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자』 「제물론」에서의 두 가지 자아 ‘오(吾)’와 ‘아(我)’ 연구

        徐希定 ( Heejung Seo Reich ) 한국유교학회 2021 유교사상문화연구 Vol.- No.86

        본 논문은 『장자』 「제물론」 해석에 있어서의 주류를 이루어 온 두 가지 입장을 분석하는 동시에 「제물론」 배후에 감춰진 서로 다른 양태의 자아 ‘아’와 ‘오’의 존재를 밝힘으로써 「제물론」의 의도와 목적을 밝히고 그 현대적 의의를 재진단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제물론」 편명인 ‘제물론’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에 대해서는 크게 세 가지 관점이 있어왔다. ①‘제-물론’: ‘물론(物論)’, 즉 대상에 관한 논의를 가지런히 하는 논의. ②‘제물-론’: ‘제물(齊物)’, 즉 ‘대상을 가지런히 함’에 관한 논의. ③‘제-(물+론)’: ‘대상(物) 그리고 이론(論) 모두를 가지런히 함’에 관한 논의가 그것이다. 한편, 본 논문에서는 마지막 ③‘제-(물+론)’의 입장이 실제로는 큰 의미가 없다고 판단하고, 이를 분석의 대상에서 제외시켰다. ①‘제-물론’은 노자나 은자와 같은 도가인물의 사상은 물론, 유가나 묵가 담론을 그 주된 대상으로 하며, 이들 간에 형성된 일방적이고 절대적인 담론 체계를 공격한다. ②‘제물-론’은 두 가지 해석이 공존해 왔는데, 그중 하나가 ‘물은 가지런하다’이고, 다른 하나는 ‘물을 가지런히 해야 한다’라는 입장이다. 전자의 경우 ‘가지런함’은 ‘물’에게 주어진 본체론적 특성이 되며, 따라서 주체의 의지에서 벗어나 있다. 반면 후자의 경우 ‘대상을 가지런하게 함’이라는 주체적 행위의 정당성을 논하고 있다. 여기서 ‘물’을 가지런하게 해야 함은 본래 가지런한 ‘물’이 가지런하지 않게 변형되었다는 사실을 전제하고 있으며, 따라서 ‘제물’ 행위의 당위성은 오로지 전자가 논하고 있는 형이상학을 통해서만 보장받을 수 있다. 본 논문은 「제물론」 첫 단락 ‘오상아(吾喪我)’ 우화에 근거하여 가지런한 ‘물’이 가지런하지 못한 ‘물’로 변형된 근본 원인을 인지행위와 감정의 주체인 ‘아’에서 찾았다. 한편 또 다른 인간양태 ‘오’는 자연에서의 ‘물’이라는 인식의 대상과 합일된 상태로 있는 인간 양태로, ‘물’이 근거하는 우주의 법칙에 따라 ‘물’과 함께 변화해 나간다. 그렇기 때문에 ‘오’의 존재는 인식론 차원에서는 설명될 수 없으며, 오로지 ‘오’와 ‘아’라는 서로 다른 양태의 인간이 지니는 생활양식의 격차를 통해서만 드러날 수 있다. 「제물론」의 의도는 인지행위와 감정의 주체 ‘아’가 지니는 삶의 양식의 변형을 통해 ‘아’의 인지 및 감정적 판단의 대상으로서의 ‘물’을 ‘오’와 동등한 위치에서 공존하는 상태의 ‘물’로 되돌리는 것에 있다. 자아의 변형을 통한 ‘제물’ 행위가 성공했을 때, 가지런하지 못한 ‘물’은 다시 본래의 가지런한 상태의 ‘물’로 회귀될 수 있다. This paper analyzes the two viewpoints that constituted the mainstream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Qiwulun 齊物論 [Equality of Things] chapter in Zhuangzi (莊子). At the same time, it aims for clarifying the purpose of this chapter and seeks to define its significance for modern philosophy by elaborating the two different concepts of self that lie hidden in the text: Wu 吾 and Wo 我. There have been three main viewpoints on how to understand the term “Qiwulun”, which also is the name of the second chapter of Zhuangzi: ① Qi-wulun: The discussion about equalizing debates about wu 物 [things]. ② Qiwu-lun: The discussion about equalizing wu 物 [things]. ③ Qi-(wu+lun): The discussion about equalizing both wu 物 [things] and lun 論 [debates]. However, for this paper, I presume that the third viewpoint does not have any implication other than combining ① and ②, and thus will exclude it from the research. ① The intention of the Qi-wulun discussion is to target the discourses between Daoists - especially Laozi (老子) and the hermits [隱者] -, Confucianists and Mohists and to criticize the unilateral and absolute discourse system they formed among them. For ②, two contradicting interpretations coexisted, one of which is “things are equal” and the other is “to have to equalize things.”In the former case, “equality” becomes an ontological characteristic given to wu 物, and thus is beyond the control of ones subjective will. In the latter case, it discusses the legitimacy of the subjective action of “equalizing things.” Here, the argument that wu 物 should be equalized assumes the fact that the original wu 物 has been deformed, therefore, the justification of the act of “equalizing” it can only be guaranteed through the metaphysics discussed by the former. This paper discovered the underlying causes for how wu 物 in even state became unequalized wu 物, in the concept of wo 我, the subject of cognitive behavior and emotion, as explained in the fable “I lost myself [吾喪我]” in the first paragraph of Qiwulun chapter. In contrast, wu 吾 is a another type of human that is in unity with wu 物 (the object of human recognition), participating in the change with wu 物 [things], according to the laws of the universe on which wu 物 is based. Therefore, the existence of wu 吾 cannot be explained on the epistemological level, it can only be revealed through the gap in the lives of different human types of wu 吾 and wo 我. To sum up, the fundamental purpose of the Qiwulun 齊物論 chapter is to return wu 物 as the object of cognitive and emotional judgment of wo 我. back to wu 物 in a state that coexists with wu 吾 through the transformation of the wo 我, the subject of the cognitive behavior and emotional reaction. Only when one succeeds in the act of Qiwu (齊物), unevened wu 物 can be returned to wu 物 in its original state of evennes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기념공간에서의 집단기억특성과 공간연출요소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서희정 ( Heejung Seo ),이재규 ( Jaekyu Le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7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2 No.4

        (연구배경 및 목적) 오늘날까지 우리 사회에서는 수없이 많은 사건이 발생해왔고 사회는 이를 기억하기 위해 다방면으로 연구 해왔다. 실제 과거 사건에 대해 직접적인 경험을 통해 기억한 것이 아닐지라도 사건에 대한 집단기억을 재구성한 공간을 경험함으로써 기억이 생성되고 지속 될 수 있는 배경이 된다. 이러한 기념공간은 기억이 온전하게 발현될 수 있는 공간이며, 과거 사건을 현재, 미래와 연결 지을 수 있는 집단기억의 매개체이다. 이에 따라 우리가 기억해야 할 역사적 사건이나 인물의 집단기억을 재구성한 기념공간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함께 이루어져야 하고 본 연구는 이에 보탬이 되는 데에 목적을 둔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먼저 모리스 알박스와 제프리 K올릭의 집단기억이론에 대해 연구하고 특성을 도출해내었으며, 기념공간에서의 고찰을 통해 기념공간의 구성요소에 따라 집단기억특성을 분류하였다. 이를 기준으로 국내·외 현대기념공간 중 각 국가에서 대두된 기억을 주제로 하는 기념공간에 해당되는 사례를 총 6개로 한정하여 사례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기념공간에 따른 집단기억의 특성과 공간연출요소와 어떠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지, 어떻게 표현되는지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결과) 먼저 집단기억이론에 대해 분석해 본 결과, 모리스 알박스의 이론에서는 상호관계성, 현재성, 지속성, 재구성, 선택성, 장소성이라는 특성 그리고 제프리 K. 올릭의 이론에서는 상호관계성, 현재성, 지속성, 선택성, 재구성, 심상성, 시간성이라는 특성을 도출할 수 있었다. 이러한 집단기억의 특성은 기념공간에서 기념대상의 측면, 관람자의 측면, 공간적 측면으로 나누어 분류할 수 있었다. 기념대상의 측면에서는 선택성과 시간성, 관람자 측면에서는 상호작용성과 재구성, 공간적 측면에서는 현재성, 지속성, 심상성, 장소성이라는 특성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그리고 분석된 특성과 공간연출요소를 통해 분석모델을 완성하였다. 최종적으로는 분석모델을 통해서 기념공간에 따른 집단기억의 특성요소와 공간연출요소인 형태, 비례, 동선, 빛, 재료와의 관계성을 분석하였고, 이를 통해 공간을 체험하는 관람자들에게 어떤 식으로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증명한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집단기억의 특성과 기념공간의 연출요소와의 관계성을 알아봄으로써 어떠한 연출요소를 활용해 집단기억 특성을 표현할 수 있는지에 대해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현대기념공간이 추모와 새로운 의미를 더하는 기억의 공간으로써 작용하기 위한 공간연출에 대한 지침이 될 수 있을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urge to memorialize major events is not new. The difference is that the homages today are paid not with a painting on a cave wall or a statue in a park but often with something experiential and interactive. They do not merely evoke memories from those with direct experience of the actual past events, but they also can instill emotional reactions and empathy that feel somewhat like memories, created and sustained by those experiencing the reconstructed space of collective memories of events. Memorial spaces are those in which memory can be fully manifested and are a medium of collective memory that can link past events to the present and future. This study seeks to identify the most effective means of communicating collective memory of significant events. (Method) To begin, the researcher first studied the characteristics of collective memory theory of Maurice Halbwachs and Jeffrey K. Olick. Then, case studies were created in which a total of six memorial spaces in the national and international contemporary memorial spaces in various countries were classified by memory characteristics, how they are related to the presentation factors, and how they are expressed. (Results) Halbwachs`s theory of collective memory posits a correlation between the present, continuity, reconfiguration, selectivity, and place character. Olrick`s theory posits a correlation between persistence, selectivity, reconstruction, imagination, and temporality. The characteristics of collective memories can be divided into the memorial space area, spectator area, and spatial area. On the aspect of the memorial object, it can be classified by the characteristics of selectivity, temporality, interactivity, and reconfiguration in terms of viewers, currentness, persistence, imagination, and placeness. And the analysis model was completed through analyzed characteristics and spatial rendering factors. Finally, through the analysis model, the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collective memory according to the memorial spac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rm factor, proportional, circulation, light, and material, which are the spatial rendering elements, and proved to be effective. (Conclusions) This study helps identify the kind of presentation elements that can be used to express collective memory characteristics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group memory and the presentation elements of memorial space. These can serve as guidelines for space design for those directing modern memorial spaces to function as a space for adding new memories and new meanings.

      • KCI등재

        발달장애 자녀를 둔 부모의 역경후 성장: 장애 기간에 따른 인지 대처의 차이를 중심으로

        서희정 ( Heejung Seo ),홍창희 ( Changhee Hong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20 지적장애연구 Vol.22 No.4

        본 연구는 역경후 성장이 가진 적응적 가치를 확인하고, 역경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 대처 전략의 추이를 살펴 역경후 성장의 발달 과정을 탐색하고 현상을 기술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발달장애 자녀를 둔 부모 248명을 대상으로 역경후 성장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를 살펴보고, 장애 기간과 역경후 성장 수준에 따른 인지 대처 전략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더불어, 장애 기간에 따라 역경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 대처 전략을 개별적으로 살펴보았다. 상관분석 결과, 역경후 성장은 심리적 안녕감과 정적 상관을 보였고, 장애 기간이 길수록 상관이 강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변량분석 결과, 장애 기간이 2년 미만일 때 성장수준이 낮은 집단은 자기비난을 많이 하고, 성장 수준이 높은 집단은 긍정적 초점변경을 많이 하였다. 2년 이상 10년 미만일 때 성장 수준이 높은 집단은 긍정적 초점변경과 함께 균형있게 바라보기를 많이 사용하였고, 10년 이상일 때 성장 수준이 높은 집단은 균형있게 바라보기를 많이 사용하고 파국화는 덜 사용하였다. 동시적 회귀분석 결과, 2년 미만인 부모 집단에서 수용, 긍정적 초점변경, 자기비난, 타인비난, 파국화 및 반추가 역경후 성장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변인이었다. 2년 이상 10년 미만인 집단은 해결 중심적 사고, 긍정적 초점변경, 자기비난 및 파국화, 10년 이상인 집단은 균형있게 바라보기, 수용 및 파국화가 유의한 예측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을 논의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posttraumatic growth and cognitive coping of parents whose children have developmental disabilities related to time course. Although the progression of cognitive coping regarding posttraumatic growth might be established as time goes by, rather instantaneously, there exist very few reports on this research topic. For this inquiry, 248 mothers and fathe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asked to complet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Questionnaire,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Parenting Stress for Parent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ventor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osttraumatic growth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e positive correlation became stronger when caregiving duration was longer. Second, two-way ANCOVA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cognitive coping strategies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caregiving and the level of posttraumatic growth. Finall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cognitive coping strategies significantly predicted parents' posttraumatic growth differentiated from duration of caregiving. The implication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also discussed.

      • KCI우수등재

        투표인증샷 분석

        이미나(Mina Lee),서희정(HeeJung Seo),김현아(Hyunah Kim) 한국언론학회 2012 한국언론학보 Vol.56 No.6

        This paper reports the results of the content analysis on the tweets which include their pictures of the voting of the 18th general election on April 11, 2012. Tweets were retrieved through the Twitter, involving the total number of 49,887 tweets. The purposes of the analysis is to reveal why and how people post the twitter mentions with their picture of voting. Two themes were introduced: self-expression and persuasion. Self-expression refers to the ways people express themselves while letting others know of their voting (i.e., people mentioned how they look on the picture, what they were doing before and after voting). Persuasion is related to that people post the tweet in order to encourage others to go out to vote. Three coders analyzed about 1,127 tweets with about 2.5 % of a sampling frame. The intercoder reliability was measured on Holsti coefficients and turned out to be acceptable. The results showed that Twitter users demonstrated a variety of ways of self-expression while proving their voting and indeed displayed different strategies of persuading others for voting. Moreover, the types of tweet such as Original Tweet, Mention, RT, and Comment RT were us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theme of self- expression and persuasion. Finally, the communication network, measured by the number of followings and followers, also were related to the theme of self-expression and persua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