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통합 설계 프로세스에서의 VR, AR 적용을 위한 BIM Extension Model 개발의 필요성 연구

        손동혁(Son, Dong Hyuk),이명식(Lee, Myung-Sik) 한국퍼실리티매니지먼트학회 2021 한국퍼실리티매니지먼트학회지 Vol.16 No.2

        As technology improves living conditions, VR (Virtual Reality)/AR (Augmented Reality) technologies are becoming increasingly popular in the architecture design industries. The difference between AR and VR is that the purpose of augmented reality adds information and meaning to the actual object or environment rather than creating a simulation of reality. To vividly understand the differences between VR/AR applications in the architecture industry, some illustrative examples are provided. Based on the combination of BIM (Building Imformation Modeling) and VR/AR, this paper presents the possibilities and application methods of Extension BIM (BIM Extension Model, BIEM) in the integrated design process.

      • KCI등재

        시베리아 후기구석기시대의 사냥도구 검토

        손동혁(Son, Dong-Hyuk) 중앙문화재연구원 2017 중앙고고연구 Vol.0 No.24

        시베리아지역은 넓은 의미로 지칭할 때에는 알타이지역과 극동지역, 야쿠치야지역, 바이칼지역을 모두 포함시킬 수 있다. 이러한 시베리아지역에서는 알타이지역에서부터 극동지역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시기와 특징을 보이는 후기구석기시대 유적들이 발견되었다. 시베리아의 후기구석기시대는 편년과 출토되는 석기군을 통한 문화상으로 볼 때 45,000∼30,000B.P., 30,000∼20,000B.P., 20,000∼15,000B.P., 15,000∼ 10,000B.P.의 대략 4시기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시베리아지역에서는 양면박리기법과 돌날문화의 특징을 가지고 있으면서 비정형의 세형몸돌이 이른 시기에 출현한다. 이로 인한 석기의 소형화와 기술체계의 변화는 1기에서부터 잎형찌르개가 존재하고 결합식도구와 골각제 찌르개 등이 나타날 수 있는 배경이 되었다. 또한 2기에서부터 세형돌날문화가 발전해감에 따라 이러한 사냥도구들은 더욱 정교하고 소형화 되어 나타났으며, 특히 4기에 이르러서는 눌러떼기기술을 통한 아주 세밀한 잎형찌르개 등이 극동지역을 중심으로 후기구석기시대 말기까지 이어진다고 할 수 있다. 시베리아에서는 이처럼 이른 시기에 양면석기가 나타나면서 이 양면석기를 중심으로 사냥도구들이 발전하게 되었다. 이러한 양상은 후기구석기시대 후기로 갈수록 더욱 보편적으로 되며, 기술적 발전으로 인해 훨씬 정교한 사냥도구들이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특징은 인류의 이동, 정착의 과정에서 나타나는 복합적인 요소를 가지고 있다고 할수 있으며, 문화의 역동성을 확인해 볼 수 있다고 생각된다. The Siberian region may refer to a wide area including Altai, Yakutia, Baikal, and the Far East. Upper Paleolithic sites with various periods and features from Altai to the Far East have been discovered. Siberian Upper Paleolithic can be divided into four periods: Period 1(45,000-30,000 B.P.), Period 2 (30,000-20,000B.P.), Period 3 (20,000-15,000B.P.), and Period 4 (15,000-10,000B.P.). In Siberia, atypical micro-cores appear in the early period, with features of bifacial technique and blade culture. The miniaturization of the stone tool and the technological changes provide the background where foliate points, composite tools and bone points appear from Period 1. In addition, as the blade culture developed from Period 2, these hunting tools became sophisticated and miniaturized. Especially in Period 4, detailed fo liate points through pressure-flaking predominant in the Far East continue to the terminal Upper Paleolithic Age. As such, hunting tools appeared early in the Siberian region, developed from the early appearance of bifacial tools. This aspect becomes increasingly widespread towards the late Upper Paleolithic, and technological advances lead to more elaborate hunting tools. This in turn reflects the complexity of the migration and settlement process of humans, and reaffirms the dynamic nature of cultural change.

      • KCI등재

        후기구석기시대 시베리아 지역의 새기개 연구

        손동혁 ( Son Dong Hyuk ) 배재대학교 한국-시베리아센터 2020 한국시베리아연구 Vol.24 No.3

        시베리아 지역의 후기구석기시대는 이른 시기의 후기구석기시대 초기에서부터 신석기시대가 시작되기 시작하는 약 10,000BP 전후의 시기까지를 지칭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후기구석기시대는 돌날석기문화와 이후의 세형돌날문화를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시베리아 전 지역에 걸쳐 나타나고 있다. 새기개는 이러한 후기구석기시대에 주로 나타나는 석기로써 후기구석기시대의 대부분의 유적에서 발견되고 있는 중요한 석기라 할 수 있다. 새기개는 뼈나 뿔 등에 홈을 파거나 자르는데 쓰였을 것으로 추정되는 도구이며, 전기와 중기구석기 석기군에도 간혹 포함되어 있지만 후기구석기시대에 본격적으로 나타나기 시작한다. 새기개는 기본적으로 종장형의 얇고 긴 격지나 돌날을 떼어내는 기술적 노하우가 새기개 제작과 깊은 연관이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따라서 대체로 돌날제작기술이 널리 사용되는 시기부터 이전 보다 더 다양하게 사용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시베리아지역에서 이러한 새기개는 크게 외면날 박리와 양면날 박리 형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이 두유형을 다시 단일박리면과 다박리면으로 구분하여 날의 위치에 따라 구석새기개, 중앙새기개, 대각선새기개, 수평새기개, 혼합새기개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시베리아지역에서 나타난 이러한 새기개는 초기에 큰 손질 없이 가장 간단하게 사용 가능한 석기로 만들어져 사용되다가 점차 다양한 용도 혹은 다양한 몸체를 활용하여 점차 복합적인 성격을 가지고 제작되어 사용되어진 것으로 보인다. The Upper Paleolithic in Siberia can be said to refer from the early Upper Paleolithic to around 10,000 BP, when the Neolithic age begins. This Upper Paleolithic is characterized by the blade tool culture and the micro blade culture, and appears throughout in Siberia. Burins are the stone tool that appear mainly in the Upper Paleolithic, and can be said to be an important stone tool found in most of the sites of the Upper Paleolithic. Burin is a tool that is thought to have been used to cut or cut grooves into bones and horns. This stone tool is sometimes found in the early Upper Paleolithic and the middle Upper Paleolithic, but it appears in earnest in the Upper Paleolithic. Basically, thin and long flakes and technical know-how to remove the blades seem to be deeply related to making of the burin. Therefore, it seems to have been used more variously from the appearance of blade technology. In Siberia, these burins can be divided into two types of external peeling and double peeling. Also, these two types can be divided into single face and multi face, an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working face of burin can be classified into angular burin, central burin, diagonal burin, horizontal burin, mixed burin. In the Siberian region, these burins were initially made and used as the simplest stone tools to use without retouch, and it seems to have been gradually produced and used in a complex character by utilizing various bodies for various purposes.

      • KCI등재

        후기구석기시대 시베리아 지역의 돌날몸돌 및 세형돌날 몸돌 연구

        손동혁 ( Son Dong Hyuk ) 배재대학교 한국-시베리아센터 2022 한국시베리아연구 Vol.26 No.2

        시베리아 지역은 중앙시베리아를 중심으로 동쪽과 서쪽에 걸쳐 다양한 구석기시대 유적들이 발견되었다. 특히 후기구석기시대의 유적들이 다량으로 발견되었다. 이러한 시베리아 지역의 후기구석시대 유적들은 전체적으로 돌날문화와 세형돌날문화로 나누어진다. 돌날문화는 약 45,000BP 전후의 시기에 나타나기 시작하였으며, 점차 확산되다가 약 27,000BP의 시기에 세형돌날문화가 시작되면서 점차 대체되어간다. 이러한 두 문화시기를 특징지어주는 유물로는 돌날몸돌과 세형돌날몸돌을 들 수 있다. 돌날몸돌은 돌날문화 초기에서부터 사용되기 시작하여 후기구석기시대 말기까지 꾸준하게 사용되어졌다. 크기와 형태, 형식의 차이는 존재하지만 후기구석기시대 전 시기에 걸쳐 나타나고 있다. 세형돌날몸돌은 돌날문화가 점차 세형돌날문화로 대체되어 가는 시기에 나타나기 시작하여 약 20,000BP를 전후한 시기에는 시베리아 전역으로 퍼져 나가게 된다. 세형돌날몸돌도 유적이 속한 지역적인 차이가 존재하지만 전체적으로 비슷한 유형에 속하는 몸돌들이 시베리아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되고 있다. 이러한 돌날몸돌 및 세형돌날몸돌은 초기 돌날문화에서부터 후기구석기시대 후기의 세형돌날문화에 이르기까지 시기적인 차이가 있지만 계속적으로 사용되어지고 있다. 또한 세형돌날몸돌의 경우는 후기구석기시대가 끝날때까지도 유지되고 있었으며, 신석기시대가 시작되어도 여전히 활발하게 사용되었다. 따라서 돌날몸돌과 세형돌날 몸돌은 세부적인 기술적 차이는 존재하지만 전체적으로는 기술적인 연속성을 가지면서 변화되어진 것으로 보인다. 즉, 환경의 변화에 따라 석기들의 종류와 크기, 특성 등이 변화하게 되는데, 이러한 도구를 만들기 위한 몸돌에서도 돌날문화에서 세형돌날문화로 넘어가면서 기술체계가 더욱 발전하였던 것이라 생각된다. In the Siberian region, various Paleolithic sites have been found in the east and west with Central Siberia as the center. In particular, large amounts of sites from the Upper Paleolithic have been discovered. The sites of the Upper Paleolithic period in these Siberian regions are generally divided into the blade culture and the micro blade culture. The blade culture began to appear around 45,000 BP, gradually spread, and then replaced with the beginning of the micro blade culture at about 27,000 BP. As stone tools that characterize these two cultural periods, there are the blade core and the micro blade core. Blade core started to be used from the early days of blade culture and continued to be used until the end of the Upper Paleolithic. Although there are differences in size, shape, and form, they appear throughout the Upper Paleolithic period. Micro blade cores begin to appear at a time when the blade culture is gradually replaced by the micro blade culture, and spread throughout Siberia around 20,000 BP. There are also regional differences in the micro blade cores. However, as a whole, micro blade cores belonging to a similar type are commonly found in Siberia. These blade cores and micro blade cores are used continuously, although there is a difference in time from the early blade core to the micro blade culture of the Upper Paleolithic period. Also, in the case of micro blade cores, they were maintained until the end of the Upper Paleolithic period, and were still actively used even after the beginning of the Neolithic Age. Therefore, although there are technical differences in detail between blade core and micro blade core, they appear to have been changed with technical continuity as a whole. In other words, the types, sizes, and characteristics of stone tools change according to changes in the environment, It is thought that the technological system developed further as the core for making these tools moved from the blade culture to the tmicro blade culture.

      • KCI등재

        급성 복잡성 담낭염 환자에서 경피적 담낭 배액술로 촬영한 담낭 조영술의 장점

        손동혁(Dong-Hyuk Son),김강성(Kang-Sung Kim),김곤흥(Kaon-Hong Kim) 대한외과학회 2009 Annals of Surgical Treatment and Research(ASRT) Vol.76 No.1

        Purpose: Frequency of combined CBD stones on cholelithiasis has been known to range 5∼20% in several reports, and diagnostic tools are USG, MDCT, MRCP and ERCP. Predictive factors of CBD stone for cholelithiasis were diameter of CBD, elevated liver enzyme, multiple small sized GB stones and concurrent pancreatitis. However, unsuspected CBD stone for acute cholecystitis is troublesome for patients and surgeons.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Percutaneous gallbladder drainage (PGBD) for acute complicated cholecystitis from October 1996 to October 2006. Indications for PGBD are clinical symptoms (sepsis) & signs of peritonitis and radiologic findings such as GB empyema, gangrenous cholecystitis and pericholecystic fluid collection. Total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was 1,357 cases, and PGBD for acute complicated cholecystitis was 13.8%. Results: Combined CBD stone rate was 13.6%. Whereas, unsuspected CBD stone was 0.5% (9 cases), 7 in calculous and 2 in acalculous cholecystitis. No. of stone was 1 in 7 cases, 2 in 1 case and 3 in 1 case. Size of stone was less than 5 mm in all cases. Diameter of CBD was not increased in all cases (less than 1 cm) and liver enzymes showed no elevation in all cases. Management for unsuspected CBD stone was preoperative endoscopic lithotripsy in 8 cases and postoperative fluoroscopic lithotripsy in 1 case. Conclusion: Cholecystography following PGBD for acute complicated cholecystitis is a useful diagnostic modality for detection of unsuspected CBD ston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대뇌 피질 경색으로 인한 하지 단마비 환자 한방치험 2례

        신정애,손동혁,유경숙,이진구,이영구,Shin, Jung-Ae,Son, Dong-Hyuk,Yu, Kyung-Suk,Lee, Jin-Goo,Lee, Young-Goo 대한한방내과학회 2001 大韓韓方內科學會誌 Vol.22 No.2

        Monoplegia is the paralysis of either the upper or lower limb. Monoplegia is commonly caused by an injury to the cerebral cortex; it is rarely caused by an injury to the internal capsule, brain stem, or spinal cord. Most cerebral cortex is derived from the occlusion of a brain cortex blood vessel due to thrombus or embolus. According to motor homunculus, lower limb monoplegia occurs from limited damage to the most upper part of the primary motor area(Brodmann's area 4, located in precentral gyrus). Clinically, lower limb monoplegia due to brain cortical infarction is commonly misunderstood as monoplegia due to spinal injury because the lesion is situated at the most upper part of precentral gyrus. We had many difficulties in finding lesion on brain CT, but we diagnosed two patients correctly by using an MRI, who have lower limb monoplegia due to brain cortical infarction oriental treatment.

      • 견인력 보상기법을 적용한 PM 견인전동기의 순시토크제어에 관한 연구

        최다운(Da-Woon Choi),손동혁(Dong-Hyuk Son),조윤현(Yoon-Hyun Cho) 대한전기학회 2010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0 No.7

        The power density of a PMSM is higher than that of induction motor with same ratings due to the no stator power dedicated to the magnetic field production. Because of its high power density and smaller size, the PMSM has evolved as the preferred solution for traction motor in recent years. It is essential that both the traction motor and the associated drive operate at their optimal efficiencies throughout the driving schedule.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tractive force predicting method which can deduce the traction force the acceleration of the vehicle under different conditions. This method improves the instantaneous torque in comparison with the general control method. The simulation and experimental results validate the proposed method for monorail vehicle appli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