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奉使》《游集》及等的考辨

        이영구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역사문화연구소 2007 역사문화연구 Vol.26 No.-

        The discovery of 『Fengshitu (The Paintings of Delegates)』 by A Kedun (1685-1756 AD) in Qing Dynasty provided many new clues for the research of the history of Sino-Korea relationship and Korean culture. Lately, it has become a hot topic among Korean and Chinese scholars. Since it is so important, it is necessary for us to do some research on its author and publication time. 『Fengshitu(The Paintings of Delegates)』 came from『Dongyouji (The Collection of Travelling to the East)』. The poems of 『Dongyouji (The Collection of Travelling to the East)』 were selected from A Kedun’s manuscripts when he was sent to Korea as a delegate for the first three times. The book was originally meant to be a calligraphy textbook for Jiang Heng, but its influence expanded later. So A kedun collected enough material for the paintings when he was sent to Korea for the fourth time. He invited the Haining painter, Zheng Yu, who was famous in the capital, to draw twenty paintings in the 3rd year of Emperor Yongzheng’s reign. 『봉사도』의 발견은 18세기 초 조선과 청나라의 정치 경제 외교 문화사 등에 새로운 단서를 제공해 주는 귀중한 자료이다. 『봉사도』의 제작시기와 작자에 대한 정확한 고찰은 매우 중요하여 본 논문은 이점들을 중심으로 탐구한 것 이다. 『덕음당집』 6권에 『동유집』이 있으며 여기에 수록된 시의 제목과 순서가 오늘날 우리가 보는 『봉사도』의 제시와 완전히 같다. 다만 상이한 세 가지 점은 첫째 『동유집』에는 모두 표제가 있고, 둘째 『봉사도』의 제시에는 주해가 있으며, 셋째 약간의 단어상 표현이 다를 뿐이다. 『봉사도』는 『동유집』에서 나왔으며 『동유집』 가운데 실린 시는 모두 아극돈(1685~1756년)이 3차례 조선에 사절로 나갔을 때 선택한 것으로 후에 그가 4차례 조선에 사절로 나갔을 때에는 그림을 그릴 소재를 충분히 준비했다고 볼 수 있다. 옹정 3년(1725년) 당시 북경에서 가장 활발하게 활동을 펼친 해녕 출신 화가인 정여에게 20폭의 그림을 청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고 그림의 문화 예술적 가치를 감안한다면 『봉사도』의 작자 중 한 명이라 할 수 있는 그의 공로를 간과해서는 안 된다.

      • KCI등재

        관광종사원의 인적자원개발이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전공자와 비전공자간의 영향요인 비교

        이영구,임명재 한국경영교육학회 2011 경영교육연구 Vol.26 No.1

        In the modern era of intensifying environmental changes, the development of human resources is emerging as a most noticeable alternative and many organizations are pushing forward the activity of developing human resources. A variety of studies have tried to find the correlation between developing human resources of employee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ut the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with the majors of employees hasn't accomplished a lot. Thus, this research investigates how the HRD has influence on employee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people engaged in tourism, and what differences are made according to their major. Through this study, the human resources development is divided into three factors such as training, career development, and organization development. It was found out that all of these factors have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and training, and career development affects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for majors, Job satisfaction of majors was influenced by career and organization develop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affected by education training. In case of non-majors, both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influenced by education training and career. This result shows the gap in validity of developing human resources according to major correspondence and if an organization conducts this activity, distinct efforts are required depending on employees' major. 환경의 변화가 극심해지는 현대사회에서 인적자원개발은 가장 관심 받는 대안 중 하나로 떠오르면서 여러 조직들은 다양한 방법으로 인적자원개발활동을 추진하고 있다. 수많은 연구들이 종업원의 인적자원개발과 직무만족, 조직몰입과의 상관관계를 밝히려 노력하였으나, 종업원 전공과의 일치여부에 관한 연구는 많이 진행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관광산업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인적자원개발이 종업원의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그들의 전공일치 여부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발생하는가를 알아보는 것을 연구의 주요 목적으로 설정하였다. 연구를 통해 인적자원개발을 교육훈련, 경력개발, 조직개발의 세 가지 요인으로 도출하였고 직무만족에는 세 가지 요인 모두, 조직몰입에는 교육훈련과 경력개발 요인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전공자의 경우 직무만족은 경력개발과 조직개발요인이, 조직몰입에는 교육훈련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전공자의 경우에는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모두 교육훈련과 경력개발 요인이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는 전공일치여부에 따른 인적자원개발활동의 유효성에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조직에서 인적자원개발에 대한 활동을 할 경우, 전공자와 비전공자에 대한 차별화된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 大院君의 執政과 美國의 通商交涉 : 셔어먼號 事件 前後의 몇가지 問題 In Some Historical Problems before and after the Event of General Sherman

        李榮龜 釜山水産大學校 1976 論文集 Vol.17 No.-

        It is well known that the most important factor of Korean isolation in the Yi-Dynasty was her lack of direct contact with western culture, institutions and thoughts. In Korean history, especially French contect with Korea was a religious problen with conflicted with many principles of confucianism. Therefore, from the initial time of the introduction of christianity into Korea, Korean authorities began suppress the christanity and its missionary work in Korea. Tai Won-kun coming to power, he faced an urgent problem internal and external situtation such as Russian invasion of the Korean north boader and the South Sea. In the other case Tai-Won-Kun had to adopt the anit-christian policy. in 1866, his government authorities executed nine French missionaries. The religious incidents made French representatives in China to launch her Expedition into the Yellow-Sea. The commander of French Asiatic squadron, Admiral Pierre-Gustave-Roze and his soldiers fought against Korean armies and occupied the Kangwha Island. However destroied were defeated at last. and by Tai-Won-Kun's brave soldiers. In 1866, the Secretary of State, William. H. Seward also attempted to open Korea. His efforts to open Korea could not be successful because of the following incidents; The American merchant ship, the General Sherman wrecked on the Korean coast; The other was an unlawful actions of exhuming the king father's grave committed by an armed party of foreigners in 1868. Tai-Won-Kun's seclusion policy remained in closing more firmly the nation against western powers that ultimately impeded Korean modernization and its development.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