룹의 평균 안압을 남녀 구분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안압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보정한 후, 당화혈색소와 안압의 관련성을 분석하기 위해 공변량분석을 시행하였다. 남성의 경우 두 그룹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여성의 경우 두그룹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 비당뇨인에서 여성에서는 평균 안압과 당화혈색소 간에 유의미한 관련성이 있었다. 추후 다각적이고 전향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Background: Diabetic patients are known to have unusually high mean intraocular pressure (IOP); attributable to autonomic dysfunction and genetic factors. A recent study reported that diabetic complications occur in not only diabetes but also prediabetes. We performed this study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glycated hemoglobin A1c (HbA1c) levels and IOP in non-diabetics using electronic medical records at the health screening center of Soon Chun Hyang University Seoul Hospital. Methods: We considered 16,643 individuals who visited the health screening center of Soon Chun Hyang University Seoul Hospital between November 2015 and September 2017. In total, 3,029 subjects were included in the study. Exclusion criteria included a history of hypertension, diabetes, stroke, cardiovascular disease, hepatitis (A–C), cancer, other disease, fasting blood glucose of 126 mg/dL or higher, HbA1c of 6.5% or higher, and individuals whose binocular IOP could not be measured. We categorized subjects into two groups; those with HbA1c less than or equal to 5.6%, and those with HbA1c greater than 5.6% and less than 6.5%. The mean IOP of each group was compared by gender. Results: After adjusting for factors affecting IOP, analysis of variance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HbA1c and IOP.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HbA1c groups in males.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IOP between females in the the higher and lower HbA1c groups. Conclusion: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mean IOP and HbA1c in females without diabetes. Further research is needed with prospective and extensive data collection.

      • KCI등재후보

        한국 성인에서 10년간 대사증후군 유병률과 위험요인의 변화: 국민건강영양조사(2008–2017) 자료를 이용하여

        김민현,이상희,신경숙,손두용,김선희,조현,유병욱,홍성호,조주연,신황식,조용진,오정은 대한가정의학회 2020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Vol.10 No.2

        Background: Metabolic syndrome is a nationwide health problem, which is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cardiovascular diseases, diabetes, andchronic renal failure.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in Korea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1998 to 2007. After that, the prevalence was stablein female but still increasing in mal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how the prevalence and risk factors for metabolic syndromechanged in Korean adults through the last decade. Methods: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8 to 2017 was used.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Adult Treatment Panel III were used to define metabolic syndrome. We compared how each metabolic syndrome component and the risk factorschanged through the years. Results: A total of 51,177 (30,092 female and 21,085 male) people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in male increasedfrom 24.5% in 2008 to 28.1% in 2017, whereas that in female was stable at 20.5% in 2008 from 18.7% in 2017. Waist circumference measurementsand fasting glucose levels increased through the decade in male, whereas only fasting glucose levels increased in female. Conclusion: Since the last decade,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adults has increased in male but remained stable in female. Lifestyle intervention in male, namely ceasing smoking and drinking could prevent increasing metabolic syndrome prevalence in Korean adults. 연구배경: 대사증후군은 심뇌혈관 질환, 당뇨 그리고 만성신부전등과 관련된 질환으로, 한국의 대사증후군 유병률은 1998년부터2007년까지 급격하게 증가하였으며, 그 이후로는 남성에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여성에서는 안정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본연구는 한국 성인을 대상으로 지난 10년간 대사증후군의 유병률 및위험요인들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8년부터 2017년까지의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대사증후군의 구성요인 및 생활습관 요인의 변화를 분석하였고, 대사증후군의 진단을 위해 modified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Adult Treatment Panel III를 진단기준으로 평가하였다. 결과: 총 51,177명(여자 30,092명, 남자 21,085명)이 본 연구에 포함되었다. 남자에서 대사증후군의 유병률은 2008년 24.5%에서 2017년28.1%로 증가하였고, 여자에서는 2008년 20.5%에서 2017년 18.7%로안정된 추세를 보였다. 같은 기간 동안 남자에서는 복부비만, 높은혈압, 높은 공복혈당에 해당하는 군이 증가하였으나, 여자에서는 오직 높은 공복혈당에 해당하는 군만이 증가하였다. 결론: 지난 10년간, 한국 성인에서 남자의 대사증후군 유병률은 증가하였고, 여자에서는 안정되었다. 남자에서 우세한 생활습관 요인인 흡연과 음주에 대한 중재 및 관리가 대사증후군을 예방하는데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성인 남성에서 혈청 페리틴 수치와 무증상 고요산혈증의 관계: 대학병원 건강검진센터(2020) 자료를 이용하여

        강선종,오정은,조용진,신황식,유병욱,홍성호,조현,손두용,신경숙 대한가정의학회 2023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Vol.13 No.3

        Background: Serum ferritin levels can be used as an auxiliary indicator of inflammation. In addition, gout is an inflammatory disease whose risk increases with increasing uric acid level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between ferritin levels and asymptomatic hyperuricemia. Methods: A total of 13,570 patients who underwent medical examinations at a university hospital health examination Center, Korea between January 2020 and December 2020 were enrolled. After excluding women and patients already receiving treatment for gout and chronic diseases such as hypertension, diabetes, hyperlipidemia, autoimmune diseases, and malignant tumors, the final data were collected from 2,833 patients. Results: Based on the distribution of ferritin,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quartiles (25th, 50th, 75th, and 100th percentiles) and evaluated. The unadjusted odds ratios by ferritin quartiles were 1.35 (95% confidence interval [CI], 1.06–1.72), 1.69 (95% CI, 1.33–2.15), and 2.77 (95% CI, 2.19–3.50) for each quartile compared to the first quartile. The odds ratio after adjusting for confounding variables such as age, body mass index, waist circumference, exercise, alcohol consumption, and smoking status was 1.20 (95% CI, 0.93–1.55), 1.40 (95% CI, 1.09–1.79), and 2.15 (95% CI, 1.68– 2.75) for each quartile compared to the first quartile. Conclusion: Hyperuricemia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high serum ferritin levels in adult males.

      • KCI등재

        건강한 성인에서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과 고감도 C-반응성 단백질의 관련성

        최윤형,오정은,이진,신황식,조용진,김선희,조현,유병욱,홍성호,조주연,손두용,신경숙 대한가정의학회 2021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Vol.11 No.1

        Background: Recent studies have shown that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 is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high sensitivity C-reactiveprotein (hs-CRP), a predictor of increased risk of developing cardiovascular disea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NAFLD and hs-CRP in healthy adults. Methods: Among 13,709 participants aged 20 years and over who underwent a health check-up between March 2016 and February 2017 at a healthpromotion center, we studied 849 participants without underlying medical conditions, excessive alcohol consumption, or serum hs-CRP level >5.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tertiles of serum hs-CRP levels. Result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the mean level of serum hs-CRP was higher in the NAFLD group (0.60 and 1.11 mg/L, respectively, P-value<0.001). The proportion of participants with NAFLD 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tertiles was 5.8%, 22.7%, and 42.9%, respectively (P-value<0.001). When compared with the lowest tertile group, the adjusted odds ratios for NAFLD in the middle and highest tertile groups were 2.557 (95%confidence interval [CI], 1.317–4.965) and 2.771 (95% CI, 1.420–5.408), respectively. Conclusion: We found that NAFLD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serum hs-CRP in healthy adults. This result was still significant after adjusting for age, sex,body mass index, waist circumference, fasting blood glucose,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s, and triglyceride and high-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levels. 연구배경: 최근 연구들에서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이 심혈관 질환의 독립적인 위험인자로 보고되고 있으며 심혈관 질환 위험 예측 인자 중 하나인 고감도 C-반응성 단백질(hs-CRP)과의 연관성을 보여주는 연구들도 다수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이에 관한 연구가 많지 않아 기저질환이 없는 건강한 성인에서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과 hs-CRP 간의 관련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2016년 3월부터 2017년 2월까지 일개 대학병원 건강증진센터에서 건강검진을 받은 20세 이상의 성인 수검자 중 심혈관 질환, 바이러스 간염, 당뇨 등의 기저질환 및 알코올 남용력이 없고 혈청 hsCRP 수치가 5 mg/L를 초과한 사람을 제외한 총 849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 유무에 따른 평균 혈청 hs-CRP수치를 구하고 연구 대상자를 혈청 hs-CRP 수치의 백분율 분포에 따라 삼분위로 구분한 후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의 교차비를 구했다. 결과: 정상군에 비해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군에서 평균 혈청 hsCRP 수치가 유의하게 높았다. 혈청 hs-CRP 수치가 낮은 군에 비해높은 군, 특히 가장 높은 제3분위에서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의 비율이 높았다. 혈청 hs-CRP 수치의 제1분위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제2분위, 제3분위의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의 교차비는 각각 4.787(95% confidence interval [CI], 2.661–8.612), 12.275 (95% CI, 6.935–21.727)이었으며 연령, 성별, 체질량지수, 허리둘레, 공복혈당, 혈압,중성지방,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의 교란변수를 보정한 후 교차비는 각각 2.557 (95% CI, 1.317–4.965), 2.771 (95% CI, 1.420–5.408)이었다. 결론: 기저질환이 없는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한 본 연구에서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은 hs-CRP와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으며, 이는교란변수를 보정한 후에도 여전히 의미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고민감도 C-반응단백과 고요산혈증과의 연관성: 대학병원 건강검진센터(2016–2017) 자료를 이용하여

        김다빈,오정은,박현서,신황식,조용진,김선희,조현,유병욱,홍성호,조주연,손두용,신경숙 대한가정의학회 2020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Vol.10 No.2

        Background: Several studies have shown that elevated serum uric acid levels are associated with cardiovascular disease. High sensitivity C-reactiveprotein (hs-CRP) has been shown to be a measure of the severity and prognosis of cardiovascular disea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the association of hs-CRP with hyperuricemia. Methods: From March 2016 to November 2017, a total of 26,987 patients who received a health check-up at a Soonchunhyang University CheonanHospital, Korea, were enrolled. Foreigners, patients who had hs-CRP score greater than 10 or white blood cell score greater than 10,000, those whodid not respond sincerely, those who had previously been diagnosed with gout and cerebrovascular disease, and females were excluded. Data werecollected from 2,808 patients. Results: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four sections by 25th percentile, 50th percentile, 75th percentile, and 100th percentile based on the distributionof hs-CRP. Serum hs-CRP levels were 1.85 (1.34–2.56), 2.59 (1.90–3.54), and 3.64 (2.70–4.93) respectively in the second, third, and fourth quartilesbased on the first quartile. The odds ratios were 1.46 (1.05–2.03), 1.76 (1.27–2.45), and 2.27 (1.64–3.14) after adjusting the disturbance variables ofage, body mass index, smoking status, and regular exercise. Conclusion: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rum hs-CRP and hyperuricemia, which are the risk factors for cardiovascular disease,and foun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These results were still significant after adjusting for age, smoking, exercise, and body mass index. 연구배경: 여러 연구에서 혈청 요산의 증가는 관상동맥 질환과 뇌졸중을 포함하는 심혈관계 질환과 유의한 연관성이 있다는 보고가있다. 현재까지 혈청 고민감도 C-반응단백(high sensitivity C-reactiveprotein, hs-CRP) 수치는 전신 염증 반응 표지자로서 심혈관 질환의중증도와 예후를 가늠할 수 있는 인자로도 알려져 있다. 이에 국내성인 남자를 대상으로 고요산혈증이 있는 수검자에서 심혈관 질환의 위험인자인 hs-CRP 수치와 연관성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16년 3월부터 2017년 11월까지 순천향대학교 부속 천안병원종합검진센터에서 건강검진을 받은 수검자 2,808명의 데이터를 대상으로 시행하여 연령, 흡연, 운동, 신장, 체중, hs-CRP, uric acid를 측정한 후 다른 요인을 보정하여 hs-CRP와 hyperuricemia가 있는 수검자 간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 대상자를 hs-CRP를 백분율 분포에 따라 네분위로 구분했을 때 혈청 hs-CRP 농도가 제1분위에서 제4분위로 증가할수록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는 증가하였고 흡연, 운동량과는 유의한연관성이 있었고 나이와는 유의한 연관성이 없었다. 혈청 hs-CRP를제1분위를 기준으로 할 때 제2분위, 제3분위, 제4분위의 고요산혈증의 교차비는 각각 1.85 (1.34–2.56), 2.59 (1.90–3.54), 3.64 (2.70–4.93)였다. 연령과 체질량지수, 흡연 여부, 규칙적 운동량의 교란변수를 보정한 후 교차비는 각각 1.46 (1.05–2.03), 1.76 (1.27–2.45), 2.27(1.64–3.14)이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건강한 건강검진 수검자를 대상으로 하여 심혈관 질환 위험인자인 혈청 hs-CRP와 고요산혈증에 관련성을 평가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나이와 흡연력, 운동량과 체질량지수를 보정한 후에도 여전히의미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혈청 페리틴과 Triglyceride Glucose Index의 연관성: 대학병원 건강검진센터(2020) 자료를 이용하여

        이지인,조현,조용진,신황식,홍성호,유병욱,오정은,신경숙,손두용 대한가정의학회 2022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Vol.12 No.4

        연구배경: 혈장 철의 과부하는 산화스트레스를 일으켜 조직을 손 상시키고 당뇨병 발생을 유발하며 체내 저장 철을 반영하는 혈청 페 리틴과 인슐린 저항성의 연관성이 다수의 연구에서 발표되었다. 따 라서 인슐린 저항성의 유용한 지표로 주목받고 있는 TyG index와 혈청 페리틴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20년 1월부터 12월까지 순천향대학교 부속 천안병원 건강 검진센터를 방문한 수검자 4,718명을 대상으로 혈청 페리틴, 중성지 방, 공복혈당, 신장, 체중을 측정하고 공복혈당과 중성지방을 이용 하여 TyG index를 구하였다. 남녀를 구분하여 혈청 페리틴 수치로 사분위로 분류하고 ferritin과 TyG index 값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성별에 관계없이 혈청 페리틴의 사분위가 높아질수록 TyG index는 증가하였고(P<0.05) 인슐린 저항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나 이, 체질량지수, 운동, 음주, 흡연에 대해 보정한 후에도 유의한 관 련성을 보였다(P<0.05). 결론: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한 본 연구에서 혈청 페리틴과 TyG index는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 KCI등재

        건강한 성인에서 갑상선 결절과 대사증후군과의 관계: 대학병원 건강검진센터(2020) 자료를 이용하여

        김소연,조용진,신황식,오정은,홍성호,유병욱,조현,신경숙,손두용 대한가정의학회 2022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Vol.12 No.4

        연구배경: 갑상선 결절과 대사증후군은 흔한 질환으로 유병률이 높다. 본 연구는 건강한 한국인을 대상으로 갑상선 결절과 대사증 후군 및 그 구성 요소와의 연관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2020년 1월부터 2020년 12월까지 일개 종합병원 건 강검진센터에서 갑상선 초음파를 시행 받은 수검자중 중대한 증상 이 없는 1,69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갑상선 결절의 유무에 따라 대 사증후군의 구성 요소와의 차이는 chi-square test와 independent t-test 로 분석하였고, 대사증후군과 그의 구성 요소와 갑상선 결절과의 관계를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평가하였다. 결과: 전체 연구 대상자 1,695명 중 갑상선 결절이 있는 대상자는 489명(28.8%), 대사증후군이 있는 대상자는 491명(29.0%)이었다. 고 령, 높은 체질량지수, 큰 허리둘레, 높은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과 높은 당화혈색소, 낮은 HDL-C, 높은 fT4와 낮은 TSH는 갑상선 결 절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갑상선 결절의 유병률은 대사증후군을 동반한 대상자에서 유의하게 더 높았다(P<0.05). 또한, 다변량 분석 에서는 대사증후군의 구성 요소 중 허리둘레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위험인자로 나타났다(OR, 1.028; 95% CI, 1.014–1.041; P<0.001) 그 밖에 요소로는 연령, 여성, TSH가 갑상선 결절과 연관성이 있는 독립 적인 인자로 확인되었다(P<0.05). 결론: 본 연구는 갑상선 질환의 과거력이 없는 건강한 성인에서 대사증후군 및 그 구성 요소가 갑상선 결절과 연관성이 있음을 보여 준다.

      • KCI등재

        한국 성인에서 흡연과 대사증후군의 관련성

        임재석(Jae Seok Im),김나래(Na Rae Kim),오정은(Jung Eun Oh),홍성호(Sung Ho Hong),조주연(Choo Yon Cho),조용진(Yong Jin Cho),유병욱(Byung Wook Yoo),신경숙(Kyung Suk Shin),조현(Hyun Joe),신황식(Hwang Sik Shin),손두용(Doo Yong Son) 대한임상노인의학회 2018 대한임상노인의학회지 Vol.19 No.1

        Background: Several studies suggest that smoking is a risk factor of metabolic syndrom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association between smoking status and metabolic syndrome among Korean adults. Methods: We assessed 4349 participants aged 19 years and older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al Examination Survey 2013. Smoking statuses were collected from self-reported questionnaires.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non-smokers, former smokers, and current smokers. The diagnosis of metabolic syndrome was made using criteria modified NCEP-ATP III.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calculate odds ratios between smoking status and metabolic syndrome. Results: The overall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was 27.8% and former smokers had the highest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at 30.7%. After adjustment for age, sex, alcohol consumption, physical activity and body mass index, the odds ratio for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disorder, triglyceride disorder, abdominal obesity in current smokers was 1.25 (95% CI, 1.02~1.54), 1.83 (95% CI, 1.48~2.26), and 1.35 (95% CI, 1.00~1.81) compared with non-smokers, respectively. For metabolic syndrome, the odds ratio in current smokers was 1.30 (95% CI, 1.02~1.68) compared with non-smokers. Conclusion: Current smokers showed increased risk for metabolic syndrome. Smoking status was associated with increased risk of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ad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