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최서해 《홍염(紅焰)》 탈식민성 연구

        서철원 ( Cheol Won Seo ) 전북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3 건지인문학 Vol.10 No.-

        This study aims to probe the viewpoint of socialist realism that is based on poverty, which is to do by analyzing “Honghyum(Red Flame)(1927) by Choi Soe-Hae that is regarded as the supremacy of KAPF(Korea Artista Proleta Federatio) novels. It is not untrue to say that every achievement of Choi Soe-Hae literature is summed up in novels which is laid in Manchuria. Works that deals with the experience in Manchuria can be said to the thor-ough ‘people experience’, which is reappeared by vivid presence and objective description. This was made up of the objective of new tendency by concentrate-ing the bold behavior suggestion and the strong retaliation motif of characters through murder and arson. This strengthens the imagi-nation of readers by terse style, real narration and objective descrip-tion as well. Some researchers argue that Choi Soe-Hae must be viewed as ‘anti-Japanese independence movement novelist` rather than ‘new tendency writer. In this respect, Choi Soe-Hae has located in the exceptional posi-tion in modern Korean novels since new-style novel. Based on this, this study is to consider ideological tendency of Choi Soe-Hae novels, and literary position and result that this tendence has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 KCI등재

        원측(圓測),의상(義相)의 언어관과 7세기 향가(鄕歌)의 관련성 여부

        서철원 ( Cheol Won Seo ) 韓國古典文學會 2012 古典文學硏究 Vol.42 No.-

        Both of Won-Cheuk and Ui-Sang concentrated on gradual method which was accomplished between speaker and receiver, agent and object. But, Won-Cheuk thought that as ``consciousness`` while Ui-Sang was interested in pursuing the general Law. And in contrast of Won-Cheuk who was concerned about interdependent relation, Ui-Sang has attempted to academicize the relationship of connections and inclusions along with stratum like three yana-one yana. Nevertheless like these differences, they have homogeneity in the point of considering the spiritual faculty of the receiver and focused on the usefulness and essence of language as a means of translating the Buddhist doctrines in a logical and sentimental way. The effect of language which Won-Cheuk and Ui-Sang formulated in was reflected in the five songs of Hyang-ga of the 7th century. But there must be some elements which are not explained by their view on language. It should be known as an independent principle of cultural history regardless of thinkers` theories. 이 논문을 통해 圓測과 義相의 언어관과 향가, 게송을 비롯한 신라 문학사와의 관련 가능성을 제기하고자 한다. 원측은 언어로 표현된 대상의 실재성 여부보다는 주체의 내면에 자리하여 대상과의 관계를 통해 구체화되는 ‘識’의 문제가 더욱 중요하다고 보았다. 주체와 대상의 고정된 역할보다는 그 상호작용을 더 중시한 것이다. 이에 따라 논쟁 과정에서도 시비를 가린 끝에 어느 한쪽이 우세해진 모양보다는, 서로 대칭을 이룬 상보적 관계의 형성을 이상으로 삼았다. 반면에 의상은 원측과는 대조적으로 언어의 목적과 수사방식이 다르다면, 그 다른 언어가 각자 갖는 역할과 영역을 구별해야 한다고 보았다. 따라서 언어의 제 요소들 사이의 차이점과 단계의 상하 관계에 주목하였다. 이들이 활동했던 7세기 무렵의 향가는 이들의 언어관 사이의 대칭을 연상시키는 흐름을 보인다. 그것은 ①주체와 대상 사이의 관계에 주목한 경우, ②서로 대칭되는 인간관계가 등장한 사례, ③시어의 비유와 상징을 활용한 작품 등이었다. 이들에 대한 분석으로부터 앞서 제시한 언어관의 대칭 양상을 확인할 가능성을 개진하였다. 본고의 성과가 암시한 가능성을 토대로 신라 문학사의 전개 양상을 보다 구체적으로 해명하는 것이 앞으로의 과제이다.

      • KCI등재

        설화 속 원효 형상에 대한 이중적 시선의 의미

        서철원 ( Cheol Won Seo ) 한국고전문학회 2014 古典文學硏究 Vol.46 No.-

        설화에 등장하는 원효는 속세의 틀에 얽매이지 않는 자유분방한 태도를 보이는가 하면, 더러움과 깨끗함을 여전히 분별하는 어리석음을 지니고 있기도 하다. 이것은 실존 인물로서 원효와 설화적 형상으로서 원효 사이의 차이점으로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 본고는 이러한 차이점의 연원과 의미를 고찰하고자 한다. 두 가지 원효 형상은 원효가 ‘분별’을 어떻게 바라보는가에 따라 달라졌다고 볼 수 있다. 깨달음의 주체로서 원효는 心識의 무상함을 자각하고 있으며, 두 편의 설화에서 그 내용을 살펴볼 수 있다. 이 두 편의 설화는 각각 ‘나[我]’의 좋고 싫음과 心의 생과 멸이라는, 唯心에 대한 대칭적이면서도 상보적인 표현을 그 무상함의 근거로 내세우고 있다. 한편 다른 인물과 대비되는 원효는 장황한 문체를 남용했다는 점에서 비판을 받는 한편, 간결하고 압축적인 언어 표현이 가능했던 인물로서 긍정되기도 한다. 원효는 그 말투가 장황하지만, 또 한편으로는 간명할 수도 있는 입체적 인물인 셈이다. 한편 원효에 대한부정적 시선이 강한 설화는 당시 불교계의 교만을 비판했던 다른 설화와 화소를 공유하고 있어, 이 비판이 원효만을 대상으로 했던 것은 아니었음을 암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렇게 원효가 다른 인물보다 열등한 것처럼 묘사되는 경우에도, 원효의 언어 능력에 대한 부분적인 긍정은 <원왕생가> 전승담에서 ‘錚觀法’이라는 압축적이고 쉬운 수행법을 원효가 창안했으리라는 기대와 연결되기도 한다. 원효 설화는 실존 인물로서 원효의 업적에 대한 일방적 존숭과는 거리를 두면서도, 때로는 당시 불교계 고위 인사와 같은 약점을 보이지만 또 한편으로는 그것을 극복하기 위해 끊임없이 애쓰는 원효의 구도 과정에도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원효 형상의 입체성은 실존 인물로서 원효의 성과와는 별도로, 원효를 설화 속 존재로서 형상화해온 많은 이들의 종교적 깨달음과 현실적 제약의 공존 가능성에 대한 모색의 성과였다. 그것은 한 인간에게 복잡한 언어와 간명한 언어가 공존할 수 있을지의 문제, 그리고 순일한 깨달음과 좌절을 거친 깨달음 사이의 우열 관계 등에 관한 종교적 의문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Wonhyo appearing in Wonhyo story has a free-spirited attitude that defy the boundaries of the secular, there is also the stupidity to still sorting room and dirt. In this paper, I consider the meaning and origin of these differences. Wonhyo is dependent on how the view looking at the "separation". Wonhyo has been aware of the emptiness of consciousness as a subject of enlightenment, in the story of the two lines, it is possible to see its contents. However, the story of this double cites as the basis for emptiness of birth and death of the heart and likes and dislikes of the "I(我)", the problem slightly different perspective by each. On the other hand, is subject to criticism in that Wonhyo which is compared with another person that abused redundant style, but may be positive as a person was possible linguistic expressions that is compressed by the simple. But also or associated with evaluation wishful was assumed even if they are depicted Wonhyo is as inferior to the other person, that there is such a capability to Wonhyo is a simple language ability. Story negative gaze for Wonhyo strong shares pixels and other stories that had criticized the pride of Buddhism at the time, which suggests that this criticism had been intended only Wonhyo was not . On the other hand, that it was able to speak a simple language, and is connected to the invented Hetouriranun expected Wonhyo how to perform a compression of the name "Jaengkwanbub (錚觀法)" and. It can be said that in the past the Sonsu unilateral to the performance of Wonhyo, to recognize clearly the limitations and achievements of the person, Wonhyo story and is the result that expresses the expectations of its positive aspects.

      • KCI등재

        최치원의 풍류 관념과 그 문화사적 맥락

        서철원(Seo Cheol won) 한국고전연구학회 2015 한국고전연구 Vol.0 No.32

        최치원은 「난랑비서」에서 신라 화랑의 사상적 토양이었던 풍류가 포함삼교(包含三敎) 의 의미를 지니며 접화군생(接化群生) 의 역할을 맡았던 것으로 보았다. 접화군생 의 역할은 인재를 찾아 양성하는 화랑단의 활동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이 확인된다. 반면에 포함삼교 는 현존 자료 가운데 「난랑비서」에서만 확인되는 용어이다. 이와는 달리 화랑단 설립 시기에 명주에 세웠던 비문에서는 유가 사상의 시각과 용어만을 통해 화랑의 역할을 기대하고 있다. 따라서 9세기 최치원이 생각했던 포함삼교 와, 7세기 명주 비문의 유가 중심적 태도에는 거리가 있다. 이들의 차이를 유념하면서 풍류의 실천에 해당하는 화랑단의 활동을 살펴보면, 여러 자료에서 풍류의 기능으로 나타났던 유오산수(遊娛山水) 를 통한 인재 발굴은 접화군생 의 역할과 통하는 국면이 있었다. 그러나 화랑의 활동 가운데 유가 윤리를 극단화하여 비장한 죽음에 집착했던 모습, 그리고 교(敎)와 교의 단선적 대응을 넘어선 혼융을 시도했던 점 등은 「난랑비서 와」그 맥락은 같더라도 강조하는 지점이 다르다. 한편 가악과 예술의 바탕으로서 풍류의 역할은 다른 자료에서의 비중과는 달리 최치원의 설명에서는 직접 드러나지 않았다. 따라서 최치원의 풍류 관념에 풍류의 모든 것이 포함된다고 할 수는 없다. 그보다는 종래의 풍류 관념에서 신비주의적 요소를 배제하고 현실적, 윤리적 측면을 강조했던 그의 의도가 지닌 문화사적 맥락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Choi Chi-won(崔致遠) explained that Poonyoo(風流) is composed of Confucianism, Taoist, and Buddhism. The description has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Research of ancient Korean culture. However, there was some records more than before. There are many stories associated with one or several of them in Samgooksagi(三國史記) and Samgookyoosa(三國遺事). They have themes that differs from those of Choi Chi-won s. That stories about Taoist and Buddhism are mysterious, but Choi Chi-won prefer practicality to mystery. So he emphasized the practicality of Taoist and Buddhism, not fall behind Confucianism. His concept is not that all of the Poongyoo itself, but show that all of the practicality of the several ideas.

      • KCI등재

        <보현십원가(普賢十願歌)>와 선시(禪詩)를 통해 본 종교시의 서정성 문제

        서철원 ( Cheol Won Seo ) 한국고전문학회 2010 古典文學硏究 Vol.37 No.-

        본고는 종교시로서 `불교`라는 동질적 배경을 토대로 鄕歌의 融會的 사유체계가 禪詩와 선시 작가에게 계승, 전변하는 양상을 고찰하고, 그 문학사적 의미를 거론하기 위하여 이루어졌다. <보현시원가>를 통해 본 향가의 융회적 사유체계는 종교적 超越과 현실적 方便說이라는 이중적 성격을 지니고 있었다. <보현시원가>는 수용자들을 깨달음의 경지, 종교적 초월로 이끌기 위한 방편설이다. 그 내용에는 근기가 미약한 무명, 미혹의 단계에서 초래되는 과오가 오히려 진정한 깨달음을 위해 필수불가결하다는 인식의 과장이 드러나 있다. 이와 같은 과장을 비롯한 因果同時의 역설적 인식은 수용자의 정황을 배려한 것이다. 향가의 성과 가운데 종교적 초월은 선시에서 否定과 逆說의 言述을 통해, 방편설은 선시 작가의 또다른 작품에서 보이는 현실인식을 통해 지속되고 있다. 부정의 언술은 보다 역설적인 경향으로 발달하면서 언어적 한계를 극복하고, 보다 큰 의미의 종교적 초월과 긍정이 등장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에 따라 수용자와의 소통의 범위는 점차 축소될 수밖에 없었으며, 종교시의 서정성은 난해한 방향으로 선회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경향은 선시 작가들의 현실인식을 바탕에 둔 작품들을 통해 다소 전환되었으며, 수용자와의 소통을 유념했던 종교시의 서정적 전통이 지속될 수 있었다. 향가와 선시를 통해 본 종교적 서정성의 본질은 초월적 구도와 현실적 실천을 함께 지향하는 움직임에 있다. 이것은 이론과 실천의 병행일 뿐만 아니라 감성과 지각의 공존?균형이라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give careful consideration to the matters of lyric of the religious poetry through Bohyunsiwonga and Seonsi.The integrated thought of Bohyunsiwonga has dual characters of religious transcendence and practical measure. Through the exaggerations and paradox, Bohyunsiwonga got consideration for the mankind.Seonsi keepup the outcome of Bohyunsiwonga. They have lasted the religious transcendence through the discourse of denial and paradox, continued the practical measure by the sense of reality.The nature of lyric of the religious poetry remains the movement of seeking the transcendental truth and practical action together.

      • KCI등재

        주제 근대 전환기 한국 고전문학의 대응 최남선의 시가 인식과 불함문화론의 관련 양상

        서철원 ( Cheol Won Seo ) 한국고전문학회 2015 古典文學硏究 Vol.48 No.-

        In spite of there is no religious element in remaining sijo, Choi Nam-seon imagined that sijo is started in such a motive. He thought that sijo must have religious element to revive as a modern culture. Based on that opinion, he invented an image of the culture of Bulham. The culture of Bulham consists of the following three elements: the faith in Dangoon the founder of old Joseon, the love for the homeland and its space images and the gloval value of the culture. He expressed two elements, the faith in Dangoon and the love for the homeland in the book 108 afflictions, But he still worried about the gloval value of the culture and sijo. As it were, there i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his creation of sijo and his view of culture.

      • KCI등재

        일반논문 : 건국신화의 여신 형상과 그 문화사적 의미

        서철원 ( Cheol Won Seo ) 한민족문화학회 2010 한민족문화연구 Vol.35 No.-

        이 논문은 고대 한국의 건국신화에 공통적으로 등장하는 여신의 형상을 서로 견주어 분석함으로써 그 문화사적 의미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북방의 단군신화와 동명신화에서 모계는 신화적 질서 속에서 人性을 갖추어가는 과정과, 그 인성이 신화적 재편을 통해 새로운 神性으로 거듭나는 과정을 보인다. 웅녀의 사례는 신화적 질서 속에서 異界의 존재가 인간 영웅의 어머니가 되는 과정을 보여준다면, 유화의 사례는 신화의 재편 과정을 통해 한 인간이 현실에 적용되는 권능을 갖춘 존재로 상승하는 여정을 드러낸다. 한편 남방의 백제, 신라, 대가야는 성모가 형제 또는 남매를 출산한다는 공통점을 지닌다. 그런데 이 시조들 사이의 관계에 따라 모계의 형상이 자못 달라진다. 이를테면 백제의 소서노는 고구려와의 관계가 이중적인 탓에 비류와 온조 모든 계열로부터 환영받지 못하고, 따라서 신격을 획득하지 못한다. 신라의 선도산 성모는 혁거세와 알영의 結緣으로 말미암아 그 상징성이 긴요치 않게 된다. 대가야의 정견모주는 뇌질주일 계열과 뇌질청예 계열의 竝存으로 인하여 가야연맹 공통의 구심점으로서 그 역할이 지속되고, 신격으로서의 직능도 비교적 오랫동안 유지한다. 이러한 차이는 해당 신화를 향유해 온 집단의 건국시조에 대한 관념에 기인한 것이다. 북방의 신화들은 건국시조가 이민족과의 투쟁을 거쳐 단일한 신화적 표상을 이룩한 국가를 수립하기까지의 과정에 관심을 기울인 반면, 남방의 신화들은 국가 수립 과정의 투쟁보다는 그 이후에 다른 종족들을 포섭하여 연맹체를 형성해가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북방 신화의 여신은 사라지거나 건국시조의 조력자 역할을 보이지만, 남방 신화의 여신은 형제들의 어머니로서 추상적 상징의 역할이 더 컸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are the figures of goddess in the birth myth of the ancient Korean history: between the north and the south. The north-Dan-goon and Dongmyung-reduced the importance of paternal line, expanded the functions of maternal line. On the other hand, the south-Baekjae, Silla and Dae-Gaya-varied the functions of maternal line. So-seo-no of Baekjae failed to gain the divinity because of her vagueness relationship to Koguryeo. The holly mother of Mt. Seon-do in Silla had forgotton by the harmony between her children, the progenitors of Silla. Jeong-kyeon-mo-ju of Dae-Gaya obtained the divinity to the future. The difference of these myth and the figures of goddess resulted from the thought of the nations of the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myth itself.

      • KCI등재

        향가의 서정주체와 불국사·석굴암의 조성 방식

        서철원(Seo Cheol-won) 우리말글학회 2011 우리말 글 Vol.53 No.-

        This thesis is composed to inquire into the role of Hyang-ga during the process of GyeongJu, capital of Silla becoming religious shrine in the lyricism subject. I suggest a principle for foundation of the Bulguksa and Seokguram temples, which both represent the art history of the Silla Dynasty through four songs of Hyang-ga in the temples of Chungdamsa and Wolmyeongsa which come from the same period of King Gyeong Deok era. I found the clue on how to approach the ‘shrine’ conceived by the nation of Silla. The results of the argument are like the following. First, the point which claims our attention is the aesthetic quality of Hyang-ga. This quality does not manifeste itself simply by examining spatial image and contents of the Hyang-ga. Second, the difference between rhetorical methods of Chungdamsa and Wolmyeongsa had a chance to be revealed. There is the aspect that reminds us of the difference of Bulguksa and Seokguram between those methods. Chungdamsa had accepted conventional poetic diction and ascribed ‘general’ and ‘abstract’ symbolism into all kinds of subject which were then categorized. Wolmyeongsa had synthesized the poetic diction with other lexicon to attempt to emphasize the specific and heuristic symbols. Third, it has revealed that the attempts of Chungdamsa and Wolmyeongsa had more significant meaning than revelation of rhetorical method.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