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어와 일본어의 시각적 이동 - 자율이동 및 사역이동과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

        선민정 한양대학교(ERICA캠퍼스)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23 비교일본학 Vol.58 No.-

        본 연구는 시각적 이동을 나타내는 한국어와 일본어가 Talmy 유형론의 자율이동이나 사역이동과 연관성이 있는지 조사하였다. 구체적으로는 S언어인 영어를 V언어인 한국어나 일본어로 표현할 때 자율이동이나 사역이동과 동일하게 경로가 동사로 나타나는지, 부차적인 정보가 복합동사의 선행동사(V1)로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조사 결과 한국어는 경로가 복합동사의 선행동사로 많이 나타나 V언어의 특징을 유지하였지만, 일본어는 단독동사가 많이 나타나도 경로동사가 많지 않아 V언어의 특징을 유지하지 못했다. 이는 일본어가 目をVする와 見Vする가 짝을 이루고 있고, 이들 사이에 의미 차이가 있어 표현이 분산된 것으로 보인다. 한편 한국어는 目をVする―見Vする와 같이 짝을 이루는 표현이 거의 없어 해당 의미의 차이를 구분하지 않고 시각 행위와 경로를 모두 나타낼 수 있는 복합동사의 형태가 많았다. 또한 시각적 이동의 부차적 정보는 두 언어 모두 자율이동의 ‘양태의 중립화’와 유사한 현상을 보였다. ‘양태 부사의 상위 카테고리’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은 없었다. 이를 통해 두 언어 모두 부차적 정보의 중요도가 낮고, 다만 정도 차이가 있었다. 일본어의 부차적 정보는 시각 행위를 제외한 나머지 정보 중 하나였고, 한국어의 부차적 정보는 시각 행위나 경로보다 중요도가 낮았다. This paper examines visual motion in the Japanese and Korean languagestofindout whether it is related to spontaneous motion or caused motion of Talmy’s typology. As a result, Korean maintains the characteristics of a Verb-framed language as many paths appear as V1 of compound verbs, but Japanese does not. In the case of Japanese, it seems expression is dispersed due to the difference in meaning between the Japanese expressions ‘目をVする’ and ‘見Vする’. On the other hand, in Korean, there are few paired expressions, so there are many compound verbs that could express both visual perception and path without distinguishing the difference in meaning. In addition, the secondary information of visual motion shows similar phenomenon to ‘neutralization’ in spontaneous motion of both languages. And there is no connection with the ‘adverbial categorization’ in Korean. Accordingly, the importance of secondary information in both languages is low, but there is a degree of difference. Japanese secondary information is one of the remaining information except for visual perception, and Korean secondary information is less important than visual perception or routes.

      • KCI등재

        기혼 취업여성의 일과 가정 관련 요인이 둘째 자녀 출산의지에 미치는 영향: 직장 내 성차별 문화에 대한 일·가정 양립 갈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선민정,조상미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사회과학원 2019 사회과학연구논총 Vol.3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pport for married working women to combine work and family and want to have the second child. we analyzed relationship between work and family related factors and willingness to have the second child, and moderating effect of work-family conflict. The result is that the higher rate of husband's domestic labor, the higher marital satisfaction, the more family-friendly system, and the lower culture of sex discrimination in the workplace, the higher the willingness to have the second child. Thus, when work-family conflict was strong, the stronger sex discrimination culture in the workplace, the lower the willingness to have the second child. Policy proposals were made based on research results. 본 연구의 목적은 기혼 취업여성이 일과 가정을 양립하면서 둘째 자녀의 출산을 원할 때는 언제든지 자유롭게 이를 선택할 수 있도록 가정과 직장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지원방안을 정책적으로 제시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여성가족패널 4∼6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여 222명의 한 명의 자녀를 가진 기혼 취업여성을 대상으로 이들의 일과 가정 관련요인이 둘째 자녀 출산의지에 미치는 영향과 성차별적 조직문화와 둘째 자녀 출산의지의 관계에서 일․가정 양립 갈등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남편의 가사노동분담률이 높을수록, 결혼생활만족이 높을수록, 가족친화제도가 제공될 때, 직장 내 성차별 문화가 낮을수록 둘째 자녀 출산의지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일․가정 양립 갈등이 강한 경우에만 직장 내 성차별 문화와 둘째 자녀 출산의지의 부적 관계가 유의미하게 발견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라 정책적 제안을 하였다.

      • KCI등재

        제주지역 2030 미혼청년의 부정적 결혼의향 형성배경과 결혼지연 이유에 대한 질적 연구

        선민정,류주연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background for forming negative marriage intentions and the reasons of delayed marriage among unmarried young people in their 20s and 30s in the Jeju region. As a result, the negative marriage intentions are 1)the influence of a conflictful or sexist family environment, 2)self-actualization or work being more important than marriage, 3)the desire to maintain one's own daily life, 4)cannot afford to consider marriage due to economic difficulties, and 5)an excessive marriage culture and strong family ties after marriage being burdensome. In addition, the reasons of delayed marriage are 1)self-actualization or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ies being a priority over marriage, 2)waiting until securing economic stability, and 3)delayed marriage due to a restrictive and closely-knit marriage culture.

      • KCI등재

        한국어와 일본어의 신체이동 - Talmy의 사역이동과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

        선민정 한양대학교(ERICA캠퍼스)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22 비교일본학 Vol.55 No.-

        This paper examines the concept of body motion in Japanese and Korean. This has been excluded from the concept of caused motion, because the causer and causee are inseparable. The concepts of ‘subject’ and ‘self’ from Hirose (1997) give a hint of an analysis of body motion. The findings in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both languages had the most semantic elements that could be classified as ‘other’, which are neither the cause nor the manner of caused motion. This is a strategy that attempts to complete the picture by presenting another aspect of body motion because it cannot accommodate the details of the coevents in English, so it can be said that it is related to typical caused motion. Of note, is the notion that in both languages, there were transitive expressions with nouns representing body parts as objects. It was seen that the aspect of maintaining secondary information in English played a major role while expressing the ‘self’ integrated with the ‘subject’. 본 연구는 신체이동을 나타내는 한국어와 일본어가 Talmy 유형론의 전형적인 사역이동과 연관성이 있는지 조사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전형적인 사역이동에서 나타나는 동사와 신체 부 위를 목적어로 하는 영어의 신체이동 표현을 한국어와 일본어가 어떻게 대응하는지 병렬 코퍼스를 작성하여 빈도를 산출하였다. 조사결과 두 언어 모두 사역수단도 양태도 아닌 기타 동사로 대응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는 영어의 부차적인 사역이동 정보를 그대로 대응하기 어 려워 신체이동의 다른 측면을 보여줌으로써 전체상을 완성시키려 한다는 점에서 사역이동과 연관성이있다고보았다. 또한두언어모두타동사표현이 많았는데, 여기에는 두 언어에 많았던 기타 동사가 타동사 표현을 취하여 영어의 부차적인 사역 정보를 유지하려는 영향이 있는것으로 보았다. 두 언어 모두 타동사 표현 중에서도 재귀사보다 신체부위를 목적어로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는데, 주체와 일체화된 자기를 나타내기 위해 이동 사건이 아닌 전경 고정으로 대응하는 경우도 있었다.

      • KCI등재

        언어유형론적 관점에서 본 한국어와 일본어의 사역이동 - 사역 수단을 나타내는 선행동사(V1)를 중심으로 -

        선민정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21 비교일본학 Vol.53 No.-

        본 연구는 Talmy 언어유형론의 관점에서 사역이동을 나타내는 한국어와 일본어의 선행동 사(V1)를 중심으로 부차적 사건의 빈도를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사역 수단이 이동 양태보다 많았고, 이 중 일본어 동사의 연용형이 주동사와 결합력이 강한 경우가 눈에 띄었다. 사역 이 동의 하위분류도 함께 조사한 결과 계속조작형이 많았고, 수반운반형은 자율이동으로 대응하 고 있어 사역자의 이동이 없이 사역 행위가 발생하는 사건만 표현하는 사역자의 영향력이 주 동사와의 결합력이 강한 연결어미 ‘-어/아’나 동사의 연용형와도 관련성이 있다고 보았다. 사 역 수단도 양태도 아닌 기타에는 동작동사, 전경이나 배경 정보를 포함한 동사, 자율이동 등 이 있는데, 이들 모두 한정된 사역수단동사를 보완하기 위한 전략으로 보여진다. 이를 통해 Talmy 유형론의 동사형 언어 내 다양성을 꾀하고자 하였다. This paper aims to point out the possibility that the verb-framed languages of Japanese and Korean are prone to express the co-event of caused motion, according to Talmy’s typology. In this paper, I examine the frequency of co-events which will be expressed as V1, in particular the Japanese verb infinitive forms and the Korean conjunctive morpheme ‘-e’ and ‘-a’. As a result, this examination shows that the means of caused motion were greater than that of the manner. It can be said that the importance is low in the expression of caused motion. Additionally, there were many V1 expressions in this study that were neither means nor manner, they were mainly action verbs, verbs including foreground or background information, and verbs of spontaneous motion. Completing the entirety of caused motion by specifying other aspects of caused motion can be seen as a competent strategy. The results of sub-classifying the caused motion of the two languages can be linked to the results of this paper in that the means were greater than the manner of caused motion.

      • KCI등재

        자율이동을 나타내는 일본어와 한국어의 양태표현 ―Talmy의 유형론을 중심으로―

        선민정 한국일본문화학회 2022 日本文化學報 Vol.- No.92

        This study examines spontaneous motion in Japanese and Korean, expressed as V1. The findings demonstrated that, in particular, the Japanese verb infinitive forms and the Korean conjunctive morpheme ‘-e’ and ‘-a’ were expressed as V1, and most had strong bonding strength with the main verb. I proposed the role of “neutralization of the manner” as a factor to explain the frequency of V1. In this way, the detailed manner is omitted by using the general manner verbs that exist in any language. In some Korean words where this was not the case, a hierarchical structure was formed with the general manner verbs as the upper category of the manner adverbs. This illustrates that Japanese and Korean are not typical verb-framed languages in Talmy’s typology, and the findings promote the idea of diversity within verb-framed languages.

      • KCI등재

        영유아 자녀가 있는 기혼 취업여성의 일·가정 양립 갈등 경험과 둘째 자녀 출산의지의 관계에 대한 사례연구

        선민정 ( Sun Minjung )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2020 여성학연구 Vol.3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를 가진 기혼 취업여성의 일·가정 양립 갈등 경험에 대한 어려움을 이해하고 이러한 경험이 둘째 자녀 출산의지에 어떻게 반영되는지를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영유아 자녀가 있는 기혼 취업여성 8명을 대상으로 일·가정 양립 갈등 경험과 함께 해당 경험과 둘째 자녀 출산의지의 관계에 대하여 사례연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핵심범주 4개와 하위범주 10개로 도출되었다. 핵심범주는 ‘나에게만 주어진 일·가정 양립으로 힘겹고 지침’과 ‘가정에서 나타나는 나의 빈자리로 어려움을 느낌’, ‘워킹맘이 되어 새롭게 부딪치게 되는 직장에서의 갈등’, ‘일·가정 양립 갈등으로 둘째 자녀 출산을 회피함’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 따라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difficulties of married working women’s work-family conflict experiences and to examine how these experiences are reflected in the willingness to have the second child. For this purpose, a case study was conducted and analyz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family conflic experience and willingness to have the second child for eight married working women with a infant. As a result, four core categories and 10 subcategories were derived. The core categories are appeared as ‘being exhausted due to work-family conflic given only to me’, ‘feeling difficult becase of my empty seat at home’, ‘conflict in the workplace which hit newly after becoming a working mom’ and ‘avoiding willingness to have the second child due to work-family conflic’. Based on these findings, policy implications were suggested.

      • KCI등재

        공공기관의 여성 시간선택제 근로자에 대한 일과 가정의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선민정(Sun Min Jung),류주연(Ryu Ju Yeon) 한국가족학회 2018 가족과 문화 Vol.30 No.2

        본 연구는 여성의 경제활동참여율을 높이고 여성이중노동에 대한 부담을 줄이고자 실시한 시간선택제 일자리가 미치는 영향과 효과가 어떠한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여성 시간선택제 근로자의 일과 가정에서의 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참여자는 공공기관에서 6개월 이상 시간선택제로 근무하고 있는 기혼여성 5명으로 선정하였으며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Giorgi의 현상학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연구참여자들의 경험은 3개의 대주제와 7개의 소주제로 나타났다. 첫 번째 대주제는 시간선택제 근로이전의 삶과 선택까지의 과정으로 1. 일과 양육을 병행하기 어려운 환경, 2. 시간선택제 근로자가 되기로 선택함의 소주제로 범주화되었으며, 두 번째 대주제는 시간선택제 근로자가 됨으로써 직장과 가정에서의 삶이 변화함으로 3. 전일제 근로와는 다른 직장 안에서 시간선택제 근로의 경험, 4. 아이와 함께 하는 삶을 살 수 있게 됨, 5. 가정 내 성별분업의 심화를 경험함, 6. 나를 위한 시간을 갖게 됨으로 구분되었다. 마지막으로 세 번째 대주제는 앞으로의 시간선택제 지속에 대해 생각해봄으로 7. 여성이 원하는 자신의 일에 대한 미래를 포함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시간선택제의 발전과 개선, 확대를 위한 효과적인 체계를 구축하는 데 필요한 근거를 제공하기 위한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essence and meaning of the experience on work and family life of part-time working women at the public sectors. A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e effect of the part-time work which is expanded for increasing economic participation of women and reducing the double burden of childcare and full-time work.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5 married woman part-time workers who had more than 6 months’ experience at the public sector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Giorgi’s Phenomenological analysis. The results were categorized as 3 main themes and 7 sub themes. First main theme was life before part-time working and the decision making process of being part-time worker. It included two sub themes - 1. having difficulties of childcare as a full-time worker, 2. choosing to be a part-time worker. Second main theme was a change of work and family life, which was divided into four sub themes - 3. experiencing different working environment with full-time work’s, 4. having the life to be with my child, 5. ongoing conflict of gender division between husband and wife, 6. having time for myself. Third main theme was considering wether to keep working as part-timer. Sub theme for it was 7. the future what women want. Finding from this study have some implications of providing basis for establishing effective system to improve and expand part-time employ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