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생명체의 구조색을 모방한 대면적 광결정 구조의 제작

        서한복(Han-Bok Seo),이동준(Dongjun Lee),한송이(Song Yee Han),허남회(Nam Hwi Hur),이승엽(Seung-Yop Lee) 대한기계학회 2012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12 No.11

        Many researches on artificially fabricated photonic crystal structures has been developed in various fields. Recently, a great attention has been paid on the coloring technology mimicking the structural colors of the living organisms such as Morpho butterfly and peacock. However, previously developed methods have limitations to fabricate 3-dimensional photonic crystals in large scales without defec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fabrication method for the large-scale photonic crystal structures generating structural colors by improving and combining the dip coating and capillary methods.

      • KCI등재

        이항복(李恒福)의 『조천록(朝天錄)』에 관한 소고(小考)

        서한석 ( Han Seok Seo ) 한국한문교육학회 2009 한문교육논집 Vol.32 No.-

        근래 한국뿐만 아니라 중국이나 일본에서도 조선시대의 使行記錄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하지만 그동안 진행된 연구들을 살펴보면 대부분 18세기 전후에 쓰여진 작품 즉 淸나라 때 쓰여진 연행록에 집중되었음을 알 수 있다. 조선후기에 김창업(金昌業)의 『노가재연행일기(老稼齋燕行日記)』나 홍대용(洪大容)의 『담헌연기(湛軒燕記)』 그리고 박지원(朴趾源)의 『열하일기(熱河日記)』 등 훌륭한 작품들이 다수 산출된 것도 하나의 원인일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작품들은 갑작스럽게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전대부터 이루어져왔던 사행기록-朝天錄과 燕行錄-의 전통을 배경으로 출현할 수 있었던 것이다. 조천록은 연행록에 비해 연구가 덜 이루어졌으나, 그중에도 저자의 안목과 탁월한 견해가 있어 주목할 만한 작품들이 많다. 본고에서는 이항복의 『조천록』을 살펴보았다. 이항복은 `오성과 한음`을 통해 해학으로 널리 알려졌으나, 문학적 재능과 함께 경세가로서의 경륜도 갖추었던 인물이다. 그의 이러한 면모는 『조천록』을 통해서도 잘 알 수 있다. 임진왜란의 혼란기를 겪는 동아시아의 실상이 여실히 드러나며 한편으로는 어려운 상황에서도 여유와 해학을 잃지 않는 그의 성품도 엿볼 수 있다. 본고에서는 이항복이 저술한 『조천록』의 저술배경과 몇 가지 특징적인 점을 살펴보았으며, 어떠한 문학사적 의의를 지니는지 고찰해보았다. This paper is a study about particular thing of Yi Hang-bok`s 「Jo -cheonlog(朝天錄)」. Recently academic world in East-Asia takes a growing interest in the records by the Chosun Dynasty`s Envoys to China. But lots of researches are focused on Yeonhaenglog(燕行錄). 「Yeol -ha-ilgi(熱河日記)」 of Bak Ji-won(朴趾源) is undoubtedly one of the best works, however it was based on the tradition of records - Jocheonlog(朝天錄) and Yeonhaenglog(燕行錄). There are some remarkable Jocheonlog(朝天錄) such as Yi Hangbok`s 「Jocheonlog(朝天錄)」. Yi Hang-bok went to Beijing during disorder period of ImJin-war, and China and Chosun, the two countries were in a tense relationship. 「Jocheonlog(朝天錄)」 present a terrible sight of war and the real condition of East Asia. Nevertheless there is humour, it has a relaxing influence on tension. As is generally known, Yi Hang-bok had a good sense of humour. This paper examined the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 feature of 「Jo cheonlog(朝天錄)」, considered the position of history of literature.

      • KCI등재

        충무공(忠武公) 정충신(鄭忠信)의 생애(生涯)와 현실인식(現實認識)

        徐漢錫 ( Seo Han-suk ) 한국한문학회 2021 韓國漢文學硏究 Vol.- No.81

        본 논고는 17세기 초 이괄의 난과 정묘호란을 전후하여 서북방 장수로 활약했던 충무공 정충신의 생애와 그의 경세관을 살피는 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서 그의 생애를 성장ㆍ수학기와 출사ㆍ활약기로 대별하고 광주 목사 권율 휘하에서 1592년 당시 병조판서였던 백사 이항복을 만나게 되는 과정과 그를 통해 학업을 닦는 상황을 먼저 고찰한다. 그리고 출사한 뒤 이괄의 난을 평정하는 결정적 계기인 안현 전투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특히 정묘호란 뒤 명분과 대의로만 일관하는 조정 신료들의 무지한 결정에 맞서 현실적인 대응을 펼친 것에 대해 살펴본다. 이를 통해 이괄의 난 초기 역모에 가담하지 않은 이유와 적들의 계책에 대한 전술적 판단 그리고 후금의 세폐 요구는 絶和의 대상이 아니라는 정세분석이 일관되게 실리적인 자세를 견지하였다는 사실을 확인한다. 특히 군무를 논함에 지역간 공조를 통한 축성과 수성전을 실행할 실효적인 군사 수급대책, 그리고 해진 설치 등등의 국방책이 현장 실무가로서의 식견과 안목을 바탕으로 실용성 위주로 구현되었음을 논증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life and thought of governance of Chungmugong Jeong Chung shin, who served as a commander in the northwest before and after Lee Gwal's rebellion and Manchu Invasion of Joseon (Korea) in 1627 in the early 17th centur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broadly divides his life into growth education and going to office participation under the leadership of Gwangjumoksa Kwon Yul, and above all, examines the process of meeting Baeksa Lee Hang bok, who was a National Defense vassal at the time in 1592, and the situation of pursuing his studies through him. And, after going to office, he played a key role in the battle of Ahnhyeon, a decisive moment to level Lee Gwal's rebellion, and this study examines in particular, after the Manchu Invasion of Joseon, his realistic responses opposite to the ignorant decision of the royal court and vassals, consistent with justification and cause. Through this, the reason why he did not participate in Lee Gwal’s rebellion, the tactical judgment of the enemy's tactics, and the analysis of the situation that the demand for Jusen's annual tribute was not the object of ‘braking off amity (絶和)’ confirm the fact that he consistently maintained a practical attitude. In particular, in discussing military work, it is demonstrated that defense policies, such as effective military supply and demand measures to build fortresses through cooperation between regions and to carry out fortress defense battles, and the installation of beach encampment, were implemented with a focus on practicality based on the insights and perspectives of field practitioners.

      • KCI등재

        조선비전(朝鮮秘傳) 간우환(干牛丸)을 통해본 조일의학(朝日醫學)교류의 일면

        서한석 ( Han Seok Seo ) 우리한문학회 2011 漢文學報 Vol.24 No.-

        본고는 조선 의원이 일본 의원에게 알려준 干牛丸이라는 약을 통해서, 전통시대 조선과 일본 사이에 있었던 의학교류의 구체적인 한 측면을 살펴보려는 목적으로 쓴 것이다. 간우환에 대한 단서는 1811년 통신사로 일본에 갔던 金善臣의 「干牛丸贊 幷序」를 통해 얻을 수 있었다. 조선은 건국 이후 의학발전을 위해 중국 의학 이론을 받아들이고 조선의 약재를 연구하는 등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였다. 그 결과 조선후기에는 『동의보감』이 청에서 간행되고 청과 일본이 의원 파견을 요청할 만큼의 수준에 도달하게 되었다. 간우환은 이러한 흐름 속에 조선 의원이 일본에 파견되면서 전해지게 되었다. 대마도의 의원에게 전해진 간우환은 이후 일본사람들 사이에서 점차 인기를 얻어 널리 애용되기에 이르렀다. 그러므로 이 약의 전래와 유포과정에 대해 살펴보는 것은, 朝·日양국간의 의학교류 그리고 조선 의학이 일본 의학에 끼친 영향의 구체적인 일면을 확인할 수 있게 해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exchange of medical information between Joseon and Japan via Ganuhwan(干牛丸), this medicine was invented by Joseon`s doctor. This paper exmanied Ganuhwanchan Byeongseo(干牛丸贊 幷序) written by Kim Seonsin in 1811, he mentioned the relationship of Joseon and Japan via the medicine, Ganuhwan(干牛丸). In 17th century, Joseon built up independent cure means and Eastern medical science(東醫) in Asia, the level was very high. For example Dong-uibogam(東醫寶鑑) was really famous, China and Japan requsted the book. The request of Japan was not only the book also doctors. Ham Deuk-il was one of the doctors who was sent Tsushima(對馬島), he treated the patients and educated Japanese doctors. And he initiated a Japanese doctor into the medicie, Ganuhwan. As a result, Ganuhwan was popular as folk Medicine for all sorts of cures. This paper identified the medical exchange between Joseon and Japan. As the result we know the medical exchange influenced on the medical science of Japan.

      • 고령자와 장애자를 위한 Eye-gaze Interface 문자 입력 시스템

        서한석(Seo Han-sok),김종기(Kim Chong-ki) 한국디자인학회 2005 한국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05 No.5

        우리나라는 지난 2000년을 기점으로 65세 이상 인구가 총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7.2%에 이르러 ‘고령화 사회’(aging society)에 들어섰으며, 오는 2019년에는 이러한 비율이 14%를 넘어 ‘고령사회’(aged society)로 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2026년부터는 전체인구 중 65세 이상 고령 인구비율이 20% 이상인 ‘초고령 사회’(super-aged society)로 들어선다.(통계청 2004.10 그림1) 또 다른 통계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전체 장애자의 수는 1.294.254명이며 이중 상체부자유자만 754.651명으로 집계되었다.(통계청 2004.10) 장애자와 고령자, 즉 사회적 약자를 위한 유니버설 디자인의 필요성을 절대적으로 강조되고 있는 시대적 흐름에서 본 연구에서는 Eye-gaze Interface를 이용한 시선 입력만으로 컴퓨터상에서 한글입력이 가능한 시스템을 개발 제안한다.

      • KCI등재

        의궤 번역의 현황과 번역 방안 연구

        서한석(Seo, Han-seok) 한국고전번역원 2013 民族文化 Vol.42 No.-

        조선왕조 의궤에 대한 국민적 관심은 최근 프랑스 외규장각 의궤의 귀환과 일본 궁내청 소장 도서의 반환을 계기로 더욱 높아졌다. 이러한 시점에 문화재청은 국민적 관심과 여러 학계의 다양한 요구에 부응하고자, 의궤를 필두로 한 ‘중요기록유산 국역 사업’을 시작하였다. 본고는 이 중요기록유산 국역사업의 대상 중 하나인 조선왕조 의궤에 한정하여, 현재까지의 번역 현황과 번역을 통한 기대효과, 그리고 의궤를 번역의 문제점과 그 해결 방안을 모색해보려는 의도에서 작성되었다. 현재까지 이루어진 의궤 번역과 관련 연구의 추이를 살펴볼 때, 국민적 관심을 충족시키고 각종 연구의 기본 자료로써 의궤의 활용성을 높이는 가장 좋은 방법은 바로 번역이라 할 수 있다. 지금까지는 개별 기관이나 연구자가 각각의 필요에 의해 번역이 진행되었다. 물론 다양한 내용의 의궤가 번역되는 것도 학계에는 도움이 될 것이다. 그러나 본격적인 의궤 번역이 시작된 현 시점에서는 학계 및 여러 관련기관의 의견을 수렴하여 번역할 가치가 높은 의궤를 선별하여 이를 먼저 번역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한편 실제 번역에 있어서도 효율적인 번역을 위해서는 해결해야 할 몇 가지 문제점이 있다. 본고의 마지막 장에서는 의궤 번역의 문제점과 이에 대한 방안을 살펴보았다. The public interests in Uigwe(Royal Protocols of the Joseon Dynasty儀軌) have been higher after the return of the Oegyujanggak(外奎章閣) Uigwe from France and large volumes of ancient Korean books stored in Japan.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CHA文化財廳) started the translation important documentary Heritage such as Uigwe. This paper examines present stratus of Uigwe translation and the problems, and seeks way to improve that. The best way to utilize Uigwe is accurate translation to modern Korean. Because Uigwe was written in old Chinese character, a few people who understand old Chinese character could use Uigwe for their studies. However it is impossible to translate all Uigwe, we have to select some Uigwe which are more valuable and more necessary. A broad variety of ideas have to be taken into consideration in order to select that. And there are some problems to solve for producing professional translation. This paper, finally, try to suggest the alternativ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